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양궁(洋弓)대회 참가를 둘러싼일본 궁도(弓道)계의 양상 ‒잡지 『弓道』와 참가자들의 대담 내용을 중심으로‒

        이헌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In this study, focus on 1967, Junji Miyata, a Kyudo player that participated in the Amersfoort International Archery Competition as a traditional Japanese bow. And analyzed talking that the player by Junji Miyata and supervisor by Hosoi Hidehiko. First, Hosoi and Miyata did not readily accept that archery was going to the archery competition. Because that Kyudo and archery were thought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rules and competition rules. However, in Miyata, a considerable sense of challenge was demonstrated and actively engaged. As a result of the report prepared by Miyata after the contest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Miyata did not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rchery competition was simply a one-time event, and ordered development through scientific analysis. However, in 1968, the All Nippon Kyudo Federation withdrew completely from the archery and concentrated on archery as a tradition. No longer kyudo will go to the archery competition.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archery as an international game ended in a single attempt, but this series of events means that, at least at the stage of 1967, the archery is not merely an image of tradition.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modern sports. When we look at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of postwar Kyudo was not simply a process of restoring,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It i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rchery’s identity and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1967년 일본의 궁도 선수인 미야타 준지가 아메르스포르트 국제양궁대회에 일본의 전통 활로 참가한 것에 착목하여 당시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인 미야타 준지(宮田純治)와 감독을 맡았던 호소이 히데히코(細井英彦)의 대담을 분석하였다. 호소이와 미야타는 모두 궁도가 양궁시합에 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궁도와 양궁은 도구의 발달 방식과 경기규칙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야타가 대회 후에 작성한 보고서와 당시에 발간된 신문 기사들 또한 함께 본 결과, 호소이와 미야타는 궁도의 양궁대회에 참가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미야타는 양궁대회의 참가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 아닌, 양궁과의 대등한 경기를 위해 궁구와 사법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개발을 주문하기도 하였으며 호소이 또한 참가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으나 이후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양궁 종목이 나왔을 때의 전궁련의 반응과 무관하지 않았다. 전궁련은 궁도의 양궁대회 참가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 궁도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68년, 전일본궁도연맹은 양궁으로부터 완전히 철수하여 전통으로서의 궁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더 이상 궁도가 양궁대회에 나가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이를 보았을 때 전후 일본궁도의 흐름은 단순히 전통을 복원・유지하고 계승해가는 과정이 아닌, 궁도의 정체성과 발전의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양궁(洋弓)대회 참가를 둘러싼 일본 궁도(弓道)계의 양상 -잡지 『弓道』와 참가자들의 대담 내용을 중심으로-

        이헌정 ( Lee Heon-j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본 연구에서는 1967년 일본의 궁도 선수인 미야타 준지가 아메르스포르트 국제양궁대회에 일본의 전통 활로 참가한 것에 착목하여 당시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인 미야타 준지(宮田純治)와 감독을 맡았던 호소이 히데히코(細井英彦)의 대담을 분석하였다. 호소이와 미야타는 모두 궁도가 양궁시합에 나간다는 것에 대해서는 쉽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는 궁도와 양궁은 도구의 발달 방식과 경기규칙이 서로 다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미야타가 대회 후에 작성한 보고서와 당시에 발간된 신문 기사들 또한 함께 본 결과, 호소이와 미야타는 궁도의 양궁대회에 참가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다.미야타는 양궁대회의 참가가 단순히 일회성 이벤트로 끝나는 것으로 생각한 것이 아닌, 양궁과의 대등한 경기를 위해 궁구와 사법의 과학적인 분석을 통한 개발을 주문하기도 하였으며 호소이 또한 참가 자체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으나 이후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양궁 종목이 나왔을 때의 전궁련의 반응과 무관하지 않았다. 전궁련은 궁도의 양궁대회 참가를 생각하고 있었으며,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 궁도에 대한 열망이 있었다. 그러나 이듬해인 1968년, 전일본궁도연맹은 양궁으로부터 완전히 철수하여 전통으로서의 궁도에 집중하게 되었다. 더 이상 궁도가 양궁대회에 나가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이를 보았을 때 전후 일본궁도의 흐름은 단순히 전통을 복원·유지하고 계승해가는 과정이 아닌, 궁도의 정체성과 발전의 방향을 정하는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study, focus on 1967, Junji Miyata, a Kyudo player that participated in the Amersfoort International Archery Competition as a traditional Japanese bow. And analyzed talking that the player by Junji Miyata and supervisor by Hosoi Hidehiko. First, Hosoi and Miyata did not readily accept that archery was going to the archery competition. Because that Kyudo and archery were thought to have different developmental rules and competition rules. However, in Miyata, a considerable sense of challenge was demonstrated and actively engaged. As a result of the report prepared by Miyata after the contest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e time, Miyata did not think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archery competition was simply a one-time event, and ordered development through scientific analysis. However, in 1968, the All Nippon Kyudo Federation withdrew completely from the archery and concentrated on archery as a tradition. No longer kyudo will go to the archery competition. Ultimately, the transformation of archery as an international game ended in a single attempt, but this series of events means that, at least at the stage of 1967, the archery is not merely an image of tradition. It also implies the possibilities of modern sports. When we look at this, it can be said that the flow of postwar Kyudo was not simply a process of restoring, maintain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It is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archery’s identity and development.

      • KCI등재

        『궁도강좌(弓道講座)』에 보이는 조선(朝鮮)의 궁시(弓矢)

        이찬우 ( Chan Woo Lee ) 한국체육사학회 2014 체육사학회지 Vol.19 No.2

        궁술은 조선의 대표적인 무예로 번영하였으나, 근대에 들어 實用性의 喪失과 더불어 급격히 衰退하여, 그 문화가 온전히 전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화와 한국전쟁 속에서 亡失된 弓術자료를 보완하고자, 日本의 궁술자료인 『弓道講座』에 수록된 「朝鮮の弓矢」를 解讀·分析하여, 조선의 전통적 弓具의 一端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본에 소개된 활·화살·깍지·과녁 등의 實測諸元를 통해, 조선 弓具의 形態, 材質, 用途 등을 상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화살은 부위별 크기와 재질, 무게, 무게중심이 詳細히 밝혀졌고, 鏃은 鏑·板付·柳葉의 촉이 있었으며, 우는 촉(鳴根)은 맹수를 쏠 때 짐승을 놀래는 용도였음이 드러났다. 桶兒는 片箭과의 마찰과 압력에 견디고 落箭을 방지하기 위해 특이한 재질과 구조로 되어 있었다. 둥근 촉이 살대 깊이 박혀있어 굵고 무거운 六兩箭은 사거리보다 파괴력을 중시한 구조였다. 朝鮮通信使를 통해 전해져 1세기 전에 日本에서 출판된 이 사료를 통해, 掌甲의 용도나 帆帿에 그려진 離卦의 의미 등 현재 한국의 射亭에서 잊혀져버린 朝鮮 弓術文化의 一端을 엿볼 수 있었다. The archery that prospered as Korean representative martial arts, suddenly declined with the loss of the utility in modern times, and there are a lot of things to unknown.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d about Korean traditional archery equipments through decoding and historical consideration of ‘Bows and Arrows of Joseon’ which is included in the “Kyudo Kouza”, to make up for the lost historical materials of archery during modernization and Korean war. It became clear the detail sizes, weights, quality of the materials, the center of gravity through the survey results of each equipments. Particularly, the Whistling Arrow was used to threaten a wild beast, the Arrow Pipe was framed of unique material and structure for endure the friction and pressure, and the Big-iron Arrow was structured for enhance destructive power than shooting range. Through this historical material which was published about one century ago, we could peeped into some of the lost Korean traditional archery culture.

      • KCI등재

        한ㆍ일 전통궁시(弓矢) 비교연구 - 편전(片箭)과 구다야(管矢)를 중심으로 -

        이헌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7

        전(片箭)은 통상보다 짧은 화살을 통에 넣어서 발사하는 특수한 형태의 화살이다. 한국의 경우 편전에 대한 사료가 많으며 그 유래와 역사적 의의를 알아보기에도 용이하다. 그러나 편전을 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며 전승 또한 끊어졌기에 편전사법을 고증 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편전과 같은 형태의 화살을 구다야(管矢) 라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구다야에 대한 사료는 많지 않으며 구전되어 오는 것이 많기에, 그 유래와 역사적 의의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또한 구전되어 오는 구다야는 그 형태가 `통에 넣어서 쏘는 화살` 이 아닌 ` 분리식 화살`이기에 그 실체 또한 명확하다 볼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료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신명불심궁지서』라는 책은 구다야 사 법을 그림과 글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사법의 형태가 명확하지 않은 한국의 편전사법을 고증함에도 유용할 것이라 생각되어 현재 행해지는 편전사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살을 통에 넣어 활시위에 걸었을 때, 화살 깃의 방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yeonjeon is a unique type of arrow. In order to shoot it, one needs to put short arrow-the pyeonjeon into a pipe. In Korea, there are various records regarding this unique arrow, making it available to study on its origin and historical significance. However, in case of specific archery method, no detailed records exist nor any remains are transmitted from the past. In case of Japan, there existed similar type of arrow which is called as Kudaya. However, there are only few records related to Kudaya, making it difficult to research into it.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Kudaya is obscure, since Kudaya is mainly transmitted down by words, and the form of Kudaya in those words is rather `a separative arrow` than `an arrow in the pipe`, In this situation where we lack historical materials, the book Shinmei husinyuminosyo explains the archery method of Kudaya by pictures and writings. This will surely suggest clues to explain the archery method of Korean Pyeonjeon. By comparing Pyeonjeon with Shinmei husinyuminosyo, we figured out that the difference of Pyeonjeon and Shinmei husinyuminosyo lies in the direction of fletchings, when the arrow is put into a pipe and strung by the bowstring.

      • KCI등재

        한・일 전통궁시(弓矢) 비교연구 ‒ 편전(片箭)과 구다야(管矢)를 중심으로 ‒

        이헌정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7

        편전(片箭)은 통상보다 짧은 화살을 통에 넣어서 발사하는 특수한 형태의 화살이다. 한국의 경우 편전에 대한 사료가 많으며 그 유래와 역사적 의의를 알아보기에도 용이하다. 그러나 편전을 쏘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으며 전승 또한 끊어졌기에 편전사법을 고증하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편전과 같은 형태의 화살을 구다야(管矢) 라 부르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구다야에 대한 사료는 많지 않으며 구전되어 오는 것이 많기에, 그 유래와 역사적 의의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힘들다. 또한 구전되어 오는 구다야는 그 형태가 ‘통에 넣어서 쏘는 화살’ 이 아닌 ‘분리식 화살’이기에 그 실체 또한 명확하다 볼 수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이 사료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신명불심궁지서』라는 책은 구다야 사법을 그림과 글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사법의 형태가 명확하지 않은 한국의 편전사법을 고증함에도 유용할 것이라 생각되어 현재 행해지는 편전사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화살을 통에 넣어 활시위에 걸었을 때, 화살 깃의 방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yeonjeon is a unique type of arrow. In order to shoot it, one needs to put short arrow-the pyeonjeon into a pipe. In Korea, there are various records regarding this unique arrow, making it available to study on its origin and historical significance. However, in case of specific archery method, no detailed records exist nor any remains are transmitted from the past. In case of Japan, there existed similar type of arrow which is called as Kudaya. However, there are only few records related to Kudaya, making it difficult to research into it.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Kudaya is obscure, since Kudaya is mainly transmitted down by words, and the form of Kudaya in those words is rather ‘a separative arrow’ than ‘an arrow in the pipe’, In this situation where we lack historical materials, the book Shinmei husinyuminosyo explains the archery method of Kudaya by pictures and writings. This will surely suggest clues to explain the archery method of Korean Pyeonjeon. By comparing Pyeonjeon with Shinmei husinyuminosyo, we figured out that the difference of Pyeonjeon and Shinmei husinyuminosyo lies in the direction of fletchings, when the arrow is put into a pipe and strung by the bowstring.

      • KCI등재

        『(增訂)弓矢義解』에나타난 조선궁술고찰

        이헌정(Lee Heon jung)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증정)궁시의해』는1933년일제강점기조선에서발간된일본의궁도서이며일본궁도의도구와사법등을설명하고있다. 그런데이책에서는현재한국의전통궁술인국궁의모체가되는조선궁술에대해서도설명하고있다. 이러한자료는조선궁술을바라보는일본인의시각이어떠했는지에대해서알수있으며국궁을다양한각도에서연구 하게끔하는중요한자료가된다. 『(증정)궁시의해』에서조선의활은반궁(半弓)이며뿔로만들어진다고하고있으며. 화살은깃이2개고촉이날카롭다고하였다. 활을쏠때손을보호하는도구인유가케는 조선궁술에서는사용하지않고각지를사용한다고했으며과녁은120보정도로거리 차이가난다고하고있다. 사법에있어서는발의모양세가비정비팔(非丁非八)의모양을취하고있으며, 활을머리위로들어올리는동작인우치오코시를하시않는다고서술하고있다. 또한, 활시위를 잡는손은볼이아닌가슴에붙인다고서술하고있다. 이와같은서술은일본궁도를기준으로, 두드러지게차이가나는부분을중심으로 서술한것이다. 즉조선의활은일본활의절반길이에불과하였기에반궁이라칭했으며목재만을사용하는일본활에비해뿔을사용하는조선의활은일본의활과크게두드러지는부분이었다. 이러한차이점들을중심으로다른도구들과사법이언급되었는데, 이는 조선궁술에대한서술을통해조선궁술을알기위해서라기보다는일본궁도가어떠한지를재확인하려는것에목적이있었다고할수있다. 그리고이러한재확인의목적은조선궁술에대한불충분한서술을야기했으며, 복수의형태로존재하던조선궁술이일본궁도의기준에의해획일화되는형태로서술되었다. Zoutei Yumiyakigae is a Japanese book about archery that wa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t deals with the tools Japanese archery and how to shoot a bow. Also, the book illustrates Choseon archery, which is the forerunner to Kug Gung, which is Korea’s current traditional archery. This historical record shows how Japanese of the past saw the Choseon period archery and this book can be an important source that can make the study of Korean archery approached from a range of angles. According to Zoutei Yumiyakigae, bows in the Chosen era were small and made of horn. Arrows had two feathers and the arrowhead was sharp. A yukage, which can protect the hand when shooting an arrow, was not used in Choseon’s archery; a kag chi was used instead. Also, the difference in distance to the target was about 120 steps. For the shooting technic, foot positioning was be jong be pal (not T and not V), and a pose of uchi okoshi was maintained that kept the bow above the head. Also, the grip location of the bowstring was near the chest, not the cheeks. These statements explain Choseon archery based on differences with Japanese archery. For example, this book called Choseon bows small because they were half the size of Japanese bows. Similarly, this book highlights that Choseon bows were made of horn, compared to most Japanese bows, which were made of wood. Based on these differences, other tools and shooting technics are described.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purpose of this book was to reaffirm Japanese archery, not to describe Choseon archery. Because of the above reasons, Choseon period archery was not properly explained and various forms were ignored. In fact, Choseon archery was represented uniformly as just a branch of Japanese arch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