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학사 교육의 대상에 대하여

        林成雲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3 科學과 敎育 Vol.1 No.-

        The study of literary history and the object of its education are generally perceived as divided two : literary history as reality ; literary history as method. From the view of epistemology, the former is based on realism and objectivism, the latter is on nominalism and subjectivism. Thus the former recognizes all texts of literary history as incomplete, the latter as reasonable if the logic used in the literary history is justifiable. The literary history as reality reveals a decisive limitation in its not showing how the object and meaning are established and what the historical ideology of the object is, which is caused by ignoring the mediating trait of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literary history as method, by lifting language to the absolute, cuts off the object from the subject, asserting the uncertainty of the object of knowledge, and thereby collapses to agnosticism. Moreover, it can, by maximizing the arbitrariness of signifier, never show how the consciousness and will to practice of subject of knowledge act upon the object of knowledge. If these two concepts of literary history cannot overcome such limitations, they remain at the level of mere knowledge of literary history or at the assumptive level for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try to find a new knowledge of concept of literary history for the highly explanatory literary history and its education. The knowledge of literary history both as reality and as method involves problem caused, from the first, by excluding the ideologcal trait of language wrought in the process of knowledge. All the cultural factors have a mutual action between subjective aspect and objective one through the ideological trait of language. In other words, the subject and object of knowledge do not coexist without mediation, but they are mediated by sign or language. Accordingly, we have to recognize that the literary histories as reality and as method are in the relation of mutual regulation in ontological aspect, while in the historical process, they form a perpetual strained relation,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y are united. Then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is to be perceived as concept designating reality and simultaneously as concept of its knowledge. Also the study of literary history and object of its education are to become a relation between reality and language and between languages, in other words, a structural relation between the condition of knowledge production and the discourse producing knowledge.

      • KCI등재후보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의 위치와 문학사 서술 방향

        노철 국제한인문학회 2013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12

        At present,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for foreigners is viewed on the ground of language model, culture model, and personal growth model, which makes unclear understanding the aim of educating literary history. This happens when the general model of literary education is applied unrevised to the position of literary history. It is overlooked that literary history is a writing that presents literary works and literary phenomena through a system. Literary history is different from language model as a system of knowledge. Reading literary works has to do with the ability to communicate but not with the aim of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Selective reading of literary works can be called the essence of literary education as the model of personal growth. For for foreigners, though, reading literary works also has some value as culture model. On the other hand, literary history has the aim to let the readers appreciate the value of literary works not as something separate but in the stream of Korean literary culture. Consider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educational system, education of literary history is likely to be simple memorization of knowledge because of the learners’ insufficient reading of literary works. So literary history texts need be designed to check knowledge on literary history through literary works. Likewise, the amount of work need be appropri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udy hours arranged in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is, while we follow the existing chronological order, it is necessary to assign the amount of work that is sufficie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each period. Balance between classical and modern literature must be accounted for by checking the excess of the classical. Finally, considering the present situation where although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elongs to the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 focus of study is mainly on language education and scarcely on theories of literature, general theories of literature need be presented through reference. Such presentation of theories on literature can also be a way to provide for foreign students an access to Korean literature with a general viewpoint. 현재 외국인을 위한 문학사 교육은 언어모델, 문화모델, 개인의 성장 모델의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문학사 교육을 문학교육의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모델을 그대로 적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사는 문학 작품과 문학 현상을 하나의 체계로 구성한 글쓰기라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문학사은 지식의 체계로서 외국인에게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을 교육하는 언어모델과는 거리가 있다. 문학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인 언어모델과 관련을 갖는 것은 한국문학 작품 강독이다. 하지만 학습자의 자국어로 된 한국문학 작품 선독은 의사소통능력보다는 개인의 성장이 학습 목표에 가깝다. 다음으로 문학교육에서 문화모델은 당대 문화와 삶의 이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적지 않다. 특히 외국인에게 한국문학 작품의 읽기는 작품에 담긴 한국문화의 이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 문학사는 이러한 문화를 제공하지만 역사, 정치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문학 현상과 관련된 문학 문화라는 범위에서 제시한다. 문학사의 목표가 하나의 문학 작품을 한국 문학 문화의 흐름 속에서 이해하고 가치를 평가하는 안목을 갖게 하는데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한국어문학과 학제에서 문학사 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 학습자가 한국문학사를 암기적 지식으로 받아들이는 일이다. 한국문학 작품의 독서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는 문학사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사는 문학 작품을 통해 문학사의 지식을 확인하는 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 학제에서 문학사의 시수와 문학사 학습양의 어긋남이 크다. 문학사의 학습량을 감당하기에는 시수가 부족하다. 현 단계에서 시수를 늘이기가 쉽지 않은 만큼 시수를 고려해 학습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한국문학사의 시기구분을 따르더라도 각 시기의 핵심적인 특성을 이해할 정도의 양만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며, 고전문학의 비중이 지나치게 늘어나는 것을 제어해 현대문학과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문학과가 어문학 학제이지만 문학론의 학습이 거의 없고 언어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진 현실을 고려해 보편적 문학이론을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학이론을 통한 한국문학의 이해는 외국인 학습자가 보편적인 관점에서 한국문학을 접근하는 통로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학습자의 취약성에 근거한 문학사 재구성의 가능성 - 한국현대문학연구를 중심으로 -

        김명훈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4 국어교육연구 Vol.- No.85

        문학 연구와 문학 교육 양쪽 모두에서, 문학사에 대한 회의와 비판이 비등해진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문학 연구와 문학 교육에서 공히 문제적인 개념이 되어버린 문학사의 위상을 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사를 보다 생산적인 방식으로 재구성하기 위해 학습자의 취약성이 적극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해 보려 하였다. 학습자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내용을 조정하기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교수학습의 핵심 주체이다. 그러나 교육>국어교육>문학 교육은 그 본질상 학습자의 주체로서의 위상보다는 교육 대상으로서의 학습자의 결여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학습자의 결여와 그 결여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에 집중할 때 문학사는 국어교육>문학 교육에서 문제적인 영역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다. 문학사를 이해하고 문학사적 관점을 개별 텍스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사실상 (한국)문학에 관한 모든 지식을 섭렵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기존 문학사의 자기동일성에 대한 의심과 회의가 팽배해지면서 문학 연구에서도 문학사의 권위는 더 이상 자명한 것이 아니게 되었다. 기존 문학사에서 상정된 집합적 주체가 타자를 억압하는 유해한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는 것이 문학사 비판론의 골자인바, 문학사는 문학사의 타자들에 의해 해체될 운명에 처했다. 그러나 문학사가 여전히 문학 연구를 위한 공통의 논의 기반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해체를 위한 해체는 바람직하다 볼 수 없다. 무엇보다 타자의 관점을 참조하여 기존 문학사의 유해함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공공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공통의 언어(담론)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사 해체론의 인식론적 토대인 타자의 관점과 교육>국어교육>문학 교육의 현실적 조건인 공공성․현장성이 마주치는 지점에서 타자-학습자의 취약성이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 인식될 가능성이 생기며, 이를 통해 문학 연구와 문학 교육의 공진화를 위한 문학사 재구성의 단초가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을 논의해 보았다. It is not recent that skepticism and criticism have been raised about literary history in literary research and literary education. In this paper, we attempted to reexamine the status of literary history, which has become a problematic concept in both literary research and literary education, and discuss the need to consider learner’s vulnerabilities in order to reconstruct literary history in a more productive way. Learners are the core subj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must be considered first in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adjusting educational content. However, due to its nature, education/Korean language education/literature education has no choice but to focus on the learner’s deficiencies as an object of education rather than the learner’s status as a subject. In this way, when focusing on learner’s deficiencies and ways to resolve those deficiencies, literary history is likely to be recognized as a problematic area in Korean language education-literature education. This is because in order to understand literary history and apply a literary historical perspective to individual texts, learners must know virtually all knowledge about (Korean) literature. Meanwhile, as doubts and skepticism about the self-identity of existing literary history became widespread, the authority of literary history was no longer certain in literary research. The core content of the criticism of literary history was that the collective subject premised on the existing literary history was nothing more than a harmful ideology that oppressed others, and literary history was destined to be deconstructed by the others in literary history. However, considering that literary history is still a common discussion basis for literary research, deconstruction for the sake of deconstruction cannot be considered desirable. Above all, in order to identify the harmfulness of existing literary history by referring to the perspectives of others, a common language(discourse) that can create public value must be prerequisite. When the perspectives of others raised in literary history research and the publicness․practicality of literary education collide, the vulnerability of other-learners can be recognized in a more active sense, and through this, the found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literary history can be laid.

      • KCI등재

        문학사교육과 대중서사

        최미진 구보학회 2017 구보학보 Vol.0 No.16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uggest Bricolage Literary History as one of the horizons of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then to study the cross-section of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communicates and the popular narratives. After the 1990s the Korean literature research opened up in earnest to the study on popular narratives, which had been neglected in the past while posing the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extension of modern literature admit of literature crisis. As a literary education, new forms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have been presented in the deconstruction movement, but the field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has not changed despite the narrowed ground. For the result of this problem recognition, the paper investigates bricolage literary history using education for the limited time postwar period. Bricolage-type literary history presupposes a multi-layered structure of literary practices of various subjects. In this regard, the education of postwar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focused on the ‘process’ itself, which is the confusion and competitions in the literary fields triggered by the Korean War. First, it shall be critically understood that conventional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the postwar period was biased toward the nationalism and the literary system preempting the literary power. Then, the attention should be given tot he diversity which was closely integrating with the field of popular narrative. The detailed stages of the popular narrative education are as followed. First is the stage of understanding the interoperability of media environment and popular narratives in the postwar period, and review cross-check with the field of literary system. Second is the stage for contempl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narratives by the medias as well s the communication methods with public readers, attempting to rediscover the critical interpretation and topics. Third is the stage to examine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mmunication methods and activation of the literature filed by setting the public readers as the subject of creation and enjoyment in education of literature history. Last is the stage of building up the identity by expanding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by comparing the literary field at the time to other cultural arts in their naturally and distinctiveness. Further measures still remains in the from of opinions. Even though it is only the beginning, further changes in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s expected as new discussions are added on.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문학사교육과 문학사 기획들을 검토하고, 그 가운데 전후(戰後) 시기에 한정하여 브리콜라주 문학사의 방향과 접근방식을 고찰하는 데있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문학연구의 장은 문학의 위기 속에서 근대문학의 외연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가운데 간과되어왔던 대중서사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문학교육으로서 문학사도 탈구축의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문학사교육이 제안되고 있지만, 문학사교육의 현장은 좁아진 입지에도 큰 흔들림이 없었다. 그러한 문제의식의 소산으로 전후 시기에 한정하여 브리콜라주 문학사교육을 살폈다.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브리콜라주의 정당성에 따라 설계되고 학습자의 비판적 해석력 신장을 위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주체들의 문학적 실천들이 서로 다른 장(場)과 가치체계들이 교차되는, 다층적으로 구조화된 문학장(場)으로 전제했다. 그런 측면에서 전후 문학사교육은 한국전쟁으로 촉발된 문학 장의 혼란과 경합의 ‘과정’ 자체에 주목해야 했다. 그 ‘과정’을 보다 분명하면서도 다각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문학 장을 분화시키거나 가로지르는 세 가지 장으로 나누어 살폈다. 우선, 전후 문학제도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기존의 문학사교육이 국가주의와 문학권력을 선점한 문학제도의 장에 편향되어 있음을 비판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다음으로, 전후 대중서사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대중서사의 장과 함께 호흡했던 다양성에 주목해야 한다. 대중서사교육의 구체적 단계는 첫째, 전후 매체환경과 대중서사의 연동성을 이해하고 문학제도의 장과 비교 검토하는 단계다. 둘째, 매체별로 대중서사의 특징적 면면과 독자대중과의 소통방식을 고찰하여 비판적 해석과 논제의 재발견을 꾀하는 단계다. 셋째, 문학사교육에서 독자대중을 창작과 향유의 주체로 곧추세워 소통방식의 다각화와 문학 장의 활성화를 검토하는 단계다. 마지막으로, 전후문화예술의 장이다. 전후 브리콜라주 문학사는 문화예술 영역으로 확장하여 이시기 문학 장이 다른 문화예술과의 친연성과 차별성을 비교 검토하여 독자성을 구축해야 한다. 이상의 접근 방식은 아직 시론에 머물러 있다. 성글지만 새로운 논의를 더해가며 문학사교육이 변전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나손(羅孫) 김동욱(金東旭)의 『국문학사』

        김준형 근대서지학회 2022 근대서지 Vol.- No.26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國文學史), written by Nason(羅孫) Kim Dong-Wook(金東旭), focuses on the metadiscourse represented by the Motherland and the Nation. And the comparative literature method between Korea and Japan was applied. These two are the most prominent feature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Nason. However, the metadiscourse and comparative literature contradict each other. The fact that the periodization in history, which is the core of literary history, was based on the royal family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the result of not being abl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two. Nason(羅孫) made six basic positions to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t is ① The concept and category of literature. ② The tradition of literary history. ③ The descriptive attitude of literary history. ④ The method of writing of literary history. ⑤ The view of literary history. ⑥ The direction of literary history. In ①, included Chinese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concept of literature in the East, and excluded oral literature enjoyed by words. However, Yadam(野談) and SamGukYuSa(三國遺事) were includ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at they were recorded in letters. In the tradition of literary history[②] and the direction of literary history[⑥], Nason noted the role of upper-class geniuses who emphasized our words and writings. He also emphasized the need to create a new Koreanology that combines upper-class geniuses and lower-class people who actively enjoyed our words and writings. However, his literary history did not provide such details. The descriptive attitude of literary history[③] and the method of writing of literary history[④] used a comparative literary method based on national pride. The direction of literary history[⑥] tried to mix the classical scholar scholarly spirit with the dynamic Hwarangdo(花郞道). However, Hwarangdo is connected with the Japanese samurai spirit, and the classical scholar scholarly spirit shows limitations in that it could not escape from the ideology that was passed down from Takahashi Doru(高橋亨) and Donam(趙潤濟).

      • KCI등재

        A Renewed Understanding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ddressing Curricular Problems in Literary History Education

        박은진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5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4 No.-

        This study aims to achieve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issues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within the official curriculum. Of all the current areas comprising literature education, that of literary history is the most problematic.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observation that literary history education is closely linked to the broader system of literature education, which leads us to pursue a new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within the official curriculum. I explore the changes that literary history education has undergone, centering on the shifts in literary perspectives – arguably the core of literature education. While approaching the question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ion on literature education and literary history. I examine how views governing literature education changed throughout three phases. I point out that as the dominant discourse on literature education shifted its emphasis from transmitting culture to cultivating literary abilities, the fundamental aspects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continued to be omitted. I found that a failure to fill these gaps has led to the present problems in literary history education. This prompts us to question the appropriateness of continuing the current unilateral relationship, whereby literary history education is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logic of literature education.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 기술과 문학사 기술

        라영균(Ra, Young-ky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7

        포스트모더니즘과 해체주의 이후 거대담론에 대한 회의와 불신이 확산돼가면서 역사와 문학사의 학문적 가치와 유용성은 끊임없이 의혹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이에 맞서 역사 담론의 총체적인 위기를 극복하고 역사의 새로운 방법과 지평을 모색하려는 노력도 함께 진행되었다. 포스트모던적 역사관은 무엇보다 역사의 텍스트성을 강조한다. 역사는 실재가 아니라 이야기된, 즉 하나의 텍스트로 변형된 현실이라는 점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포스트모던적 역사는 실증적인 연구를 근거로 방법적 합리성과 과학적 위상을 주장했던 과거의 역사와는 달리 역사적인 지식이 형성되고 전달되는 과정, 즉 역사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언어적 (시학적, 수사학적) 전제들을 강조한다. 이렇게 담론화된 역사는 선험적 역사인식이나 초월적 의미가 내재된 메타 담론을 부정하고 진보, 이성, 계급, 민족 등과 같이 과거와 현재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규정하는 역사의 중심을 해체한다. 역사 담론의 전반적인 변화와 함께 문학사도 새로운 이론적, 방법론적 전제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새로운 문학사는 그 특징이 포스트모던적이라는 점에서 이전의 문학사와 구분된다. 문학사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그것이 구조주의적이건, 기호학적이건, 해석학적인이건 모두 전체성과 연속성에 기초한 역사를 거부한다. 이것은 시대 중심의 문학사에서 우연 중심의 문학사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새로운 문학사는 다양성과 차이를 중시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시대의식과 가치에 맞게 완결성이나 통일성 대신 분산, 복합, 대비를 구성 원칙으로 삼는다. 그러므로 알파벳순으로 배열된 백과사전식 편제나 직선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술 보다는 몽타주나 단편적 형식을 선호한다. 또한 전체보다는 부분을 그리고 중심보다는 주변에 대한 의식을 강조하고 가능한 다양한 관점과 시각을 반영하기 때문에 정전작품 외에 오랫동안 소외되어 온 문학 전통이나 국면들을 대거 문학사 기술에 포함시킨다. 어떤 형태이건 포스트모던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관계를 초월적인 의미나 메타담론으로 고정시키지 않고, 다양한 관점과 기준에 따라 새롭게 생성되는 의미관계들을 기술한다. 이런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은 역사의 종말이나 해체를 초래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역사이해와 무한한 역사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계기였다. After the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 an academic value and usefulness of history and literary history were endlessly doubted due to the enlargement of skepticism and distrust against the meta-discourse. But the effort to overcome historical-discourse's overall crisis and find the new methods and prospection of history was also occurred. Above of all, postmodernism's concept of history emphasizes textuality of history. Because it focuses that history is not a real event but narrative event. Narrative event means transformed real event as a text. Previous history was based on positive research and insisted methodical rationality and scientific status. Differently, the postmodern history stresses the process of historical knowledge's creation and transmission, in other words it stresses linguistic (or poetic, rhetoric) premise which makes the historical description possible. And the discoursed history disassembles center of history, which lopsidedly regulates the relation between previous and current like the progress, the reason, the class and the people and denies meta-discourse, which includes transcendental cognition of history and transcendental meaning. With the total change of historical-discourse, the literary history started from new theory, methodic premise. The new literary history features postmodernism. So it can be differ from previous literary history. A new paradigm of writing literary history denies the history which based on totality and continuity. This means the transformation from literary history of epoch to literary history of contingency. The new literary history makes dispersion,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as a composition rule instead of completion and unity. To assume time awareness and value of postmodernism that emphasizes diversity and difference. So the new literary history prefers montage or fragmentary form to alphabetical list like an encyclopedically structure or linear and coherent writing. And also the new literary history emphasizes part, periphery rather than whole, center and reflects the various perspectives as possible. So it includes canonized literature, literary traditions and situations into literary history writing. In any form, the postmodern history also tries to write newly-created numerous relations according to perspective and criteria, which is not fixed to transcendental meaning or meta-discourse. In this point, the challenge of postmodernism made new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possibilities of history interpretation rather than termination or disassembles of history.

      • KCI등재후보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이경하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1 No.-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appeared with the rise of modern nations in Europe in the 19th century, so a literary history has meant a ‘national’ literary history so long time. However, we find many different kinds of writing literary history in the late of the 20th century all in the world, which were in pursuit of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marginalized group, such as women, laborers, the African-American, lesbians, and so on. According to academic criticisms like postmodernism in the late of the 20th century, writing literary history means inventing a ‘fiction’. Generally the tradition writing literary history found was regarded as a kind of fabrication. It is a general afunction of historiography that writing literary history of a group exaggerates its past as being a honorable or miserable one.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would be at the risk of it, too. So then, is it unnecessary or meaningless? I'd like to say, in this essay,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is still not only necessary but also important, in aspect of not only a movement for the emancipation of women but also an academy, a study of national literary history.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could play an important part of passing a general limit of writing national literary history. 20세기 후반은 전 세계적으로 문학사 서술을 둘러싸고 전혀 상반된 경향이 두드러졌던 시기다. 한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의 유행 속에서 문학사 서술을 하나의 날조된 허구로 비판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여성, 흑인, 소수민족 등 주변부 집단의 문학사 서술이 그 어느 때보다 열기를 띠었던 것이다. 한국에서는 아직 본격적인 여성문학사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여성문학 연구가 본격화됨에 따라 그러한 움직임이 조금씩 가시화되고 있다. 본고는 문학사 서술의 의의에 대한 회의적인 지적 풍토 속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이 어떤 의의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이론적인 검토이다. 필자는 학문 내적외적 차원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의 의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본격적인 여성문학사 및 여성사 서술은 그 출발단계에서 여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유럽의 경우 여성해방운동이라는 외적 요인에 의해 추동된 바 컸다. 문학사 서술은 그 집단의 정체성 형성 및 강화에 기여함으로써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70년대 영미의 여성문학전통론에서는 여성해방이라는 목적의식이 강하게 작용했던 만큼 그 역기능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문학의 과거를 역사화하는 작업이 문학사 서술의 역기능에 대한 경계 위에서 이루어진다면, 여전히 여성해방운동의 차원에서 실질적인 의의를 가질 수 있다.문학연구 내적으로 볼 때, 여성문학사 서술은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을 보완극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20세기 후반에 활발히 이루어진 국내외 여성문학사 서술은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이 누락시킨 여성문학의 과거를 복원함으로써 이를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또한 여성문학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수록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이 보다 잘 드러나게 되었다. 문학의 범주, 문학의 가치평가 기준, 문학사의 시대구분 등 문학사 서술에서 핵심이 되는 문제들이 여성문학사의 관점에서 재론되기에 이른 것이다. 여성문학사 서술은 자국문학사를 보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데 궁극적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성제국대학의 한국문학사 기획과 그 자료적 얼개

        이상현(Lee Sang Hyun),김채현(Kim Chae Hyun)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3

        본고의 목적은 다카하시 도루(高橋亨, 1877~1967)와 김태준(金台俊, 1905~1950)이 핫토리보공회(服部報公會)에 제출한 보고서, 「李朝文學史의 硏究[李朝文學史の硏究]」(1938~1941)에 대한 내용전반을 학계에 소개하고 이 논저에 담긴 경성제국대학의 한국문학사 기획과 그 기반이 된 자료적 얼개를 보여주는 것이다. 더불어 김태준의 『朝鮮漢文學史』(1931)와 「이조문학사의 연구」의 차이점을 통해, 『조선한문학사』의 보완과정과 한국문학사의 전체 얼개 속에 한문학 유산을 배치한 양상을 고찰하고자 했다. 「이조문학사의 연구」는 한국문학의 방대한 자료를 집성하고자 했다. 또한 관각문학에서 산림문학으로 그리고 종국적으로는 여항문학으로 변모되는 문학사적 전환점과 각 시기마다 새롭게 출현하는 문학담당층의 모습을 조명함으로 한 결 더 체계적인 한국문학사의 구도를 마련했다. 하지만 한문학에 관한 인식과 관점에는 여전히 『조선한문학사』의 흔적이 그대로 남겨져 있었다. 「이조문학사의 연구」 역시 한문학사에 대한 비판적 정리를 통해 한문학의 방대한 유산에 대한 선별작업을 수행하기보다는, 오히려 전통적인 관점에 의거해 한문학사를 정리하고자 했을 따름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이조문학사의 연구」에서 양반 사대부의 한문학은 조선초기부터 점진적 발전과정을 거쳐 선조 시기 최절정기에 도달한 후, 서서히 몰락해가는 최후를 맞이하는 문학사의 내러티브로 제시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overall contents of the report submitted to the Hattori Publicity Society(服部報公會), titled “The Study on Yijo Literary History[「李朝文學史の硏究」]” (1938~1941), by Takahashi Doroo (高橋亨, 1877~1967) and Kim Tae-jun (金台俊,1905~1950) to the academic society and to present the Korean literary history project of Kei-jo Imperial University(京城帝國大學) as well as data structure in the article. In addition, based on the compar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Joseon Chinese literary history[『朝鮮漢文學史』](1931) and “The Study on Yijo Literary History” by Kim Tae-jun, this paper examines the tendency to arrange the supplementary process of the Joseon Chinese literary history and the Chinese literature heritage in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Study on Yijo Literary History” has compiled a significant amount of the Korean literature. In addition, by clarifying the appearance of a class in charge of literature as newly appeared for each period along with the turning point in literature history as shifting from Gwangak literature[館閣文學] to Sanlim literature[山林文學] and ultimately to Yeohang literature[閭巷文學], the scheme for a more systematic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s been prepared. However, based on perceptions and viewpoints concerning the Chinese literature, there remain traces of the Joseon Chinese literary history. However “The Study on Yijo Literary History” did not organize the vast heritage of Chinese literature according to a critical arrangement of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but rather, pursuant to the traditional viewpoint. Accordingly, in “The Study on Yijo Literary History”, the Chinese literature of the noble scholar class underwent a gradual development process from the early part of Joseon Dynasty; furthermore the final phase of this process gradually reached its the peak during the reign of Seonjo[宣祖] after which it subsequently diminished.

      • KCI등재

        특집 : 문학 교육에서 바라본 문학사

        윤대석 ( Dae Seok Yu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문학사 교육의 위상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문학사 교육 탈구축 작업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사의 탈구축 작업에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국어과 교육 과정은 문학사 교육을 국민 교육의 장으로 삼았으나 국어 교육이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문학사적 지식은 독립적인 지식과 개별 작품들을 통합하는 지식의 역할을 할수 없게 되었다.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과 해석을 이끌어 내는 방향으로 전환한 문학 교육은‘복수의 문학사’를 제재를 통해 구성하였기에, 단일하고 평면적인 해석밖에 생산하지 못하는 민족 문학사와 괴리되었다. 그 때문에 문학사적 지식은 고전과 현대의 상호텍스트성을 지시하는 전통의 연속성과 민족 문학의 정전을 부각시키는 한국 문학의 범위에 관한 지식으로 축소되었다. 이러한 문학사 교육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문학 교육학계에서는 문학사 교육의 목표를 지식 습득보다는 지식과 능력이 결합된 안목의 획득으로 재설정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통합적이고 관계적인 문학사적 지식을 주체적으로 구성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문학사교육을 갱신하고자 했다. 그러한 가운데 고정된 실체로서의 민족 문학사를 해체하고 복수의 문학사를 도입하거나 그 복수의 문학사를 토대로 자신만의 소문자의 문학사를 구성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다. 또한 문학 연구 영역의 성과를 바탕으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문화사적 문학사를 서술하자는 제안도 제출되었다. 이러한 민족 문학사를 대체하는 대안적인 문학사들로 구성되는 복수의 문학사 교육은 정치적 장이자 비평적 장으로서 문학사를 새롭게 탈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account for the change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nd describe the efforts to deconstruct it. The literary history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in other countries, was used as a main tool to imagine the national community and raise the feeling of national unification. But it ceases to be the knowledge which controls the interpretation of each texts, as in 1990’s Korean education changed it’s points to learner itself. Literary education which was changed to drag out the various response and interpretation of literary learners can not coexist the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hich produces only the unified and plat interpretation. In this phase the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began. The aim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was reset as gaining an appreciative eye for literary history and literary competence. In the process of renewal of literary history education a united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was deconstructed to plural histories of literature and small-letter histories of learners themselves. And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write the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which reflect the recent achievement in literary studies. Alternative literary histories can be consisted of cultural histories and micro hi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