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慶南地域 某工團內 社業場 勞動者 및 保健擔當者의 勞動者保健管理에 관한 知識 및 態度

        손혜숙,이성림 大韓産業醫學會 1993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5 No.1

        우리나라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산업보건사업인 작업환경측정 및 건강진단을 중심으로 사업장 보건관리에 관한 실태를 파악함으로 근로자 보건관리 대책에 일조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남지역 모공단내 45개 사업장의 보건담당자 45명, 근로자 373명을 대상으로 근로자 보건관리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하여 1991년 12월부터 1992년 2월까지 설문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정기 근로자 건강진단을 매년 지속적으로 받아 온 근로자가 75.9%였다. 2. 자신이 받고 있는 건강진단의 종류를 13.7%의 근로자가 몰랐으며, 특수건강진단 대상자 중 18.8%만이 자신이 특수건강진단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3. 건강진단 실시후 결과를 통보 받은 근로자는 70.5%였고, 통보받은 검진결과 내용(질병 유무)을 모르는 근로자가 12.9%였다. 4. 건강진단의 유용성에 대하여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인 응답을 한 근로자가 65.4%, 보건담당자가 95.5%였다. 5. 사업장의 보건관리방법에 대하여 58.2%의 근로자가 모른다고 응답하였고, 보건담당자의 86.7%는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다. 6. '산업보건의' 및 '보건관리자'라는 용어에 대하여 근로자의 36.7%가 모르고 있었다. 7. 보건교육은 31개(68.9%) 사업장에서 실시하였으며, 교육이 실시되는 것을 알면서도 교육에 전혀 참여하지 않는 근로자가 17.8%였다. 8. 작업환경측정이 환경관리에 유용하다고 응답한 근로자가 52.3%, 보건담당자 80.0%였다. 9. 근무하는 사업장에서 직업병이 발생가능할 것으로 응답한 근로자가 42.6%, 보건담당자가 28.9%였다. 10. 개인보호구의 직업병예방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근로자가 63.2%, 보건 담당자가 44.2%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사업장의 근로자와 기업주를 대신하여 보건관리업무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보건담당자가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보건관리활동에 대하여 올바른 지식을 가지고, 그 유용성을 인식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 교육하는 노력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사업장 보건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 실시되는 보건관리방법별로 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fundamental data for a countermeasure of health care magnagement-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regural health check, etc. The author surveyed th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the worker's health care of 373 workers and 45 health manager in an industrial complex in Kyungnam from December 1991 to February 1992.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75.9% of workers has gotten regural health check continuously. 2. 13.7% of workers didn't know about a kind of regural health check that was gotton. And just 18.8% of workers knew exactly that he got special health check. 3. After health checking, 70.5% of workers recieved the result of health check. although they recieved the result, 26.0% of them didn't know about the contents of the result. 4. 65.4% of workers and 95.5% of health manager answered that regural health check was useful for workers' health care. 5. 58.2% of workers ansered that he didn't know the method of health care of own industry. 6. In 31 factories(68.9%), health education performanced and 17.8% of workers never attended there, even through health education performanced. 7. 52.3% of workers and 80.0% of health managers answered that working environment measurement is useful for workers' health care. 8. 42.6% of workers and 28.9% of health managers answered that the development of occupational disease is possible at working place. 9. 63.2% of workers and 44.2% of health managers answered that the personal protects are helpful to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diseas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hat the workers and health managers know and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occupational health exactly, for achieving the effective results of the activities. And, we should develope the effective programme for educating and training the workers and the health managers.

      • 전국 보건의료 노동자 노동실태 분석

        이종선(Jong-Sun Lee),고형면(Hyung-Myun Co),정헌주(Hun-Joo Chung),김호진(Ho-Jin Kim)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6 노동연구 Vol.33 No.-

        이 연구에서는「2016년도 보건의료 노동실태 조사 분석」자료를 토대로 보건의료 인력난의 일반적 실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보건의료노동자들의 고용현황과 관련된 일반적 노동실태를 살펴보았다. 둘째, 민간의료시장의 개방과 영리화 전략이 고용 안정과 고용의 질에 대한 보건의료 노동자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보건의료 인력수급난이 가장 심한 간호사직에서 이직의향이 매우 높았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열악한 근무 환경, 경직된 조직문화, 그리고 낮은 임금수준 등이 있었다. 또한 보건의료노동자들은 병원의 영리추구 경영전략이 고용 안정과 달리 노동시간과 노동강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았다. 병원간의 경쟁심화로 병원경영주들이 노동자와 노동조합을 배척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응답이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최근 보건의료 인력 수급난과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해서 는 보건의료 인력에 대한 노동환경과 근로조건의 개선과 함께 동일 직군내의 임금격차를 해소하는 방안에 대한 더 많은 정책적 개선방안이 필요해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보건의료 공공성 확보와 보다 나은 보건의료 정책을 만들어가기 위한 노사민정간 정책거버넌스 구축과 운영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ntity of health manpower shortage on the basis of the 2016 health workers survey data conducted by KHMU (Korean Health and Medical Workers Union) and KU IRLE (Institute for Research on Labor and Employment). The main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in the hospitals that have a high turnover rate of health care workers? Second, how did the opening of the health care market and for-profit strategies of private hospitals have an impact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intensity of the labor of health care work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t shows that turnover of nurses is serious more than other professional jobs in the hospitals. It also shows that the smaller hospital, the higher turnover. As the main reasons of high turnover, it points out poor working conditions such as a relatively long working hours and heavy labor intensity. In the survey, health care workers think that the for-profit strategy of private hospitals has a negative impact on working hours and labor intensity, while it has a positive impact on employment security of health care workers. According to an increasing competition between hospitals, recently, hospital employers’will to admit the workers’ unions as a win-win partner has been getting weaken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nbalanced employment and job mis-match of health care workers, therefore, polices on how to eliminating the wage disparities between the same occupations of health care workers are needed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onditions for health care workers. To do this for creating a better health care policy and securing the publicity of health care, the social dialogue and policy governance is essentially needed among unions, employers, civil leaders, and administration.

      • KCI등재

        간병인의 노동실태와 직업교육훈련

        김삼수 한일경상학회 2015 韓日經商論集 Vol.69 No.-

        In South Korea, health care workers are working for inpatients in hospitals as well as for gerontic patients at homes. This paper investigates actual state of care workers’ working conditions and skill formation, and draw some useful policy implications for institutionalizing care work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VET) system, focusing mainly on the hospital health care workers who have been excluded from the formal nursing system and the long-term gerontic care insurance system.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made clear that labour market of health care workers in South Korea has typical characteristics of external labour market: individual contracts, 24 hours work system in the hospitals as well as at home, underskilled workers and very high turnover rate. Systematic VET for care workers has not been provided in the hospitals. National certificate of care worker does not play a role as an exclusive entry requirement. Two policy implications are drawn. First, hospital health care should be included in the hospital nursing system, and more systematic VET is to be developed by the hospitals. Second, a policy for setting multi-ladder career paths for care workers by introducing higher ladder certificates is suggested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amount of high skilled care workers as professionals.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에서 간병인은 대표적인 돌봄노동자로서 병원에서는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는 노령의 요양환자를 대상으로 일하고 있다. 이 논문은 병원의 공식적인 간호체계나 장기요양체계에서 소외되어 있는 간병인을 대상으로 병원간병에 초점을 맞춰 간병인의 노동 및 숙련형성의 실태를 구명하고 간병노동의 제도화와 이를 위한 직업교육훈련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분석의 결과, 한국의 간병 노동시장은 전형적으로 저숙련의 외부 노동시장적 특징을 갖고 있는 점이 밝혀졌다. 간병인과 고객(환자․보호자)의 개별 계약이 지배적이며, 병원에서의 24시간 간병이나 가정에서의 입주간병이 일반화되어 있는 등 근로여건이 열악하고 이직률 또한 높다. 간병인에 대한 교육훈련은 체계적이지 않으며 매우 미흡하다. 국가 공인의 요양보호사 자격은 간병직에 대한 배타적인 입직조건으로서 역할하고 있지 못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먼저 일본에서와 같이 유료의 병원간병을 금지하여 간호체계에 편입하고, 그에 수반하여 병원 측이 체계적인 직업교육훈련을 실시하는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재가간병 서비스에 의한 가정간병의 사회화를 확대시키는 방향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담당할 고숙련의 전문직으로서 요양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현행 요양보호사 위에 상위의 자격을 도입함과 더불어 경력경로 설정을 통해 요양보호사 자격제도를 확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Do Low Self-Esteem and High Stress Lead to Burnout Among Health-Care Workers? Evidence From a Tertiary Hospital in Bangalore, India

        Johnson, Avita R.,Jayappa, Rakesh,James, Manisha,Kulnu, Avono,Kovayil, Rajitha,Joseph, Bobb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20 Safety and health at work Vol.11 No.3

        Background: Low self-esteem can be an issue among health-care workers due to the hierarchical medical system. Health-care workers are also in a high pressure environment that can lead to stress and burnou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proportion of health-care workers with low self-esteem, high stress, and burnout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in a private hospital in Bangalore city.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a random sample of health-care workers of various cadres - doctors, nurses, nursing aides, technicians, and workers in ancillary departments such as laundry, dietary, central sterile supply department, and pharmacy, with probability proportional to size. Rosenberg Scale for Self-esteem, Cohen's Perceived Stress Scale, and Shirom-Melamed Burnout Measure were used as study tools. Results: Among the 306 health-care workers, there were high levels of low self-esteem (48.4%), stress (38.6%), and burnout (48.7%), with the lowest levels being among doctors. Those aged younger than 30 years ha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and greater stress. Conclusions: Health-care workers with low self-esteem were nearly thrice more likely to suffer high stress, Odds Ratio (OR) = 2.84 (1.36-5.92), and those who were stressed had more than three times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burnout, OR = 3.6 (2.02-6.55). Path analysis showed that low self-esteem among health-care workers had a direct effect on burnout,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stress (mediator variable). This study indicates the need for screening and counseling for low self-esteem, stress, and burnout as part of a periodic medical examination of all cadres of health workers.

      • KCI등재

        일부 지역 노인요양기관 종사자의 구강건강 인식정도와 구강건강관리 제공 실태 조사

        박정란 ( Jeong Ran Park ),홍민희 ( Min Hee Hong ),최유리 ( Yu Ri Choi ) 한국치위생학회 2015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5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provided by workers in the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3 workers in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care professionals, oral health care, oral health care improvement, and denture care. Except the incomplete answers, 200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software of SPSS WIN 18.0. Results: Highly educated people tended to have higher oral health awareness. The workers in the facility maintained the oral health care but they suggested that dental professionals are needed.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oral health care management by dental professionals.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노인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과 인식도 연구

        김기욱,김지화 한국융합학회 2015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6 No.6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 중인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지식정도와 인식도를 조사하여 구강보건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발전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D광역시 소재 노인요양시설(10개소)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63명을 대상으로 2015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를 SPSS Statistics 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요양보호사들의 구강보건지식은 총점 26점 만점에 20.09점(77.2%)로, 가장 높은 지식은 ‘올바른 칫솔질 방법’ 93.0%, 가장 낮은 지식은 ‘구강보조용품사용 지식’ 58.1%로 조사되었다. 구강보건교육경험이 있는 사람이 구강보건교육 요구도가 높았으며 (P<0.001), 구강보건교육경험횟수가 많은 사람이 구강보건지식(P<0.001), 요구도(P<0.01), 인지도(P<0.05)가 높아 유의하였다. 요양보호사들의 구강보건인식정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구강보건지식점수(P<0.01), 구강보건교육 요구도(P<0.01)가 높을수록 구강보건인식정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요양병원 장기입원환자의 구강특성을 고려한 효율적, 지속적, 실질적인 요양보호사의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구강보건교육의 담당자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필요 할 것으로 전문 인력의 배치를 위한 국가의 제도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care workers on oral health knowledge at the geriatric care facilities in order to improve and develop oral health service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o 163 care workers working at the geriatric care facilities (10) in D Metropolitan City from May 1~31, 2015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a result,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care workers was 20.09 points out of total 26 points (77.2%). The highest knowledge was ‘proper toothbrushing method’ with 93.0% and the lowest one was ‘knowledge on the use of oral supplementary goods’ with 58.1%. Those with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had higher demand on oral health education (P<0.001), and those with higher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P<0.001), demand (P<0.01) and awareness (P<0.05). As for factors influencing care workers' oral health awareness, if they had higher oral health knowledge points (P<0.01), oral health education demand (P<0.01), they had higher oral health awareness level.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provide efficient, sustainable and practical oral health education of care workers considering or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at the care hospital. And, the role of dental hygienist as the person in charge of oral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nstitution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assign professional personnel.

      • KCI등재

        전남지역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정성배(Jeong, Seong-Bae),주미연(Joo, Mi-Y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3 지역사회연구 Vol.21 No.2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burnout of geriatric care workers in Jeollanamdo in order to prevent the burnout of care workers. We surveyed the care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he elderly health care facilities in Jeollanamdo province, and then analyzed the data by the following criteria: general characteristics (sex, career, education, and work place), job characteristics (job type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person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relations with seniors and co-worker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promotion and reward, and work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burnout level of care workers working in city areas was higher than in rural area. Secondly, the longer the workers’ career was, the lower the level of their burnout was. Thirdly, the higher their education level was, the higher their burnout level was. Fourthly, the better the personal relations with seniors and co-workers were, the lower their burnout level was. And finally, the higher their pay was, the lower their burnout level wa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s. Firstly, it is required to revise the pay system for care worker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fication level of care workers and to establish new training programs for care workers in universities. Finally, mo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burnout of care workers.

      • KCI등재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

        박향경,권자영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7 No.3

        This study is an explanatory study of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elf-car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ata was collected over three sessions using FGI and analyzed using subject analysis method.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9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ith work experience of 3~10 years at mental health centers,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mental health clinic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self-car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uld be analyzed into six subjects: entering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perceiving myself and my surrounding in the reality of the mental health practice field, slowly becoming exhausted, ways to overcome crisis, unfamiliar but sort of realizing how to self-care, and boundary and space for self-care.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recommendations were made on the following: creating a sympathetic and caring mental health practice environment,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 systematic self-care education program for the emotional welfare and growth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s professionals, and provision of self-care education and education abou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rauma, secondary trauma, and burn out during the proces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training.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초점집단면접방법(FGI)을 활용하여 총 3차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주제분석방법을 통해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정신의료기관 등에 근무하고 있는 경력 3년 이상 10년 이하의 정신건강사회복지사 19명이다. 연구결과,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경험은 정신건강실천현장으로 들어섬, 정신건강실천현장의 현실 속에서 나와 주변을 봄, 서서히 고갈되어감, 고비를 넘기는 혹은 넘긴 방법들, 낯설지만 알것 같은 나를 돌보는 일, 나를 돌보기 위한 울타리와 장 등 6개 주제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공감과 돌봄의 환경’으로서 정신건강실천환경 조성,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전문가로서의 정서적 안녕감과 성장을 위한 체계적인 자기돌봄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제공,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교육 과정에서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외상, 이차외상, 소진 등에 관한교육과 자기돌봄 교육의 제공 등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요양보호사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규,박현순 대한노인병학회 2014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4

        Backgroun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the long-term care workers,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approach.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on the influe nce of long-term care workers’ health awareness on their life satisfac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600 long-term care workers working at Nursing homes and Nursing facilities located in Seou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participants are analyzed with Multi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ameters to the subjective awareness of health are as follows: marriage, education, religion and work places. And as the minor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rate of life satisfaction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otional health (β=0.178, p<0.01) and the intellectual health (β=0.281, p<0.001)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 as follows: there is a positive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aware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more women than men, and the higher income, the higher health awareness. The findings point out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intellectual health and efforts to promote better health and demand for a societal change in health awareness. This study provides the baseline data for a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 and political suggestion by examining how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awarenes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of long-term care workers, and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연구 배경: 지금까지 요양보호사 본인의 지적·정신적·정서적·사회적 건강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향후 장기요양서비스 핵심 인력인 요양보호사의 건강과 생활만족을 증진시키는 방안과 공공영역에서의 적극적, 예방적 관리시스템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 조사는 2013년 11월 10일부터 2013년 12월30일까지 서울시내의 요양시설과 재가(방문)센터 요양보호사600명을 무작위 선정하여 임의표집 방식으로 설문조사하였고,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응답지 582부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50부를 제외하고 분석에 활용된 최종 자료는 총532부이다.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인식 수준을 보면 60세 이상의 연령대가 40대, 50대에 비해 건강인식이 낮았고, 기혼자일 경우와 학력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경우에, 월 소득이 많을수록, 건강 수준이 높았다. 근무지별 특성은재가(방문)센터 종사자가 ‘기타’라고 응답한 종사자에 비해 건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cheffe test를 실시한 결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낸 변수는 결혼, 학력, 종교, 근무지인 것으로 밝혀졌다. 요양보호사의 주관적 건강인식 평균은3.74 (standard deviation [SD], 0.56)점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가 중간 이상이라고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개인 특성은 결혼, 학력, 종교, 월 소득이었고 기혼자가 사별, 별거, 이혼중인사람보다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고학력일수록, 종교를 가진경우에, 월 소득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의 하위변수로는 정서적건강(β=0.178, p<0.01)과 지적 건강(β=0.281, p<0.001)이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넷째,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가 r<0.8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요양보호사의 건강인식은 결혼, 교육, 종교, 월 소득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연령, 근무연수, 근무지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요양보호사의 생활만족도와 주요 변인과의 상관관계는 연령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결혼, 교육, 종교, 월 소득, 건강인식과는 양의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 요양보호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인식이 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서적건강과 지적 건강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활동 참여가 많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의 5가지 변인별 분석 가운데 지적 건강이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때, 지적 건강 증진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정서적・지적 건강의 중요성과 개인인식변화, 건강증진 노력, 우리 사회의 의식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내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성호(Seongho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8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상황 하에 효과적인 보건정책을 통한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건강관리 및 증진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한 인식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보건정책을 통한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이주노동자 9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와 설명에 유용한 모델로 널리 알려져 있는 Andersen-Newman의 Behavioral Model(행동주의모델)에 근거하여 실시되었다.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이 한국 내 의료서비스 이용 시 겪는 장애와 제약에는 언어와 문화적 장벽, 정보 부족, 이용시간의 어려움, 사회적 지원체계의 미비, 그리고 경제적 부담 등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 결과 지속적인 의료서비스 이용을 꺼리고 진통제에 의지하는 결과를 낳고 있다. 특히 질병이나 사고를 겪었을 때 즉각적으로 정보를 구하고 도움을 청할 사회적 네트워크의 부족은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a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enhance the health status of migrant workers through effective heath care polic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conception and factors that affect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among foreign migrant workers in Korea’ and apply the study results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heath care policy.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y inviting 9 foreign migrant workers who had lived in Korea longer than one year and had experience of using health care services. This study employed the Andersen-Newman Behavioral Model which is one of the most widely known and applied behavioral theories fo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health care service utiliz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foreign migrant workers have experienced linguistic and cultural barriers, lack of proper information, time constraints, and economic burdens in using health care services in Korea. Due to these reasons, they avoid continuing medical care and usually rely on pain medicines. In particular, foreign migrant workers’ lack of social networks inhibits them from accessing immediate information and assistance. This is one of the major barriers in using proper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