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구 경제활동유형에 따른 가구의 소득세, 재산세, 부가가치세 비교 분석

        조하영(Hayoung Jo),송헌재(Heonjae Song),박명호(Myung-Ho Park)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20 재정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각 가구의 특성뿐만 아니라 조세를 상세하게 조사하고 있는 재정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가구 경제활동유형별 가구 세부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영사업자 가구는 근로소득자 가구보다 소득세를 적게 납부하지만 소득의 변동성이 크며, 자산을 더 많이 소유하고 있고 재산세를 더 많이 납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뿐만 아니라 소비액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부가가치세 또한 더 많이 납부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자영사업자 가구와 근로소득자 가구가 납부하는 소득세에 차이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표면적으로 조세형평성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한편으로는 변동계수로 추정한 자영사업자가구의 소득 변동성이 근로소득자 가구보다 대략 33% 높게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불안정성에 대한 보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households’ tax burden by household economic activity type using NaSTaB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come-earner households pay more income tax than self-employed households, but self-employed households have greater Coefficient of Variation (CV) in household income. In addition, selfemployed households have more real estate and pay more property tax. Their consumption is also greater than income-earner households, hence it is likely that they pay more value added tax. The tax difference between the self-employed households and income-earner households might seem to be against the tax equity but it can be interpreted as compensation to the income instability.

      • KCI등재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한 간접세의 소득계층별 부담수준 측정

        전병욱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학 연구 Vol.28 No.2

        This study measures the burden of indirect taxes (value added tax (“VAT” hereafter), liquor tax,individual consumption tax and transportation․energy․environment tax) across different income level using the household survey data of the Statistics Korea from 2006 to 2009. Based on the assumptions that the shifting of VAT burden through exemptions does not occur and the price elasticity of supply is much bigger that of dem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the proportion of the burden of each indirect tax (or total indirect tax) to household income increased with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which shows the consistent “regressivity” of indirect taxes. Second, the proportion of the burden of liquor tax to household consumption increased with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whereas the proportion decreased with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as for each remaining indirect tax. Finally, while the regressivity of indirect taxes happened each year, the proportion of the burden of total indirect taxes to household income decreased with time, which shows the increase in household income as well as the decrease in “average propensity to consume” during the period.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소득계층별로 간접세(부가가치세, 주세, 개별소비세 및 교통세)의 부담수준을 실증분석하였다. 면세를 통한 부가가치세 부담의 암묵적 전가가 발생하지 않고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수요의 가격탄력성에 비해 충분히 크다는 것 등의 가정을 바탕으로 실증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가가치세, 주세, 개별소비세 및 교통세의 부담액과 그 합계액이 가구 소득에서 차지하는비율은 높은 소득계층일수록 작아져서 일관된 역진성을 나타냈다. 둘째, 가구 소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주세의 경우에는 높은 소득계층일수록 작아지지만나머지 조세들은 높은 소득계층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류 구입금액이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은 소득계층일수록 높아지는 것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간접세 부담액이 가구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역진성을 나타내는 것은 연구대상연도에 매년 발생했지만 간접세 부담액의 비율은 연도별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 연도별로 가구 소득이 증가하는 반면 평균소비성향은 감소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세대(世帶) 관점에서 바라본 부동산 관련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의 합리적 과세단위 개선방안

        박훈 한국지방세학회 2020 지방세논집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tax unit for real estate-related taxes and to suggest reasonable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tax unit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etc. In this case, real estate-related taxes include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local income tax, and further related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capital gains tax. This article consists of (II) the basic matters concerning the tax unit of local taxes related to real estate; (III) the problems of local taxes related to real estate, which are exceptionally recognized household as tax unit; (IV) measures to unify all of them on an individual basis or to unify them on a household basis only with exceptions; (V) conclusion. Acquisition tax at the acquisition stage, property tax at the holding stage, and capital gains tax at the disposal stage and personal income tax at the acquisition stage have the following problems; The units of taxation for each phase of acquisition, retention, and disposal are inconsistent.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hether it is a household in taxation. There is tax discrimination between single-person and large-family households. Contrary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ruling, the government is considering combining the income of couples in tax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tax unit shall be unified into individual units in the case of real estate-related taxes. With an individual unit taxation system already in place, the real estate tax system is not an exception. In the case of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it is also to the effect that it was changed to individual taxation due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hat it is unconstitutional to aggregate taxation on housing by households. However, if an individual tax unit can be an excessive benefit for multi-house owners, and if the tax unit other than the individual unit should be maintained exceptionally conside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estate tax system and other taxes,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taxation unit may be considered for the exception of tax exemptions, reductions, and heavy taxation. In this case, the so-called “Sedae” method(a method that focuses on livelihood requirements) is more appropriate than the so-called “Gagu” method(a method requiring only resident registration requirements). This is because the “Sedae” method, which focuses on living requirements, is more consistent with the policy purpose of the real estate tax system. In the case of unification on a household basis, legisla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unify the household concepts scattered in various tax laws. 이 글은 저출산, 고령화 등에 따라 가족의 구성원수의 변화가 있다는 전제에서 부동산 관련 세금의 과세단위의 현황을 파악하고 과세단위와 관련한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부동산 관련세금은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더 나아가 관련된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까지 포함한 것이다. 이 글의 구성은 (Ⅱ)부동산 관련 지방세의 과세단위 관련 기본사항, (Ⅲ)예외적으로 세대 과세단위를 인정하는 부동산 관련 지방세의 문제점, (Ⅳ)예외적으로 세대 과세단위를 인정하는 부동산 관련 지방세를 개인단위로 통일하는 방안과 예외적 세대 중심의 통일방안 등의 개선방안, 그리고 (Ⅴ)결어의 순서로 되어 있다. 취득단계의 취득세, 보유단계의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처분단계의 양도소득세와 개인소득세의 경우를 보면, 취득, 보유 및 처분 단계별 과세단위의 불일치성, 세대 여부 파악의 과세상 어려움, 1인 세대와 대가족 세대의 과세상 차별, 부부의 소득을 합쳐 고려하는 것 등이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단위로 통일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1인 중심의 과세체계가 이미 정립된 상황에서 부동산세제라고 해서 이를 예외적으로 달리 볼 것은 아니다. 종합부동산세의 경우 주택에 대해 세대별 합산의 위헌결정으로 개인별 과세로 변경된 그 취지에서도 그렇다. 다만 개인별 과세가 1세대 다주택자에 대해 과도한 혜택이 될 수 있다는 점, 부동산세제와 다른 세제와의 차별성 등을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개인단위 이외의 과세단위를 유지를 해야 한다면, 비과세, 감면 및 중과라는 예외시 통일적인 과세단위 정립은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가구방식(주민등록지요건만 요구하는 방안)보다는 세대방식(생계요건에 초점을 맞추는 방안)이 더 타당하다. 생계요건에 초점을 맞추는 세대방식이 부동산세제의 정책목적에 더 부합되기 때문이다. 세대 기준으로 통일하는 경우 여러 세법에 흩어져 있는 세대 개념을 하나로 통일하는 입법적 조치가 이루어 져야 한다.

      • KCI등재

        2008년 이후 근로소득세제 개편의 소득재분배 및 세부담 효과

        박종선 ( Park Jong Seon ),정세은 ( Jeong Seeun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4

        Korean household income tax system has experienced no little change in its nominal tax rate structure and deduction measures since 2008. This paper focuses on the impact on household earned income of these changes, especially analyzing the impacts on effective tax rates, income re-distribution and progressivity indices of household income tax system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effective tax burden and after-tax-income shares across households. These indices are normally influenced by the way the nominal tax rate structure and a variety of deduction measures are designed. The result of changes in these factors during 2008 and 2014 lowered re-distribution index and total effective burden rate and increased progressivity and the ratio of non-tax payers. The decrease in income re-distributive effect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decrease in deduction for wage and salary income. By the way, analysis of income share ratios of the whole households shows share of lower 40% households has mildly decreased during that period. As the income distribution of household has been seriously aggravated, the changes in household income tax system in the last ten years cannot be considered to be desirable.

      • KCI등재

        Income Distribution Effects of Imposing Carbon Tax on Transportation and Household Fuels

        임병인,강만옥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3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sults of income distribution effects of the current energy-related taxes compared to when the carbon tax is levied on CO₂ emissions from transportation and households, by using the data from 2009 Survey of the Household Income & Expenditure Trends and applying Kakwani index.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most carbon dioxide emitting fuels were household LNG, gasoline and diesel oil in that order. Second, the carbon tax charge per household was analyzed to be greater for transportation fuels based on total households. Additionally, for transportation fuel, depending on income decile, the carbon tax increased at a constant rate, which reflected a regressive nature. Third, according to the Kakwani index's estimation result, the tax imposed on household fuels was proportional while the tax imposed on transportation fuels including carbon tax was mostly regressive. Fourth, all taxes imposed on transportation and household fuels were almost proportional. However, when carbon tax was additionally imposed, they were regressive. That is, in terms of equity, when carbon tax was imposed, it showed that low-income households would be relatively more disadvantageous than high-income households.

      • KCI등재

        1인 가구의 증가에 대응한 조세제도의 합리적 개편방안

        전병욱 한국조세연구포럼 2019 조세연구 Vol.19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 of unequal income tax burden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are expected to steadily increase reflecting social structural changes, and suggests how to rationally revise tax laws to relieve that problem focusing on the reform of the tax unit. Income tax based on individual income gives unfavorable tax treatment for married couple households, and the optional split-income procedure could be considered as a technical solution for the problem. However, in implementing the procedure, too heavy an income tax burden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might happen, which should be coped with the regulation of limit for tax savings of married couple households. Adopting the family coefficient system could also be a realistic solution about the reform of the tax unit, besides helping confront the problem of low birthrate and heavy parenting burdens. However, in case the system is applied to the calculation of tax base, onerous income tax burdens for unmarried households could also be brought up, and those problems would be handled with narrowly defining the “dependents” in tax laws as well as setting a ceiling on tax savings of married couple households. 본 연구는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장래에도 지속적으로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1인 가구에 대하여 현행 소득세 과세제도가 차별적으로 운영되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세제도의 개편방안을 소득세 과세단위의 개편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혼인 가구에 대한 세법상 차별적 취급을 하는 현행 개인단위 과세의 현실적 개선방안인 선택적 2분2승제의 실제 시행과 관련해서 독신자에 비해 혼인가구의 절세효과가 커서 1인 가구의 세금부담이 과중해지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세액의 경감한도액 설정이 가장 현실적인 해결방안이지만, 선택적 신고방식과 무관한 1인 가구의 경제적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감한도액의 상대적 비율이 과도하게 설정되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와 함께 1인 가구의 과중한 세금부담의 완화와 함께 저출산 및 양육부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족계수제도 소득세의 과세단위와 관련한 합리적인 제도 개편이지만, 1인 가구에 대한 세금부담 측면의 상대적 불이익이 발생하는 시행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기본공제대상자에 한정해서 산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혼인가구의 가족계수 값이 과도하게 계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선택적 2분2승제와 같이 개인단위 과세를 적용하는 경우의 세금부담에 대한 경감한도액의 상대적 비율이 과도하게 설정되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宮房田의 변화 추이 -折受․免稅에 대한 논의와 정책을 중심으로-

        염정섭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60

        17세기 인조대에서 현종대까지 궁방의 경제적 기반인 궁방전이 확대되었다. 궁방전은 無主陳荒地의 折受로 개설되는 것이 원칙이었지만, 궁방은 折受를 내세워 사실상 주인이 있는 토지인 有主民田을 침탈하였다. 한편 일반 民人 가운데 일부는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民田을 宮房에 投托하여 무거운 征賦를 모면하려고 하였다. 17세기 중반 궁방전 免稅가 확대되면서 나타난 문제 때문에 결국 궁방전 면세 결수의 定限을 설정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17세기 후반 궁방전 折受의 혁파 문제가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하였다. 궁방의 所有地로써 확보되는 田畓을 더 이상 궁방에 折給해주지 않는 것과 收稅地의 折受인 경우 免稅 조치의 철회, 또는 免稅 규모의 제한 등으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1688년 戊辰定式이 마련되었는데 折受의 革罷, 民結免稅의 도입, 給價買得制 채택, 면세 結數의 定限을 규정한 것이었다. 1695년에 마련된 乙亥定式은 折受 革罷 재확인, 民結免稅制의 정립, 給價買得制의 확인, 宮庄 마련하기 전까지 米太 輸送 등의 내용을 갖고 있었다. 숙종대 후반 궁방전의 존재양태는 1719년에서 1720년에 걸쳐 실시된 三南量田 사업의 결과로 만들어진 庚子量案에서 확인된다. 경자양안을 비롯한 관련 양안에 보이는 궁방전의 主 기재방식에서 당시 궁방전을 파악하는 방식을 찾아볼 수 있다. 경자양안의 경우 諸宮家에서 給價買得하여 免稅된 곳이거나 無主處를 永賜牌받아 免稅된 이른바 ‘買得與賜牌免稅而永作宮屯’와 民結을 折受받아 면세된 곳인 有主民結免稅處, 2가지로 궁방전을 나누어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는 면세를 기준으로 삼아 궁방전을 파악하는 조정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었다. From the King Injo`s reign to King Hyeonjong`s reign, during the 17th century, royal household land was expanded as main economic base of the royal household. Basically royal household land was opened by land-cutout over wasteland of no owner. But royal household dispossessed people`s own land using cut-out land illegally. Meanwhile some people assigned his own land to royal household in order to avoid heavy burden of taxatio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Joseon government made decision to setup the maximum limit of the tax-free land size possessed by royal household. In the late 17th century imminent problem about royal household land was abolition of land-cutout to royal household. There were a lot of discussions about that issue, for example someone argued no more land- cutout to royal household, others argued withdrawal of tax-free favor to royal household land. Therefore at 1688 Joseon government determined Regulation of Mujin Year, main contents of that contained abolition of land-cutout to royal household, introduction of tax-free over people`s own land, bargain land by payout of Joseon government. So Regulation of Eulhae Year, at 1695, reconfirmed the force of Regulation of Mujin Year, added the code of payment of cereals before arrangement of royal household land. During 1719 and 1720, Joseon government carried out Land Survey of Gyeongja Year over Hasamdo(Chungcheong, Jeonla, Gyeongsang). We can find the method of enrollment of royal household land by examining Land Register of Gyeongja Year. There were two ways of enrollment of royal household land. The one was to enroll royal household land as his own land, and the other was to enroll royal household land as his tax-free land over people`s own land.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정부의 호구 파악과 관리

        이유진 한국사학회 2024 史學硏究 Vol.0 No.154

        1896년 9월 이후 실시된 신호적 제도는 근대 전환기에 내무행정의 일환으로서 인구를 파악하려는 중앙정부의 의도를 반영하며 실시되었으나, 다른 한편으로 행정단위별 총액제–공동납이라는 조세 행정의 관행과 결부되어 세원을 확보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 중앙정부에서는 내부 판적국–13도(道) 관찰부–군(郡)의 행정 체계를 토대로 전국의 호구를 관리했다. 군별로 전년도 대비 호구수의 증감 여부는 호적 사무의 완성도를 판단하는 기준, 나아가 지방관을 포폄하는 사유가 되었다. 이때 신호적의 호구, 즉 중앙정부에서 장악한 호구는 지역 내 거주자 총수를 의미하는 인구라기보다는 세원에 가까운 것이었다. 군에서 중앙정부에 보고하는 공식적인 호수는 고정·지속되는 경향이 있었고, 군에서는 그보다 더 많은 호수를 파악하여 호전의 차액을 지방 경비로 활용했다. 실제로 군에 거주하는 모든 개별 세대 및 인구는 1910년까지 완전히 표면화되지 않았다. 면리 단위의 총액제와 공동납 체제하에서 이들을 굳이 파악해서 중앙정부에 보고하고 일일이 세금을 거둬야 할 동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신호적 제도 도입의 의도는 중앙정부에서 모든 개별 세대와 인구를 파악하려는 것이었으나 그 제도를 운용하는 사람들의 호구에 대한 인식과 관념은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중앙정부에서는 여전히 ‘호구증(戶口增) 부역균(賦役均)’을 외쳤고, 호적대장이 매년 왕에게 바쳐지는 의례적 헌민의 행위도 지속되었다. 근대적 개혁이라는 급격한 변화의 기저에서는 기존의 인식과 관행이 극대화되고 있었다. In September 1896, the new type of households an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the central government to reflect the intention to grasp the whole national population and households as part of the home affairs of a modernized country. However, since the system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ax administration practice of total taxation and joint payment by an administrative unit, the new household registers were actively utilized to secure tax sources. The central government managed the new household register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counties(gun 郡), 13 provinces(do 道), and the Bureau of Publication, Home Office.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in each count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as a standard for judging the perfectness of registration and for personnel evaluation of local public officials.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s and individuals referred to the total amount of tax sources of household tax rather than the total number of residents in the region. The county had three kinds of total numbers of households in the area - an ‘official’ number repor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a number the county identified for local finances, more than the official one, and the number of households de facto -. In tax administration - the practice of total taxation on and joint payment by an administrative unit -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population repor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was not the result of identifying all residents in the area. The central government intended to identify all households and populations in the country by implementing a new household registration system. However, the perceptions and notions of those who operated the system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ra of the Chosŏn Dynasty. The central government insisted on ‘increasing households and population’ and ‘fair levying of tax’ like before. The ritual devoting the people in the kingdom to the king every three years changed into every year. Despite the rapid changes called modern reforms, the old perceptions and practices persisted at the base.

      • KCI등재후보

        헌법상 혼인의 보호와 주택세제

        백제흠 한국지방세학회 2020 지방세논집 Vol.7 No.3

        Amidst the grave situation where marriage and family life is in jeopardy due to rise in non-marriage and low birth rates, this article evaluates the taxation system for housing, which is the living foundation for marriage and family life,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in terms of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marriage. Marriage protection under the Constitution is a basic right, composed of right to liberty, right to equality, social rights and institutional security. The right to liberty and equality in terms of marriage protection under the Constitution is subject to strict constitutional review based o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and is protected from unjust infringement by the state; wherea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excessive restriction is applied for the social rights aspect of the protection of marriage. Further, in order to ensure marriage and family life, active financial support by the state is required. In terms of tax law, marriage protection under the Constitution firstly requires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ory taxation for married couples, and active support by tax expenditure on marriage is further desired. Housing is subject to taxation at the stage of acquisition, possession, and transfer. The current housing tax system defines a family community formed by marriage as a household, and gives tax benefits to a household owning a single house while imposing heavy tax burden on owners of multiple houses. Such current household-oriented housing tax system, where tax exemption and heavy taxation is determined based one house per one household regime, gives both married couples and couples about to be married, compared to unmarried people or couples in de facto marriages, an incentive to deviate from marriage and attempt to reduce the tax burden.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unlike unmarried people who are subject to tax benefits even if they each own a house, married couples can only receive tax reduction for a single house as a couple and bear a heavy tax burden for owning multiple houses. This violates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marriage by discriminating against married communities in favor of unmarried people or couples in de facto marriage and by violating free decision making for marriage. As a measure to improve such household-oriented housing tax system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marriag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taxation unit from an individual unit system to a married unit system. For the married unit system, tax benefits should be granted to one house per person for a married couple in taxing the acquisition, possession and transfer of a house and thereby removing the discriminatory tax burden for marriages. Alternatively, even if the household-oriented system is maintained, it is reasonable to grant tax benefits to two houses for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marriage, thereby allowing a similar outcome to the married unit system. The individual housing tax system should also be reorganized so as to constitutionally protect marriage by eliminating unconstitutional elements regarding additional residency requirements for special long-term holding deductions and the application of the 12% gift and acquisition tax rate for gifts between married couples. Such improvement plan for the housing tax system not only prevents violations of the right to freedom and equality to ensur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marriage, but also actively guarantees the protection of marriage as a social right in the era of non-marriage and low birth rates. 본 논문에서는 비혼과 저출산으로 혼인과 가족생활이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헌법상 혼인의 보호의 관점에서 혼인과 가족 생활의 터전이 되는 주택에 대한 과세제도를 평가하고이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헌법상 혼인의 보호는 기본권으로서 자유권과평등권 및 사회권의 성격과 제도보장의 성격을 가지고 있고 기본권으로서의 자유권과 평등권에 대하여 비례원칙에 의한 엄격한 위헌심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회권으로서 혼인의보호에 관하여는 혼인과 가족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이 요청된다. 주택은 취득, 보유 및 양도의 단계에서 과세가 되는데, 현행 주택세제는 혼인으로 구성되는가족공동체를 세대로 규정한 다음 기본적으로 1세대 1주택에 대해서는 과세상의 혜택을 부여하면서도 다주택자에 대하여 과중한 조세부담을 지우고 있다. 1세대 1주택을 기준으로 비과세와 중과가 결정되는 세대중심주의의 주택세제는 비혼자나 사실혼 관계의 부부와 비교하여혼인을 앞두고 있는 남녀로 하여금 세대를 구성하지 못하게 하거나 혼인 중에 있는 부부 모두에게 세대분리를 하도록 하여 조세부담의 절감을 시도할 유인을 주게 된다. 독신의 남녀는각기 1주택을 보유하더라도 과세상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반면 혼인한 남녀는 부부로서 1주택에 대해서만 조세감면의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다주택에 대해서는 과중한 조세부담을 지기 때문이다. 이는 혼인 공동체를 비혼자나 사실혼관계의 부부에 비하여 차별하는 것이자 자유로운 혼인의 의사결정을 침해하는 것으로 헌법상 혼인의 보호에 위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행 세대중심주의의 주택세제의 개선방안으로 우선 헌법상 혼인의 보호의 관점에서 과세단위를 개인단위주의에서 부부단위주의로 변경하는 과세체계의 개편이 필요하다. 부부단위주의에 의하여 주택의 취득, 보유 및 양도단계의 과세에 있어서 부부 주택 2채에 대해서는과세상의 혜택을 부여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세대중심제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헌법상혼인의 보호의 차원에서 부부 기준의 주택수 판정을 2채로 하여 부부단위주의와 유사한 수준의 과세상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고 개별 주택세제에서도 장기보유특별공제의 거주요건추가, 부부간 증여에 대한 12% 증여취득세율의 적용 등 위헌 요소를 제거하여 헌법상 혼인의 보호에 부합하도록 주택세제를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주택세제에 대한 개선방안은 헌법상 혼인의 보호의 기본권으로서의 자유권과 평등권을 침해하지 않고 나아가 비혼과 저출산시대에서 국가가 사회권으로서의 혼인의 보호를 적극 보장하는 것이기도 하다.

      • KCI등재

        19세기 말 郡 내부의 結戶稅 수취-납부 체계와 代納 관행

        이유진 한국고전번역학회 2023 고전번역연구 Vol.14 No.-

        In this article, I examine Tax payment by proxy in the system of collecting and paying land and household taxes in Korea, after the tax system reform in 1894, focusing on the case of Gimsan-gun in 1896-1897. After the Gabo Reform in 1984, taxes dualized into land tax and household tax and were paid in the currency. The central government reduced and fixed the size of local finances that had been operated independently, identified more tax sources, and allocated as much as possible to the central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in actual tax administration, the method of setting and filling the so-called total amount was adhered to.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below the county (gun, 郡) level was maintained when the local system was reorganized. Thus, the earlier practice of collecting and paying taxes continued beyond the 19th century. When reviewing the file of petitions (minjangchibuchaek, 民狀置簿冊) in Gimsan-gun (金山郡) 1896-1897, in relation to land tax and household tax, there had been many requests to collect uncollected taxes from people who refused to pay taxes. There was a hierarchical system closely related to the administrative system, ‘ri (里) → myeon (里) → gun’ for the collection and payment of land tax and household tax. In this collection-payment structure, quotas were set for each level, and representatives of each level were responsible for collecting taxes from lower levels and completing payment within the deadline. For this, representatives even filled up the shortfall whatever it took. If they failed to meet the deadline, they were imprisoned. Tax payment by proxy was a unique practice i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government assigned responsibility to each level of the tax payment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administrative system with the intention of bringing local finances to the center as much as possible. The county attempted to fill the total amount of tax 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administrative power by assigning quotas to each level of the hierarchy rather than individual taxpayers. 이 글에서는 1896~1897년 金山郡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세 제도 개혁 이후 郡 내부의 결호세 수취-납부 체계와 대납 관행을 검토해 보았다. 갑오개혁 이후 결호전 제도가 실시되면서 결세와 호세로 이원화된 세금이 화폐로 납부되었고, 중앙정부에서는 그간 자체적으로 운영되던 지방재정의 규모를 축소․정액하고 더 많은 세원을 파악하여 최대한 많은 재원을 중앙으로 끌어올리려 했다. 반면에 실제 조세 행정은 소위 총액을 설정하여 채우는 방식이 고수되었던 데다가, 지방 제도 개편 시 군 이하의 행정체계가 그대로 존속되면서 수세 과정에서 19세기 이래의 부세 수취-납부의 관행이 지속될 여지가 존재했다. 조세제도 개혁 이후 김산군 민장치부책에서 결세 및 호세와 관련된 사안을 검토해 보면 호수, 리 존위, 면 약정 등으로부터 세금 납부를 거부하는 사람들에게서 받아내지 못한 세금을 추급해달라는 요구가 많았다. 김산군의 수취-납부의 구조를 도식화하면 결세의 경우 ‘납부자 → 호수 → 리 존위 → 면 약정 → 군 서원’, 호세의 경우 ‘납부자 → 동중 → 리 존위 → 면 약정 → 군 색리’의 층위가 드러나고 있어 결세와 호세를 막론하고 수취-납부 구조가 군-면-리 행정체계와 연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수취-납부 구조 하에서 각 층위에 할당된 책임량이 설정되었고, 각 층위의 중간납부층은 하위 단계로부터 세금을 수납하여 기한 내에 납부를 마감해야 했다. 심지어 기한 내에 납부를 마감하기 위해 부족분을 스스로 마련해 대신 납부하는 代納이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마감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 옥에 갇히는 등의 처벌을 받았으므로 재산을 팔거나 빚을 내서라도 본인에게 주어진 할당량을 채워야했다. 또한 대납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면 구조적으로 포흠이 발생하며, 그 부족분이 행정단위 구성원들에게 전가되기도 했다. 대납은 지방의 재원을 최대한 중앙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정부의 의도 하에서 행정체계와 조응하는 수취-납부 구조의 각 층위에 책임을 부여하는 관행으로, 19세기 말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郡에서는 납세자 개개인에게 세금을 부과하고 수취하는 것이 아니라 각 층위의 납부 책임자에게 할당량을 부여하고 기한 내 마감하도록 압박을 가하여 행정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정해진 총액을 채우려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