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사소송법 제310조의2의 적용 기준과 범위에 관한 소고

        김정한 대한변호사협회 201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45

        The article 310-2 of criminal procedure law regulate "the documents which take theplace the statements of preparation of a trial or a trial date and the statements which include other’s statements can not be used for evidence except for regulation from article 311 to 316"under the title of "hearsay evidence and the limitation of admissibility of evidence". This meansthat the evidences which hav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the hearsay evidence are limited tothe evidences which regulated at article 311 to 316, so another hearsay evidence do not have theadmissibility of evidence. In principle, hearsay evidence does not hav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we know that exception of hearsay rule is limited very strictly such as the regulation from article311 to 316. So the article 310-2 is a very important regulation which limits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exception of hearsay evidence. But under the consideration of the complexity and reality ofoccurrence of the new form of hearsay evidence, I think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at the article310-2 disallows all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 exception of hearsay evidence. I think it isdesirable that we establish a standard of analogical application because analogical application ofexception of hearsay evidence obviously allowed. Although that standard is abstract a little, that isbetter than impromptu and separate allowance for drawing consistent conclusion. It is sorry thatthe article 310-2 does not mention about the standard of analogical application. For these reasons, I made a standard of analogical application of exception of hearsay evidence,and examined admissibilities of some evidences. As a result, the record of confiscation can take theadmissibility of evidence under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 the article 312 section 6, but the recordof examination of a suspect, the record of investigation and the hearsay statement of accused cannot tak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through the analogical application of the article 312 section 1or 6, 316 section 2 etc. However, they can tak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through thesynonymy about the evidence. To conclude, I hope that the standard of analogical application iscontinuously complemented by studies, and deeper studies for many hearsay evidences I have notdealt with this study go on. 형사소송법 제310조의2는 “전문증거와 증거능력의 제한”이라는 표제 하에 “제311조 내지 제316조에 규정한 것 이외에는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의 진술에 대신하여 진술을 기재한 서류나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의 타인의 진술을 내용으로 하는 진술은 이를 증거로 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전문증거 중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것은 제311조 내지 제316조에서 열거한 것에 한정하므로이에 해당하지 않는 전문증거는 증거능력이 없다는 의미이다. 전문증거는 증거능력 없음이 원칙이므로전문증거임에도 증거능력이 인정되는 예외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전제하에서 예외를 열거적으로 제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10조의2는 선언적 규정이 아니라 전문법칙 예외규정의 유추적용을 제한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문증거의 유형의 복잡성, 새로운 형태의 전문증거가 계속 생겨나고있는 현실 등을 고려할 때 제310조의2를 전문법칙 예외규정에 대한 일체의 유추적용을 불허하는 것으로 해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제한적이나마 유추적용을 허용하지 않을 수 없는데 문제되는 전문증거에 따라 즉흥적이고도 개별적으로 허부를 판단하는 것보다는 다소 추상적이라 하더라도 유추적용 허부의 기준을 미리 정해놓고 문제되는 전문증거를 위 기준에 적용하여 허부 판단의 중요한 자료로 삼는 것이 증거능력에 관한 일관된 결론 도출을 위해서, 더 나아가 형사법 운용에 있어서의법적 안정성을 위해서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310조의2가 유추적용 제한의 기준에 대하여 전혀언급하지 아니한 점이 아쉬운 것은 사실이다. 이러한 취지 하에 필자는 이 글에서 전문법칙 예외 규정의 유추적용 허부의 기준을 설정한 다음 몇몇 문제되는 전문증거에 위 기준을 적용하여 유추적용 허부, 즉 증거능력 여부를 판단하여 보았다. 그결과 압수조서에 대하여는 제312조 6항을 유추적용하여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지만 피고인 진술조서, 수사보고서, 피고인의 전문진술에는 제312조 1항/3항, 제312조 4항/제313조 1항, 제316조 2항 등을유추적용하여 증거능력을 인정하기 어려우나 다만 피고인 진술조서나 수사보고서는 경우에 따라 증거동의의 대상이 될 수는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유추적용 허부의 기준에 대하여도 계속 보완되고, 위에서 다루지 아니한 여러 전문증거들에 대하여도 위 기준을 활용한 깊이 있는 검토가 계속 이루어지기를 바라본다.

      • KCI등재

        전문증거의 개념과 범위

        권오걸(Kwon, Oh-Geol) 한국형사법학회 2012 刑事法硏究 Vol.24 No.1

        The rule against Hearsay is traditionally a prominent feature of the law of evidence as it has developed in the common law. and this rule was recognised by the end of the 17 century. and it has remained one of the cornerstones of the Anglo-American laws of evidence to the present day. This rule provides that a fact may not be established by calling A, who did not see or hear it, to tell the court that he heard B, who did, describe it; either B must be called to describe it the court, or the incident must be provied by some other means. Traditionally the definition of the Hearsay Evidence is that ' an assertion other than one made by the a person while giving oral evidence in the proceeding is inadmissible as evidence of any fact assert. The rule against Hearsay is also important part in our criminal procedure law. but the rule against Hearsay in our criminal procedure law is some different from rule in the common law. Straightforwardly recent discussion about the rule against Hearsay is concerned about the exception of rule against Hearsay, therefore the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Hearsay Evidence is rather sparse. But the Hearsay Evidence is the base of the rule against Hearsay, and if some evidence come under not the hearsay evidence but the direct or original evidence, prosecutor and accused and lawyer can place evidence before court without special limit. Also the Judge can decide the case on the base of the original evidence. And unlike the Hearsay Evidence, prosecutor and accused need not agreed the evidence the original evidence, and Judge can use the original evidence without the cross examination. But if evidence amounts to the hearsay evidence, the evidence has no competency as evidence, therefore the process of agreement to the evidence has a meaning, also examination whether the evidence amounts to the exception of the rule against Hearsay or not is important. And we finally arrived at this conclusion. 1) Conditions of Hearsay Evidence are (a) there is statement or unverbal act with some intention (b) this statement or unverbal act must be offered indirectly to the court (c) the goal offering statement or unverbal act is to prove the fact in the statement or unverbal act. 2) Intentional unverbal act amounts to the Hearsay Evidence. 3) Digital evidence - for example Digital Camera, Voice Pen, Computer etc - amounts to the Hearsay Evidence as not statement but written statement. 4) Unintentional implied assertion does not amount to the Hearsay Evidence.

      • KCI우수등재

        녹음매체의 증거능력에 관한 몇 가지 검토

        이창섭 ( Lee Chang-sup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1

        형사소송법 제310조의2에서 “진술을 기재한 서류나 타인의 진술을 내용으로 하는 진술”이라는 형사소송법이 예정하는 전문증거 개념을 도출할 수 있다. 형사소송법에 재전문증거에 관한 규정은 없다. 형사소송법 제310조의2를 유추적용하면 진술을 녹음한 녹음매체는 전문증거로 볼 수 있다. 형사소송법상 전문증거 개념은 `진술`을 전제로 이를 기재한 `서류` 또는 이를 내용으로 하는 `진술`이므로, 같은 맥락에서 형사소송법상재전문증거의 외연을 전문`진술`을 전제로 이를 기재한 재전문`서류` 또는 이를 내용으로 하는 재전문`진술`로 제한할 수 있다. 그 결과 녹음매체 녹취록은 전문서류를 보고 기재한 재전문서류가 되므로 이를 형사소송법상 재전문증거로 파악할 수 없다. 녹음매체 녹음내용과 녹취록 기재의 일치여부는 진정성(authenticity)의 문제로 보고 녹음매체 녹취록은 녹음매체의 사본과 같이 취급하면 충분하다. 증거능력은 법적인 규율대상이므로 형사소송법에 전문증거의 증거능력 인정요건에 대한 규정만 있고 재전문증거에 대하여는 아무런 규정이 없다는 것은 재전문증거의 증거능력은 부정된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대법원은 재전문증거 중 전문진술을 기재한 조서ㆍ서류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녹음매체가 증거능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먼저 어떤 증거가 증거제출자가 주장하는 바로 그것이라는 의미의 `진정성`(authenticity)이 인정되어야 한다. 형사소송법 제318조 제1항의 `진정성`은 `진정성`(authenticity)의 의미로 입법된 것은 아니라고 보인다. 이는 증거능력을 의심하게 할 만한 유형적 정황이 없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녹음매체에 녹음된 내용이 사람의 진술이든 특정 현장의 상황이든 녹음된 내용과 입증취지에 따라 개별적으로 전문증거인지 여부가 판단되어야 한다. 녹음매체의 증거능력은 2007년 개정형사소송법에 의하여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이 부정되면서 이에 연동되어 그 인정범위가 축소된 것으로 보이고, 최근 개정된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에서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것을 명시적으로 진술서 또는 진술기재서류로 취급하면서도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된 정보의 형태를 `문자ㆍ사진ㆍ영상 등의 정보`로 규정하고 있어 `음성` 정보가 저장된 녹음매체는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지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녹음매체의 증거능력 인정범위를 명확히 하는 입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From Article 310-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we can derive the concept of hearsay evidence that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tends, that is to say “a document containing a statement or a statement containing another person`s statement”. There is no provision about hearsay within hearsay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If Article 310-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analogously applied to the sound recording medium, this is to be regarded as hearsay evidence. The concept of hearsay evidence means a `document` or a `statement` that is on the premise of a `statement`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so we can restrict the extension of double hearsay evidence to a double hearsay `document` or a double hearsay `statement` that is on the premise of a hearsay `statement`. As a result, a transcript of sound recording medium would be understood as a double hearsay document containing a hearsay document, so could not be a double hearsay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ether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sound recording medium correspond with those of its transcript or not is to be the matter of authenticity, and a transcript of sound recording medium should be dealt with a copy of sound recording medium. The evidence admissibility is the object of legal regulation. The fact that the Criminal Procedure Act has provisions about hearsay evidence, not double hearsay evidence means that the evidence admissibility of double hearsay evidence is excluded. But the Supreme Court decides that the evidence admissibility of a double hearsay document containing a hearsay statement is not to be excluded exceptively. In order for the evidence admissibility of sound recording medium to be recognized, its `authenticity` that means an item of evidence is what the proponent claims it is must be recognized first. The `being genuine` of Article 318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does not appear to have been legislated in the sense of `authenticity`. `Being genuine` is understood as meaning that there is no typical circumstance that could make the evidence admissibility doubted. Whether sound recording medium is hearsay evidence or not should be judged according to the recorded content and the purpose of proof individually.

      • KCI등재

        진술서류에 대한 증거능력 부여에 있어서의 개선방향 ― 형사소송법 제314조를 중심으로 ―

        송도근,김성룡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서울법학 Vol.28 No.3

        Unlike civil procedur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strictly restricted according to evidence rule such as exclusionary rule of illegally obtained evidence, confession rule, hearsay rule in criminal procedur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hearsay rul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not acknowledged basically concerning hearsay evidence on the basis of incredibility of hearsay evidence, distortion of truth, danger of fabrication, request in principle of immediacy and unattainable cross-examination against the stater. However, definite exception is admitted depending on the criteria as necessity and circumstantial guarantee of trustworthiness. There are cases of grant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to written statement in criminal procedure according to this and Article 31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one of the exceptions to hearsay rule. As Article 31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an exceptional exception to hearsay rule in light of the equivalent text's structure and content, strict construction of this matter is necessary. Nevertheless, the Court has examined requirements to meet for Article 31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by mitigating them, which admissibility of evidence easily tends to be acknowledged regarding even written statement as witness's written statement that could not be used to exercise the right of cross-examination for the defendant. As a result, evidence preservation of Article 184 of the Criminal of Procedure Act has rarely been applied but Article 18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likely to be applied in the future since recently the Supreme Court takes an attitude in the strict construction and restricting application of the condition in Article 31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However,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in exceptional article to hearsay rule under the existing law is that exceptional articles to hearsay rule are stipulated in parallel so that investigative agency can choose articles at its discretion. Due to this issue, evidence preservation of Article 184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has not been applied so far. Therefore, the author creates the applying order in exceptional articles to hearsay rul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hearsay rule and suggests that subsequent article is applied only when prior article cannot be applied in granting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regarding hearsay evidence and also suggests to grant differential effect depending on the order even in probative power of hearsay evidence. According to the author's direction for improvement, it is requisite to complement the defect of hearsay evidence with low probative power by proving the ground in detail to find guilty in the written judgment when the Court convicts on the ground of hearsay evidence with low probative power. 민사절차와 달리 형사절차에서는,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자백배제법칙, 전문법칙 등의 증거법칙에 의하여 증거의 증거능력이 엄격히 제한된다. 그 가운데 전문법칙은 전문증거의 비신용성, 진실성의 왜곡과 조작의 위험성, 직접주의의 요청, 진술자에 대한 반대신문의 불가능을 근거로, 전문증거에 대하여는 원칙적으로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원칙이다. 다만 전문법칙에는 필요성 및 신용성의 정황적 보장이라는 기준에 따라 일정한 예외가 인정되고, 이에 따라 형사절차에서도 진술서류에 증거능력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는데, 형사소송법 제314조도 그와 같은 전문법칙 예외 조항 중 하나이다. 그런데 해당 조문의 구조 및 내용에 비추어 형사소송법 제314조는 전문법칙의 예외의 예외 조항에 해당하므로, 그 요건을 엄격히 해석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법원이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요건 충족 여부를 완화하여 심사함으로써, 피고인이 그에 대하여 반대신문권을 행사하지 못한 참고인진술조서 등 진술서류에 대하여도 쉽게 증거능력이 인정되는 경향이 있어 왔다. 그 결과 형사소송법 제184조의 증거보전제도가 거의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최근 대법원에서 형사소송법 제314조의 요건을 엄격히 해석하여 그 적용을 제한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장차 형사소송법 제184조가 활용될 여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현행법상 전문법칙 예외 조항의 근본적인 문제점 중의 하나는, 전문법칙 예외 조항이 병렬적으로 규정되어 있기에, 수사기관이 임의로 원하는 조항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동안 형사소송법 제184조의 증거보전제도가 활용되지 못한 것도 위와 같은 문제점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에 필자는 전문법칙의 취지에 맞게 전문법칙 예외 조항의 적용순서를 설정하여, 전문증거에 대한 증거능력 부여에 있어서는 선순위 조항을 적용할 수 없는 사정이 있는 때에 한하여 비로소 차순위 조항을 적용하도록 하고, 전문증거의 증명력에 있어서도 그 순서에 따라 차등적인 효력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필자의 개선 방안에 따르면, 법원이 증명력이 낮은 전문증거를 근거로 유죄판결을 선고하고자 할 때에는, 판결문에서 유죄 판단의 이유를 상세히 논증함으로써, 증명력이 낮은 전문증거의 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변호사의 법률의견서와 증거능력

        권오걸(Kwon, Oh-Geol)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1

        본 연구에서의 대법원은 “법률의견서는 압수된 디지털 저장매체로부터 출력한 문건으로서 실질에 있어서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에 규정된 ‘피고인 아닌 자가 작성한 진술서나 그 진술을 기재한 서류’에 해당하는데,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 작성자 또는 진술자인 변호사의 진술에 의하여 성립의 진정함이 증명되지 아니하였으므로 위 규정에 의하여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라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전문증거의 개념과 성립요건에 대한 충분한 설명 없이 법률의견서를 전문증거로서 제313조 제1항의 요건을 구비하지 못하여 증거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여 논증의 과정이 지나치게 간단하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문법칙의 의의, 전문증거의 개념과 성립요건에 비추어 본 사건에서의 법률의견서가 전문증거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증거능력이 인정되는지를 논증하고자 하였다. 심판대상이 되는 범죄와 관련된 어떤 사실을 증명하는 진술은 법정에서 증언의 형태로 제출되어야 하고,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서든(전문진술) 서류의 형식으로든(진술기재서류) 증거로 제출되는 것은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전문법칙이다. 이러한 전문증거 배제의 법칙은 법관을 비롯한 재판부의 면전에서 이루어지지 아니한 진술을 기재한 진술 및 서류의 증거능력을 제한함으로써, 재판부의 면전에서 이루어지는 진술을 재판부가 직접 보고 듣고 그 증거가치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공판중심주의 및 직접주의를 실현하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판단자의 증거가치 분별력에만 의존하는 것은 위험하므로 문제가 있는 증거는 증거의 세계에 들어 오는 것 자체를 제도적으로 봉쇄하려는 것이다. 전문법칙과 예외 적용의 대전제는 특정 증거가 전문증거인지를 먼저 확정하는 일이다. 전문증거가 되기 위해서는 ① 법관의 관점에서 볼 때 체험자의 구두진술이 아닌 다른 형태로 간접적으로 보고될 것, ② 진술에 포함되어 있는 사실의 진실성을 입증할 목적으로 제출될 것, ③ 간접 보고된 진술의 진실성이 원진술자의 진실성에 달려 있을 것(따라서 보고자는 자신이 전달하는 진술의 진실성을 알지 못할 것)이라는 3가지의 요건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대상판결에서의 변호사 작성의 법률의견서는 그 내용과 제출목적에 의해서 전문증거의 여부가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법률의견서라고 해서 반드시 모두 전문증거이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이 아니라, 법률의견서가 증거물인 서면이 아니라 증거서류인 경우에, 그 서류가 전문증거의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해서 전문증거로 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대상판결에서의 법률의견서는 전문증거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다수의견의 태도는 타당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논증의 과정을 생략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고 본다.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has the regulations about the hearsay evidence(article 310-2) and the exceptions of rule against hearsay (article 311-316). Therefore as a general rule, hearsay statements or documents are not admissible as evid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310-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the Korean Procedure Law, Article 310-2 states the hearsay evidence as follows : documents which put statements in substitute for the statements at the a date for hearing or hearing preparing, or statements which keep other people's statements. While the federal evidence law, article 801 regulates that “Hearsay is a statement, other than one made by the declarant while testifying at the trial or hearing, offered in evidence to prove the truth of the matter asserted.”…, consequently the Purpose Rule is terms of the hearsay evidence, but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has no regulation about it. But the common theory and the precedent, however, recognize the Purpose Rule as terms of the hearsay evidence. Therefore it is not right that a written opinion always must amount to the hearsay evidence. Only if a written opinion meet the necessary conditions about the hearsay, the written opinion come under the hearsay evidence. Consequently the written opinion of this case corresponds to the hearsay evidence. Therefore Superemcourt's Decision is wright. And this written opinion of this case belongs to the A written statement prepared by a defendant or any other person of the Article 313 Clause 1. Therefore this written opinion may be introduced into evidence only when proven genuine by the testimony of the maker thereof at a preparatory hearing or during a trial and when the statement is made under circumstances which would lend it special credibility, regardless of the statement made by the defendant at a preparatory hearing or during a trial. But at this case defendant did not admitted the ‘authentication of the formation’, This written opinion has no admissibility of evidence by the Article 313 Clause 1.

      • KCI등재

        전문증거의 개념에 관한 인식론적, 비교법적 소고

        이창온(Chang on Lee) 대검찰청 2023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8

        우리 형사소송법상 전문증거의 개념은 명확히 정의되어 있지 않다. 대법원은 영미법상 전문증거 개념을 그대로 원용하여 원진술의 내용인 사실이 요증사실인 경우에는전문증거이지만, 원진술의 존재 자체가 요증사실인 경우에는 본래증거이지 전문증거가 아니므로, 어떤 진술이 기재된 서류가 그 내용의 진실성이 범죄사실에 대한 직접증거로 사용될 때는 전문증거가 되지만, 그와 같은 진술을 하였다는 것 자체 또는 진술의진실성과 관계없는 간접사실에 대한 정황증거로 사용될 때는 반드시 전문증거가 되는것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어떠한 내용의 진술을 하였다는 사실 자체에 대한 정황증거로 사용될 것이라는 이유로 서류의 증거능력을 인정한 다음 그 사실을 다시 진술 내용이나 그 진실성을 증명하는 간접사실로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한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사실의 주장을 담고 있지 않은 진술을 그 전제나 배경이 되는 사실의 정황증거로 사용하거나 사실의 주장을 담고 있는 진술을 그 주장사실이 아닌 다른정황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는 그리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이는함축적 사실주장을 전문증거의 진술에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오래된 난제로서전문증거의 개념에 관한 시금석이며, 영미법계 증거법의 입법, 실무, 학계에서는 이를둘러싸고 격렬한 대립을 보여 왔다. 전문증거 개념을 근본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진술증거의 위험성과 그 정황증거로서의 특성에 대한 인식론적, 비교법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영미 증거법학계와 언어철학계의 견해들을 통해서 모든 진술증거에는 고유한 위험성과 함께 정황증거로서의 특성을 가진다는 점을 해명하였다. 또한 그러한 진술의 정황증거적 특성을 증거로서 어느 정도 사용하도록 허용할 것인지 여부는 형사증거법의 내적 목적과 함께형사절차의 구조 전체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 형사증거법의 조문을 토대로 영미 전문증거의 개념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우리 형사소송법상 전문증거 개념에 대한 입장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입법적 정비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첨언하였다. The concept of hearsay evidence is not clearly defined in our crimina l procedure law. The Supreme Court strongly affected by the definition of hearsay in the common law tradition has ruled as follows. First, whe n the truth of the matter asserted in a statement is the object of proo f, then the statement is a hearsay evidence, but the existence of a stat ement itself is the purpose of proof, then the statement is not a hearsa y, but an original evidence. Therefore if a document containing certain statement is intended to be used as a direct evidence for proving the matter asserted in it, it is a hearsay, but if it is intended to be submit ted as a circumstantial evidence for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state ment itself or indirect fact irrelevant with the truth of the matter asser ted, it is not necessarily a hearsay evidence. Finally, even if it is not a hearsay intended to be used as a direct evidence for proving the matte r asserted but an admissible circumstantial evidence for proving indirect facts, it can not be used to prove the content of the statement or as a indirect evidence proving the truth of the matter asserted once it is ad mitted as a circumstantial evidence. This is not a simple question. It is a long lasted conundrum called th e problem of implied assertion which dates back 100 years ago in the common law evidence. The problem of implied assertion is a touchstone for the conceptual limitation of hearsay evidence, and there has been a fierce confrontation in the legislation, practice, and academia of the Ang lo-American evidence law. In order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oncept of hearsay evidence, epistemological and comparative research is neede d on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statement. This thesis tries to explai n that human statement has various aspects of danger and has circumst antial characteristics at the same time through researching comparative study of the common law evidence and the philosophical speech act the ory. it also suggests that the usability and range of circumstantial chara cteristics depends both on the intrinsic logic of criminal evidence law and the whole external structure of each criminal procedure concerned. I n addition, it tries to point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finition of hearsay in the common law and that of the Korean evidence law leadin g to the new conundrum. Finally, it add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sition of interpretation on the concept of hearsay evidence in th 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and to optimize it in terms of the legislation.

      • KCI등재

        한국 형사소송법과 미국 연방증거법상 전문법칙 비교연구

        권오걸 ( Oh Geol Kwo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24 No.1

        우리 입법자는 이미 형사소송법의 제정 당시에 전문증거와 전문법칙과 그 예외를 인정하였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에는 전문증거의 정의를 학설과 판례에 위임하고 있으며, 진술의 범위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진술ㆍ서류ㆍ조서라는 복잡한 구조로 전문법칙의 예외가 전개되고 있다. 서류와 조서는 각각 성립의 진정과 내용의 인정, 특신 상태와 신용성의 정황적 보장 등 그 예외의 요건을 달리하고 있어 그 복잡성이 가중되고 있으며, 전문법칙 예외의 해석과 적용에도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형사소송법상의 전문법칙이 보다 합리적인 사실인정을 위한 증거법적 원칙으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미국 연방증거법처럼 목적규칙을 포함한 전문증거의 정의와 범위를 규정하여 전문증거가 배제되는 근거를 보다 분명히 하고, 진술·조서·기타서류로 다원화된 예외규정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진술의 범위에 현대의 과학기술의 발전을 반영하여 디지털 증거 -녹음, 영상녹화 등-의 포함여부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미국은 Crawford 판결 이후에 수정 헌법상의 대면권을 강조함으로써 전문법칙의 예외 적용에 상당한 제한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 지나치게 확대된 전문법칙의 예외에 대한 반성이며, 형사증거법의 이념에 충실한 전문법칙의 본래의 정신으로 돌아감을 의미한다. 우리의 형사재판에서도 직접증거 보다는 간접증거인 전문증거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써 전문법칙의 예외 적용의 범위가 지나치게 비대화 되었다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소추기관은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증거의 수집보다는 조서에 대한 전문법칙의 예외의 적용이라는 수월한 길을 선택하는 관행이 정착된 것은 아닌지 곰곰이 새겨야 한다. 우리가 대면권 조항을 신설하는 헌법 개정을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전문법칙과 전문법칙 예외의 적절한 조화를 통한 실체적 진실발견의 이념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직접신문에 의한 공판중심주의적 재판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 대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Our lawmakers on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1954, had already acknowledged the Rules of hearsay and imposed restrictions on hearsay evidence. In the United States federal law of evidence has regulation about definition on the hearsay and the scope on the statements, therefore provides the basis that hearsay is excluded. But there are no specific regulations on the scope of testimony and documents in our Criminal Procedure Act , the exception of the hearsay rules is applied with a complex structure of statement, document and protocol. 74) In the Federal law of evidence, exceptions condition is relatively clear than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However,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use very abstract terms such as ``True existence of evidence``, ``Recognition of content``, ``Particularly reliable source of a situation`` etc. Therefor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has so many problems in the face of theory of interpretation. After all it is needed that we must have the regulation about definition on the hearsay and the scope on the statements for hearsay rules to exercise the functions of the reasonable fact finding. Also statements to reflect the development of modern technology on a range of digital evidence, recording - video such as recording - of whether to include also contended that it need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In USA through the Crawford Case, It must be needed condition of exception as well as Confrontation with witness for hearsay evidence to have admissibility of evidence. At this time we must reflect whether we depended on the hearsay evidence in fact finding or not in the past. In Korea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amend the Constitutional Law for the Establishing the right to face. Therefore it is the most realistic solutions to strengthen a junior the court trial in order that we try to find a solution to harmony between Hearsay Rules and Exception of the Rule.

      • KCI등재

        전문법칙 적용범위 논의를 위한 몇 가지 고찰

        차정인(Jeong In Cha) 중앙법학회 2014 中央法學 Vol.16 No.2

        Fundamental concepts, terms and theoretical basis should be reexamined and be classified to avoid unnecessary complexity of a range of application of hearsay exclusionary rule. Admissibility under Anglo-American law, which is able to be translated permissiveness, connotes element of the Weight of Evidence. This term "Admissibility" is different with "Probative Value" under Criminal Procedure Act of Korea. Therefore, translation of "Admissibility" into "Probative Value" is inappropriate. Trustworthiness which means whether statements evidence is objectively true is a factor of the Weight of Evidence. The concept of this term "Trustworthiness" is same with that of "Trustworthiness" in the term "Circumstantial Guarantee of Trustworthiness". Several terms referring to Trustworthiness should be standardized. Trustworthiness in ``Lack of Trustworthiness``, which is the majority theory as theoretical basis of hearsay evidence, needs to be disentangled with trustworthiness as a factor of the Weight of Evidence. Two conceptual elements of the Weight of Evidence are Trustworthiness and "Weight of Evidence in a narrow sense" which is the power confirmed by trustworthy evidences. Those are cleary disentangled and the one is decided after the other. The essential theoretical basis of hearsay evidence is the Danger of Error in Transmitting.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danger of error in transmitting exists in not only hearsay evidence but also various documents, but rather more danger in documents. In comparison with original evidence which the judge listens directly from stater, inaccuracy of documenets could be occurred in several steps such as for investigator to understand after listening stater, to select the statement, and to compose statements on documents. The danger of error in transmitting of hearsay evidence is followed by two cases, one is nonexperienced person`s statements and the other is recorded statements not statements in trial. Making a table with x-axis(record or not) and y-axis(experience or not) makes classification easy between hearsay evidence and re-hearsay evidence.

      • KCI등재

        Hearsay Rules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 Focused on the justification of the hearsay rule and the scope of the hearsay evidence-

        권오걸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6 No.-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has the regulations about the hearsay evidence(article 310-2) and the exceptions(article 311-316). The rule against hearsay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basically had accepted theory of Anglo-America Law, but we must pay attention that there are something different in the rule against hearsay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unlike Anglo-America Law. Straightforwardly recent discussion about the rule against hearsay is concerned with the exceptions of the rule against Hearsay, therefore the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the Hearsay Evidence is rather sparse. So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justification of the rule and the scope of the hearsay evidence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As a result, for Hearsay 1) There must be oral statement or unverbal act with a certain intention 2) These statement or unverbal act with a certain intention must be delivered to the court indirectly to prove the fact mentioned in the statement or act. And from this point of view, unverbal intentional act may be the hearsay. And digital containing media amounts to the hearsay as not statement itself but written statement. And implied assertion without any intention does not amount to the hearsay.

      • KCI등재

        Hearsay Rules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Act

        권오걸(Kwon Oh Geol) 한국법학회 2012 법학연구 Vol.46 No.-

        전문증거에 대해서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는 증거법상의 원칙을 전문법칙이라고 한다. 전문법칙은 요증사실에 대한 직접관찰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법정에서 그를 대신해서 진술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 즉 불출석 증인의 증거를 배제하고자하는 보통법체계에 따른 영미 증거법상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문법칙은 우리 형사소송법에서도 자백법칙과 더불어 증거법의 양대 영역을 이루고 있다. 우리 형소법에서의 전문법칙은 기본적으로는 영미법의 이론은 繼受한 것이지만 반드시 그것과 동일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전문법칙과 관련된 규정들의 내용과 형식을 살펴보면 영미법상의 전문법칙에서 유래되고 있는 규정 외에 다른 취지의 것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의 전문법칙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전문법칙의 근거 또는 예외인정과 관련된 것이며, 전문법칙의 전제인 전문증거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형사소송법상의 전문법칙의 근거와 전문증거의 개념과 범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전문증거는 ① 어떤 의도를 가진 진술 또는 비언어적 행동이 존재할 것, ② 진술 또는 비언어적 행동에 나타난 사실의 입증을 위해서 ③ 진술 또는 비언어적 행동이 법정에 간접적으로 전달될 것이라는 요건이 필요하고, 2) 이러한 관점을 형사소송법 제310조 2 의 해석론과 관련해서 볼 때 비언어적 의도적 행동도 진술의 범위에 포함시킬 수 있으며, 3) 디지털 저장매체들은 진술 그 자체라기보다는 진술기재서류로서 전문증거에 해당하고, 4) 의도 되지 않은 묵시적 주장은 전문증거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has the regulations about the hearsay evidence(artide 310-2) and the exceptions(artide 311-316), The rule against hearsay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basically had accepted theory of Anglo-America Law, but we must pay attention that there are something different in the rule against hearsay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unlike Anglo-America Law. Straightforwardly recent discussion about the rule against hearsay is concerned with the exceptions of the rule against Hearsay, therefore the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the Hearsay Evidence is rather sparse. So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justification of the rule and the scope of the hearsay evidence in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As a result, for Hearsay 1) There must be oral statement or unverbal act with a certain intention 2) These statement or unverbal act with a certain intention must be delivered to the court indirectly to prove the fact mentioned in the statement or act. And from this point of view, unverbal intentional act may be the hearsay. And digital containing media amounts to the hearsay as not statement itself but written statement. And implied assertion without any intention does not amount to the hears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