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적 입법정책결정의 배경이론 모색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도입을 중심으로-

        김정오 ( Jeong Oh Kim ),심우민 ( Woomin Sh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2

        The modern universality based on subjectivity has been deconstructed, and the postmodern phenomena, namely incommensurability or disagreement, are increasing nowadays. Actually, the rapidly developing social and legislative environment presents postmodern situations. The highly developed social interaction is to increase the diversity and uncertainty, and the possibility of a universally valid consensus is suspected as a result. Of cours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is postmodernity is dominant throughout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postmodern phenomena are relatively emphasized. This article is concentrated on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ntemporary legislative decision-making that can realize the modern normative ideals while accepting postmodern phenomena considerably. In the postmodern uncertainties, it would be difficult that the legislative decision-making is granted the legitimacy, if there is always adherence to universal objectivity in the cognition process of knowledge. In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tries to find a way to accept the methodologies of social constructivism which recognize a variety of knowledge and various language games, admitting the possibilities that the legislative decision-making theories, which can embrace a variety of opinion based on social constructivistic epistemology, would be developed. This constructivistic point of view has the advantages that can mitigate the absolutization of a particular claim. Surely, this view has some risks that can fall into relativism or subjectivism, but social constructivism can overcome the problems with radical constructivism by emphasizing the function of social interaction. As a way for social constructivistic applications to the problems of law and legislation, this article also introduces the theories of a legal philosopher, Roberto Unger who emphasizes empowered personality and flexible institutional experiment with the conceptions of society as an artifact. In particular, his theories have the strength that proposes solutions to what the core of the changes we should accept and what we need to maintain in the contemporary legislative environment where modernity and postmodernity coexist.

      • KCI등재

        사물인터넷 개인정보보호의 입법정책

        심우민(Woo min SHIM)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2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은 최근 ICT분야의 핵심 화두 중 하나다. 사물인터넷은 사람을 넘어서서 사물들까지도 자율적이고 지능적인 통신을 통해 상호 연결하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의미한다. 최근 사물인터넷이 일상에서 자주 회자되고 있는 것은 주로 산업적 차원에서의 유용성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시각에서 프라이버시 및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는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사물인터넷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하여 입법적 차원에서 어떠한 입법사실들(legislative facts)을 고려해야 하고, 또한 이에 바탕 하여 어떠한 규범적 내용들을 입법에 반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지에 대해 논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입법정책 결정을 위한 규제모델들을 검토해 본 연후, 이를 전제로 사물인터넷 개인정보 보호입법의 방향성과 쟁점들을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사물인터넷의 기술적 전문성과 현장성을 고려한 아키텍처 규제론을 전제로 하는 연성법적 접근방식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에서의 규제요구와 기술 전문성을 입법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물인터넷 개인정보 보호에 있어 대표적인 입법쟁점으로 설계시 프라이버시 고려(Privacy by Design) 및 프로파일링(Profiling) 금지 규정의 도입 문제를 제시하였다. 이는 모든 것의 연결이 중요시 되는 사물인터넷 통신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Internet of Things(IoT)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the field of ICT. IoT is the concept to connect even things or objects beyond humans on the basis of autonomous and intelligent (internet) telecommunications. The main reason of recently increasing discourses on IoT is mainly not for the problems of privacy or personal data protection but for the benefits in the perspective of ICT industries. This article, therefore, analyzes what legislative facts should be considered and what normative contents should be accepted in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legislation of IoT. For those analyses, regulatory models for legislative decision-making are examined, and legislative directions and issues are suggested. In conclusion, this article insists the importance of Soft-Law approaches on the architectural regulation theories which consider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realities of IoT. Thorough these approaches, appropriate legislative contents can be achieved. Regulations for “Privacy by Design” and “Prohibiting Profiling” are suggested as representative legislative issues for the concrete law-making of IoT personal data protection. These regulation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in the connectivity of IoT network.

      • KCI등재

        미국헌법상 대통령제 정부형태와 정치적 양극화에 관한 소고

        조규범(Kyubeom Cho) 미국헌법학회 2016 美國憲法硏究 Vol.27 No.3

        미국의 통치시스템은 1788년 헌법제정 이후 그 기본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유럽 국가들이 비교적 자주 헌법을 개정하여 통치체제의 개혁을 실시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보수적인 경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 원인으로는 헌법개정절차의 장벽이 높고 의회 양원의 지지를 받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에는 당파대립의 격화와 대통령과 의회의 대립에 의한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의 교착상태가 큰 문제로 되고 있다. 미국에는 권력분립과 상호견제와 균형을 중시하는 제도 하에서 대통령과 의회가 대립하는 경우 양자의 합의를 촉진하고 조정하는 시스템이 결여되어 있다. 이러한 정치적 교착상태는 권력분립제도의 본연의 위상에 영향을 주어 의회에 비해 대통령의 실질적인 권한이 상대적으로 커지는 경향도 지적되고 있다. 미국은 정치적 의사결정을 둘러싸고 오랜 기간 동안 대통령과 의회의 관계 문제가 지적되면서 이에 대한 개혁안으로 책임정당정부론, 분점정부에 대한 대안으로 하원의원 임기의 변경, 장관의 국회 출석, 대통령에 대한 항목별 거부권 부여 각종 개혁안 등의 논의도 축적되어 왔다. 미국의 대통령과 의회의 관계는 현재 우리나라 국회에서의 입법교착의 문제해결을 위하여도 많은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 국회에서의 입법교착의 문제는 단순히 국회 차원의 원내갈등의 문제가 아니라 대통령과 국회의 불균형적인 문제에서 파생한다고 할 수 있다. 민주화 이후로 국회의 입법역량 강화에도 불구하고 정치과정은 여전히 대통령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여야 정당간의 갈등을 증폭시키고 의회정치의 자율성을 위축시키는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정치적 교착상태의 해결은 대통령의 리더십 발휘를 통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조정하면서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회를 대등한 정치파트너로 인정하는 대통령의 국회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미국에서와 같이 대통령과 의회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책 마련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e government system of the United States has been maintaining its basic structure since the enactment of the US Constitution in 1788. European countries make relatively frequent amendments to their Constitutions to reform their government systems. Compared to Constitutions of European Countries, the US Constitution has a fairly conservative tendency because the amendment process of the US Constitution is very complicated and amendment itself is difficult to receive the support from both the House of Representative and the Senate. In addition, the recent gridlock in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by intensifying confrontation between the US president and the US Congress as well as opposite faction has been a big problem. The United States lacked a system to facilitate the settlement of bilateral and to adjust when the US President and US Congress confront each other under the theory of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checks and balances system. This political gridlock tends to affect the original phase of separation of powers system because the actual authority of the US President tends to relatively increase comparing to the US Congress. Discussions to improv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President and the US Congress surrounding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have been an issue for a long time. Different ways to reform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process were discussed, such as responsible party government, change of the members’ term of office as an alternative to divided government, Secretary’s presence to the US Congress, and a line-item veto power of the US President.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problem of the legislative gridlock in Korea, it is necessary to look at implication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President and the US Congress. The issue of legislative gridlock in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is not simply derived from the problems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but the problems of imbalance between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Assembly. Despite the legislative competence of the National Assembly strengthened after democratization, the political process is still made according to the will of the President and this process causes the problem of shrinking the autonomy of National Assembly politics. To solve the problem of political gridlock, it needs to resolve by the adjustment spent enough time with the President"s leadership.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hould recognize the National Assembly as an equal partner for political decision making and, it is required to prepare constant discussions with the National Assembly for institutional complements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id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like United States.

      • KCI등재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김중곤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4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4 No.2

        보라매병원 사건과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을 통해 우리 사회는 연명의료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정부는 법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연명의료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충분치 않은 현 상황에서 연명의료와 관련된 사안들을 법의 잣대로 해결하려는 것은 또 다른 생명경시 풍조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먼저,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결정은 가족회의에서 환자, 보호자(가족)와 의료진간의 충분한 정보 교환, 소통과 협상을 통해 이룰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의료인이 충분한 시간 상담할 수 있는 환경, 의료인들에 대한 의사소통방식이나 내용에 대한 교육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명의료에 대한 홍보 등 여건 조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호스피스와 완화의료가 절망 속에 있는 말기 환자와 임종기 환자들에게 자기 결정권을 행사하여 선택할 수 있는 하나의 의료여건이 될 수 있도록 호스피스-완화의료 제도의 정비 및 활성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제화는 여건 조성을 먼저 이룬 후에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In 2009, Supreme Court of Korea proposed the criteria of withholding or discontinuing life-sustaining treatments. This adjudication of the court aroused a lot of public debate as well as interest about the end-of-life decision making. The legislation for the conditions and process of decision to forgo life-sustaining treatments is being pushed by the government without social consensus, concerning about arising the trend of contempt of life. The function of family conference at which most of the end-of-life decisions for patients were made should be enhanced. In family conference, opportunities to listen and respond between patient, family members and clinicians is important to make the decis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family members as well as the clinicians about the content and process of communication about end-of-life care. Patients and family members at the end of life mainly required symptom managements. But end of life care such as hospice care and palliative care was commonly superseded by potentially curative or restorative treatment designed to sustain life but not necessarily to comfort a patient at the time of death because of lack of and inappropriate end-of life care system.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end of life care systems including hospice care and palliative care. Prior to the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innovate the decision making system and end of life care system.

      • KCI등재

        SNS 선거운동 규제의 입법정책결정론적 검토

        심우민(Woomin Shim) 한국언론법학회 2012 언론과 법 Vol.11 No.2

        소통적 미디어로서 기능하는 SNS는 최근 일련의 선거과정 속에서 더욱 크게 부각되었다. 특히 SNS를 통한 선거운동을 상시적으로 허용할 것인지, 아니면 과거 선거규제와 마찬가지로 기간제한을 둘 것인지의 문제는 첨예한 사회적 대립을 불러일으킨 바 있었다. 2011년 12월 29일 헌법재판소는 선거일전 180일부터 SNS를 통한 선거운동의 규제근거로 활용되어 오던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에 대하여 한정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는 사실상 상시적으로 선거운동에 SNS를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들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또한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공직선거법』 개정은 물론이고, 법원의 관련 사건 재판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SNS의 활용과 관련해서는 『공직선거법』개정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좀 더 체계적인 법의 정비를 위하여 입법학의 세부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입법정책결정론의 핵심적 논의들을 차용하여 이 법의 문제점들을 살펴본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공직선거법』 제84조의4 제3항(ISP에 대한 삭제 등 조치 요청), 제82조의6(선거운동기간 중 인터넷 실명제), 제254조 제2항(선거운동기간 위반죄)을 쟁점조항(SNS 선거운동 관련규제 실효성 확보 규정)으로 선정하여 입법정책결정론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이 규정들은 입법정책결정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주로 국가의 입법적 개입여부 판단, 입법의 집행가능성 판단, 규율밀도 및 소재 판단과 관련이 있다. 즉 입법을 위한 신중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또한 현행 『공직선거법』 의 전체적인 규제체계 또한 지나치게 규제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어 법체계적 측면에서의 문제점도 드러내고 있다. 현행 『공직선거법』은 1994년 3월 16일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32차례의 일부개정(타법개정 제외)이 있었을 뿐 전면개정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는 그간 이 법이 전반적인 규제체계의 타당성에 대한 진지한 성찰 없이, 필요에 다른 임시방편적 개정을 통해 유지되어 왔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번을 기회로 전반적인 선거운동 관련 규제체계의 개편도 고려해볼 필요성이 있다. Social Network Service(SNS), which takes a role as communication media, receives great attention in the series of election in Korea. Especially, the problem whether the election campaign should be always allowed or not caused extreme social conflicts. Dec. 29th 2011,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eclared the art. 93(1) of the Public Election Law(PEL) as limitedly unconstitutional. Because of this decision, various kinds of media(including SNS) can be used for election campaign anytime. And this decision also affected adjudications of courts as well as the revision of PEL(Feb. 29th 2012). Nevertheless, the need for additional revision of PEL is asserted strongly.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analyses legislative problems of election campaign for the purpose of systemic PEL modification.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main factors which were brought from the methodologies of legislative decision-making or legislative studies. Especially, this article adopted art. 84-4(3), 82-6 and 254(2) of PEL as the target for analysis on the methodologies above. In the end, these provisions contain many problems in the point of legislative decision-making. The problems are related to the lawmaker’s judgment for legislative intervention,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and density or location of regulation. This implies that there is lack of detailed consideration or review for law-making. Furthermore, PEL also has systemic problem because its whole provision system is excessively regulation-oriented. Although Current PEL has revised 32 times since Mar. 16th 1944, the whole revision has naver been made at all. This fact means that PES sustains only through stopgap revision. Therefore, reorganizing the whole legislative system for election campaign regulation or PEL is need to be considered this time.

      • KCI등재

        의사규칙의 제도화와 정치적 현저성, 그리고 한국 국회의 의사진행: 헌법재판소 청구사건들에 대한 분석

        김용철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9 의정연구 Vol.15 No.2

        Why the Korea National Assembly shows often limping in its operations despite the introduction of various democratic legislative rules? Regarding the question,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egislative rules and political saliency of bills, and analyzes the Constitutional Court’s law repor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ational Assembly goes on smoothly when dealing with the bills with low political saliency, but shows anomaly in its operation when dealing with the bills with high political saliency. This indicates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egislative rules is relatively low. The low level of the institutionalization is derived fundamentally from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power structure in which political power is too much concentrated on the president. Within the power structure, the ruling party has to play the role of protecting and advocating the president, whereas the opposition parties become actors criticizing and checking the president. Consequently, the parliamentary decision-making processes have been dominated by the political strifes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often producing limping opera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delay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egislative rules. 민주화 이후 민주적 의사규칙과 절차들이 도입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왜 한국의 국회는 파행적 의사진행을 되풀이 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의사규칙의 제도화 수준과 의안이 갖는 정치적 현저성에 주목하고, 그간 국회운영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에 청구된 사건들을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의안의 정치적 현저성이 낮은 경우 국회 의사진행은 비교적 순조롭게 전개되는 경향을 보이나, 의안의 정치적 현저성이 높은 경우 의사진행은 여야 간의 갈등과 대립 끝에 결국 파행으로 마감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국회 의사규칙의 제도화가 아직 충분한 수준에 이루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의사규칙의 낮은 제도화 수준은 본질적으로 한국 대통령제가 지닌 제도적 특이성에서 비롯된다. 대통령에 편중된 정치권력으로 인해, 대통령을 엄호하고 옹호하는 여당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이에 따라 야당은 대통령과 행정부를 견제·비판하는 경향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그 결과 여야 간의 정쟁이 국회 의사결정 과정을 지배하였고, 이는 종종 변칙적인 국회운영으로 이어졌다. 그 최종적인 결과는 국회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외부비용의 증가이며, 의사규칙의 더딘 제도화이고, 되풀이 되는 국회파행이다.

      • KCI등재

        의사규칙의 제도화와 정치적 현저성, 그리고 한국 국회의 의사진행: 헌법재판소 청구사건들에 대한 분석

        김용철 ( Yong Cheol Kim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9 의정연구 Vol.28 No.-

        민주화 이후 민주적 의사규칙과 절차들이 도입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왜 한국의 국회는 파행적 의사진행을 되풀이 하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본 연구는 의사규칙의 제도화 수준과 의안이 갖는 정치적 현저성에 주목하고, 그간 국회운영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에 청구된 사건들을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의안의 정치적 현저성이 낮은 경우 국회 의사진행은 비교적 순조롭게 전개되는 경향을 보이나, 의안의 정치적 현저성이 높은 경우 의사진행은 여야 간의 갈등과 대립 끝에 결국 파행으로 마감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국회 의사규칙의 제도화가 아직 충분한 수준에 이루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의사규칙의 낮은 제도화 수준은 본질적으로 한국 대통령제가 지닌 제도적 특이성에서 비롯된다. 대통령에 편중된 정치권력으로 인해, 대통령을 엄호하고 옹호하는 여당의 역할이 두드러졌으며, 이에 따라 야당은 대통령과 행정부를 견제·비판하는 경향을 강하게 띠게 되었다. 그 결과 여야 간의 정쟁이 국회 의사결정 과정을 지배하였고, 이는 종종 변칙적인 국회운영으로 이어졌다. 그 최종적인 결과는 국회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외부비용의 증가이며, 의사규칙의 더딘 제도화이고, 되풀이 되는 국회파행이다. Why the Korea National Assembly shows often limping in its operations despite the introduction of various democratic legislative rules? Regarding the question,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egislative rules and political saliency of bills, and analyzes the Constitutional Court`s law repor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ational Assembly goes on smoothly when dealing with the bills with low political saliency, but shows anomaly in its operation when dealing with the bills with high political saliency. This indicates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egislative rules is relatively low. The low level of the institutionalization is derived fundamentally from a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power structure in which political power is too much concentrated on the president. Within the power structure, the ruling party has to play the role of protecting and advocating the president, whereas the opposition parties become actors criticizing and checking the president. Consequently, the parliamentary decision-making processes have been dominated by the political strifes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often producing limping operations of the National Assembly and delayed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egislative rules.

      • KCI등재

        우리 나라 공법상 쟁송에서의 위헌․위법 통제 ―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

        김국현 한국공법학회 2010 公法硏究 Vol.38 No.4

        Judicial review on 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ve act should be conducted only after the judici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of administrative decrees, regulations or actions, when it is possible to do.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remind that not only Constitutional Court but also Supreme Court should conduct judicial review on constitutionality of legislative act. This is what the Articles 106 (1), 111 (1) (i) and (v) of Korean Constitution and Article of 68 (2) of Constitutional Court Act actually pursue. 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unity of normative decision is the a prioi principle which supreme judiciary organ must pursue. However, current practice in which Constitutional Court and Supreme Court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conducts judicial review hinders the unity of normative constitutional decision. As article 107 (2) of Korean Constitution clearly stipulates, it is Supreme Court which has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Although it is true that both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should protect human rights of Korean citizens, we need to check out if there is any inefficiency of judicial review procedures resulted from the unnecessary overlap between the jurisdiction of Constitutional Court and that of Supreme Cour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recent four decisions by Constitutional Court. 국민을 대표한 국회가 제정한 법률의 위헌심사는 그 하위 법령 또는 처분의 위법심사와 위헌심사가 가능할 경우 이를 거친 후 보충적으로 하여야 한다. 그리고 법률에 대한 위헌 심사는 법원과 헌법재판소가 함께 관여하여야 한다. 이것이 우리 헌법이 법률의 위헌 여부에 대한 심사 또는 심판권을 규정한 취지라고 보인다(제107조 제1항, 제111조 제1항 제1호, 제5호,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 한편, 규범판단의 통일성은 최고 사법기관이 지켜야 할 선험명제이다. 현재 헌법재판소와 법원이 각각 행하고 있는 명령․규칙에 대한 위헌․위법심사는 규범판단에 대한 통일성을 저해한다. 우리 헌법 제107조 제2항은 “최종적으로 심사할 권한”을 분명히 하고 있다. 국민의 기본권을 수호하고 보장하여야 함은 법원이든 헌법재판소든 다르지 않다. 그렇지만 그 역할이나 권한행사가 중복되어 절차의 낭비가 없는지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이 글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이루어진 4가지 사례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 KCI등재

        역대국회 회기별 법률안의 처리결정과 처리기간의 영향요인

        朴倞墩 한국의정연구회 2015 의정논총 Vol.10 No.2

        국회의 입법활동 중 법률안의 결정에 대한 시계열적이고 계량적이고 거시적인 분석이 미진한 가운데, 국회회기를 기본 단위로 제헌국회 이후 현 19대 국회의 337회기까지 법률안의 채택과 불채택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법률안의 통과양태 즉 원안가결, 수정가결, 불수용, 철회라는 4가지 의사결정의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행정부 발의 및 위원장 발의 등의 발의권자 변수는 원안가결의 처리결정에 대한 영향력이 강하였다. 수정가결에는 본 연구의 이용 변수 이외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양한 변수들이 철회기간을 지체시키고 있었으며, 불수용이라는 결정이 발생하면 처리기간은 매우 짧은 것으로 분석된다. 법률안의 처리결정과 처리기간이라는 두 가지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위원장이 발의한 법률안은 원안가결에 영향이 강하면서 법률안의 처리기간을 줄였다. 행정부에 의해 발의되거나 여소야대 국회에서 발의된 법률안의 사전조율이 잘 된 경우 통과에 어려움이 없지만, 그 반대로 실패할 경우에는 수정되거나 통과를 위한 처리시간이 늘어남을 알 수 있다. 국회는 정태적인 입법안의 의사결정의 장이 아니라 동태적인 논의의 장이다. 최근 회기로 올수록 원안가결, 수정가결, 철회의 의사결정 속도가 빨라지고 법안통과가 가속화되고 있어 국회의 입법안 결정의 생산성은 높아지고 있어 바람직하지만, 충분히 숙고되지 않거나 사전조율되지 않은 법률안은 도태될 운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안의 제출 전에 보다 긴 시간을 가지고 논의하여 되도록 원안가결이 될 수 있는 좋은 법안이 제안·통과되어 다양한 불협화음을 줄어들기 기대해 본다. Given there is a lack of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legislative process, this study tries to statistically test the bill passage in legislative sessions from the first National Assembly to the recent 19th National Assembly. The research analysis focus 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adoption and/or rejection of bill in each parliament session. Bills proposed are grouped into bill passage per se, bill amendment, bill non-acceptance, and bill withdrawal.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variables of bill proposal such as the government proposal and committee chair proposal have strong effects on bill passage. The amendment of bill is affected by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the withdrawal of bill happens with the delayed decision-making of bill, the non-adoption of bill lasts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passage time. A variable of committee chair proposal tends to shorten the period of bill passage. Divided Government is likely not only to yield bill amendment but also to lengthen the passage time. Parliament is not a static place for decision-making but a dynamic one for active discussion. Through active debate in the Assembly, the productivity of bill passage is higher than the past. However, in order to seek desirable outcomes in bill passage, National Assembly needs to get more sufficient time to discuss the bill propos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