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척도형용사의 대조 연구 -「많다(多い)」와 「깊다(深い)」를 중심으로-

        유은성 한국일어교육학회 2018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3

        The present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Korean and Japanese measure adjectives, with a focus on the Korean adjectives manhta and kiphta and the Japanese adjectives ooi and hukai, both within the cross-language pair and with other synonymous measure adjectives. The Japanese ooi differs from the other adjectives in terms of its qualitative property since it is not usually employed as a degree modifier in combination with gradable nouns, and, even when used jointly with gradable nouns, it largely retains its numerical sense. However, unlike ooi, the Korean manhta is widely used as a degree marker – it can not only denote a numerical sense but also often replaces other measure adjectives such as khuta and nophta. The Japanese collocations noun(postposition)+ooi and ookuno+noun chiefly correspond with the Korean manhta and manhun, respectively. However, the Korean collocations noun (postposition)+manhta and manhun+noun correspond not with the Japanese ooi but with other Japanese measure adjectives such as ookii or takai. The above Korean usages mostly allow the use of the other measure adjectives used as degree markers such as khuta and nophta.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the Japanese hukai usually translates not as its Korean direct equivalent kiphta, but as manhta. 본고에서는 정도명사와 결합하여 정도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형용사 중, 한국어 「많다」와 「깊다」, 일본어 「多 い」와 「深い」를 중심으로 다른 척도형용사와의 유의 관계 및 한・일 대응 관계를 대조 고찰하였다. 한국어 「많다」 는 일본어 「多い」와 달리, 수량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크다」,「높다」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교체될 수 있는, 정도의크기를 나타내는 의미용법이 활발한 점을 통해 일본어 「많다」와 달리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어 「名詞+多い」,「多くの+名詞」 용례는 대부분 한국어 「명사+많다」,「많은+명사」에 대응되지만, 정도성의 의미가 강한 「명사+많다」,「많은+명사」는 대부분 일본어의 「名詞+多い」, 「多くの +名詞」에 대응되지 않고, 「大きい/大きな」,「高い」등 다른 척도형용사 연어 형식에 대응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한국어에서도 「크다」,「높다」 등과 같은 대표적 척도형용사와 교체할 수 있는 경우도 많았지만, 한국어 「많다/많은」이 「深い」에 대응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점은 「깊다」와 「深い」 용례에 대한 대응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와의 대조를 통해서 한국어 「많다」는 「크다」「높다」 등 다른 척도형용사와 같이 정도성을 나타내는 데에 다용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