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귀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과 애도의 구조, 그 의미와 한계

        서유석(Seo, You-Seo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옛이야기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원귀는 자신의 원한이 해결된 이후 현실에서 사라진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과 <의적 강목발>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두 존재는 자신의 원한을 직접 해결한 뒤에도 다시 현실 세계에 나타나 그 원한에 대한 복수를 지속하기 때문이다. 두 이야기는 배경이 되는 시대와 지역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원한으로 죽임을 당한 자의 아버지가 아들의 시신을 꺼내 매질한다는 공통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이 이유 없이 지속되는 끝없는 복수를 보여주는데 비해, <의적 강목발>은 복수가 지속되지 않고 해원이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한 두 원귀 서사의 해원과 애도의 구조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 연구방법론, 그 중에서도 라캉의 이론에 기대고 있다. 실재계와 충동(Drive, 욕동)이라는 개념을 중시하는 후기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와 실재계를 넘나드는 원귀의 해원 구조를 좀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거무의 원귀는 원한을 가질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신거무의 원귀를 사실 원귀라고 부르기도 쉽지 않다. 이유 없이 원귀가 된 신거무의 원귀는 그 원한의 이유를 알 수 없기에 해원이 불가능하고, 애도 작업도 불가능하다. 원한을 풀어낼 수 없기에 <신거무 전설>의 결말은 이유 없이 이어지는 끝없는 죽음만 남아 있을 뿐이다. 즉 신거무의 원귀는 충동 주체이며 실재계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의적 강목발>의 해원구조는 <신거무 전설>과 달리 상징계적 질서에 놓여 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상징되는 지방 수령을 직접 해원의 방식으로 복수함으로써 당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모순을 공박하지만, 그 남근의 거세로 인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소멸되어 이야기의 향유 주체는 오히려 소외된다. 즉 강목발 이야기의 직접 해원 구조는 다시 ‘아버지의 이름’과 당대 사회의 문화적 질서를 재구축하는 것이다. 두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러한 차이점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어 공박하는 원귀 서사가 지금까지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유이다. 원귀 서사는 현실 세계 전복 가능성의 안팎을 끊임없이 넘나들고 있을 뿐이다. In old stories, most vengeful ghosts resolve their grudge and then disappear from the real world. However, such tendency is not observed in the stories of Legend of Singeomu and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The two beings directly resolve their grudge yet remain in the real world to continue exacting their vengeance based on their grudge. Despite their different backgrounds, including times and regions, the two stories have a common plot in that the father of the person who was killed by the grudge pulls out his son’s body from the coffin and whips them. Yet, while Legend of Singeomu shows continuing vengeance for nothing,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does not continue with the act of vengeance but rather releases the grudge at a certain point, thus making the two stor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rudge-releasing and mourning of the two vengeful-ghost narratives with distinctiv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o confirm this structure,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Lacan, one of psychoanalytic research methodologies, that emphasizes the concept of real world and drive, which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more clearly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vengeful ghost that crosses the symbolic world into the real world. Because Singeomu’s vengeful ghost is a being that cannot bear a grudge, it cannot be essentially called a vengeful ghost. Singeomu’s vengeful ghost, which has become a vengeful ghost without a reason, can neither release an unjustified grudge nor perform an act of mourning. Since the grudge cannot be released, the ending of Legend of Singeomu is only an endless death that continues without reason. In other words, the vengeful ghost of Singeomu is a driven subject and is se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is in line with the symbolic world order, unlike that of Legend of Singeomu. The vengeful ghost refutes the contradiction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y avenging the local governor, symbolized by his father’s name, in a grudge-releasing fashion. However, the Oedipus complex is destroyed by the castration of the penis, and the entity of the story is alienated. In other words, the direct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Gang Mok-bal story is to reconstruct the “father’s name” and the cultural order of the then society. S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ries is that the vengeful-ghost narrative, which reveals and contradicts the reality’s contradictions, is constantly repeating so far. The vengeful-ghost narrative only constantly crosses into and out of the possibility of the real-world overthrow.

      • KCI등재후보

        한국 블록버스터의 변형과 쾌락 : 한국 영화의 어두운 서사에 관하여

        이상용 영상예술학회 2004 영상예술연구 Vol.4 No.-

        This article is dealing with the Korean style blockbuster that is recently remarkable in the field of Korean film industry. For last 2 or 3 years, the Korean blockbuster has been grown up explosively. However, it has been failed in the commercial aspect. This article is focused in the cause of this failure and compared with the Hollywood blockbuster and some viewpoints. Although these movies (films) are copying Hollywood adventure movies, they don't make a hero and give any pleasure of entertainment movie. They are usually main characters that bear a grudge. The background of grudge always centers on a wound and a memory of the past There are Time travel to the past like The Advent of matches selling girl, Yesterday, Wonderful days, 2009 Lost memories and the grudge of Tube, although they have a difference of degree officially and privately in each movie, all of them are connected with the trauma of the past. Because the issue as the memory of the past is main point, it is reasonable that this issue should 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lockbuster. The enormous grudge(hatred) that shows in Korea Blockbuster is considered as the narcissistic subject that Korean society or many Korean stories has. Not only they are taking the style and story of Hollywood movie, but also they are keeping the identity and unconsciousness of Korea as pledge, as it were, they are making the insoluble content like a leading actor who can embody the character of movie. The existence of main character who bears a grudge goes against the principle of pleasure that Blockbuster movie should offer. This can cause the failure of drawing spectato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remind the example that the myth of Korean Blockbuster was born by touching a mass unconsciousness or narcissistic subject like Shiri and JSA It is necessary to think further the problem of 'grudge(hatred)' A grudge doesn't decide the personality of character, but it is connected closely with the event of movie and action. A number of Blockbuster express violence or action. But unlike terror or gun-fight is frequent in American society, the rate of violence is limited quitely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generate the narrative and mental causality for enabling enormous violence that explodes buildings and mass violence except a few gangster movie. It is based on the emotion of a 'grudge'. A grudge just gives power that can be linked to an act filled with a rage. At this respect, a grudge can be emphasized as a triggering device which makes a spectacle. But the situation is changing, the spectacle of grudge is making explosive box-office hit and continuing the boom of Shiri and JSA. Silmido and Taegukgi(The Korean Flag Waves), they are heroes. Supplementary article written after this article adds some comments about these causes of a box-office hit. However, there is nothing changed from the character of a grudge and unconscious narcissism fundamentally. So it matters.

      • KCI등재

        아랑설화에서 드라마 <아랑사또전>에 이르는 신원 대리자의 특징과 그 의미

        하은하 ( Ha Eun-ha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아랑설화 연구에서 주요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던 신원 대리자를 주목함으로써, 아랑설화 속 신원의 의미를 새롭게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헌과 구비로 전승되는 아랑설화를 검토한 결과 각 편들 간에 편차가 크고 아랑만큼 변화가 큰 인물이 신원 대리자이라는 점에 착목해서 그들의 특징과 의미를 면밀히 고찰한 것이다. 논의를 위해 본고에서는 『청국야담』, 『고금소총』, 『동야휘집』, 『금계필담』, 『일사유사』, 『반만년간 죠선긔담』의 문헌 소재 아랑설화와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구전설화(임석재전집)』에 수록된 구비 전승 아랑설화, 그리고 드라마 <아랑사또전>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헌자료를 검토한 결과 신원 대리자는 첫째, 원귀의 호소를 들을 수 있는 자와, 원귀의 문제를 처리하는 자 둘로 나누어진 경우가 많았다. 둘째, 원귀의 호소를 들을 수 있는 자들은 대개 그들이 지닌 능력과 겉모습 사이에 큰 괴리가 있었다. 예로 몰락한 양반이거나, 실력은 있지만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셋째, 능력과 현실적 지위 사이의 불일치가 여성이 신원 대리자의 모습으로 형상화된 경우도 있었다. 문헌 소재 아랑설화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위 세 가지 특징은 구비설화에서는 신원 대리자들의 지위가 미천할 뿐 아니라 가정과 세상으로부터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인물로 형상화되고 있었다. 이들은 밀양의 원으로 자원하게 되는 계기는 제각기 다르지만 처해있는 현실적 조건에서 벗어나기 위해 주체적인 결정을 통해 밀양 원님을 선택한 다는 점에서는 일치했다. 이런 특징은 드라마 <아랑사또전>의 신원 대리자인 사또 은오에게 반복되고 있었다. 문헌설화, 구비설화, 드라마 속의 신원 대리자들의 특징을 요약하면, 신분이나 사회적 처우 면에서나 감추어진 사건의 희생자인 아랑만큼이나 소외받고 인정받지 못한 이들이었다. 따라서 아랑이 신원 대리자를 찾아간 것 또는 신원 대리자가 아랑과 대화를 나눈 것이란 바로 소외되고 억압된 존재들 간의 만남과 연대로 볼 수 있었다. 아랑은 가장 가까운 존재인 부모에게 자신의 신원을 부탁하지 않았다. 그것은 부모도 그녀의 정절을 의심했으며 소문이 두려워 감추는 일에 급급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랑의 신원을 단순히 정절 이데올로기의 회복이라거나 공적인 애도의 과정으로 볼 수만은 없었다. 아랑과 신원 대리자의 소통이란 우선,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소외된 존재들의 연대라 볼 수 있다. 이것은 권력의 문제를 고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는 침묵으로 동조하는 있는 가족과 이웃에 대한 원망의 표출이다. 셋째는 죽음의 진실을 밝힌 신원 대리자의 과거 급제를 계기로 새로운 판짜기를 시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일장의 시제(詩題)로 아랑의 해원을 상기시키는 것은 새판이 지속되기 위해서 잊지 말아야 할 기억을 각인시켜 나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grudge-informer who was not concernd in existing research of ‘A-rang tale’. This paper has suggest new meaning of ‘A-rang tale’ through the grudge-informer. In the paper, objects of study are ‘A-rang tale’ and < A-rang satojeon: drama >. Firstly, characteristics of grudge-informer are compared. The grudge-informer is showed in bibliographic data and a story that has been passed on orally. Next, the characteristics are repeated sato in < A-rang satojeon: drama >. In Narrative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grudge-informer is as follows; One person can hear story of ghost, the other person can solve problem. One person has high ability but low status. One person is mainly woman, poor yangban and unfamous man. In Oral Folktales, the characteristics of grudge-informer is similar to bibliographic data. < A-rang satojeon: drama >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They are all alienated from the reality, so want to change the reality. The talk between ghost and grudge-informer is meeting with oppressed people. It is also solidarity. Target is denouncement of problem of power. Target is denouncement of problem of power. Secondly, expression of resentment to family and neighbor who are turned to silence. Thirdly, new making board is attempted with pass the state examination of grudge-informer. Fanally, ‘A-rang tale’ was the state examination.

      • ‘신앙 감각’의 원리로서‘성령’에 대한 토착화적 이해

        송용민(Song Yongm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5 누리와 말씀 Vol.- No.37

        신앙 감각(sensus fidei)이란 복음의 진리에 대한 일종의 본능(Instinkt)인데, 이 본능은 올바른그리스도교 교리와 실천을 파악하고받아들이며, 잘못된 것을식별할수있게해주는능력이다. 신앙감각은그리스도인들이자신들의예언자적소명을완수할수있게이끌어주는것이며, 진리의성령께서일깨워주시고 지탱해주는 초자연적 은사에 속한다. 오늘날 신앙 감각의 중요성은 신앙 행위가 지닌 체험과 맥락의 중요성과 무관하지않다. 구체적인삶의맥락들속에서참된진리의체험이가능하려면영 적식별능력과그리스도신앙고백의내재적원리가필요한데, 그런증언의능력이 신앙 감각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신학적으로 중요한 점은 이 신앙 감각의 원리인 진리의 성령을 구체적인 삶의맥락에서체험하고이해하기위해서는신학의자리인맥락(context)에대한 토착화적 연구가 필요하다. 한국의종교문화적 맥락에서보면성령에대한 체험은 성령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참된 성령 체험의 면모를 밝혀줘야 한다. 한국인의 기층적 종교심성을 형성하고 있는 민간신심은 특별히 도교적 세계관의영향을받은기(氣)에대한 체험과무당의종교체험에바탕을둔 한(恨)의체험,그리고굿판의구조와굿의공동체적제의의체험에서나온신바람(神明) 체험이 중요하다. 이 세 가지 종교학적 개념들은 곧바로 한국적 맥락에서 성령 체험을 이해하는 해석학적 열쇠가 된다. 성령체험이신앙의내재적원리로만이해되지않고, 창조질서안에서우주 론적조화와순환이라는구원사적원리로이해되기위해서는성령을‘하느님의 기’로이해할수있다. 창조행위를통해만물을조화롭게만드시는하느님의영 은구약성경에서증언하는‘ruach’의성령체험과연관되어있기때문이다. 그리스도신앙의핵심인 예수 그리스도의 파스카신비, 곧십자가에달리신 그리스도의 한 은 곧바로 (恨) 성령체험의중요한열쇠가된다.무당의체험에서 인격적으로 드러난 한의 체험은, 한맺힘과 한풀이를 통하여 죽음에서 부활로 넘어가는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드러낸다. 동시에하느님은당신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자기 비움과 자기 부정을 통하여 만물을 새롭게 회복시키는 성 령의 활동을 체험하게 해준다. 한국인에게‘풍류’로체험되는신바람(神明)은삶의아름다움의체험이우주 적신적질서로부터나오는하느님의영광과맞닿아있다. 특히굿판의공동체적 제의를 통하여 드러나는 한국인의 합일의 체험은 찬미와 영광을 드리는 경신례적 행위와 영적인 교감을 통해 관계를 이끌어주시는 성령의 현존과 활동을 체험하는 중요한 신학적 고리가 될 수 있다. 맥락 신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한국의 토착화 신학의 노력이 미진 한 가운데 신앙 감각의 본질과 형태를 파악하려는 신학적 노력에 이러한 성령 체험의 신학적 맥락화 시도가 토착화 신학의 지속적인 연구에 작은 힘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Sensus fidei is kind of instinct about the Truth of Good News. This instinct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Christian doctrines, to accept Christian practices and to discern the wrong things. Sensus fidei belongs to supernatural charisma, which Holy Spirit awakes and sustains; guides to accomplish each Christian’s prophetic vocation. Today, the importance of Sensus fidei is connected to the importance of faith experiences and its context. To make the real Truth experience possible in real life context, the spiritual discerning ability and intrinsic principal of Christian faith profession are needed. Such witness ability comes from Sensus fidei. Theoretically important point is to experience and to understand the Spirit of Truth in real life context needs to study context inculturally. Context itself is the site of theology. Observing in Korean religion-cultural context, the spirit experiences have to reveal the real Holy Spirit feature to Korean Christian who lives in the Holy Spirit era. The basic Korean religion spirit is the ‘spirit experience’ which is specially influenced by Taoism world concept, the ‘grudge experience’ based on Shaman religion experience and the ‘excitement experience’ came from the structure of ’gut’ and its community ritual experience. These 3 religion concepts are the keys to interpret the Holy Spirit experiences in Korean context. To understand the spirit experience is not just intrinsic principal of religion but to the Salvation principal as to cosmic harmony and circulation in Creation order, the Holy Spirit could be understood as to ‘God’s Spirit’. The God’s spirit which makes all creatures harmonious through Creation; this Spirit is related to ‘ruach’ experience attested in the Old Testament. The core of Christian faith is the Paschal mystery of Jesus Christ, Christ’s grudge on the Cross. This grudge is the important key to understand the Holy Spirit experience. The grudge experience shown in Shaman’s personal experience reveals this Christ’s Paschal mystery from death to resurrection through knotting grudge and unknotting grudge.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kenosis’ of Jesus Christ, Son of God, and ‘self-denial’, God makes possible to experience the Holy Spirit activities which renew and restore all creatures. The 'excitement experience’ which is called ‘refinement to Korean people is related to experience the beauty of life is next to God’s glory coming from divine cosmic order. Specially, ‘One Korean’ experience shown in ‘gut’, community ritual ceremony, can be an important theoretical link to experience the Holy Spirit presence and activity, who leads through community ritual ceremony and spiritual inter-relation of praises and giving glor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context theology, still study on Korean inculturation theology is insufficient. This theological endeavor to find out intrinsic nature of sensus fidei, along with the trial of experiment of theoretical context of such Holy Spirit experiences could to be a small help to continue the inculturation theology.

      • KCI등재후보

        恨의 정서와 시학

        정금철(Jung Kum-Ch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本稿는 한국의 傳來 情緖를 대표하는 ‘恨’의 개념과 그 두 갈래 유형인 ‘悔恨’, ‘怨恨’의 시적 정서와 형상화 기법으로서의 言述體系 - 이른바 詩學을 점검해보고자 하였다. 語源에 의하면 ‘恨’은 마음이 가로막혀 정체된 형상 - 마음의 응어리를 표상한다. 한은 욕망이 억압, 좌절되었을때 맺히는 心理的 傷痕이다. 님(욕망) 不在의 상실감에서 비롯된 회한은 후회의 마음과 애통의 정서를 내포한다. 님(욕망)으로부터의 소외감에서 비롯된 원한은 원망/애착의 역설적 심리와 분노/슬픔의 복합 정서에 자리한다. 심리가 결핍의 보완을 지향하듯, 시가문학에서 한의 응어리는 응어리의 삭임으로, 맺힘은 맺힘의 풀이로 해소된다. 상실의 상처인 회한은 상실 이전의 과거(님)에 애착하는 은유적 삭임의 시학으로 정화된다. 素月의 「招魂」과 徐廷柱의 「歸蜀途」는 님을 잃은 상실의 애통함을 과거(님)를 회고하는 은유(반복)의 시학으로 곰삭이고 있다. 한편 소외의 상처인 원한은 버린 님에의 원망/애착과 더불은 역설적 심상(은유)과 함께, 한의 맺힘→풀림으로 이행하는 환유적 풀이의 주도적 시학으로 해소되고 있다. 서정주의 「新婦」는 원한의 맺힘에서 풀림으로 접속되는 서사적 환유 저변에, 신랑(님)에 대한 원망/집착의 이중적 심상(은유)을 잠재한 한풀이의 시학으로 주도되고 있다. 소월의 「진달래꽃」은 1연이 4연으로 순환되는 은유적 형태 한 편에 1연이 4연에서 반전되는 환유적 시학을 동반하면서, 애/증의 갈등을 안으로 곰삭이고, 표(진술)/리(진심)의 언술로 밖으로 풀어내는 절묘한 통합의 시학과 情恨의 시세계를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etics of Korean traditional emotion ‘Han(恨)’ and its two subordinate emotions: ‘remorse’ and ‘grudge’. The origin of the word ‘Han’ represents a stagnant state of mind which is blocked by something. ‘Han’ is psychological trauma(complex) which happens when a desire is oppressed or frustrated. ‘Remorse’ includes ‘regret’ and ‘sorrow’, which arises from a broken heart pining for an absent ‘lover’. ‘Grudge’ places both paradoxical emotions of resentment/attachment and complex emotions of anger/sorrow, which arises from a sense of alienation toward one's lover. As a our mind has a tendency to satisfy the deficiency, an unpleasant feeling of ‘Han’ can be sloved by the mitigation of ‘Han’. Also a harbor of ‘Han’ can be solved by the satisfaction of ‘Han’. Remorse (a broken heart from losing one's lover) can be purified by the poetics of metaphorical mitigation, to which speaker attaches the past moment that he didn't break with his lover yet. In So-Wal's Chohon and Seo Jeong-Ju's Gwichok-Do, both speakers purify their sorrow at lover's death by recollecting the past, which I call ‘the poetics of mitigation’. On the other hand, grudge (a broken heart from alienation toward one's lover) can be solved by a leading poetics of metonymy which moves from a harbor to the satisfaction of one's ‘Han’. In Seo Jeong-Ju's Sinbu, the speaker shows us the poetics of the satisfaction of ‘Han’ in narrative metonymy which moves from harbor to the satisfaction of his grudge. This poetics includes a dual image of resentment toward the bridegroom. In addition, in So-Wal's Jindalrae Flower, the speaker suggests the satisfaction of one's ‘Han’ by mitigation, which is realized by the circulatory metaphor through stanza and the contradictory metonymy of exterior statement and interior sincerity.

      • KCI등재

        한국의 "한" 문화와 한류의 관계에 대한 고찰

        김성옥 ( Sung Ok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07 동북아연구 Vol.22 No.1

        본 논문은 한국 영화와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류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함으써 한국과 중국의 문화교류가 보다 높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한류에 대한 연구에서 대개 중국의 유교문화와 연관시켜 분석하는 편면성과 한류가 일시적인 유행에 불과하다는 부정적인 견해에 비추어, 한국인의 대표문화로서의 한’과 한류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 한류에 대하여 보다 본질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 한국인의 ‘한’의문화는 유구한 역사를 통하여. 풍류도의 문화철학정신에 의하여 부단히 윤리도덕사상을 보강하고 실천하는 과정에 더욱 풍부해지고 발전될 수 있었으며 고차원적인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이러한 ‘한’의문화는 오늘의 한류를 이룩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드라마나 영화는 ‘한’의문화에서 표방하는 인간의 순수한 정감을 절실하게 보여주어 인간의 기본적인 인품과 덕성을 선양하고 삶에 대한 신념을 고양하는 동시에 예로부터 인간이 추구해 온 아름다운 이상과 꿈과 만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시청자들로 하여금 보다 고급적인 예술적 향수를 할 수 있게 하였다. 한마디로, 한류는 주로 유구한 역사 속에서 형성된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특수성. 그리고 그것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는 창조역량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지속 여부는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창의력의 발굴에 달려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consistent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intensive studies on Korean waves centering on Korean movies and TV dramas. So far, studies on Korean waves were biased as they analysed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Confucianism and Chinesem and insisted that Korean waves are a temporary trend. However, this study attempts more intensive identification of Korean waves by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grudge `` as a representative culture of Korean people and Korean waves. Culture of ``Grudge`` of Korean people has been more prosperous and developed through reinforcement and and practice of morality thoughts by cultural and philosophical spirit for such a long history, and settled as advanced culture. This grudge cultur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current Korean waves. Korean dramas or movies show innocent emotion of people which is represented by culture of grudge. enrich basic personality. merit and faith to life and at the same time and help us to meet ideals and dreams we have pursued for such a long time. Therefore, they provide viewers with opportunities to enjoy high-quality artistic nostalgia, In short, Korean waves were originated from superiority and specialty of Korean culture, and from creative capability to sublime them into art, and their survival depends on excavation of superiority and creativity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한국 무속의 생태 사상과 치유 기능

        이영금(Lee Yeong Geum) 한국언어문학회 2014 한국언어문학 Vol.91 No.-

        Korean shamanism, an organic integration with gods, human beings and nature closely bound, forms a world view. That is, it, not separating the relations between heaven and earth, man and woman, man and god, and man and nature by means of dichotomy, regards them as organic coexistence-relations. Furthermore, it looks upon mediumistic spirit as a key link to the whole creation, and that mediumistic spirit can be categorized into yang energy and yen energy. Heaven, man and human being belong to the former and earth, woman, god and nature the latter. In other words, these two energies lie in the organic relation where these two energies interact with each other very closely. They may conflict or concord with each other. When they conflict to break the balance, the shamanistic exorcism is needed to recovering their harmonious relation. Korean shamanism thinks of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as that of yen and yang along with emphasis of their harmony and balance. God and mand are considered to be yen and yang respectively. When yen and yang conflict to reach an incompatibility, the discord between man and god causes an inharmony. When the yen energy of god is powerful enough to suppress man's energy,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gets unbalanced. If yen energy is so strong that it stunts yang energy to generate the incompatibility, the yen energy of god becomes the energy of killing.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cause of killing energy lies not in the yen energy itself but in the feeling of anger which belongs to the yen energy. When any god happens to have the feeling of anger. it becomes the killing energy which causes human beings disasters. The way of healing by shamanistic exorcism is Shinmyungpuri. Originally god and man have healthy Shinmyung,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murkier due to god's grudge. Since it is caused from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Shinmyungpuri is applied to both god and man. That is, the yen energy of god gets murky enough to generate the killing energy and also the yang energy of man which has been suppressed by the killing energy, both god and man are trying to recover the intrinsic wholesome Shinmyung through Shinmyungpuri. Shinmyungpuri by shamanistic exorcism is the way to get rid of the grudge between man and god by the emotion of crying and laughing. The shamanistic exorcism employs a singing method and melody inducing cry and laugh, when god and man cry or laugh in the course of expressing their emotion of grudge which has been accumulated so that they may be healed. Through this ritual, god and man recover their wholesome shinmyung.

      • KCI등재후보

        ‘죽음-회귀’의 서사 구조로 본 사회적 해원의 의미 - <아랑 설화>와 <재벌집 막내아들>을 중심으로 -

        김정은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3 생사학연구 Vol.4 No.-

        This article aims to name the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unjustly dead return and resolve their grudges, from the folktales of vengeful spirits to the modern TV shows, as ‘death-return’, and to discuss the social meaning contained in these narratives. <The Legend of Arang> has a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a being who died resentfully returns to this world, voices her grudges, and the community listens and resolves her resentments together. Based on A.J. Greimas’ “Semantic Generative Trajectory”, this narrative structure of ‘death-return’ in <The legend of Arang> creates value by revealing the problems within th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community by being incorporated as social values. The narrative of the protagonist Yoon Hyun-woo being reborn as Jindo Joon to fulfill his desire derived from capitalism in the modern web novel “Reborn Rich” lacks the symbolic act of ‘Arang voicing the governors to resolve her grudges’. Therefore, the web novel’s narrative may be the act of callously ignoring the lives of those who died unjustly after living faithfully in capitalism, like Yoon Hyun-woo. On the other hand, the ‘death-return’ narrative structure of the Netflix drama <Reborn Rich> shows the process of capital proliferation in a metatic attitude. Therefo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drama is seen as an attempt to repent of the social structure by making us face the limits of the meritocracy under neoliberalism rather than admiring the conglomerate (a.k.a. Chaebol in korean).

      • KCI등재

        무속의례 ‘뒷전’의 관점에서 본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

        윤준섭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This article attempted to pay attention to ‘us’ with God rather than ‘god’ appearing in ‘Along with God’. I tried to think about what life and death are by looking at how we respond to a death with God. In a specific,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which focused on the deaths of two brothers, Kim Ja-hong and Kim Soo-hong.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Kim Ja-hong or Kim Soo-hong, the parties to death, were not interested in reincarnation. They showed greater interest in appearing in their mother's dream, not reincarnation. They had a greater attachment to this life than to his new life after death. Kim Ja-hong and Kim Soo-hong each had things to finish in this world. Ja-hong had to send the letter stored in the rice cooker home, and Soo-hong also had to keep his promise to return home in two weeks. That way, they can leave the world. However, among the deaths, some things have a deep grudge. Some deaths are lying around without even having a funeral in a place far away from home. That is the death of Kim Soo-hong and three Jung-Seung's son. The deceased, who died in this way, become a revengeful ghost around this life without going to the afterlife. To solve this problem,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used Hyeonmong[現夢, appear in mother's dream], and the Shamanism used ‘dwit-jeon’. Through this, propitiated the revengeful ghost.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contains the aesthetics of the ‘dwit-jeon’ to comfort and lead the decedent to the afterlife without extinguishing the decedent who became the revengeful ghost. 본 글은 <신과함께>에서 등장하는 ‘신’보다는 신과 함께하는 ‘우리’에 주목하고자 했다. 신과 함께하는 우리가 죽음에 대응하는 모습을 살펴 삶과 죽음이 무엇인지 생각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김자홍, 김수홍이라는 두 형제의 죽음에 초점을 맞춘 영화 <신과함께(죄와벌)>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논의 결과, <신과함께(죄와벌)>에서 죽음의 당사자인 김자홍이나 김수홍은 환생보다 현몽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죽음 뒤에 펼쳐지는 새로운 이승에서의 삶 보다는 지금까지 살아왔던 이승에 대한 애착이 더 컸던 것이다. 김자홍과 김수홍은 각각 이승에서 마무리할 일들이 있었다. 형은 밥솥 안에 보관된 편지를 집으로 보내야 했고, 동생 역시 2주 후에 집으로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했다. 그래야 이들은 이승을 떠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죽음 중에는 원통함이 뼈에 사무친 것들이 있다. 객지에서 장례조차 치르지 못한 채 나뒹굴어진 죽음이 더러 존재한다. 바로 김수홍과 삼정승의 아들의 죽음인데, 이렇게 죽은 망자는 저승에 가지 못한 채 이승을 떠도는 원귀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과함께(죄와 벌)>에서는 현몽의 방식으로, 무속에서는 뒷전을 마련하여 이들 원귀를 달래고 있음을 확인했다. 원귀가 된 망자를 소멸시키지 않고, 이들을 위로하고 대접하여 망자를 저승으로 천도하겠다는 ‘뒷전’의 미학이 <신과함께(죄와벌)>에 오롯이 담겨있는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