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역사수업에서의 다원적 관점

        이병련 한국독일사학회 2016 독일연구 Vol.- No.32

        Multiperspectivity in German history education theory can be explained in three different dimensions. They are 1. multiperspectivity of the people of the past that can be observed in historical records and artifacts, 2. multiperspectivity of the researcher and the historian in relations to their observation of historical facts, i.e. arguments 3. multiperspectivity in the sense that each student of history forms his individual opinion on a particular historical fact, i.e. multiple opinions. German history education theory demands that history classes be undertaken in the same way as a professional historian would study his discipline, which means that the students must experience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n a procedural manner. It is accepted that students must take into account the principle of multiperspectivity in order to achieve objectivity in historical thinking. The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of German state governments regard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as the formation of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can be developed as students attain ‘historical competence.’ Historical competence can be divided into professional competence (Sachkompetenz), methodological competence and judgement competence. Judgement competence is again divided into situational judgement competence and value judgement competence. Historical value judgement competence is the highest competence that students of history must attain. The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of the German state governments which have been published after the early 2000s are labelled ‘competence-oriented history education guidelines,’ and they stipulate the ‘competence’ that need to be attained by students during their history classes in each school year. The learning of multiperspectivity is emphasized in order to develop these competences which are vital in the formation of reflective historical consciousness. History classes that apply multiperspectivity have the objective of developing competence of adopting perspectives and empathy, situational judgement competence and value judgement competence. In orde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related to adopting perspectives and empathy, ‘production-oriented’ or ‘action-oriented’ history classes are regarded as being appropriate. This article has introduced the module ‘Columbus and Its Results’ of the 8th grade as a sample class. This module’s most important objective is to develop the individual student’s historical judgement competence. Only by developing his individual historical judgement competence can the student attain the necessary political acumen to actively promote the ideal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독일의 역사교육 이론에서 다원적 관점은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차원을 의미한다. 그것은 1. 사료와 유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과거의 인간들의 다원적 관점, 2. 역사적 사실에 대한 후대의 관찰자인 연구자와 역사가의 다원적 관점, 즉 논쟁, 3. 학습자들이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각자의 의견을 형성하는 의미에서의 다원적 관점, 즉 복수의 의견들의 차원이다. 독일의 역사교육 이론은 역사수업이 원칙적으로 전문역사가의 작업방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하며, 이것은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역사적 인식을 하나의 ‘과정’으로서 경험하여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습자들은 다원적 관점의 원칙을 고려함으로써만이 역사적 사고에서 객관성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본다. 주정부들의 교수계획은 역사교육의 목표가 반성적reflected 역사의식의 형성에 있다고 본다. 반성적 역사의식은 학생들이 ‘역사적 능력 historical competence’을 습득하면서 계발될 수 있다고 본다. 역사적 능력은 ‘사실능력 Sachkompetenz’, ‘방법능력’, ‘판단능력’으로 구분된다. 판단능력은 다시 ‘상황판단 능력’과 ‘가치판단 능력’으로 구분된다. 역사적 가치판단 능력은 학생들이 습득해야만 할 최고의 능력이다. 2000년대 초반 이후에 출간된 독일 주정부들의 교수계획은 ‘능력지향적 교수계획 competence oriented’이라고 명명되고 있는데, 그것은 역사수업에서 학생들이 특정한 학년마다 성취하여야 할 ‘능력’을 규정하고 있다. 다원적 관점의 학습은 반성적 역사의식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이러한 능력의 계발을 위해서 강조되고 있다. 다원적 관점의 역사수업은 ‘관점의 수용 Perspektivenyebernahme Empathy’ 능력과 상황판단능력, 가치판단 능력의 계발에 그 목표가 놓여진다. ‘생산지향적인’ 또는 ‘행동지향적인’ 역사수업이 관점 수용능력을 개발을 위해서는 적합한 수업방식이라고 본다. 여기에서는 8학년에 해당되는 ‘콜럼버스와 그 결과’라는 수업단위를 하나의 수업사례로 소개하였다. 이 수업단위에서의 최고의 목표는 학생들 개인 각자의 역사적 판단능력의 계발이다. 학생들은 스스로의 역사적 판단능력을 발전시킴으로써 현재 사회에서의 민주주의와 인권의 가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정치적 교양을 갖출 수 있다.

      • KCI등재

        독일 초등 1-4학년 사물수업 교육과정의 교과역량과 역사영역 학습내용 분석

        배지혜(Bae, Jihye)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39

        독일 초등학교의 사물수업은 어린이의 인식과 생활세계를 다루는 사회와 과학의 통합교과로, 본 연구는 독일 16개 주(州) 수준에서 개발된 역량중심 사물수업 교육과정의 교과역량과 역사영역 학습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사물수업 교과의 교육과정에 제시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모형을 유형별로 살펴보았다. 둘째, 사물수업 교과의 역량과 학습영역을 개관하였다. 셋째, 사물수업 교과의 역사영역 학습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역량중심 교육과정 모형은 씨실과 날실이 교차하는 형태의 직물형과 복수의 중첩된 원에 역량과 내용을 제시한 원형 등이 사용되었다. 모형은 교과역량과 학습내용이 결합된 교수학습을 표현한다. 둘째, 과학과 사회의 통합교과인 사물수업의 교과역량은 ‘이해와 분석’, ‘의사소통과 발표’, ‘판단과 평가’, ‘연대와 실천’이 제시되었다. 셋째, 사물수업 역사영역의 학습내용은 ‘기초적인 역사하기 활동’, ‘사료 학습’, ‘시간과 일정’, ‘미래 구성’의 네 주제로 분류하였다. 이 중 사료의 의미와 종류를 개관하고 사실과 허구의 역사 서술을 구분하는 ‘사료 학습’과, 학생 스스로 미래를 계획하고 이를 위한 행동을 계획하는 ‘미래 구성’의 학습 내용이 특징적이다. 2022년 교육과정 개정은 교과 수준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의 교과역량으로 판단 역량을 채택하고 역사 영역 학습 내용으로 사료 학습을 다룰 것을 주장하고, 연대사 학습의 구체적인 내용 및 범위를 제안하였다. Sachunterricht in German primary schools is an integrated subject of social studies and natural sciences that deals with children s perception and their world of experience.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Competencies and historical learning content of Sachunterricht in fifteen German state curricula. Research findings are, first, that a textile-type in which weft and warp threads intersect and a circle-type that depicts competencies and contents in overlapping circles were the two representative competency-models of Competency-based curricula. The models visualize that subject competencies and learning content are represented equally in the lessons. Second, the Subject-competency of the Sachunterricht consists of the following four competencies: ‘Knowing and Analysing’, ‘Communicating and Presenting’, ‘Judging and Positioning’ and ‘Designing the Future and Acting’. Third, the learning contents in the history part of Sachunterricht are ’Basic Doing-history Activities’, ‘Learning on Historical Sources’, ‘Time and Schedule’, and ‘Future Design and Ac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content of ‘Learning on Historical Sources’ deals with the meaning and types of historical sources and distinguishes facts from fictional descriptions of history. The ‘Designing the Future and Acting’, in which students design their future and plan actions for it is worthy of notice as well.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should achieve a shift to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t the subject level in terms of struc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achunterricht curriculums of German states, this study argues that the 2022 Curriculum must adopt the Judgement Competence as one of the subject competencies of primary social studies and must adress the learning on historical sources. Furthermore, it proposes the content and scope of chronological history lesson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