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언어재활과 졸업생의 취업처 분석을 통한 재학생 진로방향 모색

        이상호(Sang Ho Lee),김시영(Si Young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한국언어치료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2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looking for change of future job place by analysing graduates" job place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base line data and curriculum operation for efficient career guidance. Methods: Study targeted speech rehabilitation department graduates of three-year course from 2015 to 2017. Job placements associated with speech rehabilitation are classified with 3 job placement, speech clinic center, the day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 Intensive-course students are classified with transfer students. Other job places except for these three places and the unemployed are classified with etc. Results: Employment rate related on speech rehabilitation department is 72.5%. The analysis depending on job place is special care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34.3%), special care center(33.7%) and community relief center(4.5%) from highest to lowest. Conclusions: The number of speech clinic centers increasing, excessive competition occurred. So, new type of job placements needs to be created. At the perio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w type of job places is created, not just original job place existing. In the fields of speech therapy, it is demanded combining ideas to create new jobs and innovating thought.

      • 지적장애학생 직무개발과 배치업무를 담당한 교사 경험연구

        한정우(Han jung-woo),강수정(Kang soo-jung)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9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직무개발 및 배치업무를 담당하는 교사들의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 장애학생의 직무개발과 취업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탐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내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에서 직무개발 및 배치업무를 담당한 특수교사 5인을 대상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직무개발과 배치업무에서의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을 알아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직무개발 및 배치업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직무개발 및 배치 전담 인력 현황, 직무개발 및 배치과정에서의 고용주의 요구, 취업 의뢰 시 준비과정, 직업유지 기간, 직업유지를 위한 적합직종, 주요 취업처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겪는 어려움은 교육청 지원의 부족, 중증장애학생 지도의 어려움, 직업개발 담당자 부족, 교사업무 병행의 어려움, 취업지도의 한계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한 개선방안 제시로 다양한 직종개발, 공공서비스 지원확대, 사회인식 변화, 교사의 전문성 강화 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achers work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n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proc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specia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vocational development and placement proces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deep-interview and transcribed the contents. And data analysis consisted through coding, one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llows as. First,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course of job development and placement proces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ppeared as the status of occupational development and placement personnel, needs of employer, preparation for employment, period of job maintenance, major workplace. Second, the difficulties which faced the teachers appeared as the lack of Education Office support,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sufficiency of job development staff, difficulty of teacher work paralleling, limitation of employment guid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development of various job types, expansion of public service support, change of social perception, reinforc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 KCI등재

        대학입학 유형 및 대학생활 경험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수경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대학입학부터 대학생활, 노동시장으로 까지의 이동 단계에서, 입학유형이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 및 상용근로자로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2년 8월 졸업자 및 2013년 2월 졸업자 17,720명을 대상으로 한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3)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편입학은 입학에 비해, 특별전형 유형은 일반정시・일반수시 유형에 비해 졸업평점 3.0 미만과 4.0 이상의 극단적인 학점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대학프로그램 참여에는 소극적이고, 교외활동은 자격증 획득에 집중하는 경향성이 분석되었다. 둘째, 입학은 편입학에 비해, 일반정시・일반수시 유형은 특별전형에 비해 학점관리, 대학프로그램 참여, 교외활동 프로그램 참여 측면에서 다양한 대학생활경험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활 경험의 차이는 취업 및 상용근로자로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대학생활 경험 중 학점관리보다는 대학프로그램 참여, 교외활동 참여가 취업 및 상용근로자로의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대학은 취업 지도에서 대학생이 학점관리에 과도한 비중을 두기보다는 대학프로그램과 교외활동에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하였다. 특히 편입학 유형, 특별전형 유형의 입학자들 대상으로 대학프로그램 및 교외활동 참여를 적극 독려할 필요가 있닥 제언하였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평가를 통해 대학성과를 판단함에 있어서 졸업생들의 단순한 취업률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대학이 제공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학생특성에 맞춰 다양하게 개설되고 있는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 있는지의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질에 초점을 둘 것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성과를 제고하는 차원에서 취업지도 전략을 설계하는데 주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ollege admitted type of students on the college life experience and the employ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17,720 college graduates graduated in August 2012 and February 2013 from 2013 GOMS and analyzed using T-test and correlational analysis of SPSS statistic packag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transfer admissions and special admission are more extreme oriented on their grade under 3.0 or over 4.0 than the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general admissions and occasional-regular admissions. Second, the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general admissions and occasional-regular admissions experienced more diverse and active on grade management, in school program, out-of-school program than the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transfer admissions and special admission. Third, the difference on college life experience by the college admitted type influenced on their employment and employment’s position after graduation. A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two concluding arguments were made. First, college need to guide students to experience more diverse in-school and out-of-school programs, and to develop more valuable program for their employment and stable employment position after graduation. Especially it is necessary develop in school and our-of-school program for the college students admitted through the transfer admissions and special admission to adapt themselves to college life and to find stable job. Also government need to improve college evaluation policy focusing on employment rates more than focusing on quality of employment aid program with variety and use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