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ㆍ연수ㆍ배치에 대한 기준 설정 연구

        이신동(Lee Shin Dong),이정규(Lee Jeong Kyu),박춘성(Park Choon Su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1

          영재교육의 확대정책에 따라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연수?배치는 시급하고도 중요한 과제 중 하나다. 그리고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연수?배치는 명확한 기준에 의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그런데, 영재교육의 현 실태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근거하기 보다는 시?도별로 각기 다른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문헌연구와 영재교육을 우리보다 먼저 시작한 미국, 싱가포르, 이스라엘의 영재교육 담당 교원 양성ㆍ연수ㆍ배치 제도를 확인하고, 국내 실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외국의 경우는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ㆍ연수ㆍ배치제도가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기능하고 있지만 국내의 실태는 법적, 제도적, 실제적으로 미비한 점이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양성?연수?배치제도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had two purpose. The first was to investigate to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The second was to develop a new standards for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For the purpose of this, we search the article for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For doing this, the researcher has set up the standards for teacher of the gifted.<BR>  As a result, provide a frame of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for the teacher of the gifted in America, Singapore, Israel and South Korea. The result show that in korea, the gifted teacher pre-teacher training, in-service training, and placement has been different from local education office. The result also show that standards for gifted teacher was talents, cognition, emotion, environment, professional areas. Suggestions for the advanced research are argued in this paper.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교원 연수의 중요도와 효과성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최호성 ( Ho Seong Choe ),박경희 ( Kyung Hee Par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우리나라 영재교육 교사 연수에 참여한 교사 2,00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으로는 교사 연수 경험과 연수 이수 후 영재교육교사로 활동하고 있는지의 여부, 그리고 영재교육 교사 연수의 교육내용으로 각 문항의 중요도 및 전문성 향상의 도움 정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관련 연수경험은 기초연수, 심화연수, 전문연수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수이수 시간은 60시간, 120시간, 180시간, 240시간 순이었다. 연수영역은 과학, 수학, 관찰 추천 순이었다. 연수 후에 86.3%는 강사로 활동한 경험이 있거나 현재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수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교사의 전문성 도움 정도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영재의 창의성 신장기법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기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 철학, 이론, 모형 및 연구방법과 국가 및 시·도 교육청 영재교육정책 이해는 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재직학교별로는 초등교사들과 중등교사들 모두 창의성 신장기법을 중요하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초등교사들이 중등교사들보다 각 연수 내용의 중요도와 도움정도를 유의미하게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넷째, 재직기관별로는 영재학급 교사들이 영재교육원 교사들보다 연수 내용의 중요도와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았는데, 특정영역(과학, 수학, 발명, 정보)에 대한 도움은 영재교육원 교사들의 인식이 높았다. 다섯째, 교과영역별 차이로는 수학 교과 교사들이 과학이나 여타분야 교사들보다 연수내용의 중요도나 도움정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Promotion Act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Enforcemen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00), there has been increasing need to have well-prepared teachers in gifted education. In its early days,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al Institute has led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Based on such early efforts to establish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the Office of Education at the local level (each province and metropolitan city), universities, and special institutes for the gifted education has been rapidly expanded and qualitatively developed. This study administered a 62 question survey to 2,007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formal in-service training programs specializing in gifted or talented education to measur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nd their perceptions of program’s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as a whole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nd have directly applied the course content to their current teaching situations. Second, the in-service program needs to provide courses which differentiate teachers who have already successfully completed the basic level training to motivate and develop their professional competencies. Third, the scope or range of gifted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from its math and science centered programs to include the arts, athletics and even leadership programs. Forth, the in-service basic course for gifted education should be extended to teachers in regular schools to help nurture creativity in Korean education. Lastly, to sustain the progress achieved by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 in gifted education a set of nation-wide standard of professionalism, curriculum, and assessment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서보경,맹희주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1

        This research studies the perception to gifted education teachers between the middle school gifted education for STEAM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for revitaliz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awareness for STEAM, and it appears that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especially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who awarenes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not only teachers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the very poorly recognition for the task of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Education promo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creative and convergence content, a they has the very low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And it analyzes that althoug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teachers who are in science gifted teachers and the mature experienced man realizes very optimistically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refore, it analyzes that recognition to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reinforced through the training for the gifted teachers in th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and in less teaching experience. But it points out that answers over the majority cognized to resemble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STEAM, though the object is only different.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ifferentiate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providing the suitableness for the characteristic and level is needed for the desirable fixedness. 본 연구는 융합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지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은 현장 적용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추진과제로서 창의․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포함되어 있음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으며, 콘텐츠 개발 경험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영재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육 교원 연수를 통해 수학영재 지도교사와 저경력의 영재 지도교사들에게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이 대상만 다를 뿐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영재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영역별 영재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차별화된 융합영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