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erritin 단백질 내 나노입자 합성 및 전자현미경 연구

        서향임 ( Hyang Yim Seo ),김성원 ( Sung Won Kim ),박영석 ( Young Seog Park ),김경숙 ( Kyung Suk Kim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08 공학기술논문지 Vol.1 No.2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synthesis of nanoparticles was to how to regulate the particle size. Ferritin, an iron storage protein, has received of global attention in candidates for obtaining uniform particle size. Here we report our studies on synthesis of several nanoparticle with Al(3+), UO2(2+), and Fe(2+) using ferritin and characteristic of core mineral using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EDXA (Energy dispersive X-ray analysis). The reaction factors such as ionic strength, reaction volumes and protein concentrations were changed reconstitution yields of ferritin and size distribution of particle. On the basis of above-mentioned results, ferribydrite minerals within ferritin core were successfully induced using up to 3000 iron atoms per protein molecule. The crystallinity of mineral was directly confirmed using FE-TEM (field emission-energy filtering-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it was controlled by protein concentrations and iron amounts.

      • KCI등재

        태백지역 만항층 셰일에서 산출되는 백운모-파이로필라이트 혼합상에 대한 연구

        최승현 ( Seung Hyun Choi ),문향란 ( Hyang Ran Mun ),이영부 ( Young Boo Lee ),이정후 ( Jung Hoo Lee ) 한국광물학회 2011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24 No.4

        강원도 태백지역에 분포하는 만항층 셰일의 운모류 층상규산염광물입자에 대한 EPMA 및 TEM 연구를 수행하였다. EPMA 분석에 의한 만항층 셰일 내 운모류 층상규산염광물의 평균 화학식은 K1.35(Fe0.18Mg0.03Al3.86)(Si6.55Al1.45)O20(OH)4이며, 이는 백운모의 이상화학식과 비교하면 층간 양이온인 K의 함량이 낮아서 일라이트에 가까운 조성을 갖는다. X-선 회절 분석에 의하면 만항층 셰일에서 파이로필라이트가 흔히 백운모와 함께 산출된다. TEM 격자상 관찰에 의하여 10 Å의 백운모와 9.3Å의 파이로필라이트 층들이 단일 층 수준에서의 층간 혼합 및 층 내 혼합 현상이 동시에 관찰되었다. EPMA 분석에서 K 함량이 백운모에 비해 낮게 분석된 원인은 이처럼 입자 내에서 백운모와 파이로필 라이트가 밀접하게 공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Mica-type phyllosilicate particles in the shales of the Manhang formation at the Taeback area in the Kangwon Province were studied using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EPMA)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average chemical formula of the mica-type phyllosilicate mineral analysed by EPMA is K1.35(Fe0.18Mg0.03Al3.86)(Si6.55Al1.45)O20(OH)4. Low K contents compared to the ideal chemistry of muscovite indicate the presence of illite in the mica-type phyllosilicate particle. X-ray diffraction study showed that pyrophyllite commonly coexists with muscovite in the shales from the Manhang Formation. TEM observations showed both the interlayer and intralayer mixing of 9.3-Å pyrophyllite and 10-Å muscovite layers. The low K content of the mica-type phyllosilicates apparently come from the close mixing of pyrophyllite and muscov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