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장애 영유아의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 성별, 연령별, 언어지연과 정상 집단 간 문제행동의 차이

        백지현 ( Baek Jee-hyun ),하은혜 ( Ha Eun-hy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정신장애 영유아 중 언어지연의 성별, 연령에 따른 비율과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DSM-Ⅳ를 기준으로 의사소통장애집단/비의사소통장애 집단, 언어발달검사(LDS) 기준으로 언어지연집단/비언어지연집단을 나누어 집단 간 문제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소아정신과 등 세 곳에 의뢰된 만18-35개월 영유아 145명를 대상으로 K-CBCL 1.5-5 유아 행동평가와 언어발달검사(LDS)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 영유아중 언어지연의 비율은 전체의 90.3%였으며 세부적으로는 남아 및 연령이 높은 집단의 언어지연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정신장애 영유아의 언어발달검사(LDS)의 어휘력점수는 K-CBCL 1.5-5의 위축, DSM-정서문제, DSM-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의 T점수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를 성별 집단 별로 살펴보면 여아의 어휘력 수준은 위축, 내재화, DSM 전반적 발달문제 척도에서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남아의 어휘력 수준은 DSM 정서문제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DSM-Ⅳ를 사용한 임상가의 진단을 따라 나누었을 때. 비 의사소통 장애 집단의 K-CBCL 1.5-5의 주의집중문제의 T점수가 의사소통장애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넷째, 언어발달검사의 어휘력척도를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 언어지연 집단의 K-CBCL 1.5-5의 위축, 수면문제, DSM-정서문제, DSM-전반적 발달문제의 T점수는 비언어지연 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검사(LDS)와 K-CBCL 1.5-5를 사용하여 임상의 영유아 중 언어지연 비율을 탐색하여 남아의 취약성을 확인하였고, 언어발달수준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임상 영유아집단 내에서도 진단과 언어지연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탐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ate of language delay in toddler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 problems and the difference in behavior problems among language disorder/non language disorder and language delayed/language normal groups. The participants, who were referred to psychiatry clinics and rehabilitation centers, comprised 145 toddlers (100 boys, 45 girls). The K-CBCL 1.5-5 and the Korean LDS were used as measuring too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90.3% of the clinic-referred toddlers were delayed in language. Additionally, vocabulary scores and withdrawal, DSM-affective problems and DSM-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sca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Considering sex, girls`s vocabulary scor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withdrawal, internal problems, and DSM-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For boys, there were on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SM-affective problems. Further, based on a clinician`s diagnosis, the non-language disorder group`s ADHD scale`s 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anguage disorder group. Finally, based on LDS vocabulary cut-off, language the delayed groups` levels of withdrawal, sleeping problem, DSM-affective problems, DSM-pervasive developmental problems and 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rmal group.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 of language delayed toddl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 problems.

      • KCI등재

        Association Betwee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nkyloglossia

        이종환,김수일,이슬아,김태훈,은영규,이영찬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23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66 No.7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degree of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and language development in patients with ankylo-glossia and to identify pre- and post-operative changes in pronunciation, language, and behav-ioral-emotional problems. Subjects and Method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at a tertiary academiccenter. Patients with ankyloglossia exhibiting articulation disorders were divided into normaland language delay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anguage development. Articulation wasevaluated using the Korean-specific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U-TAP), andlanguage development was evaluated using the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Scale (PRES).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behavioral-emotional development between thetwo groups was analyzed using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test. Moreover,changes in articulation,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al-emotional development scoreswere compared before and 3 months post-operatively in the two groups. Results Thirty patients with ankyloglossia were enrolled and classified into the normal group(n=11) and language delay group (n=19). Children of the language delay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delayed improvements in emotional symptoms compared to those in the normal group(2.55±1.0 4 vs. 1.68±1.49 in language delay vs. normal group, respectively; p=0.037). The U-TAP and PRES test scores were improved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in the entire group,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surgery when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Behavioral-emotional development was delayed in patients with ankyloglossiaaccompanied by language delay. Furthermore, articula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m-proved three months after frenoplasty in all patients. However, behavioral-emotional develop-ment was delayed in patients with ankyloglossia accompanied by language delay.

      • KCI등재

        의성어·의태어를 이용한 언어교육이 발달지체 유아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영향

        김윤태,양미선,임완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4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researching the effect of the language education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for the development-delayed children'sexpressive language. The way of the experiment is applying the multiple baselineacross subjects.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the three children who are morethan 6 months or more delayed than life age. The result of the study is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language education using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s effective for the demand-related expressionlanguage of the development-delayed children. Second, the language education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s effective for the reply-relatedexpression language of the development-delayed children. Third, the languageeducation 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question-related expression language of the development-delayed children. According to such results of the study, we can say that the language education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s positively effective for thedevelopment-delayed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Thus, this study suggeststhat the language education 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can be anappropriate teach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delayed children. 본 연구는 의성어ㆍ의태어를 이용한 언어교육이 발달지체유아의 표현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단일대상 연구 중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언어발달이생활연령에 비해 6개월 이상 지체된 발달지체 유아 3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성어ㆍ의태어를 이용한 언어교육이 발달지체 유아의 요구관련 표현언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성어ㆍ의태어를 이용한 언어교육이발달지체 유아의 응답관련 표현언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셋째,의성어ㆍ의태어를 이용한 언어교육이 발달지체유아의 질문관련 표현언어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의성어ㆍ의태어를 이용한 언어교육이 발달지체유아의 표현언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성어ㆍ의태어를 이용한 언어교육이 발달지체유아들에게 적절한 교수방법으로 사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발달단계를 고려한 총체적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장애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김미희,최성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effects on wholistic language teaching approach based on developmental states to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y. The meaning of the wholistic language teaching approach in this study was related to the total methods including the watching, listening, touching, and feeling. The thirty-three and thirty-nine months old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y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during one year and three months. The pre-test and post-test with 'Portage Guide to Early Education'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however the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al scores were gathered in the developmental stages such as inner language,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wholistic language teaching approach based on developmental states to cogn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for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y. Also the observation records toward the two children's behaviors in the wholistic language teaching were described. 이 연구는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한 보고, 듣고, 만지며, 느끼는 총체적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장애아동의 인지 및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33개월과 39개월인 2명의 발달지체장애아동이다. 연구는 1년 3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기초선 및 발달단계인 내적언어, 청각적 수용언어, 그리고 표현언어 단계에서 나타난 언어 및 인지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포테이지 아동발달 지침서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총체적 언어지도가 발달지체장애아동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 발달지체장애아동의 교육 및 중재에서 아동의 발달에 따른 미래지향적 학습목표 설정이 수시로 점검되어야 한다는 것과 발달지체장애아동의 동기부여 향상은 발달의 가능성을 촉진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시사하였고, 연구결과 도출과정에서 나타난 두 아동의 행동 관찰 기록과 함께 두 아동에게 나타난 발달의 차이점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박정숙 ( Park Jung-sook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1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C시에 소재한 K아동발달센터(언어전문 치료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언어발달지체 유아 중 의사의 진단과 소견서를 통해 언어발달지체로 판정된 유아 6명을 대상으로 심리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수용 언어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표현 언어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심리운동 프로그램은 언어발달지체 유아들의 수용 및 표현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언어발달지체 유아들의 언어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전략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sychomotor program geared toward preschooler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preschooler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young child users of a child development center, which was a specialized center for speech-language therapy in an urban community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selected young children were diagnosed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by doctors, and a psychomotor program was provided for the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motor program exerted an effec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receptive language of the preschooler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Second, the psychomotor program exercised an effec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expressive language of the preschooler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psychomotor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ies of the preschooler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program should be utilized as an intervention strategy to accelerate the languag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노래활동이 통합보육기관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혜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2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언어발달을 유도하는 노래활동이 통합보육기관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지체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른 노래활동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통합보육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36명의 발달지체유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9월부터 2월까지 6개월이었으며 중재는 주 1회 30분씩 총 16회기 간 발달지체유아가 생활하고 있는 본래 학급에서 실시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언어발달을 유도하는 음악의 요소가 삽입된 노래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설계는 사전-사후 비교집단 실험설계이었다. 연구 결과 노래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인 표현언어 발달과 수용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노래활동은 성별과 장애등급, 나이에 상관없이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비추어 노래활동은 통합보육기관 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적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effectiven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by songs activities which made of music elements facilitate language skills. in the inclusion setting. Thirty six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ttending a inclusive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16 sessions consist of 30 minutes from September to February. Intervention was songs activities to facilitate language skills. Study design i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songs activities which facilitate language skills improve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in the inclusion setting. Songs activities which facilitate language skills improved the children’s expressive language and receptive language. As study results, songs activities improved language skills regardless of sex, degree of disability and ages. As a conclusion, songs activities which facilitate language skills can be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language skills in inclusion settings.

      • KCI등재후보

        발달지체아에서 Denver II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전민철(Min-Cheol Jeon),김영훈(Young-Hoon Kim),정승연(Seung-Yun Chung),이인구(In-Goo Lee),김종완(Jong-Wan Kim),황경태(K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1

        목적: 덴버발달선별검사(DDST)는 1967년 발표되고 한국에서는 1987년 한국판 DDST가 만들어져 사용되었고 1992년에는 덴버 II가 발표되어 더 개선되고 표준화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일률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정기검진아 및 발달지체아들에게 덴버 II가 이들을 평가하는데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은 1993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약 3년 6개월간 발달지체를 주소로 강남성모병원 소아발달 클리닉을 방문한 244명으로 운동발달지체주소군(I군), 언어발달지 체주소군(II군) 및 기타군(III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덴버 II는 한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고 검사자는 훈련된 동일인으로 하였으며 각 군에 덴버 II를 검사하여 이들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 덴버 II로 검사한 소아는 총 244명이었는데 남녀비는 2.4:1로 남아가 많았으며 검사시 평균연령은 25.1개월이었다. I군은 68명이었고, 남녀비는 1.6:1, 평균연령은 11.8개월이었으며, II군은 84명, 남녀비는 4.6:1, 평균연령은 35.6개월이었고, III군은 92명으로 남녀비 13:1 평균연령은 25.4개월이었다. 2) 덴버 II를 검사한 결과 비정상, 정상, 의심의 분포를 보면 I군은 각각 76%, 13%, 10%, II군은 76%, 10%, 14%, III군은 38%, 53%, 9%이었다. 3) 덴버 II를 시행한 소아 중 신경학적 이상이 있었던 환아는 I군 75%, II군 74%, III군 39%이었으며 질환은 I군은 뇌성마비, 중추성 근긴장저하증, 영아연축, 근병증 등의 순이었고 II군은 정신지체, 발달성 언어장애,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으며, III군은 정신지체, 간질, 뇌성마비 등의 순이었다. 4) 덴버 I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I군 각 각 0.88과 0.41, II군 0.90과 0.27, II군 0.81과 0.77이며, 전체적으로 0.87과 0.59이었다. 결론: 덴버 II는 발달지체를 주소로 내원한 소아에게 있어서 민감도에 비하여 특이도가 낮았으며 특히 언어지체 주소군에서는 위양성률이 높아 발달지체아의 발달선별검사로서 유용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덴버 II는 발달지체아를 주소로 내원한 우리나라 소아에게 그대로 적용하기는 어렵고 우리나라 소아에게 적합한 발달선별검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Purpose :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are in widespread use, but few reliable and valid tests are available. One of the oldest and best know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was recently restandardized and revised as Denver II. Because the Denver II was published without evidence of its accuracy in developmental screening, we evaluate its accuracy in chi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o see whether it can be used on Korean children. Methods : The Denver II was translated and was administered to 244 children attending the child development clinic in Kangnam St. Mary’s Hospital to evaluated motor delay(Group I, n=68), language delay(Group II, n=84) or other problem(Group III, n92) Results: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and the mean age of the subject were 2.4:1 and 25.1 months overall, 1.6:1 and 11.8 months in Group I, 4.6:1 and 35.6 months in Group II, and 1.3:1 and 25.4 months in Group III 2) The distribution of results(abnormal, normal and questionable) were 76%, 13% and 10% in Group I, 76%, 10% and 14% in Group II, and 38%, 53% and 9% in Group III. 3) The neurologic problems were determined 75%(cerebral palsy, central hypotonia, infantile spasm, myopathy etc.) in Group I, 74%(mental retardatio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epilepsy, cerebral palsy etc.) Group II and 39%(mental retardation, epilepsy, cerebral palsy etc.) in Group III. 4)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Denver II were 0.88 and 0.41 in Group I, 0.90 and 0.27 in Group II, 0.81 and 0.77 in Group III, and 0.85 and 0.59 overall. Conclusion : Although the Denver II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developmental delay has a excellent sensitivity, it has a poor specificity, especially in identifying children at risk for language dela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Denver fail to reliably identify children in need of developmental delay evaluation. So the Denver II should be standardized and modified to be used on Korea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KCI등재후보

        그림일기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영은(Young-Eun Han),이효진(Hyo-Jin Lee),정한진(Hanjin Jeong),서경희(Kyoung-Hee Sehr)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19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7 No.2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체 아동에게 필요한 화용언어 능력을 높이기 위해 그림일기를 중재에 활용했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언어발달지체 남자 아동이었고 단일대상 연구 설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중재 기간은 총 26회기로 기초선 1회기, 중재 24회기, 사후평가 1회기였으며 한 회기는 40분씩 중재하였다. 중재 결과, 언어발달지체 아동에게 그림일기를 활용하면 화용언어능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using picture diary on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case study and design for a child aged 5 years old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Intervention perio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26 sessions. Pre-evaluation was carried out in the first session,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over the 24sessions and post-evaluation in the final session. It takes 40 minutes for each ses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language Intervention using picture diary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발화에 미치는 효과

        양혜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nguage intervention using manual signing on utterances of 2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Utteranc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initiating utterance, responding utterance, and intelligible utterance. The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initial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condition.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wice per week, each session was proceeded for 30 minute. Language intervention using manual signing was composed of the two phase: manual signing and utterance imitation training and the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The utterances of each child was collected using the event recording system. Then the number of words of initiating utterances, correct responding utterances, and intelligible utterances two observer had agreed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anguage intervention using manual signing increased the number of words of initiating, responding, and intelligible utterances of the 2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e effects were maintained after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is indicates that language intervention using manual signing would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utteranc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having hand imitation skills. 본 연구는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명료한 발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통해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중재는 교사와 유아 간 놀이 상황에서 목표어휘에 해당하는 손짓기호와 말을 모방 훈련하는 과정과 모방훈련 없이 시간지연, 손짓기호 단서 제공, 우발교수 환경구성 등 자연적인 언어 중재 전략을 통해 자발적인 발화를 유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교사와 유아 간의 자연스러운 놀이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 중 유아의 자발적인 시작발화, 반응발화, 조음이 명료한 발화를 수집하여 각각의 어절 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중재는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시작발화, 반응발화, 명료한 발화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언어발달지체 유아의 발화 촉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손짓기호를 활용한 언어중재의 효율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

        이윤경(YoonKyoung Lee),이효주(HyoJoo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미숙아 출생은 영유아기 언어발달지연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 집단의 언어발달지체 출현율을 만삭아 집단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초기 언어습득기에 해당하는 12-30개월 사이의 미숙아 86명과 만삭아 79명, 총 165명의 영유아였다. 두 영유아 집단은 월령에 따라 12-18개월, 19-24개월, 25-30개월의 세 연령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로 측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검사 수행 결과를 t-test와 two-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언어발달지체 및 언어발달지체 위험 출현빈도를 χ2을 통해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미숙아 출생 집단은 전체와 세 연령집단 모두에서 SELSI의 통합언어연령,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과 K M-B CDI의 표현어휘 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영유아집단과 연령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K M-B CDI에서만 관찰되었다. 미숙아 출생 영유아 집단이 언어발달지체와 언어발달지체 위험군 출현율이 높았으며, χ2을 통한 출현빈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언어지연을 예방하기 위한 대한 조기 언어중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Being born preterm is one of the factors which affects language development of toddl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anguage performance and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DLD) among toddlers who were born in preterm condition compared to full-term toddlers. Methods: A total of 165 toddlers, 86 preterm and 79 full-ter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wo groups of toddl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age groups: 12-18 months, 19-24 months, and 25-30 months. Language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and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on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The results of two toddler groups on language tes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rough two independent t-test, 2-way ANOVA, and χ2 test. Results: The prema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ceptive language age, expressive language age, and combined language age measured by SELSI and significantly lower frequency of expressive vocabulary measured by K M-B CDI than the chronological age-matched full-term toddler group. The prevalence of DLD and at risk DL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reterm than the full-term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early language intervention in preterm toddlers for preventing language de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