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용 동선공간 체계에 의한 대형병원의 형태구성에 관한 연구

        고영종,이정만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2 의료·복지 건축 Vol.8 No.1

        Large hospital designs try to accommodate functional needs and spatial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compositional method by horizontal interconnection of public circulation spaces with 'hospital street'. 'Hospital street' and network of public circulation spaces are major elements of consideration for the design of large hospitals, which not only connect functional components but also provide satisfying environment, amenity an patients' life.

      • 의료정책에 따른 종합병원의 로비공간 변화

        한광호,함욱,박창근,이낙운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4 産業技術硏究 Vol.24 No.B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observing changing direction of lobby space that happen by change of medical environment investigating lobby space of General Hospital by our country's medical policy change time and supply pabulum that need in forward Hospital Architecture planning.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Since Whole National Insurance enforcement from 1993 to 1995, form of general hospital lobby is form that outpatient entrance and inpatient entrance are detached. And lobby function divided to waiting space for medication, requisition space and also that is appearing being detached with rest space for user. ntil 1999 since 1996 that is sinc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General Hospital lobby form is making Hospital Street itself do improving efficiency of flow planning being included in lobb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전통의 표상 공간, 인사동의 형성

        전우용 ( Woo Yong Chu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0 No.-

        ‘전통’은 현재에 살아 있는 과거이며, 현재와 과거가 연결되어 있음을 입증하는 상징들이자 표상이다. 이것은 스스로 역사를 ‘공유’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합의하여 특별한 가치를 부여하고, 보존과 전승의 필요성을 인정한 ‘낡은 것들’로서 사람들의 행동양식과 사고방식, 그들이 사용하는 물건 모두와 관계를 맺는다. 전통이라는 단어는 자주 ‘과거로부터 면면히 전승되어 온 공동체 문화의 정수’라는 의미의 접두어로 사용된다. ‘전통들’의 대부분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는 훨씬 ‘가까운 과거’에 발명되었지만 그것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바뀌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관습과는 달리, 시대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달라져서는 안 된다는 일반적 믿음의 대상이다. 그런데 대상을 ‘전통들’의 집체 또는 연쇄로 구성되는 도시 공간으로 확장하면, ‘전통의 불변성’이라는 명제를 더 이상 고수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서울을 대표하는 ‘전통문화의 거리’인 인사동의 경우, 1988년 서울시에 의해 ‘전통문화의 거리’로 지정되었으나, 2014년에도 서울시와 종로구는 ‘인사동 전통문화 거리’를 ‘되살리는’ 계획을 수립, 추진 중이다. 인사동 공간이 변화함으로써 ‘전통성’이 훼손되었기 때문에, 그를 재구성하고 보수하겠다는 것이 이 계획의 취지다. 그런데 인사동의 가로 경관과 분위기를 구성하는 전통들의 훼손과 변형에 대한 지적이 최근의 일만은 아니다. 인사동의 변화에 대한 불만은 1960년대부터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 생활과 사회관계의 급속한 변화가 전통의 ‘발명’을 요구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도시 공간의 급속한 근대화도 전통 공간의 ‘발명’을 필요로 했다. ‘전통 공간의 발명’은 변화가 일상이자 정상인 근대 도시 공간 내에 변화가 억제 또는 유보된 장소를 남겨 둠으로써 도시의 역사성과 지속성을 표현하려는 집단적 욕구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 공간은 서화나 골동과는 달라 화석 상태로 유지할 수는 없다. 전통 공간이란 변화가 정책적으로 억제, 관리되는 공간일 뿐이다. 변화 속에 ‘불변성’을 끼워 넣어야 하는 이율배반 때문에, 도시 공간의 전통성은 수시로 재구성될 수밖에 없다. 또 전통은 ‘발명’되기도 하지만 과거의 여러 자원들 중에서 ‘발굴’되는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전통문화의 거리 또는 전통 공간을 관리, 보존하는 문제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낡은 것들’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여 전통의 이미지를 구성할 것인가의 문제이기도 하다. 서울 인사동이 한국적 전통, 또는 서울의 전통문화를 표상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변화해 온 과정은, 한국인들이 ‘전통’으로 인정한 요소들이 특정한 도시 공간 내에 어떻게 퇴적되었고, 그것들이 어떤 이유로 보존 또는 발굴되었으며, 어떤 필요와 관점에서 상호 연계를 맺고 ‘전통’의 이미지를 구성하게 되었는가를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인사동의 ‘전통’을 구성하는 요소로 인정되는 것들이 어떤 과정을 통해 형성되었는가를 살핀 것이다. 현재 인사동의 경관을 구성하는 ‘전통적 요소’들은 거의 전부가 ‘근대의 산물’들이다. 인사동은 한국인이 최초로 근대적 민영 출판사를 설립한 곳, 한국 최초의 근대적고서점이 자리 잡은 곳, 한국인 洋醫가 처음으로 개인병원을 낸 곳, 한국인이 처음으로 ‘바’를 차린 곳, 조선체육회와 조선음악가협회가 처음 자리 잡은 곳,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식당이 있는 곳이다. 이들이 처음 인사동에 ‘전통’의 이미지를 부여했고, 1970~1980년대 서울의 다른 지역들에서 ‘전통 경관’들이 급속히 소멸한 뒤 인사동을 ‘전통문화의 거리’라는 특별한 지위로올려놓았다. 그런데 도시 공간은 근본적으로 변화를 억제할 수 없는 공간이기 때문에 이 ‘전통’의 이미지는 수시로 재구성되어야 했다. 인사동에서 ‘전통’이 형성, 발굴, 창조, 재구성되어 온방식은 향후 서울의 ‘전통경관’ 또는 ‘전통공간’과 관련한 논의에 풍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 is the past alive in the present and the symbols or representations to demonstrate that the present and the past is connected one another. These are old things that people who believe they share same history agree to endow special value and to acknowledge necessity of conserving and transmission. These are connected with pattern of behavior, way of thinking, tools and goods of all the people in a nation. The word Tradition is often used as prefix that means the essence of culture of community continuously passed down from the pas’. The most part of traditions were invented in near past than people think, however they believe that traditions must be constant and unchanging. In this regard, traditions are different form the customs which people think that changing is natural. However, in the case of expanding the objects to city space, we can not insist eternity of tradition anymore. Insa-Dong has been appointed the street of traditional culture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1994, bu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and Jongno-Gu are still trying to make a plan to revive the traditionon this place in 2014. The purpose of this plan is to reconstruct and repair the traditional image of Insa-Dong space which has been damaged by the development of city. By the way, the complaints against the change of Insa-Dong has been raised repeatedly since 1960’s. The rapid modernization of city space needed the invention of traditional placeas the rapid change of life and social relationships needed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e invention of traditional space is a fruit of the collective desire to express urban historicity and durability. However, city spaces can not be conserved for ages. The traditional space in a city is in fact the space controlled by city government or civil society with the perspective of conserving traditionalculture. The traditionality of city space must have been reconstructed repeatedly, because of coexistence of changes and persistences. Also, tradition is more associated with excavation than invention. Thus, making traditional space is a kind of selection among old things that has been transmitted from the past. The change process of Insa-Dong street shows how Korean traditions or Seoultradition were deposited in city space, how they were conserved or excavated, and how they constructed the images of tra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at how the cultural factors which Koreans acknowledged their own tradition settled in Insa-Dong. Almost all of traditional factors in present Insa-Dong are the products of city modernization in fact. The first modern private publisher, the first modern antique bookstore, the first modern western hospital, the first modern bar, the first modern music store, the first modern association of sportsmen, the oldest restaurants in Seoul were all in Insa-Dong. At first, these assign Insa-Dong the image of tradition, and as old sceneries rapidly has became extinct on other areas in Seoul,Insa-Dong can be the only one traditional culture street in Seoul. However, the city space is fundamentally changeable, so this image of tradition was frequently reconstructed. The way tradition was made, excavated, created, and reconstructed in Insa-Dong, will give a lot of lesson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future traditional scenery or traditional space in Seoul.

      • Sinulog Dance Festival: Its Job Creation, Economic and Business Significance to the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ies of the Province of Cebu, Philippines

        Ephraimuel Jose Loperez-Abellana 한국문화관광학회 2017 문화관광연구 Vol.19 No.1

        Sinulog is a dance ritual in honor of the miraculous image of the Santo Nino. The dance moves to the sound of the drums and this resembles the current of what was then known as Cebu’s Pahin River. The word Sinulog comes from the Cebuano adverb “sulog” which roughly means like water current movement; it describes the forward-backward movement of the Sinulog dance. The dance consists of two steps forward and one step backward, done to the sound of drums. The dance is categorized into Sinulog base, Free-Interpretation, and street dancing. Candle vendors at the Basilica continue to perform the traditional version of the dance when lighting a candle for the customer, usually accompanied by songs in the native language This qualitative ethnographic research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conomic and business significance of the Sinulog Festival to the general performance of profitability of the hospitality and tourism industries in the province of Cebu, Philippines. The methods used for research field work were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 and participation was a technique used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both an insider and outsider point of view. The study shows that the Sinulog festival boosts the Cebu’s economy and has great significance to the overall business and profitable impact to the economy.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3 to February 2014.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