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栢栗寺 ⾦銅藥師如來⽴像)> 연구

        이희연(Lee, Heeyeo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4 美術史學 Vol.- No.48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은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금동아미타여래좌상>과 함께 통일 신라 3대 금동불로 다뤄지는 중요한 불상이다. 불상은 1902년 경주시 북쪽 소금강산에 위치한 백률사에서 처음 발견되어 1930년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으로 옮겨진 뒤 오늘날까지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이 논문은 <백률사 상>의 양식을 분석해 제작 시기를 추측하고 발원 주체와 제작 배경,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뒀다. 불상이 발견된 백률사는 이차돈 순교로 창건된 자추사와 동일 사찰로 여겨지며, 불상이 백률사에 안치된 신앙적 의미를 중요시했다. 본 논문은 일제 강점기 때 기록과 고대 문헌을 살펴보았지만 백률사와 자추사가 동일 사찰이며 불상이 처음부터 백률사에 안치됐다는 명확한 단서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논문은 <백률사 상>을 백률사나 이차돈 순교와 관련지어 논하지 않고 불상 자체에 초점을 두고 진행했다. 불상과 백률사, 자추사, 이차돈 순교에 대해서는 추후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8-9세기 신라 중앙 양식을 반영한 불상과 <백률사 상>을 비교해 제작 시기를 9세기 중엽으로 추정했다. 불신 비례를 비롯한 얼굴 양감, 귀 등 얼굴 표현과 대의 표현이 9세기 불상과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형 금동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청동, 금, 밀랍 같은 값비싼 재료를 구하고 숙련된 장인을 동원할 수 있어야 했다. 9세기에 접어들면 철불이 등장하는데, 철불과 금동불 주조법은 기본적으로 다르지 않다. 따라서 철불이 등장하는 9세기에 대형 금동불이 제작될만한 기술적 요건이 갖춰졌다고 봤다. <백률사 상>이 조성된 시기를 9세기 중엽 경문왕과 헌강왕대로 봤다. 신라 중대와 달리 신라 하대는 왕권 약화와 원성왕계 안에서 치열한 왕위 다툼 그리고 왕에 도전하는 지방세력의 반란으로 정치적·사회적으로 불안한 시기였다. 이 혼란은 9세기 중엽 경문왕대 이르러서야 수습된다. 경문왕과 아들 헌강왕은 왕실을 통합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데 힘쓰며 신라 하대 안정기를 이룬다. 두 왕이 재위했던 시기는 비로자나불상을 비롯해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불교 조각이 가장 많이 조성된 시기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는 안정된 왕권 하에서 대형 금동불이 조성될 수 있었음을 시사한다. 9세기 초부터 끊이지 않는 가뭄, 홍수와 같은 천변재이와 역병은 9세기 후반까지 신라 백성의 생활을 궁핍하게 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왕실은 약사상을 제작해 재난을 물리치고 극복할 것을 기원했을 것이고, 이는 왕이 민심을 수습하여 강력한 왕권을 드러내는 방법이었을 것으로 봤다. The Gilt-Bronze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of Baengnyulsa Temple in Gyeongju(栢栗寺 ⾦銅藥師如來⽴像, National Treasure 28, Inventory no. Gyeongju 376) is an important Buddha statue that makes up one of Unified Sillas three major gilt-bronze Buddhas along with Gilt-bronze Seated Vairocana Buddha and the Gilt-Bronze Seated Amitabha Buddha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Buddha sculpture’s style and technique in order to examine when the sculpture was made, who commissioned it and what the social and culture background was. The Baengnyul Buddhist Temple(栢栗寺) where the sculpture was found is considered to be the same as the Jachu Buddhist Temple(刺楸寺) built in commemoration of Yi Cha-don(異次頓, 501-527)’s martyrdom. According to the records from the Japanese rule and ancient literature, there was no clear clue to argue that Baengnyul(栢栗) and Jachu(刺楸) were the same Buddhist temple and that the sculpture was placed at Baengnyul from the beginning. Most studies so far thus focused on the sculpture itself instead of considering its connections to the Baengnyul Buddhist Temple or Yi Cha-don’s martyrdom. Therefore, more researches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 among the Buddha, Baengnyul Buddhist Temple, Jachu Buddhist Temple, and Yi Cha-dons martyrdom. In this study, the sculpture of the Baengnyul Buddhist Temple i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mid-ninth century from its similarities to the other sculptures from the ninth century in terms of body proportion, sense of volume in the face, facial expressions in the ear, and clothing expressions. It is estimated in this paper that the Gilt-Bronze Standing Bhaisajyaguru Buddha of Baengnyulsa Temple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景⽂王, r. 861-875) and that of King Heongang(憲康王, r. 875-886) in the mid-ninth century. Unlike the mid-Silla, late Silla suffered political and social instability due to the weakening royal power, fierce struggle over the throne within the line of King Wonseong(元聖王, r. 785-798), and revolts from the local forces challenging royal power. This social and political disorder was addressed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n the mid-ninth century. King Gyeongmun and his son King Heongang worked on unifying the royal family and reinforcing royal power, bringing stability to late Silla. Under the political security, many Buddhist sculptures were created including Vairocana Buddhas during the reign of these two kings. This implies that large-sized gilt-bronze Buddhas were possible only under the stable royal authority. Natural disasters including droughts, floods and epidemics continued to occur, starting in the early ninth century and drove the people of Silla to poverty into the late ninth century. Against this backdrop, the royal family must have commissioned Bhaisajyaguru sculptures as prayers for defeating and overcoming the disasters. These were also used as means of pacifying the public sentiment and showing off the powerful royal authority.

      • SCOPUSKCI등재

        A Study on Mid-fourteenth-century Gilt-bronze Seated Buddha Statues in North Korean Temples

        ( Sunil Choi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3 No.1

        This paper seeks to ascertain the casting dates and stylistic changes over time of giltbronze Buddha statues currently enshrined in North Korean temples, particularly those belonging to the mid-fourteenth-century. After examining the appearance of and relevant literature on these statues, the current state of mid- and large-size metal Buddhist statues enshrined in North Korean temples is investigated mainly through the colonial property register and gelatin dry plate negatives from the colonial period. Next, the body proportions, depictions of dress, Buddha robe (sam. kaks.ikā), and metal ornaments of early and mid-fourteenth-century gilt-bronze seated Buddhas in South and North Korea are compared in order to suggest specific casting dates for extant Koryŏ metal Buddha statues in North Korean temples. Through this analysis, Buddha statues of the 1320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the 1340s based on their body proportions, dress, and metal ornaments. Specifically, I argue that whereas the gilt-bronze Buddha of Wŏlchŏng-sa in Anak was similar to that of Sŏngbul-sa in Sariwŏn made in the 1320s in terms of body proportions and dress, the gilt-bronze Buddha of Pŏphǔ ng-sa in P’yŏngwŏn and of Yanghwa-sa in T’aech’ ŏn were presumably made in the 1340s by the same Buddha statue maker who made the gilt-bronze Buddhas of Munsu-sa in Sŏsan and of Changgok-sa in Ch’ ŏngyang, as they have identical body proportions and present specific depictions of the Buddha. Presumably these statues were made in workshops based in the capital Kaegyŏng to be transported to local temples upon completion.

      • KCI등재후보

        금동반가사유상의 제작 방법 연구 : 국보 78,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을 중심으로

        민병찬 국립중앙박물관 2016 미술자료 Vol.- No.89

        Gilt-bronze Buddhist sculptures are first cast in bronze and then coated with a thin film of gold. They have been produced since the first century A.D. across all areas of Asia, including the countries of Central Asia and Southeast Asia, India, China, Korea, and Japan, where Buddhism flourished. One can, therefore, better understand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se Buddhist sculptures when their materials and production methods are carefully analyzed through employing scientific methods and identifying the stylistic conventions with the naked eye. The gilt-bronze pensive bodhisattva, also an example of a gilt-bronze Buddhist sculpture, was also produced by means of the conventional method, yet it required a more complex and elaborate method due to its unique posture. Two pensive bodhisattva images, respectively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no. 78 and 83, are the finest examples of gilt-bronze Buddhist sculptures in Korea. They have been examined with nondestructive XRF, γ-ray imaging, and 3-D scanning, and revealed the specific production method, identifying their primary features. Two primary methods of bronze casting were used in ancient times: “piece-mold casting,” which originated in China and was used mainly in East Asia; and the “lost-wax casting,” which was developed in the Anatolian Plateau, Turkey, or in the Middle East, and spread across regions in North Africa, Europe, and Asia. National Treasures no. 78 and no. 83 were cast with the lost-wax casting method using core pins. However, the two demonstrate distinction in terms of the method of making the core, covering wax, and carving the surface. For National Treasure no. 78, a separate clay core was made for the head and body, and each was covered with a layer of wax, roughly carved to give the statue its basic form. The head and body were then joined into a single assemblage. Wax was additionally applied where necessary and details were carved to complete the wax mold. Two metal cores that have been hammered through the shell of the head and body indicate that they were separately made, and molten bronze permeated into the crevice of the neck created a rough protrusion on the inner neck. The use of a thin wax reduced the volume of the body of the drapery folds and ornamentation, thereby yielding an overall flat impression. For National Treasure no. 83, a clay core was formed in a single assemblage for the head and body. The core was covered with a thick wax layer, which was carved away little by little to complete the wax mold. A single metal core extends from the head to the body. The bronze shell of the statue is fairly thick and the drapery and ornamentation are voluminous. Extremely fine clay was used to construct the core for National Treasure no. 78, and thus the air trapped inside the wax was not effectively released when the molten bronze was poured in. This consequently resulted in a thin bronze shell, low liquidity of the molten bronze, and ultimately a number of cast defects. These flaws were remedied through an advanced technique that involved re-casting the flawed parts and attaching them to the body, or by pouring additional molten bronze to the defected area. Accordingly, National Treasure no. 78 appears to be impeccable on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National Treasure no. 83 eliminated, from the beginning, the factors that could have led to cast defects, including securing a consistent thickness in its wax model so that the molten bronze could be poured in easily and using coarse clay for the core that allows for the efficient release of air. Although bronze alloy with less than five percent tin content was used for both statues, National Treasure no. 83 may thus be considered superior in terms of casting technique, given the efficient elimination of trapped air, the enhanced flow of molten metal, and the judicious placement of the core pins to securely stabilize the clay core. 금동불이란 청동으로 만들고자하는 像을 주조한 다음, 겉 표면을 금으로 도금한 불상을 말한다. 인도, 중앙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불교가 성행하였던 아시아 전 지역에서, 기원후 1세기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만들어졌다. 따라서 육안을 통한 양식분별과 더불어 과학적 조사 방법을 통해 재료를 분석하고, 제작 방법을 파악해내면, 불상 연구의 기본이 되는 시공간의 특징을 객관적으로 얻어낼 수 있다. 금동반가사유상도 금동불의 하나로 동일한 제작방법으로 만들어졌으나, 반가사유라는 독특한 자세로 인하여 좀 더 복잡하고 정교한 제작방법을 필요로 했다. 고대 금동불을 대표하는 국보 78호와 83호 반가사유상을 비파괴성분분석(XRF), 감마선촬영, 3D스캔 등 현대의 과학 장비를 동원한 분석 방법을 통하여 구체적인 제작방법을 알아보면 좀 더 근원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고대 청동을 주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중국에서 기원하여 동아시아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分割鑄造法(piece-mould casting)과 터키 아나톨리아고원 혹은 중동지역에서 기원하여 북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지로 넓게 퍼져나간 蜜蠟鑄造法(lost-wax casting, 혹은 실납법失蠟法이라고도 함)이 있다. 국보 78호와 83호 두 상은 모두 쇠못(core pin)을 사용한 밀납주조법을 기본 제작방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내형토를 만드는 방법과 밀납을 입히고 조각하는 방법에서는 서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보78호 상은 머리와 몸체 부분의 내형토를 각각 따로 만들고 그 위에 얇은 밀납판을 입힌 후 대강의 형태를 조각하였다. 분리되어 있던 머리와 몸체 부분을 하나로 연결한 다음, 필요한 부분에 밀납 판을 덧붙이고 세부를 조각하여 밀납 조각상을 완성하였다. 이는 머리와 몸체 부분에 철심이 각각 들어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며, 이로 인해 이어붙인 목 부위 안쪽으로 청동쇳물이 침투해 들어가 거스러미가 생겼다. 얇은 밀납 판의 사용은 옷주름이나 장신구의 입체감을 떨어뜨리고 전체적으로 평면적인 느낌을 띄게 하였다. 국보83호 상은 몸체와 머리 부분의 내형토를 하나로 만들고 그 위에 밀납을 두껍게 입힌 다음, 조금씩 깎아내면서 밀납 조각상을 완성하였다. 철심이 머리부터 몸통까지 하나로 이어져 있고, 불상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우며 옷주름, 장신구 등에서 입체감이 잘 살아있다. 국보78호 상은 매우 고운 진흙만을 내형토로 사용하였기에 청동 쇳물을 부어 넣을 때 틀 안에 들어 있던 공기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했다. 이것은 얇은 상의 두께와 더불어 청동 쇳물의 유동성을 크게 떨어뜨렸고, 수많은 주조결함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결함이 생긴 곳에 쇳물을 부어 재주조하거나 필요한 부분만을 별도로 주조하여 접합하는 등 고도의 수리기술을 이용하여 외관상으론 완벽한 조각상을 만들어냈다. 반면에 국보83호 상은 청동 쇳물이 잘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를 확보하고, 공기 배출이 쉬운 모래가 많이 섞인 내형토를 사용하는 등 처음부터 주조 실패 요인을 제거하였다. 주석 함량이 5%내외로 거의 비슷한 청동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쇳물의 유동성 확보, 내형토를 고정시키는 철심의 사용 방법, 쇠못(코어 핀)의 적절한 배치 등에 의해서 주조의 완성도는 큰 차이를 보였다. 국보 83호상에 훨씬 발전된 주조 기술이 사용되었다.

      • KCI등재

        삼국시대 명문을 가진 소금동불상 분석을 통한 고대인의 불교신앙생활

        박윤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Small Gilt Bronze Buddha statues are found in pagodas as parts of the sarira or temples. Considering that the Yoo Jum temple's 53-Buddha statues are enshrined in Yoo Jum temple as the main Buddha statues and became as an object of reverence and the example of 1000-Buddha statues' cave of the Long Mun caves temples, the Yeon Ga 7th year's inscription-Buddha statue and other 1000-Buddha statues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enshrined in a temple. Also the Buddha statues of praying for repose of the deceased, which take up the most part of miniature gilt bronze Buddha statues with inscriptions, were probably taken to a certain place in the temple and worshiped. This is similar to the examples of the 53-Buddha or 1000- Buddha. The reason why the construction of Won Chals(temples for praying for repose of the dead) were popular among the aristocrats is probably same as people without such financial abilities made small gilt bronze Buddha statues and prayed for the dead. These statues were enshrined in the temple and revered. From this we can see that in aristocrats or in peoples of lower social status, praying for the dead by building Buddha statues was popular,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ale. The primary motive of building Buddha statues was to revere the dead, and the popularity of the Siddhartha statues as objects of wishing can be inferred from its high share of the Buddha statues. 삼국시대 불상 가운데 현재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것은 소금동불이다. 소금동불은 주로 불상만 독존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들 불상에는 뒤에 광배꽂이가 남아 있어 원래는 광배가 만들어졌음을 보여주는 예가 상당수 있다. 현전하는 명문이 있는 소금동불상은 9건에 불과하지만 삼국시대 사람들이 주로 광배에 명문을 기록했던 점을 고려하면 광배를 잃어버린 소금동불 가운데에는 명문을 가진 불상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명문의 내용은 부모나 처 등 근친자의 추복을 기원하는 소원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현재 부모를 위해서 혹은 자신이 부처를 만나 불법을 듣기를 바라는 등 모두 개인적 소원 성취가 조상의 목적이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삼국시대 사람들은 소금동불상을 만들면 그 공덕으로 자신의 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 상당히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소금동불은 주로 탑이나 사찰에서 발견된다. 불상이 탑 속에 사리장엄으로써 다른 장엄구와 함께 안치되었거나, 또는 사찰 어딘가에 있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유점사 본전인 능인보전의 주존으로 예배의 대상이 되어 온 53개의 소금동불상들, 사찰 혹은 금당의 구현인 석굴에 천불이 모셔진 예 등을 볼 때 현세 천불 가운데 하나인 연가7년명 등의 금동불상들이 사찰의 전각에 모셔져 예배의 대상이 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삼국시대 명문 소금동불상은 근친자의 추복을 위해 만들어진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들 추복을 바라는 소금동불상들도 53불이나 천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찰의 전각과 같은 일정한 장소에 모셔져 예경되었을 것이다. 이들 불상 중 석가상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고 있는 사실은 당시 불교신앙에서 석가가 중심적 지위였던 점을, 그리고 명문에서 보이는 불교 이해의 불완전성은 소금동불 조성자들을 비롯한 삼국시대 사람들의 불교이해 수준이 아직 충분하지 못한 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서울 관우 동묘의 금동관우좌상 형상의 원류

        홍윤기 중국어문연구회 2020 中國語文論叢 Vol.0 No.99

        There are three statues of Guan Yu enshrined in the main hall of Guan Yu Dongmyo Shrine located in Seoul. One is made of gilt-bronze, the other two are made of wood and mu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original source images of the gilt-bronze statue. The gilt-bronze statue of Guan Yu wears a turban(巾), robe(袍), armor(鎧) and he has long beards(鬚髥) and sideburns, phoenix red eyes(丹鳳眼), lying silkworm eyebrows(臥蠶眉), and red lips and his whole body is plated with gold. And he is raising his right hand. This paper examined where these images came from. This paper reveals the following facts: First, This paper first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time of the gilt-bronze statue of Guan Yu was May 13 A.D. 1600 in the lunar calendar,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ended. Second, the original text source images of the gilt-bronze statue were origina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novel “Popular romance of Three Kingdoms(≪三國志通俗演義≫)” written by Luo Guanzhong, not from the record of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or the description of the novel “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平話≫)”. Third, the original picture source images of it were originated from the picture images of woodcuts inserted in the novel. Fourth, his whole gold body image that is plated all over his body from head to toe, does not appear in the Chinese statues of Guan Yu, which were made before A.D. 1600. The gilt-bronze statue has the expression and aesthetic sense of the Korean style’s gilt-bronze Buddha. Fifth, The gilt-bronze statue originated from the shape of Ksitigarbha Bodhisattva in a Buddhist painting of Goryeo dynasty. It is said that the Ksitigarbha Bodhisattva saves the souls of those wandering through hell. The gilt-bronze statue contains a message of infinite forgiveness, unlike China’s Guan Yu statue, which generally seeks power and wealth.

      • KCI등재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상 연구

        김동하 동악미술사학회 2023 東岳美術史學 Vol.- No.33

        This paper examined the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in Ulsan. More than 30 small gilt-bronze and stone Buddha statues were excavated from Yeongchuksa Temple site. Most of these Buddha statues have been excavated broken, so they are not attracting the attention of related experts. However, the gilt-bronze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the pit and stone Buddha statues estimated to be the main buddha of golden hall are considered important cultural heritage related to the history of Yeongchuksa Temple. In addition, gilt-bronze Buddha statues have various forms and styles, so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material for Silla's gilt-bronze Buddha statue research, and stone Buddha statues are significant as new materials that show the style of stone Buddha in the 9th century. Judging from the excavated Buddha statue, Yeongchuksa Temple was rebuilt in the 9th century, and it is believed that the golden hall was destroyed by a large fire in the 10th and 11th centuries, and the Buddha statue enshrined inside was also damaged. It is estimated that Yeongchuksa Temple repaired the East Corridor in the late 11th century and also built a northeast stone wall. The Yeongchuksa Temple was rebuilt in the late 11th or early 12th century, but it is estimated that it was closed at the end of Goryeo soon. 본 논문은 울산 영축사지에서 발굴된 불상을 검토한 것이다. 영축사지에서는 30건 이상 되는 소형금동불상과 석조불상이 출토되었다. 이 불상들은 대부분 깨지고 부서진 상태로 출토되어 그동안 관계전문가에게 주목되지 못했다. 그러나 기와무지에서 일괄 출토된 금동불상과 금당의 본존상으로 추정되는 석조불상은 영축사의 역사와 관련해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생각된다. 그뿐만 아니라, 금동불상은 다양한 형식과 양식을 갖추고 있어 신라 소금동불상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판단되며, 석조불상은 신라 9세기 석조불상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신 자료로서 의미가 크다. 발굴된 불상을 통해 볼 때, 영축사는 9세기 초창 혹은 중창되었고, 10~11세기 대형 화재로 인해 금당이 소실되면서 내부에 봉안된 불상도 훼손된 것으로 판단된다. 11세기 후반 이후 영축사는 중수되었으며 이때 유실된 동회랑 동편일대가 보수되었고, 사역 동북편 일대의 축대도 개축한 것으로 보인다. 11세기 말~12세기경 영축사는 또 한 번의 중수 불사가 있었지만 오랜 시간 법등을 이어가지 못하고 고려 말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 -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이경주 미술사연구회 2018 미술사연구 Vol.- No.35

        고려 후기는 13세기 몽고(蒙古)와의 치열한 전쟁이 끝나고 개경(開京)으로 환도한 1270년부터 고려가 멸망하는 1392년까지의 시기에 해당된다. 이 시기에는 왕실은 물론 관료층과 민간의 적극적인 불사 후원과 사원경제의 발달, 공덕사상(功德思想)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불상이 조성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불상은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사례를 포함하여 대략 140 여점 내외의 비교적 많은 작품이 남아 있다. 특히 고려 후기는 고려 왕실과 원(元) 황실의 지속적인 혼인은 물론 원 라마교(喇嘛敎) 승려의 입국, 기황후(奇皇后)의 금강산 장안사(長安寺) 불사 후원과 같이 양국 간에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상은 이전 시기부터 계승된 전통적인 불상 양식이 주류를 형성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고는 고려 후기 불상 가운데 북한지역에 남아있는 금동불의 현황과 특징에 주목하였다. 현재 북한지역에는 약 9구의 불상이 확인되는데 재료적으로는 대부분 금동(金銅)으로 제작된 상이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고려시대 북계(北界)지역에 해당하는 평안도(平安道)에 3구, 서해도(西海道)에 해당하는 황해도(黃海道)에 5구, 강원도 지역에 1구의 상이 남아있어 수도인 개경 이북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상의 형식은 변형통견식(變形通肩式)의 대의(大衣)를 입은 방식 등 고려 후기 불상의 전형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으면서도 특히 1346년 충청도(忠淸道) 지역에서 제작된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靑陽 長谷寺 金銅藥師如來坐像)과 서산 문수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瑞山 文殊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과 형식적으로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 즉, 얼굴과 신체의 균형 잡힌 비례를 비롯하여 갸름한 얼굴과 온화한 표정, 허리를 곧추 세우고 정면을 응시하는 자세에서 동일한 모습이다. 또한, 복부의 정교한 띠매듭의 표현과 왼쪽가슴에서 승기지(僧祇支)를 고정하는 장치인 금구장식(金具裝飾), 양쪽 무릎에 형성된 원형의 주름 등 세부 형식 역시 14세기 금동불과 비슷하게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북한지역 불상은 장곡사, 문수상과 같이 14세기 중엽의 연대를 알 수 있는 충청도 지역의 불상 유형과 유사한 형식을 공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14세기 이전에 제작된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서울 開運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1274년 중수), 서산 개심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瑞山 開心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1280년 중수)과 같이 상체를 앞으로 숙인 듯한 자세와 양감이 풍부한 얼굴, 번잡한 대의 주름과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장곡사나 문수사상에 비해 상이 크고 당당한 자세를 보인다는 점과 세부 표현이 보다 정교하다는 점에서 장곡사, 문수사상보다는 다소 앞선 14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지역 불상에서 보이는 특징은 주로 고려 중기 遼(916~1125)에서 유입된 요소들이 고려화(高麗化)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大同, Dàtóng)의 하화엄사(下華嚴寺) 소조삼세불이나 미국 넬슨갤러리(Nelson Gallery of Art) 소장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북한지역 불상은 근본적으로 고려 중기 요의 불상요소를 고려적으로 변용한 것을 수 있다. 특히, 북한지역 불상은 이러한 요소를 더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북방지역과 인접한 지리적인 특성상 ... The late Goryeo period is defined as lasting from 1270, when Goryeo's fierce war with theMongols ended and the country's royal court returned to the capital, Gaegyeong, to the fall of theGoryeo dynasty in 1392. A large number of Buddha statues was produced during this period, due toactive financing of Buddhist ceremonies by the royal court, the official classes and the general public;the development of temple-based economi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y of “merit andvirtue” (功德). So far, approximately 140 statues – a relatively large number – have been discovered,including examples dating from the Goryeo-Joseon transition period. The late Goryeo period was marked by clos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ties betweenGoryeo and Yuan, including ongoing marriage between the royal and imperial families, the arrival ofLamaist Yuan monks in Goryeo, and the financing of Buddhist ceremonies at Jangansa Temple atMt. Geumgang by Empress Gi. Despite this, most Goryeo Buddha statues from this time continuethe stylistic traditions of earlier Goryeo. This study focuses on the background to and characteristics of extant late-Goryeo gilt bronzeBuddha statues that originated in the northern Goryeo region that is now North Korea. Currently,approximately nine such Buddha statues have been identified as originating from this area; most ofthese are made of gilt bronze. In terms of region, three of the nine statues are from today'sPyongan-do Province, which corresponds to Goryeo's Bukgye region, while five are fromHwanghae-do Province, corresponding to Goryeo's Seohae-do region, and one from today'sGangwon-do region: all of these areas are located to the north of the Goryeo capital, Gaegyeong. In terms of form, these statues show characteristics typical of the late-Goryeo period, such as thebyeonhyeong tonggyeon (變形通肩) samghati configuration, whereby the main robe is draped overboth shoulders and an additional robe in a half-moon shape is placed over the right shoulder. Theyare particularly similar in terms of style to two Buddha statues produced in 1346 in today'sChungcheong-do Province: the seated gilt bronze Bhaisajyaguru (Medicine Buddha) at JanggoksaTemple in Cheongyang and the seated gilt bronze Amitabha Buddha at Munsusa Temple in Seosan. These two statues are the same as the northern Goryeo Buddhas in terms of the balancedproportions of their faces and bodies, their slender faces and mild expressions, and the way they situpright, facing forward. They also show similarities to 14th-century gilt bronze Buddha statues in terms of stylistic detail, including the elaborate belt knots on their bellies, the ornamental gold pinsused to fix their undergarments on the left side of their chests, and the round folds formed onboth their knees. This tells us that the northern Goryeo Buddhas share formal characteristics withthe Buddhas at Janggoksa and Munsusa,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mid-14thcentury. These characteristics differ distinctly from those of statues produced before the 14th century, suchas the seated wooden Amitabha Buddhas at Gaeunsa Temple in Seoul (restored in 1274) and atGaesimsa Temple in Seosan (restored in 1280). Features of the latter include postures in which theupper body appears to lean forward, full faces, and complex robe creases. However, the northernGoryeo Buddhas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early 14th century, before those atJanggoksa and Munsusa, because of their relatively large sizes, dignified postures and finer level of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thern Goryeo Buddha statues that originate can be seen asnaturalized manifestations of elements generally introduced from the Liao Dynasty (916~1125) in themid-Goryeo period. As shown by the molded statues of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t thelower monastery at Huayan Temple in Datong, Shanxi Province, China, and the seated gilt bronzeAmitabha Buddha housed at the Nelson Gallery of Art in the Un...

      • KCI등재후보

        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 동제여래입상 분석 및 보존처리

        유자영,양슬기,이민희 국립중앙박물관 2018 박물관보존과학 Vol.19 No.-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충북 영동 영국사 출토 금동여래입상과 동제여래입상의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하였다. 성분분석 결과, 금동여래입상은 구리, 주석, 납의 삼원계, 동제여래입상은 구리, 주석의 이원계 합금으로 확인되었다. 동제여래입상 성분분석 결과 금이 확인되어 금동여래입상으로 명칭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금동여래입상은 국내에서 생산된 납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고, 표면에 존재하는 개금을 위한 접착제로 보이는 물질은 분석을 통해 옻으로 추정되었다. 보존처리는 상태를 확인하여 물리적, 화학적 방법으로 최소한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안정화처리 및 보호 코팅의 과정을 거쳤다.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bronze standing Buddha statues excavated from Yeongguksa Temple in Yeongdong, currently held in the collection of the Cheongju National Museum, underwent conservation treatment after scientific study. Materials analysis showed that the gilt-bronze statue was made with a ternary alloy of copper, tin, and lead, while the bronze statue is of a binary alloy of copper and tin. The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bronze statue contains gold, and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o change its description to gilt-bronze standing Buddha. The gilt-bronze statue appears to have been made with lead produced in Korea. The material observed on the surface that is presumed to have been used as an adhesive for the gold coloring is thought to be lacquer.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e statues were minimally cleaned using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and were treated through consolidation and protective coating.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주시경의 삶과 학문의 세계 삼국시대 명문을 가진 소금동불상 분석을 통한 고대인의 불교신앙생활

        박윤선 ( Youn Su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삼국시대 불상 가운데 현재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것은 소금동불이다. 소금동불은 주로 불상만 독존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들 불상에는 뒤에 광배꽂이가 남아 있어 원래는 광배가 만들어졌음을 보여주는 예가 상당수 있다. 현전하는 명문이 있는 소금동불상은 9건에 불과하지만 삼국시대 사람들이 주로 광배에 명문을 기록했던 점을 고려하면 광배를 잃어버린 소금동불 가운데에는 명문을 가진 불상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명문의 내용은 부모나 처 등 근친자의 추복을 기원하는 소원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현재 부모를 위해서 혹은 자신이 부처를 만나 불법을 듣기를 바라는 등 모두 개인적 소원 성취가 조상의 목적이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삼국시대 사람들은 소금동불상을 만들면 그 공덕으로 자신의 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 상당히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소금동불은 주로 탑이나 사찰에서 발견된다. 불상이 탑 속에 사리장엄으로써 다른 장엄구와 함께 안치되었거나, 또는 사찰 어딘가에 있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유점사 본전인 능인보전의 주존으로 예배의 대상이 되어 온 53개의 소금동불상들, 사찰 혹은 금당의 구현인 석굴에 천불이 모셔진 예 등을 볼 때 현세 천불 가운데 하나인 연가7년명 등의 금동불상들이 사찰의 전각에 모셔져 예배의 대상이 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삼국시대 명문 소금동불상은 근친자의 추복을 위해 만들어진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들 추복을 바라는 소금동불상들도 53불이나 천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찰의 전각과 같은 일정한 장소에 모셔져 예경되었을 것이다. 이들 불상 중 석가상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고 있는 사실은 당시 불교신앙에서 석가가 중심적 지위였던 점을, 그리고 명문에서 보이는 불교 이해의 불완전성은 소금동불 조성자들을 비롯한 삼국시대 사람들의 불교이해 수준이 아직 충분하지 못한 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Small Gilt Bronze Buddha statues are found in pagodas as parts of the sarira or temples. Considering that the Yoo Jum temple``s 53-Buddha statues are enshrined in Yoo Jum temple as the main Buddha statues and became as an object of reverence and the example of 1000-Buddha statues`` cave of the Long Mun caves temples, the Yeon Ga 7th year``s inscription-Buddha statue and other 1000-Buddha statues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enshrined in a temple. Also the Buddha statues of praying for repose of the deceased, which take up the most part of miniature gilt bronze Buddha statues with inscriptions, were probably taken to a certain place in the temple and worshiped. This is similar to the examples of the 53-Buddha or 1000- Buddha. The reason why the construction of Won Chals(temples for praying for repose of the dead) were popular among the aristocrats is probably same as people without such financial abilities made small gilt bronze Buddha statues and prayed for the dead. These statues were enshrined in the temple and revered. From this we can see that in aristocrats or in peoples of lower social status, praying for the dead by building Buddha statues was popular,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ale. The primary motive of building Buddha statues was to revere the dead, and the popularity of the Siddhartha statues as objects of wishing can be inferred from its high share of the Buddha statues.

      • KCI등재

        益山 深谷寺 七層石塔 出土品의 特徵과 性格

        陳政煥 전북사학회 2014 전북사학 Vol.0 No.45

        It is said that Simgoksa Temple, situated at the foot of Mireuksan Mountain in Nangsan-myeon, Iksan, was founded by the Buddhist monk Muyeom (801~888) during the reign of King Munseong (r. 839~857) of Unified Silla, although there is no material evidence to support this claim. The name Simgoksa appears in the section on Buddhist temples located in Yeosan-gun (one of the areas integrated into Iksan-gun) in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Revised and Augumented Survey of the Geography of Korea), which was compiled in 1481, thereby confirming that it was founded prior to 1481. However, Beomugo [a journal on Buddhist temples compiled in 1799 (the 23rd year of King Jeongjo’s reign)] states that Simgokam Hermitage, which used to be located in Mireuksan, had disappeared by that time, while Honam Eupji (a journal on the history of Honam) compiled around 1872 states that Simgoksa Temple was located about 4km west of the eup (town). Thus, it is presumed that the temple was closed at an earlier date and then renovated sometime between the early and mid-19th century, i.e. between the compilation of Beomugo and the compilation of Honam Eupji. The white porcelain jar, Gilt-bronze Standing Buddha, seven Gilt-bronze Buddhas, and Miniature Shrine found in two rectangular holes in the Seven-story Stone Pagoda at Simgoksa Temple (Jeolla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92) in the course of dismantlement and renovation work conducted in June 2012 became the center of attention.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features of the objects unearthed from the stone pagoda and determine how and when the pagoda was built in an effort to reconstruct the history associated with the temple. The two Gilt-bronze Standing Buddhas dating from the early 10th century appear to be the oldest such statues discovered at the stone pagoda. The next oldest object is the Gilt-bronze Amitabha Buddha Triad, which dates from the late 14th century or earlier. The Miniature Shrine and the four Gilt-bronze Buddhas appear to have been made in the mid-15th century or later, compared to other miniature shrines made toward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or the early Joseon Period (1392-1910) and the Bodhisattva with an inscription of its year of production. It is presumed that the sarira reliquary made of white porcelain was made in the 19th century or later based on the way the reliquaries were enshrined and its shape.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and the seven Gilt-bronze Seated Buddhas are presumed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reliqu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