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률구조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 - 대한법률구조공단을 중심으로 -

        정한중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외법논집 Vol.43 No.1

        ‘Legal Aid’ refers broadly to a legal advocacy that provides legal assistance, legal representation, advocacy, and support to various legal affairs to those who are economically disadvantaged or unaware of the law and who are not adequately protected by law as it aims at advocating basic human rights and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legal welfare. While the legal market is rapidly changing, there are growing concerns that the legal aid system needs to be expanded in order to realize the right to appeal for trials and improve the legal welfare, so as to guarantee the legal access such as public defenders and legal aid in civil cases of the people. In this study, the US, and japanese legal aid system were reviewed, and the research presents key implications to the korean legal aid system since those are analogous to korean legal aid system.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 the US legal aid system has experienced,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in need of legal aid, such as north korean defector, migrant workers and multicultural families and etc, are increasing at a rapid pace in Korea. In this situation, the strategies to guarantee judicial access by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Judicial Access Committee and Japan’s Judicial Support Center are important references in Korea’s current situation. Whether it is a legal aid by the korea legal aid corporation or korean bar associate, or a public defender in the civil or criminal sector, the legal aid system is an important means to ensure the right of the people to be tried by guaranteeing their access to justice. Korea is spending as much national budget as developed countries, and the welfare budget has been greatly expanded. It is time for us to pay attention to the legal welfare of criminal suspects and other litigants who are in need of legal aid. As there has not yet been much public consensus on such legal welfare in society, with the help from legal experts,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organizational changes so to guarantee the independence of Korea Legal Aid Corporation, and to establish a committee to manage the legal aid overall in the long term. ‘법률구조’란 넓게 보아 기본적 인권을 옹호하고 법률복지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경제적으 로 어렵거나 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 법의 보호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법률상담, 소송대리, 변호 기타 법률 사무에 관한 모든 지원을 해 주는 사업을 의미한다. 법률시장이 급변하고 있는 반면에 현재 국선변호인과 민사 법률구조 등 가난한 사람들을 포함한 국 민들의 사법접근을 보장하는 등 재판청구권을 실질적으로 구현하고 법률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법 률구조 제도의 확대 개편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 일본 법률구조 제도 를 개괄하여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계금융위기 후 미국과 같이 현재 우리나라도 탈북자. 이주노동자, 다문화 가정 등 경제적, 문화적 이유로 법률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작된 미국의 사법접근위원회, 일본이 사법지원센터 등 선진국의 사법접근권 보장 전략은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에 도 매우 긴요하다고 생각한다. 법률구조공단이나 변호사회 등에 의한 법률구조 이든, 민사나 형사 분야의 국선변호이든 법률구조 제도는 사법접근권을 보장하여 국민들의 재판받을 권리를 실현시키는 중요한 수단이다. 우리나라도 선진국이나 다름없이 많은 국가 예산을 사용하고 있고, 복지에 관한 예산도 엄청나게 확대되었다. 이 제 우리도 법률구조가 필요한 상태에 있는 형사 피의자나 각종 소송당사자들에 대한 법률복지 내지 사법복지에 대해 관심을 가질 때가 되었다. 아직 사회적으로도 이러한 법률복지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가 많이 형성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법률복지 확충을 위한 법률전문가들이나 국회, 정부의 노력과 함 께 법률구조공단의 독립성 등 조직의 개선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 법률구조를 통합관리 할 위원회가 설립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본의 법률구조의 현황

        이동률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08 民事訴訟 : 韓國民事訴訟法學會誌 Vol.12 No.2

        In many countries, there is a system in place for those people who can not afford to pay for legal counsel or for legal fees incurred in court, by assisting them with public funds. It refers to legal aid. There are various forms of legal aid in Japan, such as civil legal aid, free legal consultations. Civil legal aid is a system which makes payments for legal counsel fees and court fees in a civil trial, on your behalf. If such a legal aid decision comes through, then Japan Legal Support Center will pay the lawyer’s fee and the trial fee on behalf of the applicant. But the legal aid in Japan is presently based on payment on his behalf, where he is obligated to repay the costs at a future time. It is not a grant. If there are no special circumstances, regardless of the outcome of the trial, any recipient of legal aid must pay back the cost to Japan Legal Support Center. This Article explores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Japan Legal Support Center. Next, it deals with legal aid in civil cases, focusing on legal consultation, legal representation, solution to eliminate the community without lawyers, and lawyers appointed by contract. In many countries, there is a system in place for those people who can not afford to pay for legal counsel or for legal fees incurred in court, by assisting them with public funds. It refers to legal aid. There are various forms of legal aid in Japan, such as civil legal aid, free legal consultations. Civil legal aid is a system which makes payments for legal counsel fees and court fees in a civil trial, on your behalf. If such a legal aid decision comes through, then Japan Legal Support Center will pay the lawyer’s fee and the trial fee on behalf of the applicant. But the legal aid in Japan is presently based on payment on his behalf, where he is obligated to repay the costs at a future time. It is not a grant. If there are no special circumstances, regardless of the outcome of the trial, any recipient of legal aid must pay back the cost to Japan Legal Support Center. This Article explores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Japan Legal Support Center. Next, it deals with legal aid in civil cases, focusing on legal consultation, legal representation, solution to eliminate the community without lawyers, and lawyers appointed by contract.

      • 소송구조의 권리성 강화 방안-예산제약, 규범형식이 소송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차성안(車城安) 서울대 사회보장법연구회 2021 사회보장법연구 Vol.10 No.1

        소송구조가 더 활성화되려면 미리 정해진 예산에 소송구조에 관한 법해석이나 사법부의 행정입법 또는 사법행정을 끼워 맞추는 현실에 대해 근본적으로 성찰할 필요가 있다. 다수의 판사들이 미리 정해진 예산액에 구애받지 않고 법과 양심에 따라 소송구조에 관한 다수의 구체적인 결정을 내리고, 그 결정들의 집행을 위하여 필요한 소송구조 예산액이 국회를 통하여 확보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소송구조의 재원을 보관은행의 공탁금 자금운용 수익률과 법령상 공탁금 이자율의 차액에 주로 의존하는 대법원이 관리하는 기금이 아니라 국회의 일반회계 예산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소송구조를 받을 권리의 권리성 강화를 위해서는, 우선 소송구조 요건과 효과의 판단기준에 관한 추가적인 입법이 필요하다. 소송구조 요건과 효과에 관한 법해석론도 보다 정교하게 발달되어야 한다. 소송구조 대상자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확대된 구조대상자 중 소득액이 일정기준을 넘는 자에 대해서는 독일처럼 소액이지만 일정한 금액을 대상자 본인이 부담하는 방식의 도입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소송구조의 요건과 효과에 관한 기준을 행정규칙에 불과한 예규로 정하기 보다는 법률과 법률의 위임근거를 가진 대외적 구속력을 지닌 대법원규칙으로 정할 필요가 있다. 무상으로 법률상담을 받을 수 있는 법원허가형 상담구조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비송사건절차 일반에 소송구조를 인정하는 입법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회보장, 장애인권 및 기타 공익인권에 관한 소송절차에서의 소송구조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책이 고민되어야 한다. 소송구조 문제는 아니지만 이러한 공익소송에서 패소한 경우 원고가 상대방 소송비용까지 부담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 In order to further vitalize legal aid,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reflect on the reality of fitting the interpretation of legal aid or the administrative legislation or judicial administration of the judiciary into a predetermined budget.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majority of judges make a number of specific decisions on legal aid according to the law and the conscience of the judges regardless of the predetermined budget, and the legal aid budget required for the execution of those decisions is procured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financial resources of legal aid into general account, not the fund managed by the Supreme Court, which mainly depen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und management rate of return of depository bank and the interest rate on the deposits set by the law. In order to strengthen the right to legal aid, additional legislation on the criteria for judgment regarding the requirements and effects of legal aid is needed. The theory of legal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requirements and effects of legal aid should also be developed more elaborately. In the process of expanding legal aid beneficiaries,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in which those who have income above a certain standard among the expanded beneficiaries pay a small amount of money on their own, as in Germany. It is necessary to set the standards regarding the requirements and effects of legal aid in the form of statutes or the Supreme Court rules with external binding force established under delegation of statutes, rather than mere administrative rul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court-approved legal counseling system that provides free legal advice. The non-litigious procedure requires legislation that generally recognizes legal aid. Lastly, improvement measures for vitalizing legal aid in litigation procedures related to social security, disability rights, human rights and other public interest should be considered. Although it is not a legal aid issue, efforts are also needed to resolve the problem that the plaintiff has to pay the other partys litigation costs if the plaintiff loses in these public interest litigation.

      • KCI우수등재

        법률구조청구권의 헌법적 의의와 가치 ― 헌법상 권리로서 법률구조청구권 입론 ―

        김대환 한국공법학회 2017 공법연구 Vol.46 No.2

        기본권으로서 법률구조청구권은 재판청구권의 실현과 법률복지라는 사회국가이념의 실현을 위한 헌법적 요청으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그 헌법적 근거를 검토하는 것은 헌법상 요청되는 작업이다. 법률구조청구권의 헌법적 의의와 가치로는 우선 국가의 목적으로서 기본권보장과 국가의 기본권보장의무의 실현에서 찾을 수 있다(헌법 제10조). 특히 법률구조청구권은 절차적 기본권으로서 재판청구권의 실현에 기여한다. 법률구조청구권이 재판청구권의 실현에 기여한다는 점은 다음과 같은 점들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법률구조청구권을 전면적으로 부인하는 것은 재판청구권의 본질적 내용의 침해가 되기 때문에 법률구조청구권은 기본권으로서 재판청구권의 당연한 전제가 된다. 둘째, 법원접근권의 관점이다. 법원접근권은 재판청구권의 내용으로 포섭된다. 법원접근권 보장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가 소송비용의 문제나 변호인의 조력문제다. 법원접근권을 보장한다면 당사자는 소송비용 등의 문제로 법원을 이용하는데 본질적으로 제한이 되어서는 안 된다. 셋째,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관점이다.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어떻게 형성하는가는 원칙적으로 입법형성의 자유에 속하지만, 소송구조와 변호와 관련하여 절차참여자에게는 상대방과 동일하게 효율적인 재판을 받을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넷째, 효과적인 권리보호의 원칙의 관점이다. 무자력의 경우에 법률구조를 하는 것은 효과적인 권리보호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 판례의 일관된 선언이다. 또한 법률구조청구권은 무기평등의 원칙의 보장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무기평등의 원칙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무자력자에 대한 법률구조가 필수적이다.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규정한 재판청구권으로부터 무기대등의 원칙이 도출된다고 하면 이는 형사소송뿐만 아니라 민사소송의 경우에도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나아가서 법률구조청구권은 사회국가원리의 실현에 기여한다. 빈곤 또는 무지로 인하여 법률상 구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법률서비스를 제공할 국가의 헌법적 의무가 도출될 수 있다. 보편적 법률복지가 시민 자율성의 기초가 된다고 보아서, 법률복지를 통한 복지국가가 민주적 헌법국가의 제도적 전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헌법적 의의와 가치를 가지는 법률구조청구권은 유럽연합기본권헌장을 포함하여 다수의 헌법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대한민국헌법 제27조 제1항에서 형사절차 이외에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도출된다고 하더라도 무자력 등으로 인한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에 대해서는 헌법적 대응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민주적 헌법국가에서 절차권은 절차에서의 권리뿐만 아니라 절차에 대한 권리도 포함한다는 관점에서, 민주사회에서 개인이 갖는 의미에서, 그리고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의 보장의 의미에서 법률구조청구권을 헌법적으로 자리매김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헌법 개정 시에 사법절차에 관한 절에서 “경제적, 신체적, 시간적, 지역적인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권리구제를 받을 수 없는 사람은 법률구조를 청구할 권리를 가진다. 구체적인 내용은 법률로 정한다.”라고 명시할 것을 제안한다. The right to legal aid as fundamental right can be evaluated as a constitutional request for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trial(Article 27 of the Korean Constitution) and social welfare. Therefore, it is a constitutionally required task to review the constitutional grounds of the right to legal aid. Above all, constitutional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right to legal aid can be found in the realiz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as the object of the state and the fulfillment of the obligation of the state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rights (Article 10 of the Korean Constitution). In particular, the right to legal aid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trial as a procedural fundamental right. The facts that the right to legal aid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trial can be found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denying the right to legal aid as a whole is a violation of the essence of the right to trial, so that the right to legal aid is a precondition of the right to trial as a fundamental right. Second, it is the viewpoint of the right to access to the court. The right to access to the court is subsumed by the contents of the right to trial. The biggest problem in ensuring the right to access to the court is the cost of litigation and the help of the counsel. If the right to access to the court should be ensured, the parties should not be restricted in their use of the court due to the cost of litigation. Third, it is the viewpoint of the right to a fair trial. How to form a right to a fair trial is, in principle, part of the freedom of legislative formation, but with respect to the right to legal aid and defense of the proceedings, participants in the proceedings should be entitled to the right to the same effective trial as the other party. Fourth, it is an aspect of the principle of effective protection of rights. It is a consistent declaration of precedents of our and international courts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 legal aid in the case of lack of economic ability in order to protect effective rights. In addition, the right to legal aid is also necessary to ensure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arms. If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arms should be observed, a legal aid for the poor is essential. If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arms is derived from the right to a fair trial, it is natural that it should be guaranteed not only in criminal cases but also in civil cases. Furthermore, the right to legal aid contributes to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 of social states. In cases where legal aid is required due to poverty or ignorance,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s of states actively providing legal services may be derived. The universal legal welfare as a basis of citizen autonomy may become institutional premise of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The right to legal aid having those constitutional meaning and value can be found in a number of constitutions, including the EU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Article 27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does not provide a constitutional response to the right to be assisted by lawyers due to poverty etc, even if the right to receive counsel is obtained in the civil procedure. In a democratic constitutional state, procedural rights are demanded to be placed constitutionally in the sense that they include rights to procedure itself as well as rights in the proceedings, in the sense of meaning that individuals have in a democratic society, and in the sense of guaranteeing the essential content of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when amending the Constitution, the paragraph below is recommended to be inserted in the section of the rights on judicial proceedings. “Persons who can not receive effective remedies due to economic, physical, temporal or local difficulties, have the right to legal aid. The specific content shall be determined by law.”

      • KCI등재후보

        법률전문대학원 부설 법률상담센터의 의의와 과제

        민홍석(Min Hong Seok)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13 No.2

        한국의 사법제도가 법조인력양성과 재판제도에서 큰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으며 그 중심에 법학전문대학원이 있다. 법학전문대학원이 도입되면서 법학전문대학원의 실무교육과 관련하여 공익적 견지에서 법학전문대학원 부설 법률상담센터 및 리걸 클리닉의 사회적ㆍ교육적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 동안 경제적ㆍ사회적 약자를 위한 기본권보장의 차원에서 다양한 기관들로부터 법률구조사업이 진행되어 왔다. 국가 차원의 법률구조사업으로 민사소송법상 소송구조제도, 형사소송법상 국선변호제도, 법률구조법상대한법률구조공단에 의한 법률구조사업, 정부기관인 한국소비자원, 국가인권위원회 등에 의해 해당 분야별로 행해지는 법률구조업무가 있고, 민간 차원의 법률구조사업으로 한국가정법률상담소, 대한변호사협회의 법률구조재단, 기타 서울 YMCA 등이 펼치는 법률구조사업이 있다. 그러나 법학전문대학원 부설 법률상담센터는 이러한 기존의 법률구조사업과는 그 성질과 역할이 다른 새로운 형태의 법률구조와 사법패러다임을 구현하는 중심에 서 있어야 한다. 법학전문대학원 부설 법률상담센터는 기존의 법률구조사업이 미시적 개별적 구조에 치중하여 온 것과 달리, 미시적 개별적 구조에 더하여 새로운 거시적 전략적 법률구조사업을 하여야 하며, 그러한 활동을 통하여 새로운 사법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단순히 절차적 보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도적으로 실질적인 법적 정의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법률복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먼저 법률복지의 의의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따라 그동안 시행되었던 국가 및 민간 차원의 법률구조제도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본 후, 새로이 등장한 법학전문대학원 부설 법률상담센터가 이러한 기존의 법률구조기관과는 달리 어떠한 새로운 의의를 갖고 있으며, 어떠한 점에서 차별화되어야 하고, 또한 어떠한 과제를 수행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비젼 및 그 운용방향을 제시하고 이로 인해 우리가 나아가야할 궁극적인 법률복지의 형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Korean judicial system has been changing greatly now and law school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at 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law school, the function of legal service center and legal clinic education in law school are emphasized. Lots of legal aid systems have been provided from various organizations for economically and socially poor people. But the legal aid provided from legal service center in law school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present and past legal aid. The present legal aid system focused on micro and individual legal aid and that’s the traditional method. But the new legal aid given from legal service center including legal clinic in law school should focus on macro and structural legal aid. Through those activities the law service center and legal clinic of law school should reform the paradigm of the present judicial system. Macro and structural legal aid means not only focusing on individual legal aid for poor people but also focusing on legal aid for social and structural reformation regardless of personal problems. That means substantial and true legal aid for all people. The true legal welfare is very important. The true legal welfare means justice and equality before law. We should make an effort of reforming Korean judicial system by law school and legal clinic. It’s very difficult for other legal aid organizations to do things like thos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ole of law service center and clinical legal education in law school cannot be too emphasized.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의 민사 법률구조의 이념과 현실

        황승흠(Hwang Seung Heum)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논총 Vol.21 No.2

        이 논문은 한국사회의 민사 법률구조 시스템의 이념과 현실을 살펴보려는 것이다. 법률구조의 이념은 ‘법의 지배’로 인해서 법에서 배제될 수 있다는 아이러니를 극복하기 위해서 비용부담이 없이도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법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온전한 ‘법의 지배’를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법률구조의 이념에 대해서는 헌법적으로 법률적으로 충분히 구현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민사 법률구조의 현실은 그러하지 않다. 정부의 민사법률구조 관련예산은 전체 예산의 0.012%에 불과하고, 구조 대상자 1인당 예산액은 1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정부와 변호사단체는 법률구조에 대해서 립서비스만 할 뿐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 또한 민사 법률구조 서비스의 공급은 공적기관인 대한법률구조공단의 독점체제로 운영되고 있고 민간법률구조 서비스는 매우 위축되어 있다. 그럼에도 1990년대 이후로 민사소송의 제기는 폭발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민사소송에 참여하는 국민의 82.4%가 변호사의 대리 없이 즉 법률서비스를 받지 못하고 소송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민사 법률구조의 이념과 현실은 심각한 수준으로 괴리되어 있으며 보다 근본적인 문제제기와 개혁방안의 제시가 요청된다. This paper is written for the analyzing the idea and reality of the civil aid system in Korean society. The idea of legal aid is to achieve wholly the rule of law through providing a free or low-priced legal service, for overcoming the irony to be excluded from the legal system on account of the rule of law. Korean constitution and legislations embody sufficiently the idea of legal aid. But the reality of civil legal aid doesn't. The government budget of civil legal aid is nothing but 0.012% of total budget and the budget per person that is a target of the civil legal aid cannot hold a candle to 1$. The government and the lawyer associations just pay lip service and are indifferent to the civil legal aid. And the supply of civil legal aid service is monopolized by the Korean Legal Aid Corporation that is a government agency and the nongovernmental civil legal service is greatly contracting. For all that filing a civil lawsuit has exploded after 1990s. But the 82.4% of litigants perform lawsuits without helping of attorney-at-laws. The idea and reality of the civil aid system in Korean society is alienated keenly. Therefore the fundamental reform of civil legal aid system is requested.

      • 中国高等院校参与法律援助的实现路径研究

        闫飞飞(Feifei Yan) YIXIN 출판사 2023 Journal of China Studies Vol.1 No.1

        《中华人民共和国法律援助法》明确了高校应当在司法行政部门指导下从事法律援助工作,但是却未明确高校参与法律援助的实现路径,而目前高校参与法律援助中普遍存在的管理机制缺位、经费来源缺乏、援助范围受限和激励机制缺乏等问题,严重限制了高校在法律援助中作用的发挥。本文立足于高校参与法律援助的现实状况,从多个方面分析了高校参与法律援助过程中出现问题的原因,对高校更为高效的参与法律援助提出了可行性建议,拟使高校在法律援助中发挥应有作用,为法治建设作出更大贡献。 The Legal Aid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tipulates that universities should engage in legal aid work under the guidance of the judicial administrative department, but it does not specify the implementation path for universities to participate in legal aid. Currently, the common issues that exist in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in legal aid include lack of management mechanisms, lack of funding sources, limited assistance scope, and lack of incentive mechanisms, which severely limit the role of universities in legal ai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ities’ participation in legal aid, analyzing the reasons for problems in the process of universities’ participation in legal aid from multiple perspectives, and proposing feasible suggestions for more efficient participation in legal aid, so as to enable universities to play their due role in legal aid and contribute more to the construction of the rule of law.

      • KCI등재

        소송구조의 현황과 개선방안

        이동률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0 민사소송 Vol.14 No.2

        Litigation aid is a financial support system for those who can not afford to pay either for legal counsel or other fees incurred in court. In Korea, different forms of legal aid have existed, and litigation aid and legal aid are two examples. However, it has been continuously pointed that the structure of lawsuit using litigation aid is too complex to be filed. In order to simplify the requirements for a lawsuit, relevant regulations were revised. When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were far under expectations, the Civil Proceedings Act was amended as follows: “A court may grant a litigation aid, either ex-officio or upon request of a person who falls short of the solvency to pay the cost of lawsuit. The same shall not apply to the case where it is obvious that the lawsuit will fail.”As a consequence of amendment, the structure of lawsuit has become activated but not to a satisfying degree. The portion of litigation aid is still small in numbers of total civil cases. In order to activate Most of all, it is urgently needed to secure the budget for it. To motivate more litigation aid, this paper makes four suggestions; unification of law structure, development of manuals for lawsuit procedure, appointment of dedicated lawyer, and last but least securing enough budget for the aid.

      • KCI등재

        재판받을 권리의 구체화를 위한 일본의 법률구조제도연구

        서보건(SEO, Bo-Keon)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09 世界憲法硏究 Vol.15 No.1

        일본헌법은 법앞의 평등, 재판을 받을 권리를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을 통하여 법률구조제도를 실질적인 권리로 인정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일본의 법률구조제도는 사법제도개혁의 하나로서 등장하게 된다. 여기서는 일본의 법률구조제도의 의의와 변화과정을 조사하고, 그리고 종합법률원조법과 지원센터의 내용을 알아본다. 특히, 2005년 제정된 종합법률원조법의 내용을 살펴본다. 구조할려는 대상의 확대, 장소와 시간의 약점을 극복하는 방안, 내용의 확대를 설명한다. 이를 통하여 우리의 법률구조제도의 발전에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Japan's constitution, the equality of the law, and regulations are entitled to a trial. Through the provision of legal aid to try to recognize the rights are real. Japan's legal aid system will appear as one of the judicial system reform. Japan's legal system, where the significance of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change, and the contents of the General Support Center, opposed the law and legal aid. In particular, in 2005, examine the contents of the law, enacted a comprehensive legal aid. Trying to structure the expansion of the target, place and time to overcome the weakness,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will be expanded. The development of our legal aid system should be in the reference.

      • KCI등재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 -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관점에서 -

        이태영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8

        변호사의 공익활동은 경제적 약자나 공익적 성격을 가진 단체에 무료 또는 저렴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법률 또는 법률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활동을 말한다. 변호사의 공익활동은 법률구조제도와 함께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변호사의 공익활동의 의의와 필요성, 의무적 공익활동의 문제점, 공익활동과 법률구조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변호사의 공익활동이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실현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변호사법 제27조 제1항은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의 정당성에 관하여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변호사는 법의 지배에 기초한 사법시스템에 중심적이고 배타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특별한 지위는 처음부터 공익활동에 대한 의무를 수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는 법률보다는 대한변호사협회의 회칙으로 규정하여 변호사에 대한 신뢰제고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무적 공익활동에는 동기와 보상의 부재라는 부정적 측면이 있다는 점을 간과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발적인 공익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호사협회 차원에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여러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법률구조는 아직 그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 변호사 수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변호사의 공익활동이 법률구조의 수요를 충족시키는데도 그다지 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우선 공익활동의 내용으로 법률서비스 제공의 무상성과 함께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을 대상으로 할 것을 명확히 하여 공익활동이 법률구조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변호사협회의 주도하에 법률구조제도를 확대실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공익활동이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실현에 보다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term “pro bono service of lawyers” refers to activities that provide free or low-cost legal services to economically disadvantaged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with a public interest nature, or activities to improve the law or legal system. Pro bono service of lawy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equal access to justice, along with the legal aid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pro bono service of lawyers, the problems of mandatory pro bono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 bono service and the legal aid system,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o make pro bono service of lawyers contribute more effectively to the realization of equal access to justice. Article 27, Paragraph 1 of the Lawyers Act stipulates the duty of lawyers to engage in pro bono service. The legitimacy of the mandatory pro bono service of lawyers is a matter of debate, but lawyers play a central and exclusive role in the legal system based on the rule of law, and this special position inherently entails a duty to engage in pro bono service. However, it is desirable to regulate the mandatory pro bono service of lawyers through the bylaws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rather than through law, in order to help enhance public trust in lawyers. Mandatory pro bono service also have a negative aspect in that they can lack motivation and compensation.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the Korean Bar Association should implement policies that encourage voluntary pro bono service. Korea’s legal aid is still not meeting demand, and despite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lawyers, lawyers’ pro bono service have not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meeting the demand for legal aid.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at the content of pro bono service should be free legal services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so that pro bono service can be linked to legal ai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lement the legal aid system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and operate it in a unified manner, so that pro bono service can contribute more efficiently to the realization of equal access to jus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