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가마(麻蒸窯) 유적의 연구와 조사방법론

        박광열,손호성 한국문화유산협회 2008 야외고고학 Vol.0 No.4

        인간이 삶을 살아감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의식주이다. 그 중에서 의생활을 한다는 것은 추위를 막아주는 기능도 있지만 이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될 사항은 인간의 존엄성과 성의 정체성을 지켜주는데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선사시대부터 의생활을 하였지만 옷감의 원료가 되는 삼을 재배하기 시작한 것은 원삼국시대로 생각된다. 삼베의 생산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삼에서 실의 원료를 채취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삼찌기 과정이다. 삼을 찌기 위해서는 가마가 축조되어야 하는데, 현재까지 조사된 고고학적 자료로는 삼국시대부터 조사되고 있고, 신석기나 청동기시대는 삼실이 출토되고 있지만 가마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한 문헌기록으로 볼 때, 원삼국시대부터는 길쌈이 행해 졌고, 적어도 이 시기부터는 삼베가 본격 생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삼 재배에 관한 문헌기록으로 보아 삼가마가 원삼국시대 이전부터 축조되어온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까지 정식 발굴조사되어 보고된 자료를 검토해 보았을 때, 삼을 찌기위한 가마는 삼국시대부터 축조된 것으로 확인된다. 우리나라에서 정식으로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것은 한 세기가 되었지만 현장에서 삼가마를 인식하게 된 것은 최근의 일이며, 현재도 야외노지, 소성유구, 성격 미상의 가마로 인식하여 보고되는 예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삼베를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삼가마의 구조와 성격을 밝혀 차후 발굴 현장에서 중요한 자료를 멸실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삼가마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발열실, 격벽, 증숙실, 배증구로 구성된다. 형태는 발열실과 증숙실이 합치된 일체형 삼가마와 두 개가 별개인 분리형 삼가마로 구분된다. 일체형 가마는 주로 평지에 입지하며, 열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약하여 주로 소규모나 단기간 조업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전시기에 걸쳐서 축조되지만 대부분이 이른 시기에 많이 사용되었다. 분리형 가마는 경사진 사면에 주로 입지하고 있으며, 열을 조절할 수 있는 격벽이 있어 대량생산이나 장기간 조업이 가능하며, 삼국시대부터 지속적으로 입지와 구조가 변화하면서 사용되어 왔다.삼가마를 조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사항으로 분리형 구조의 입지변화에 의해서 증숙실이 사라진 형태가 많이 나와 발열실만 확인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일체형의 구조는 상부에 노출된 증숙실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발열실의 소결도와 내부 석재 등을 확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바닥면의 초본류의 분석은 필수적이며, 숯과 소토를 이용한 탄소연대측정이나 고고지자기측정을 필수적으로 행하여 절대연대에 대한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져야 한다. Food, clothing and housing are the very basic elements of human life. However, not only does clothing protect us from the cold, it also allows us to preserve our dignity and identify ourselves as human beings. Even though it is probable that clothing was worn in the prehistoric period, clothing made from hemp came to be made from the Proto-Tree Kingdoms period. There are many steps in the processing of hemp fiber. The most important step is steaming the hemp, which makes the hemp fibers soft and strong, allowing them to be used as thread. In order to steam hemp, a kiln is required, and based on ancient records and the results of the most current archaeological excavations it appears that the first hemp kilns were used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Unfortunately, it is only recently that hemp kilns have been recognized as such during excavation; previously they had been recognized as something els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prevent further loss of archaeological data concerning ancient hemp kilns by helping archaeologists recognize the structures in the field. There are two types of hemp kilns, one being the single-structure kiln and the other being the separated structure kiln. The former was small, located on flat ground and relatively early in date. It was difficult to control the strength of fire in this type of kiln.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was large, located along the slope of a mountain, and allowed easy control of fire. Because the separated structure kiln was more effective, it was used for a long time. To excavate such kiln structures accurately,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location, structure, and other aspects of the hemp kil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radiocarbon and paleomagnetic dating methods are essential for accurate studies in the future.

      • KCI등재

        경상도지역 조선시대 자기가마의 구조변화 연구

        고준휘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2 고문화 Vol.79 No.-

        자기가마의 구조연구는 선학들에 의해 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변화양상 파악에만 중점이 맞춰졌고 변화의 요인이나 체계화된 형식을 설정하는 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고는 최근 활발하게조사가 이루어진 경상도지역 자기가마의 구조변화를 파악하고 그 흐름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는 가마의 구조를 입지, 축조형태, 축조재료, 요전시설, 아궁이, 연소실 평면형태, 연소실 불턱,가마의 규모, 번조실의 평면형태와 단면형태, 번조실 바닥의 마감방법, 초벌구이칸, 측면 출입구와 폐기장, 연도부, 천장, 가마의 보수와 개축 등으로 해체하여 각각의 양상을 파악한 후 시간성을 가지는 요소를선별하여 변화양상과 변화요인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선시대 경상도지역 요업의 흐름을 5단계로 나누었는데, Ⅰ단계는 14세기 후반(1/4)~15세기 중반(2/4)이며 AⅠ1식 가마들이 운영되었다. Ⅱ단계는 15세기 중반(3/4)~15세기 후반(4/4)이며 AⅠ1식, AⅡ2식, BⅠ1식, BⅠ2식 가마들이 운영되었다. Ⅱ단계는 본격적인 분청사기 생산이이루어지던 시기로 가마의 운영 성격에 따라 구조상으로도 차이가 확인된다. Ⅲ단계는 15세기 후반(4/4)~16세기 후반(4/4)이며 BⅠ2식, BⅡ1식, BⅡ2식, BⅢ2식의 가마들이 운영되었다. 관요 성립 이후지방에서 백자 가마들이 운영되기 시작하던 시기부터, 양난이 발발하여 경상도뿐만 아니라 전국의 요업이 큰 타격을 받게 되는 시기까지이다. 이 시기는 분청사기에서 백자로 주된 생산품이 전환되는데, 급작스런 번조환경의 변화로 인해 불기둥이 적극적으로 수용되며 가마의 규모나 연소실·번조실의 평면형태등에서 많은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기도 하다. Ⅳ단계는 17세기 전반(1/4)~18세기 중반(2/4)이며 CⅢ2식, CⅢ3식, CⅣ1식, CⅣ2식의 가마들이 운영되었다. 양난 이후 요업이 다시 안정을 회복하던 시기이며이후 백자의 본격적인 대량생산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Ⅳ단계 가마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격벽시설에의한 불창기둥이 도입되면서 단실요→분실요로의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는 열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백자 대량생산체제의 기술적인 바탕이 되었다. Ⅴ단계는 18세기 후반(4/4)~20세기 전반(1/4)이며 CⅣ4식 가마들이 운영되었다. 경상도지역에서 조사된 Ⅴ단계의 가마는 19세기 후반~20세기전반에 운영된 하동 서황리 요지가 유일해 정확한 양상을 파악하기는 힘들다. 가마구조는 가마의 전체형태가 역제형으로 바뀌고 불창기둥의 개수가 증가해 연실요의 형태로 변화한다. The porcelain kiln operated in Chosun Dynasty was horizontal draft type or half down draft type incline kiln. It was inherited from the porcelain kiln of Koryo Dynasty. Considering the process from an installation to burnability, the attribution of the porcelain kiln is classified into the location, construct form, construct material, pre-kiln facilities, entrance of firing place, elevation shape of a firing place,firing place stair, kiln size, elevation shape and aspect shape of a combustion chamber, finishing method of a combustion chamber floor, inside facilities of a combustion chamber, biscuit firing chamber, side entrance and disuse place, chimney, ceiling, repair and reconstruction of a kiln, burnability method and kiln tools. From among these, elevation shape of a firing place, height of firing place stair of a firing place, kiln size, elevation shape and aspect shape of a combustion chamber, inside facilities of a combustion chamber, biscuit firing chamber, burnability method and kiln tools are attributions which show specific change as time passed. Analyzing these, the porcelain kiln of Gyeongsang Province is divided into 12 types from the 15th to the 19th century. To sum up, the ceramic industry of Chosun Dynasty in Gyeongsang Province is divided into 5 phases totally. The first phase corresponds from the first quarter of the 14th century to the second quarter of the 15th century. The AⅠ1 type kiln was operated. The second phase corresponds from the third quarter to the fourth quarter of the 15th century. The AⅠ1, AⅡ2, BⅠ1, BⅠ2 type kiln was operated. The third phase corresponds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15th century to the fourth quarter of the 16th century. The BⅠ2, BⅡ1, BⅡ2, BⅢ2 type kiln was operated. As grayish-blue-powdered celadon product changes to white porcelain product, various changes appear in the structure of kiln. The fourth phase corresponds from the first quarter of the 17th century to the second quarter of the 18th century. The CⅢ2, CⅢ3, CⅣ1, CⅣ2 type kiln was operated. The fifth phase corresponds from the fourth quarter of the 18th century to the first quarter of the 20th century. The CⅣ4 type kiln was operated.

      • KCI등재후보

        唐宋時期 越窯 가마의 구조와 그 특징 : 고려시기 청자 가마 구조의 파악을 위한 전제

        이희관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2

        본고에서는 당송시기의 월요 가마 가운데 대표적인 몇 기의 가마의 구조를 살펴보고, 그러한 토대 위에서 이 시기 월요 가마의 규모와 경사도 그리고 排煙室의 구조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의를 통하여 도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당송시기에 월요에서 청자를 소성한 가마는 모두 龍窯로서, 일반적으로 그 길이는 40m대이고, 폭은 2m대였다. 그 이전 시기의 용요와 비교하여 폭은 거의 동일한 반면, 길이는 크게 길어졌다. 월요에서는 이렇게 규모가 큰 용요를 운용함으로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고 아울러 화력의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그리고 한 가마에서 여러 요업 관련 경영단위의 기물을 소성하여 가마의 가동률을 높였다. 이 시기의 용요의 경사도는 그 이전 시기의 그것보다 낮아졌다. 그것은 경사도가 낮아진 만큼 용요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연소실과 배연구의 고도차가 커짐으로서 청자를 燒成하기에 충분한 화염의 抽引力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 시기의 용요는 소성실의 꼬리부분의 경사도가 중간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하였는데, 그것은 환원소성 단계에서 화염을 더 오랜 시간 가마 안에 머물게 하고 아울러 가마 안의 온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였다. 담청록색의 純精한 秘色瓷는 이러한 환원소성 단계를 거쳐 생산되었다. 이제까지 고대의 용요는 자기를 소성하는 데 있어서 연소실과 배연구의 고도차에 따른 자연 추인력을 이용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런데 근래 용요의 경우도, 북방지역의 馬蹄形窯와 마찬가지로, 연통을 설치하여 그것으로 인해 발생하는 추인력을 이용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그 논리적·고고학적 근거 등을 자세히 검토한 결과 타당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까지 알려진 당송시기의 용요에서 연통이 설치되었음이 확인된 실례는 전혀 찾을 수 없다. 이는 이 시기의 용요에 연통이 설치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생각한다. 한편, 다 아는 바와 같이, 고려청자 가마의 뿌리는 월요의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월요의 가마 구조에 대한 이해는 고려청자 가마의 구조적 특징 및 전개 과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전제가 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some of the representative kilns of Wue Zhou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on that basis, reviewed the size, slope and structure of the chimney (排煙室) of those kilns. The discussion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kilns that fired celadon in Wue Zhou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ere all dragon-shaped kilns (龍窯), generally having a length between 40 and 50m and a width between 2 and 3m. Compared to the dragon-shaped kilns in the previous period, the width remained almost the same but the l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operation of such large dragon-shaped kilns in Wue Zhou made mass production of celadon possible and increased the thermal power efficiency. In addition, a single kiln fired the pottery items made by several different ceramics industrial management units,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rate of the kiln. During this period, the slope of the dragon-shaped kilns declined than the previous periods. As the length of the dragon-shaped kilns, which was extended as the slope was lowered, there was a growing gap in height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ole of the chimney. Therefore, it was able to get enough pulling capacity of the flame to fire celadon. The slope of the tail part of the firing chamber in the dragon-shaped kilns in this period was relatively gentler than that of the middle part, which aimed to keep the flame longer at the reduction firing step and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inside the kilns. The pure Mise wares (秘色瓷) of light blue-green color were created through this reduction firing step.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ancient dragon-shaped kilns used natural pulling capacity depending o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combustion chamber and the hole of the chimney to fire celadon. However, a new opinion has been raised that the dragon-shaped kilns would use the pulling capacity created by smokestacks, which might be installed like the horse,s hoof shaped kilns (馬蹄形窯) in the northern region. However, the opinion is concluded to have a low validity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 logical and archeological grounds. There are absolutely no examples confirming that smokestacks were installed in the identified dragon-shaped kilns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his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evidence that shows that smokestacks were not installed in the dragon-shaped kilns during this period.

      • KCI등재

        新羅瓦의 生産과 流通方式의 變化

        박헌민 영남고고학회 2012 嶺南考古學 Vol.- No.63

        This study set out to categorize the structures of Shilla's roof tile kilns and thus demonstrate that there were organic connections between the roof tile making system and the distribution methods through changes. First, the investigator found an important subject in roof tile kilns, which were the essence of roof tile making,and categorized their structures. The process found that the structures of Shilla roof tile kilns had more common structural attributes with the ancient Togiyo of Shilla than those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and that their origin lied in the Togiyo. Perceiving that the structural changes of Shilla roof tile kilns were attributed to the changes of the roof tile making system those days, the investigator classified the artifacts excavated in roof tile kilns and found that there were epoch-making changes to the roof tile making system around the 8th century. The structural changes of roof tile kilns were traced through stages(I-(1·2) and II) with their patterns arranged in each stage. The stages of structural changes of roof tile kilns set in the previous chapter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roof tiles those day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and simplified the old complicated distribution method research into the private and public use system for a better understanding. As a result, there were many changes to the distribution methods of Shilla roof tiles according to the rising or dropping roof tile consump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consumption areas. In short, there were mutually organic connections betwee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ethods of Shilla roof tile and the structural changes of roof tile kilns, and they were attributed to the social demand for mass roof tile production needed for the early expansion of Buddhism and the resetting of Wanggyeong scope afte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이 論文은 신라 瓦窯의 構造分析을 통해 당시 기와의 操業시스템과 流通方式변화가 유기적으로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을 밝히려는 글이다. 먼저, 기와 燒成의 集約體인 와요를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삼고, 그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신라 와요의 原流는 4세기 이후부터 발전해 온 新羅古代土器窯가 바탕이 되어 泗 期百濟의 先進築窯術이 일부 부가된 構造窯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리고 新羅瓦窯의 構造變化가 당시 기와의 操業시스템 변화에 起因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窯에서 출토된 遺物의 種(주력 제품이 토기인지 기와인지)을 구분하여 대략 8세기 전후라는 조업시스템 변화의 劃期를 도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瓦窯構造의 變遷段階(Ⅰ-(1·2), Ⅱ)를 設定하였고, 각 단계별 와요의 구조 變化樣相도 정리할 수 있었다. 또한, 당시 기와의 流通樣相을 확인하기 위해서 와요 구조 변천 단계를 이용하였는데, 여기에서 당시 기와의 단계별 유통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의 복잡한 유통방식 연구를 專用과 共用의 供給體系로 單純化시켜 이해해 보았다. 그 결과, 소비지의 중요도에 따른 기와 소비량의 증감으로 인해 신라 기와의 유통방식에도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신라 瓦의 生産과 流通方式은 와요의 구조변화와 相互有機的인 관계를 가지는데, 이는 佛敎를 통해 통일왕국의 기초를 다지던 統一以前과, 왕경 범위 再設定에 필요한 기와 사용량 증대라는 사회적 요구가 맞물린 統一以後의 시대적상황이 그 原因이 되겠다.

      • SCOPUSKCI등재

        개량형탄화로를 이용한 제탄과정 중 탄화로 내,외벽 온도변화 및 목탄 특성

        권구중 ( Gu Joong Kwon ),권성민 ( Sung Min Kwon ),장재혁 ( Jae Hyuk Jang ),황원중 ( Won Joung Hwang ),김남훈 ( Nam Hun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1 목재공학 Vol.39 No.3

        The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arcoal and temperature change of a kiln`s inner and outer walls in carbonization process using improved kiln. In this kiln system, carbonization process was completed in eight days In the kiln, the ignition temperature was kept about 720°C And then the temperature were increased gradually prior to be refined. Finally, the temperature in refining process was reached to maximum point, 1,000°C In the chimney,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gradually from 90°C at ignition to 750°C at refin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kiln wall resembles a temperature change progress curve during a carbonization process The highest temperature of the kiln wall that appeared hy a carbonization process was around 500°C As a result of having measured an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of the kiln using an infrared thermography camera, it was judged with there being considerable latent heat on kiln wall and ceiling. Fixed carbon contented of charcoal was 85.9~89.9%. Refining degree of charcoal, hardness, calorific value and pH were I, 12, 7,047- 7,456 kcal/kg, 9.0~9.9, respectively. The yield of wood charcoal was 138% and compared to conventional kiln`s yield increased 1.5%.

      • KCI등재후보

        삼국시대 백탄요의 분류와 변천과정 연구

        김경호 호서고고학회 2007 호서고고학 Vol.0 No.16

        This research has been inferred a mimetic diagram of internal space use of a kiln by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 kiln and the attributes of charcoal produced based on charcoal kiln, fine charcoal, a side hole conjoined kiln, and a side hole conjoined charcoal kiln, for all of which there has recently been an increase in research data. After conducting a classification by form on the basis of charcoal kiln's attributes, it has been found out that charcoal kilns in the central and southern areas possess attributes almost identical to one another, and that they were used very intensively in a short time period, from the mid 3th century to mid 5th century.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kilns were used systematically, for some special purpose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and demand of charcoal produced. For instance, examination on a Chinese kiln speaks for itself that because it was a ceramics kiln, it's use might have differed from those of Korea. However, the same form of kilns found in Korea, China and Japan makes us estimate that they were all used in the same way, and that their purpose of use was somehow related to iron making and charcoal making. 본 논문에서는 炭窯(白炭窯․橫口附窯址․側口附炭窯)에 대해서 窯의 구조적 특징과 생산된 炭의 成分을 검토하여, 窯 內部 空間利用 模式圖를 推定해 보았다. 그리고 白炭窯의 屬性을 바탕으로 형식 분류를 시도한 결과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에서 조사된 炭窯는 상호간에 거의 유사한 屬性을 가지고 있음이 파악되었으며, 考古地磁氣 年代測定資料를 중심으로 한 사용 시기에 있어 3세기 중반에~5세기 중반까지 짧은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생산된 목탄의 소비와 수요에 따른 特殊한 目的에 의해 體系的으로 이용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컨대 中國에서 조사된 탄요의 경우 자기 가마로 보고 있기에 사용목적이 다른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으나, 韓國․中國․日本에서 동일한 형태의 窯가 확인되고 있어, 사용용도가 동일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日本의 水島機械金屬工業團地協同組合 西団地內遺跡群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製鐵에 소모되는 製炭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논문 : 전북지역 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의 변화양상

        노경진 ( Kyoung Jin Noh ) 호남고고학회 2014 湖南考古學報 Vol.48 No.-

        전북지역에서 확인된 기와가마는 그 유적 수에 있어 괄목할 만한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아직까지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북지역에서 조사된 유적을 중심으로 그 현황을 살펴보고, 가마구조에 대한 분석과 출토 기와의 특징을 통해 시기에 따른 변화상을 검토해 보았다. 분석결과, 가마의 구조에서 시간성을 띠는 속성은 화구-연소실의 종단면형태, 불턱(단벽)시설의 유무, 소성부의 규모(면적), 소성부의 평면형태가 있다. 이를 토대로 전북지역 고려~조선시대 기와가마는 크게 Ⅰ~Ⅴ분기로 세분된다. Ⅰ기는 9세기 후반~10세기로 화구-연소실의 종단면형태는 외저내고(外底內高), 내외평탄(內外平坦)을 띠며, 불턱시설을 마련하지 않은 무단식이 확인된다. 소성부의 면적은 소형에 속하며, 소성부의 평면형태는 타원형계와 방형계를 띠는 특징을 보인다. Ⅱ기는 11세기~13세기에 해당한다. 화구-연소실의 종단면은 내외평탄형을 띠며, 불턱(단벽)을 마련한 유단식의 가마형태가 확인된다. 소성부의 규모는 소형뿐 만 아니라 중형의 규모가 등장하는 시기이며, 소성부는 타원형계와 방형계 모두 확인된다. Ⅲ기는 14세기~15세기에 해당한다. 화구-연소실의 종단면은 내외평탄형이 주를 이루며, 소성부는 소형에서 점차 중형으로 변모해 가는 양상이 관찰된다. 평면형태는 방형계와 세장형계를 띤다. Ⅳ기는 16세기~17세기에 해당한다. 화구-연소실의 종단면에서 외고내저(外高內底)형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시기이며, 소성부의 평면형태는 방형계에서 세장형계로 변모해 가는 양상이 관찰된다. 소성부의 규모도 중형만 확인된다. Ⅴ기는 18세기 이후에 해당한다. 구조에 있어서 Ⅳ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소성부의 규모가 대형에 속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는 기와 수요량의 증가로 인한 대량생산과의 관련성을 유추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ing features of roof tiles’ kilns during the Koryo and Chosun period. In this paper, the kilns of Koryo~Chosun in Chonbuk region is divided into I~V phases. In particular, the backside patterns of roof tiles excavated were no pattern, grid pattern, fish-bone pattern, complex pattern at Apparatus I, and no pattern, grid pattern, line pattern, fish bone pattern at Apparatus II, and no pattern, collective line pattern, blue sea wave pattern, complex pattern at Apparatus III, and no pattern, line pattern, blue sea wave pattern at Apparatus IV, and no pattern, collective line pattern and blue sea wave pattern at Appartus V. While this paper has dealt with the structures of roof tile kilns in Koryo and Chosun period in Chonbuk region through time, there was a severe limitation to analyze original structures due to the scarcity of the remainign structures. Nevertheless, if proper investigations of kilns relics are taken, hopefully,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roof tiles will be reconstruc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aftspeople who managed the structure of kilns and societies of this region at those times will be greatly understood.

      • KCI등재

        나말여초 청자 제작과 전통기술

        방병선(Bang, Byung-Sun) 한국고대학회 2009 先史와 古代 Vol.30 No.-

        본고는 나말여초에 이루어진 대중도자교섭과 청자 발굴 성과 등을 바탕으로 발생 초기와 이후 변천 과정에서 나타는 고려청자 제작의 전통기술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먼저 통일신라시대에는 왕궁과 주요 사지, 성지 등지에서 다양한 중국도자가 출토되어 다양한 수요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소비계층을 배경으로 중국장인의 기술지도에 의해 제작된 청자는 중국 남․북방 청자의 양식과 기술을 많이 참고하였다. 반면 통일신라시대 고화도 경질도기는 인공적인 시유 여부를 떠나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강력한 도자 전통이 존재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청자 제작 기술을 몇 가지로 분류하고 중국 도자 기술과의 비교, 고찰을 통해 전통 기술을 파악하였다. 먼저 가마 구조에서 진흙 가마는 측면 출입구 등 중국 청자 가마와 유사한 면을 부인하기 어렵지만 벽돌 가마를 제치고 조선시대까지 이어진 것은 한국적 전통의 하나로 고려하였다. 다음 나무 재를 사용한 유약은 고려 초기 “고칼슘 저규소” 성분이라는 중국 월주요 청자 유약 성분과 유사성을 띠지만 발색제와 발색 메카니즘은 중국 청자와 다른 것으로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유약의 발색제 중 티타늄보다는 망간의 양이 더 많고, 얇은 유층과 적당한 기포 생성으로 태토가 은은히 들여다보이도록 한 것은 고려만의 특성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고려 초기 강진을 중심으로 행해지던 초벌구이 역시 중국과 다른 원료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경제적 고비용에도 불구하고 고려 전 지역으로 퍼져 전통기술로 정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tradi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 of Koryo celadon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Koryo dynasty. First the imported Chinese wares were investigated to study the background of celadon production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and the early Koryo dynasty. During that period, various Chinese celadons and white wares such as Chinese Yue, Ding, Xing and Tongguan wares were excavated in the palace, temples and castles of Kyungju and other places in Korea. Owing to the sponsor of them, the Koryo celadon potters were supposed to be guided to copy the Chinese southern and northern ceramic style and technique by the Chinese potter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trong tradition of Korean ceramic Producing techniques in the earthen ware kilns which especially located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Next the celadon producing technique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and surveyed to study the traditional ones. There were two kiln types-brick and clay-in Korea. A clay kiln which was primarily used in southern pant of Korea, different from Chinese brick one, became the prime kiln type of Koryo dynasty while it was rare in China. And the ash glaze of Koryo celadon was supposed to have the different mechanism of coloring from Chinese Yue wares even though their chemical composition were very similar in the high calcium and low silica structure. But Koryo celadon glaze contained more manganese than Chinese Sung celadon glaze which contained relatively more titanium. It would make the Koryo celadon glaze more greyish green than the Chinese one. The thin glaze and the proper number of bubbles in the Koryo celadon glaze made the day more visible than the Chinese celadon. So it could bring forth brilliant new color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ing color of the body and the glaze of celadon. Finally, the biscuit firing was done around the Gangjin kilns in the initial stage of Koryo dynasty. But it soon spreaded to the whole kils in Koryo because the Koryo potters might think that it would be very useful to strengthen the material's hardness in spite of the high cost. In conclusion, the clay kiln, the glaze coloring mechanism and the biscuit firing were developed as the Korean traditional techniques.

      • KCI등재

        실험고고학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마연토기의 제작복원

        신경숙,오민미 한국문화유산협회 2010 야외고고학 Vol.0 No.8

        청동기시대 부장토기로 널리 알려진 적색마연토기(紅陶), 흑색마연토기(黑陶), 채문토기(彩文土器)를 대상으로 실험고고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제작, 성형, 소성에 이르는 련의 과정을 재현한 것이다.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안료를 선택하고, 제작된 토기에 여러 지 방법을 적용해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기면에 발현된 적색마연기법과 흑색마연기법, 문기법을 복원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인돌에서 출토된 부장용 마연토기를 분석하여 기형을 분류하고 적색마연 토기 20점, 흑색마연토기 8점, 채문토기 7점 등 총 35점을 제작하였다. 마연기법의 발현이 태토의 차이인지, 소성방법의 차이인지, 또한 안료의 도포시기에 대한 차이인지를 알아 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였다. 실험결과 적색마연기법은 소성 전 붉은색안료(산화철, 붉은 황토, 붉은 돌)를 도포하고 덮개형과 같은 환원분위기에서 소성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흑색마연기법은 기면에 바른 흑색물질보다는 소성방법에 의한 차이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채문기법은 소성 전 의도적으로 무늬를 그리거나 유기물을 이용하는 것 보다는 소성 후 토기 표면에 무늬를 표현하는 것이 본래의 모습에 가깝게 재현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reproduce the production, formation and firing processes of red and black burnished pottery and pottery with eggplant design, both of which were frequently used as grave goods in the Bronze Age. Attempts were made to reproduce the red surface, black surface, and eggplant design techniques observed on these types of pottery by carrying out experiments in a variety of ways, and by selecting different paints from the various material found around us. Polished pottery excavated from dolmen buria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rm and a total of 35 ceramic vessels - 20 red burnished vessels, 8 black burnished vessels, and 7 eggplant design vessels - were produced during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Attempts were also made to identify whether differences in the burnished effect were due to differences in the base clay, firing method, or the timing of paint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reasonable way of undertaking the red burnished technique and black burnished technique was to fire the vessels in the reduced atmosphere of a covered kil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black burnished effect may have been due to the mode of firing, rather than black surface treatments. Finally, it was identified that producing designs on the vessel surface after firing, rather than deliberately making them or using organic materials before firing, resulted in examples which were the most similar to the original vessels.

      • KCI등재

        11~16세기 도기가마의 변화과정과 의미

        김태홍 한국상고사학회 2017 한국상고사학보 Vol.98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change process of pottery kiln from the 11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 In the research, pottery kilns were classified in terms of its size, construction method and floor shape. Then, the period of use for each classified kilns were estimated based on scientific analysis of the potteries excavated from inside the kiln, waste disposal site and craft workshop discovered during the archaeological research. Moreover, change in the production system of kilns were studied and compared to that of the porcelain kilns system that were u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order to trace how the pottery kilns changed over time and their reason and genealogy. As result, while the underground type pottery kilns consistently showed up from the 11th to the 16th centur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appeared first during the 12th century around Gangjin area and increased steadily, eventually becoming the dominant form of pottery kilns by the 15th century. Then, Since then,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changed to thin and long rectangular shape where the width of the chamber is fixed. The change in pottery kilns seem to be closely related to kiln production system. While the ground type pottery kilns during the 12th century was included in the combined production system of porcelain and pottery and affected by the blue porcelain kiln technology, the ground type pottery kiln during the 15th century were divided into pottery and porcelain production system, with independent system for pottery kiln production system. As result, it was less affected by the buncheong porcelain or baekja porcelain kiln production technology. 본 글은 11~16세기에 운영되었던 도기가마를 대상으로 도기가마의 운영시기와 가마구조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연구목적을 위해 본 글에서는 도기가마를 가마규모, 축조방식, 평면형태 등으로 나누어 도기가마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도기가마는 가마의 내부, 폐기장, 공방지 등에서 출토된 자기와 고고학적 조사과정에서 실시한 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유형별 운영시기를 추정하였다. 이후 시기에 따라 도기가마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도기가마가 변화하게 된 원인과 계통은 무엇인지를 찾아보기 위해 도기가마의 생산체제 변화와 동시기에 운영된 자기 가마구조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지하식 도기가마는 11세기부터 16세기 전반까지 꾸준히 나타나는 반면에 12세기 이후에강진을 중심으로 등장한 지상식 도기가마는 서서히 증가하여 15세기에 이르러 지하식 도기가마를 누르고 새로운 도기가마의 중심에 섰다. 이후 지상식 도기가마는 15세기를 지나면서 번조실의 너비가동일한 세장방형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도기가마의 변화는 가마의 생산체제와 관련이 깊을 것으로 추정된다. 12세기의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와 자기의 복합 생산체제 안에 포함되어 청자가마의 기술적 영향을받았으나, 15세기 지상식 도기가마는 도기가마와 자기가마가 별도로 존재하여 자기가마의제작공정을 벗어나 단독 생산체제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생산체제의 변화는 도기가마가분청사기나 백자가마의 영향을 덜 받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