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권 국가에서의 한국어 음운론 연구

        소신애 ( So Shin-ae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이 글은 그간 영어권 국가에서 이루어져 온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세계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미 학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주요 논저를 중심으로 한국어 음운론에 대한 기술 내용을 살펴보고, 그러한 기술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1950년대 이후 북미 지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영어권에서 통용되는 한국어 음운론 관련 논저를 연구자별로 개관하고, 현대 한국어(중앙어)의 음운 체계 및 음운 현상에 대한 기술을 주요 쟁점별로 검토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어 음운사 및 방언 음운론에 관한 논의 또한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지평을 세계로 넓힐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globalization of the study on Korean phonolog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existing studies on Korean phonolog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descriptions on Korean phonology in Euramerican countries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I will discuss the adequacy of the description on Korean phonology focusing on the studies in North America since the 1950s. Firstly, I will outline the studies on Korean phonolog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y researchers. Next, I will examine the descriptions of the phonological systems and phonological phenomena of Contemporary Korean(Central dialect) by main issues. Lastly, I will briefly examine the studies on Korean historical phonology and Korean dialectal phonology. It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that we can find the ways to broaden the horizon of the studies on Korean phonology to the world through this kind of work.

      • KCI등재

        A Complementary Relation between Historical Data and Theory in Phonology

        최재혁 대한영어영문학회 2018 영어영문학연구 Vol.44 No.4

        In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show tha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history. First of all, it is represented that phonological theories,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synchronic linguistics, can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a historical sound change. To put it in another way, we can also argue that historical data can deliver us a crucial hint for deciding on which theory is more useful or not when understanding our language. The second goal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Theoretical historical phonology’ is. To answer this question, I have shown different types of theoretical approaches and historical data from Old and Middle English. Furthermore, I have tried to combine theory with historical data to see how phonological frameworks effectively deal with diachronic data. Ultimately, I have tried to figure out the role of diachronic phonology in the field of linguistics.

      • KCI등재

        한어역사음운학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한장어비교연구 (하)

        麥 耘,염재웅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This paper is an introduction to the topics related to “Sino-Tibetan Comparative Study that entering into Chinese historical Phonology”. This paper is totally divided into four Chapters, but only text of chapter 3 and chapter 4 are translated in this paper, followed by the first paper which was published in former edition. Chapter 3 introduces methods for the study of Sino-Tibetan cognate word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Tibetan languages. MAI YUN, the author asserted that the logical reasoning of Cognitive Science is necessary in order to confirm Sino-Tibetan cognate word relation in this paper. Starting to study conate word relation from the few words which exist weak correspondence relation in Sino-Tibetan languages and organizing more words along the clues to find word matching rules, he had confidence to find real conate words in this way. He also insisted that corresponding the relative languages of later period is necessary for corresponding the relative languages of earlier period. However, at some situation,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use that kind of reconstruction method, and he just thought down-top reconstruction in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was necessary as well as top-down reconstruction. Chapter 4 introduces four kind of academic values, such as reseach data, research methods and theories, history periodization as study object, and scientific ideas which the Sino-Tibetan competitive study brought to Chinese historical phonology. He also insisted that the researchers renew the research and work of each relative language, construct the relation between ethnic language researcher and Chinese language researcher, conduct a full-scale sort up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Tibetan language comparative study. 본 논문은 “한어역사음운학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한장어비교연구”라는 제목으로 관련된 주제를 소개한 논문이다. 본 논문은 모두 4장으로 나뉘는데, 본문에서는 “한어역사음운학의 영역으로 진입하고 있는 한장어비교연구(상)”편에 이어서 제3장과 제4장을 번역하여 소개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한장어동원관계의 연구방법에 대해서 소개하고 있다. 논문의 필자인 마이윈 교수는 한장어동원관계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인지과학상의 논리추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먼저 언어 간의 존재하는 미약한 대응관계의 소수의 어휘들로부터 출발하여, 그들이 동원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실마리를 따라 더 많은 어휘들을 정리하여 대응규칙을 찾아내야하고, 그런 연후에 동원사를 찾을 수 있다고 여겼다. 그는 또한 이른 시기의 조어를 재구하는데 늦은 시기의 친족언어의 고대형식의 대체적인 재구를 먼저 대응시켜야 하지만, 늦은 시기의 친족언어의 재구상의 문제가 모두 해결된 후에 연구를 진행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역사비교언어학에서 아래에서 위로의 단방향의 추론만이 아닌, 위에서 아래, 아래에서 위로의 쌍방향의 추론도 종종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제4장에서는 한장어비교연구가 한어역사음운학에 가져다 준 연구자료, 연구방법과 이론, 연구대상으로서 역사시대구분, 그리고 학술관념 등의 네 가지 사항을 소개했다. 또한 필자는 한장어비교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한장어학술연구자들이 한장어내부의 각 친족언어의 연구작업을 쇄신하고, 민족언어연구와 한어사연구학계와 상호관계를 수립하고, 전면적인 자료정리작업을 실시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의 과제 및 이에 관한 접근 방안 모색

        이준환(Yi Jun-Hwan) 우리말학회 2021 우리말연구 Vol.67 No.-

        이 글은 한자음을 통하여 본 국어 음운사 과제와 이 과제를 어떻게 접근하여 볼 수 있는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①차자 표기 자료의 해독, ②훈민정음 중성 체계에 관한 이해, ③중세 국어 이중 모음의 성격 이해, ④한어의 음을 통한 전사 자료의 해독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①과 관련해서는 차자의 중세 국어 한자음이나 한어의 음으로는 원만히 해독하기 어려운 斯盧>新羅에서 보이는 ‘新’의 ‘*시’란 독법을 살피고 ‘*시’는 성부 ‘亲’나 의부 ‘斤’을 지닌 한자의 음에 止攝에 해당하는 것이 있음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을 다루었다. 또한 여러 예에서 ‘留’가 중세 국어 한자음과 달리 ‘루’를 보이는 것을 국어의 이중 모음의 발달 과정을 살피는 데에 중시해야 함을 斯盧>新羅>薛羅에서 볼 수 있는 ‘*시>*샤~셔’의 변화와 연관 지어 살폈다. ②와 관련하여 훈민정음에서 ‘ㅛ, ㅑ, ㅠ, ㅕ’가 중성 11자에 포함된 것은 정음의 창제가 고유어, 한자음, 외국어를 두루 적고자 한 문자 제정과 관련되며, 성운학에 언어학적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중성 11자는 개구(ㆍ, ㅡ, ㅣ, ㅏ, ㅓ), 합구(ㅗ, ㅜ), 제치(ㅑ, ㅕ), 촬구(ㅛ, ㅠ)를 체계적으로 나타내려 한 결과로 살폈다. ③과 관련하여 ‘-디>-디위’에서 보이는 /β/>/w/와 방언에서의 ‘뼈다귀→뼈다기~뼈다기’를 이해하려면 /wi/의 존재를 설정해야 하는데, 止攝의 한자음에서 보이는 ‘ㅢ’, ‘ㅚ’, ‘ㅟ’를 주모음을 선행하는 /ㅡ/, /ㅗ/, /ㅜ/가 아니라 후행하는 /ㅣ/로 보아야 체계적으로 이해가 된다는 분석 근거를 바탕으로 상향 이중 모음인 /ㅢ/, /ㅚ/, /ㅟ/가 실재하였음을 확인하여 고유어에서도 /wi/를 설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④와 관련하여 󰡔鷄林類事󰡕와 같이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자료를 전사 경향에 따라 살펴보면 전기 중세 국어와 후기 중세 국어 사이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 음운 변화와 이와 연관되어 일어난 형태 변화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지를 ‘나모’와 관련되는 항목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asks of Korean historical phonology seen through Sino-Korean and how they can be approached. Specifically, I examine to ①decoding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②the understanding of the Hunminjeongeum vowel system, ③the nature of the Middle-Korean diphthong, and ④the decoding of Korean transcribed materials using Chinese phonemes. Regarding ①, I dealt with the problem of those that are difficult to decipher smoothly with the Middle Sino-Korean and Chinese phoneme in the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In addition, I dealt with Korean diphthong appear as monophthong in various borrowed Chinese characters materials of Korean-language which are different from Middle Sino-Korean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diphthong in Korean. Regarding ②, I dealt with the inclusion of ‘ㅛ(yo)’, ‘ㅑ(ya)’, ‘ㅠ(yu)’, ‘ㅕ(yə)’ in the 11 medial in Hunminjeongeum as in monophthong. In considering it, it was important that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is related to the enactment of characters to write down native, Chinese, and foreign languages, and has a linguistic basis on Chinese phonology. Regarding ③, I looked at the presence of /wi/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 of /β/>/w/ and the replacement in the dialect. To this end, phonological analysis of ‘ㅢ’, ‘ㅚ’ and ‘ㅟ’ shown in the Middle Sino-Korean notation of Jiseop(止攝) confirmed that upward diphthong /ㅢ/, /ㅚ/ and /ㅟ/ existed. Regarding ④, I looked at the data before Hunminjeongeum creation, transcription data such as Gyerimyusa(鷄林類事), according to the transcriptional trend, focusing on the items related to ‘Namo’ on how to understand the phonological change that appears to have been between the early and late Middle-Korean language.

      • KCI등재

        한자 음운학을 통한 음운사의 연구 - 이돈주(李敦柱)(1995)의 『한자음운학(漢字音韻學)의 이해(理解)』을 대상으로-

        이준환 ( Yi Junhwa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5 N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otivation, composition and main technical contents of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解, 1995) written by Lee Ton-ju, which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troduction to Chinese character research, and its value as an introduction and research book. I wanted to look at the whole. Through this, I have found that this book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East Asian phonology as well as Korean phonology.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解) is closely related to the Hanjahak Chongnon(漢字學總論)'s writing and revision work. The Hanjahak Chongnon(漢字學總論) includes the part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in the sense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rts related to shape, meaning and related part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 This part of the note has undergone a process of expanding and supplementing the content through revision work, which is further refined, more inclusive of the author's discussions, and includes the understanding of the Sino-Korean and Sino-Japanese,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 解) was born. The point of this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解) can be read without difficulty in the turn of this book. In addition, the contents described in each chapter lead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expanding to an understanding of Chineses, Sino-Korean, and Sino-Japanese,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T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he Chinese characters will be wider, and this aspect of the book in mind with the need to acquire knowledge related to the need to learn the book can be understood by those who use it. In this process, the author did not merely suggest their own views, but rather abundantly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of various researchers and tried to avoid the loss of credibility by rationalizing techniques without losing balance.

      • KCI등재

        15-16C 韓國漢字音遇攝的層次

        李繼征(LI, JIZHE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15 中語中文學 Vol.61 No.-

        Based on research of Kono Rokuro(1968), This paper discusses about the Historical Phonological Strata of Yu Rhyme Group as reflected in 15-16C Sino-Korean. Through searching the characters material of Sino-Korean, the characters of 模, 魚, 虞, analyze the Corresponding forms of the characters, and puts forward some opinions. The main contents of the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Yu rhyme of Yu Group still remain some initial consonant characters of old Chinese phonology: the confusion of tongue initial consonant and up-tongue initial consonant. Secondly, the Corresponding forms of Yu rhyme were mainly on “ㅓ[?],ㅕ[y?]”, but Zhuang Group were still corresponding to “ㅗ[o]”. Thirdly, the exceptions of the Corresponding forms exists. Analogy of Phonetic Complement perspective and semantic perspective has been a main reason. Fourth, the research embodies a trend literary reading and colloquial reading. Fifth, the Corresponding forms of 模 Groups reflected vowel raising of [o]>[u]. Sixth, the Corresponding form “ㅗ[o]” of Zhuang Group which from Yu rhyme of Yu Group is not the reflection the modern pronunciation of Korean Phonology.

      • KCI등재

        『朝鮮王朝實錄』に見られる日本人名の 音譯表記法に関する研究(1)

        趙堈熙(Cho, Gang-Hee) 대한일어일문학회 2021 일어일문학 Vol.91 No.-

        『朝鮮王朝實錄』의 일본 관련 기사에는 한국한자음을 사용하여 音譯表記한 일본인의 인명이 산재해 있다. 본고에서는 실록의 전반부에 있는 음역표기 인명 48례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여 음역표기법을 고찰하고, 일본식 인명의 재현을 시도하였다. 그결과 일본어의 음운사 관련 항목이나 일본어의 음역표기법을 어느 정도 밝힐 수 있었다. 특히 음역표기법에 있어서는 ①「トウ․タウ」등이 「都to․羅ra」의 단음으로 표시되어 있는 장음표기의 문제, ②탁음 앞의「入りわたり」비음이 유지되고 있어서 「マゴ」(馬子)를 「望古maŋ-ko」、「サブロウ」(三郎)를 「三甫羅sam-po-ra」와 같이 韻尾-ŋ․-m의 한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 ③「ツ」는 タ行破擦音化이전의 파열음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 ④「ハ」行어두자음 표기 등 일본어사의 음운자료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고에서 48례의 음역표기를 일본식 인명으로 재현한 것도 성과의 하나이지만, 아직 검토하지 않은 약 350례의 음역표기에 대해서는 이후 계속 검토하여 다음에 게재하고자 한다. An article on Japa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tates several names of Japanes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the text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names of Japanese in Chinese characters as 都時羅to-si-ra(藤四郎), 多郞高羅ta-rang-ko-ra(太郎五郎) can de identified. Research on these transcriptions using Korean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can be a valuable resource for understanding the research of foreign language transliteration and the history of phonology. This study examines Japanese place names writte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compares them with their current names, and analyzes the phonetic value of each phoneme and the orthography of Japanese sounds. In this study, 48 cases in the first half of the Annal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reconstruct Japanese names. One of the key findings is to identify the Chinese character notation system in the Japanese language.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phonographic data was confirmed in the transcription method. Here, 48 cases of transliteration were reconstructed in Japanese, and the remaining some 350 examples is expected to be studied in the same manner before the results can be published in the near future.

      • 충북방언의 어휘음운론 서설 (9)

        전철웅 개신어문학회 2010 개신어문연구 Vol.0 No.32

        This thesis aims at the study of the historical changes of 45 words beginning with ‘ㅈ’ and ‘ㅊ’ in Chungcheongbuk-do dialect. In this thesis is there an introduction to the lexicalphonology of Chungcheongbuk-do dialect. In this study Gyeonggi-do dialect, Gangwon-do dialect, Gyeongsang-do dialect, Jeolla-do dialect also performed some roles for setting up the steps of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given words, and for the assumption about the phonological rules and the order of the phonological rules. In the step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bove 45 words are there various phonological changes : palatalization of 'k, t, th,’ word-initial tensification of ‘ㅈ’, k>p, k>h, h>r, m>k, m>ŋ, m>n, n>ŋ etc., addition of y, n, r, ŋ, deletion of h, p, n, ŋ, umlaut of a, □, o, u, monophthongization(ex. ay>ε, □y>e, oy>ö, uy>ü, □y>i), the following vowel changes; Λ>a Λ>□ Λ>□ Λ>o a>ε a>□ a>□ e>i i>u □>a □>e □>o □>u o>□ o>□ o>u u>□ u>□ u>o □>□ □>i □>u ö>e ü>ö ü>i .

      • KCI등재

        『朝鮮王朝實錄』に散見する日本人名表記の音価について

        趙堈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0 No.-

        이 논문은 朝鮮王朝實錄에 散在해있는 日本人名을 조사하여, 日本語音의 表記法과 일본어 音韻史 硏究資料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그 결과 日本人名의 表記法은 지위나 관직이 있는 인물은 日本式 表記로 기록되어 있고, 심부름꾼이나 漂 着民은 韓國漢字音에 기준한 漢字表記로 표기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 母音表記에서 音 價의 문제가 있는 e는 [je]의 漢字를 사용하고 있고, 子音表記는 カ行音, サ行音, タ行 音, ナ行音, マ行音, ラ行音에 관해서는 문제되는 것은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는 『海東諸国紀나『日本行録에 散在해있는 地名表記에 사용된 한자와 동일한 표기가 많았다. 또 ハ行音은 子音 h와 pʰ․p로 시작하는 漢字音이 混用되어, 唇音性이 남아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곳이 많았다. 濁音表記는 捷解新語와 같이 濁音 앞 音節 終聲에 鼻音韻尾의 한자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었다. 長音表記는 「宗」을 「所溫」으로 표시하 는 등 母音을 나타내는 文字를 첨가해서 나타내고 있는 것이 많았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韓国漢字音을 기준으로 한 音訳表記는 日本語 音韻史研究資 料로 유익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日本 国内資料와 비교하면서 実録 에 산재하는 日本音의 音價를 추정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Japanese name in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notation of Japanese, and practical use of historical phonology research materials. As a result, person in post and office is written in notion of Japanese name, driftage people is written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Vowel notation used that ‘a’ is a(阿), ‘i’ is ʼi(伊, 而, 二), ‘u’ is ʼu(祐、又), ‘e’ is ‘yəi(芮、曳), ‘o’ is ʼo(伍、吾), the problem about phonetic value is that ‘e’ use chinese character, [je]. In consonant notation, Ha kyou(行) is divided into /pʰ/ and /h/ which is used separately. It indicates that there is still a labial sound. A long vowel notation also has a way to add character that indicates vowel. And found that the vocabulary of the sound of Sino Korean characters notation is useful for Japanese historical phonology research materials.

      • KCI등재

        『滿洲源流考』와 건륭제

        홍성구(Hong Sung-Ku) 한국고대학회 2018 先史와 古代 Vol.- No.58

        본고는「滿洲源流考」의 편찬자가 만주 정체성 확립이라는 편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사료를 어떻게 해석하고 논증하였는가를 살펴본 논문이다. 「만주원류고」는 중국의 역대 史書에서 숙신 부여 삼한 읍루 물길 백제 신라 말갈 발해 완안 건주에 관한 기사를 뽑아내어 편찬 목적에 맞게 가공하여 인용하고, 거기에서 지리적 문화(풍속)적 공통성, 문명적 우수성, 음운학적 유사성 등을 추출하여 그것에 근거하여 사료를 해석하고 역사계승관계를 논증하였다. 특히 음운학적 유사성에 근거한 논증은「만주원류고」에서 사용한 가장 두드러진 논증 방식이었다. 이러한 논증 방식은 오랜 역사를 가진 중국의 韻學 전통을 계승한 것이고, 특히 고증학이 발전한 청대 학술의 특징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건륭제는「만주원류고」뿐만 아니라 다른 역사 편찬, 특히 요·금·원 등 유목적 전통을 가진 북방민족에 관한 역사 서술에서 한족 중심의 시각을 제거하고 청조의 시각에서 역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의 하나로 이러한 음운학적 방법을 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건륭제는 ‘글자만 고치고 사실은 왜곡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강조하고, 이러한 시도가 한족의 시각에서 폄하된 만주와 몽골 등 북방민족에 대한 편견을 바로잡아 ‘진실한’ 역사를 서술하려는 것이지 결코 객관적인 역사 사실을 왜곡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강변하였다. 하지만 글자를 고치는 것과 사실을 왜곡하지 않는 것은 말처럼 철저하게 구별될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렇기 때문에 건륭제의 명령 곳곳에서 만주인의 시각에서 역사를 새롭게 서술하려는 의지, 한족의 역사 서술에 대한 불신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만주원류고」는 건륭제의 거대한 ‘만주 역사 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건륭제판 ‘동북공정’에 다름 아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the compilers of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interpreted and demonstrated historical materials to fulfill the goal of the book that wa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Manchus. The book cited articles about Sushen, Buyeo, Three Hans of Korea, Yilou, Wuji, Baekje, Silla, Mohe, Balhae, Wanyan, and Jianzhou in history books of China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purpose, identified common geographical and cultural ( custom ) features, excellence of civilization, and phonological similarities in them, and based its interpretations of historical materials and demonstrated relations in the succession of history on these grounds. Demonstration based on phonological similarities was the most prominent method of demonstration in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 This method of demonstration succeeded the tradition of phoneme studies that had long history in China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studies of the Qing period in which Evidential Scholarship made special development. Emperor Qianlong used this phonological method as an important way to eliminate the Han-centric viewpoints and reorganiz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Qing in history books including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especially containing historical descriptions about northern ethnic groups with nomadic tradition such as Liao, Jin, and Yuan. In this process, Emperor Qianlong put an emphasis on the principle of “distorting no facts only the correction of letters,” maintaining that this attempt was not to distort objective historical facts but to record “true” history by correcting the prejudices of northern ethnic groups such as the Manchus and the Mongols that used to be disparaged by the Han perspective. There was, however, no thorough distinction between the correction of letters and no distortion of facts as he argued. Emperor Qianlong s orders thus reflected his determination to write history anew from the viewpoint of the Manchus and his distrust in the historical descriptions by the Hans. Researches on Manchu Origins was thus nothing but Emperor Qianlong-style “Northeast Project” as part of his massive project of “creating the history of the Manch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