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보 : 외국의 해외지명 결정 관련 조직 현황에 대한 연구 -영토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김종연 ( Jong Ye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4

        지리교육 분야에서 우리 영토의 교육은 그 중요성에 비하여 간과되어온 측면이 크다. 독도와 동해와 관련한 국제적인 논쟁이 발생할 경우 영토교육의 강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어 왔으나, 이에 대응하는 학교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 제공 등은 역사적 자료에 치중되어 왔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지리분야에서의 자료의 부족 등에 기인한 측면도 있다. 특히 지명은 문화적 유산으로 지리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으며 영유권과 관련한 국가간의 논쟁에서 중요한 증거 자료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 정부는 지명과 지명 표기의 중요성에 대한 큰 강조점을 두지 않아 왔으며, 학교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교육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아 왔다. 또한 외국의 지명 결정 관련 기관에 대한 연구와 이의 학교 교육에의 전파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영국의 지명 표기 관련 기관인 `미국지명위원회`, 영국의 `영국정부의 공식적 이용을 위한 지명에 대한 영구 위원회` 그리고 `국제연합지명전문가회의`의 역사와 역할, 조직 현황을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자료의 제공을 통하여 현장 지리교육에서의 영토교육에 요구되는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우리 정부의 독도 및 동해 관련 대응과 영토에 대한 학교 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Education on territory is the important issue in geography education, however most of study materials for territory education has been biased on historic document rather than geographic facts, even in the geography curriculum of school. It is partly caused by the lack of information on the territory and international context of the issue. Geographical name or toponym is the cultural heritage of specific cultural group and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geographical research. However, Korean government`s activities on territorial dispute has been focused o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law rather than holistic approach to the issue. There is strong need to review Korean government`s policies on geographical name after the conflict between U.S and Korea caused by the USBGN`s decision on display of the sovereignty and toponym over Dokdo island in the East Sea on their geographical name search service through internet. In this paper, the history,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ole of the US and UK governmental bodies on foreign geographical names were examin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territory education. The role and activities of UNGEGN also investigated. In addition, cooperation between the USBGN and PCGN of UK also be examined.

      • KCI등재후보

        초․중등 교사의 ‘해양지명과 해양교육 연수’ 경험에 대한 연구

        김태형,윤옥경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학교와 수업 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training is to establish maritime territorial sovereignty through understanding of ocean and marine names, and to understand marine resources and importance, understanding of marine resources and marine environment, and acquisition of marine information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course covers topics such as utilization, maritime safety, the meaning of marine names, and the establishment of maritime territorial sovereignty. Participation Teachers applied for this training based on their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the ocean in a situation where mandatory training was required. For the contents of marine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the maritime safety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comparative education The center wa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ntent of experiences and safety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and responded that their awareness of maritime education and maritime nomination was improved. However, they preferred to experiment, practice, and experience-based training rather than lecture-type training. Rather, it was hoped that the content that could be used for the field education (class) would be covered. In the future, follow-up support and monitoring should be continued through the provision of customized training and post-training education materials, textbooks, and digital contents using the curriculum and network.

      • KCI등재

        지리 교육에서 해양지명의 학습 방안과 의의

        윤옥경 한국지도학회 2007 한국지도학회지 Vol.7 No.1

        국제적으로 해양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위치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해양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해양교육은 해양에 대한 관심과 국민적 소양을 넓히는 것에서 출발하여, 해양에 대한 기본 지식 교육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영역(영토)교육, 경제교육, 자원 및 환경교육 측면을 고려하여 해양교육의 틀이 구성될 수 있다. 해양지명의 학습은 지명학습, 지도학습의 차원에서 지리교육과의 접점을 찾을 수 있으며 특히 영역(영토)교육의 차원에서 접근하여 지리 교육에서 다루어 질 수 있는 소재이다. 현행 교육과정 체제에서 해양지명의 학습은 교육내용 및 교과서의 구성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지리교육 내용 중 해양관련 단원을 학습할 때 탐구활동, 읽기자료의 형식으로 소개할 수 있다. Together with increasing of international importance on the sea, new recognition of the sea surrounding around the Korea territory is rising to get attention from major academic circle. In fact, a basic education on the marine affairs is widely covered with many subjects like character, territory, education,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s well as the promotion of general knowledge and concerns on the sea. Particularly, instruction on the marine geographical names is closely related to geography teaching in terms of toponymy and cartography teaching including territory education. At the same time, under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it is possible for practical instruction of the marine names to formulate an important contents of teaching in the school text. Also, it can be introduced its marine aspects as a part of reading materials and class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필수지명의 선정

        심정보 ( Jeong Bo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사회』 교과서에는 1학년 지리 영역에서 가장 많은 지명이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과 세계의 기초 지명에 대한 기억과 위치를 묻는 설문조사에서는 매우 낮은 결과가 나왔다. 이 사실은 국제화와 지구촌화 시대에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지리적 문맹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하나로 국가 수준의 사회과 지리교육과정에「필수지명」을 선정해야 한다. 그것은 사회과 지리교육 및 생애학습 시대의 기초·기본이 되는 유용한 지식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서 교과서 빈출 지명, 사회적 실용성, 지역적 균등성에 근거하여 한국과 세계의 지역상을 형성하기에 필요한 좌표축으로서 필수지명을 각각 사례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하여 더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and seeks ways to improve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geography field. In South Korea, most geographical names are taught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asked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fundamental geographical names in Korea and the world, the score turned out to be surprisingly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geographical illiteracy, it is necessary to select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in geography education because it is basic and useful to know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in geography field and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and life-long learning. This paper suggests an example of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based on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in textbooks, social use and regional balance. However, the issue of selection and determination of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requires more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지리교과서의 내용 구성 방식에 따른 지명 사용의 비교 분석

        전보애 ( Bo Ae Chun ),윤옥경 ( Ok 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4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지명에 대한 학습이 단순한 지식전달과 사실적 정보의 나열에 불과하다는 비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역적 접근에서 주제적 접근으로 변화되고 있는 교육과정에 따라 기술된 교과서에서 ‘제주’ 단원을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명이 교과서의 맥락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본문 텍스트 뿐 아니라 지도나 탐구활동에 사용된 지명에 대해 질적 분석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지명은 지역지리적 서술방식의 교과서에서는 지리학적 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다름’과 ‘특별함’을 서술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주로 언급되었다. 주제적 접근방식의 교과서에서는 행정지명이 많이 사용되었고 본문보다 지도, 탐구활동 자료에서 지명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적 접근, 주제적 접근에서의 지명사용에 관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지명을 맥락적 사고의 매개체로 활용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함의를 도출할 필요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ssible solution to overcome the criticisms levelled at the learning of geographical names, which has long been stigmatized as conveying simple knowledge or practicing rote memory. In this study, a comparative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description of place name ‘Jeju’ in the actual textbooks that were published accordingly by each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where the thematic approach has been substituted for regional approach recently. We explored the difference of the way of describing place names in the junior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In particular, three sections of the text, maps, and course activitie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Results show that in the regional approach textbook geographical names are much more used than other types of place names and described to emphasize ‘difference’ and ‘specialty’.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place names are more often used and place names are much more exposed in maps and activity materials than text in thematic approach textbook.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ed for overcoming the dichotomy of regional approach and thematic approach in relation to geographical names and utilizing place names as media of contextual thinking ar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