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노인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일반노인과 의학적 진단노인을 기준으로 -

        송은경,원희랑 사)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8 임상미술심리연구 Vol.8 No.2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aging society, this study divided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from 2008 to October 2017 into the general elderly and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The research materials were based on a total of 233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First, generally indicate that medical diagnosed elderly is more frequent than studies of general elderly. Second, both groups had the highest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The objective test tool was used it a lot KGDS, RSES for the general elderly, and MMSE-K, KGDS for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Projective test tools used it a lot KHTP, DAS for the general elderly, and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used the KHTP, LMT, DAP. Third, in the research topic, general elderly showed up in order of psychological health, self-growth, and interpersonal areas, whil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showed up in order of psychological health, cognitive and interpersonal areas. The total treatment session be long in medically diagnosed elderly, and treatment time be long in general elderly. In the method of art expression, unlike the general elderly, the medically diagnosed elderly used a lot of coloring and collaging.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finding appropriate art treatment interventions for the general elderly and medical diagnosed elderly. 본 연구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 사회에 대비하여 2008년부터 2017년 10월까지의 미술치료 연구동향을 일반노인과 의학적 진단노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자료는 이 기간에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총 233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별 연구동향은 전체적으로 의학적 진단노인 연구가 일반노인 연구보다 빈도가 높으나, 최근에는 일반노인 연구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둘째, 연구유형은 두 집단 모두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객관적 검사도구는 일반노인은 한국형 노인우울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의학적 진단노인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와 한국형 노인우울검사를 많이 사용하였다. 투사적 검사도구는 의학적 진단노인에서 더 많이 사용하며, 일반노인은 KHTP와 DAS를, 의학적 진단노인은 KHTP, LMT, DAP를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연구주제에서 일반노인은 심리건강, 자아성장, 대인관계 영역 순으로, 의학적 진단노인은 심리건강, 인지, 대인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총 치료회기는 의학적 진단노인이 길었으며, 치료시간은 일반노인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표현방법에서는 전체적으로 자유화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일반노인과 달리 의학적 진단노인은 색칠하기와 꼴라주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일반노인과 의학적 진단노인에 대한 적절한 미술치료 개입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거동불편 노인과 일반노인의 스트레스 영향 변인에 관한 연구

        배옥현,홍상욱 영남대학교 자원문제연구소 1999 資源問題硏究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stress in disordered elderly and general elderl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interview of 135 disordered elderly and through questionaires with 242 general elderly in Taegu and Kyeongbuk province. The data were analysed with the spss pc+ statistical package using frequency, ANOVA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any of the disordered elderly were unhealthy and were living average quality lives however many were satisfied with their in home and personal care.96% showed dissatisfaction in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nd with their degree of intimacy with their caregivers.6975 experienced loneliness. 'Many of the general elderly were unhealthy and were living average quality lives however many were satisfied with their in home and sopporters, 93% showed dissatisfaction in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nd with their degree of intimacy with their supporters. 82% experienced loneliness. 2. Stress levels of the in disordered elderly were higher than in general elderly. 3. In disordered elderly, stress levels differed according to religion and health conditions, quality of living and degree of loneliness. In general elderly, stress levels differed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s, quality of living and degree of loneliness. 4. The variables influencing stress of disordered elderly were health conditions (p= -.418"),quality of living (P= -.240-). The variables influencing stress of general elderly were health conditions (☞= -.428"), quality of living (11= -.238"), dissatisfaction expression (p=.141').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일반촬영 이용량 및 피폭선량 : 2016년 고령환자데이터 기반

        길종원(Jong-Won Gil),유세종(Se-Jong Yoo),이원정(Won-Jeong Lee)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21 방사선기술과학 Vol.44 No.5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elderly health insurance policy and medical radiation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general radiography usage and exposure dose of the elderly in Korea. The effective dose for each general radiography was calculated using the ALARA-GR program for 260 general radiography codes selected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Care Benefit Cost’. The usage of general radiography was analyzed in the 2016 elderly patient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nd the effective dose for each general radiography was applied. The general radiography usage and exposure dose per person aged 65 years and over was 6.47 cases and 0.56 mSv. Females showed higher value than males as 7.15 cases and 0.66 mSv(p<.001). By age, those between 75 and 79 showed the highest number as 6.97 cases and 0.62 mSv(p<.001). Those who were supported by Medical Aid showed higher value than those who were insur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as 8.82 cases and 0.76 mSv(p<.001). In addition, the ratio by radiography was in the order of Chest 20.85%, Knee Joint 15.58%, and L-spine 14.67%, and the exposure dose was L-spine 29.40%, Chest 15.82%, Abdomen 7.97%, and Entire Spine 7.20%. General radiography, which is widely used due to the high frequency of diseases in th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establishing health insurance polic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general radiography with high exposure dose is performed as a routine examination without considering medical necessity.

      • KCI등재

        범죄에 있어서 노인의 양면적 지위특성에 관한 연구

        주재진(Joo, Jae Jin) 한국범죄심리학회 2011 한국범죄심리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시점에서 우리가 노인의 범죄피해 및 범죄행위를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하고 있는가를 진단해볼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범죄에 있어서 노인의 피해자ㆍ가해자로써의 양면적 지위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지금까지 수행된 노인범죄 및 범죄피해와 관련된 연구들의 주제와 내용들을 개괄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연구의 방향과 대책들을 모색하였다. 여러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우리나라는 노인의 사회ㆍ경제ㆍ문화적 지위에 대한 적절한 준비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다. 그로인해 불안정하고 취약한 지위에 놓이게 된 노인은 범죄의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로써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과거 대부분의 연구들은 노인을 무조건적인 약자이자 국가적ㆍ사회적으로 보호 받아야만 하는 대상으로 보고, 적극적인 노인복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범죄와 관련해서 노인은 주로 형법범이나 특별법범에 의한 피해뿐만 아니라 유기 및 학대에 의한 피해자측면에서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일명 ‘황혼범죄’라고 불리는 노인범죄가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연구와 대처가 중요시되고 있다. 노인범죄는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사이 양적으로 급격히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특정한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노인범죄를 노년기에 나타날 수 있는 이상행동의 한 유형으로 가볍게 받아들이던 종래의 문제인식으로는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시되고 있는 노인범죄를 이해하는데 많은 한계가 따른다. 노인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과 사회적 위기의식을 지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노인의 신체적ㆍ심리적ㆍ사회적 특성에서 비롯되는 양면적 지위특성에 주목 해야 할 때이다. 범죄피해자로서, 보호대상자로서의 약자적 지위와 더불어 범죄가해자로서, 감시대상자로서의 비노인적 지위에 대한 균형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I analyzed study related to elderly crimes and crime victim until now.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a direction of future study and crime countermeasure in elderly crimes. Elderly crime should be accepted as important, and elderly peoples are key members of our society, and should be given a more active role in each segment of our society. By the examination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y, Korea became an aging society, without suitable preparations regarding social․economic․culture status of elderly. Hence elderly in a vulnerable rank are criminal victim as well as criminal becoming serious social issues. The mostly preceding study has applied various social welfare and crime data related to elderly to analyze and characteristics of elderly in modern times and the changing reality of the elderly crime rate. Specially, regarding crimes, There were a lot of research about elderly as the criminal victim sides. But recently, An elderly crime so-called ‘dusk crime’ have increased, importance of study regarding elderly crime had grown up. Therefore, Now we should pay attention to ambidextrous status oriented characteristics of elderly in crime.

      • KCI등재후보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비교

        허성희 ( Heo Seong Hui ),정명희 ( Jung Myoung Hee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전반적 및 영역별(건강, 가족의 수입, 주거환경, 가족관계, 직업, 사회적 친분관계, 여가생활) 생활만족도가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자살생각 감소 및 자살예방을 위한 차별화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 사용된 분석자료는 제10차 한국복지패널(2015) 자료를 활용하여 중위소득 60%미만의 저소득노인 3,186명, 중위소득 60%이상의 일반노인 1,942명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노인의 자살생각은 4.5%로 일반노인의 2.4%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생활만족도 중에서 저소득노인은 건강 만족도, 가족관계 만족도 및 전반적 만족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반노인은 건강만족도, 직업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노인과 일반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영역별 생활만족도에 따라 차별화된 대책 마련을 위한 실천 및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n the suicidal ideation among the low-income elderly and the general elderly over 65 years of ago, and was to find differentiated approach to reduce suicidal ideation and prevent suicide in both groups. The analysis data used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10th Korea Welfare Panel Study (201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icidal ideation of low-income elderly is 4.5%, which is higher than 2.4% of general elderl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case of life satisfaction, health satisfaction,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influenced suicidal ideation among low-income elderly, whereas general elderly were predictors of health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the practical and the policy suggestion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both groups and for differentiated measures according to the life satisfaction of each area in order to reduce suicidal ideation among low-income elderly and general elderly.

      • 국내의 노인주거 개조 지원 실태와 Aging in Place 종합지원기관 도입 필요성에 대한 제안

        김미란(Kim, Mi-ran),이경훈(Lee, Kyung-Hoon)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8 No.1

        This study suggests that general support center with comprehensiv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needed. In general, the modifications of elderly housing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Aging in place" in the elderly. Thus, the role of the organization also needs to include the task of modification the elderly housing. Therefore, the study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 legal system guidelines, and others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elderly housing modification. And the current status of services for the organization supporting the modification of elderly housing is analyzed.

      • KCI우수등재

        국내의 노인주거 개조 지원 관련 법제도 현황 및 인식조사를 통한 Aging in Place 종합지원기관 도입 필요성 제안

        김미란(Kim, Mi-ran),이경훈(Lee, Kyung-Hoon)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10

        This study suggests the general support center with comprehensiv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general, the modifications of the elderly housing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nd “Aging in place” for the elderly. But until now, the elderly housing modification has been carried out separately on the elderly welfare category. It is very inefficient and inconvenient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rehensive organization that includes the implementation of modifications. To provide reasons for this insistence, this study analyzed the previous research, legal system guidelines, and others related things. And it researched the perception of the comprehensive institution and the need for housing modific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survey of the elderly and the early elderly. The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domestic legal system does not have an integrated system to carry out the entire process of applying and implementing the elderly housing mod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elderly hoped to introduce a comprehensive and user-friendly institution for housing modification.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청년 집단 소속감,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노인에 대한 태도의 관계: 탐색적 연구

        전성진,강정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atori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young adults’ job-seeking stress, their membership of young adult group, their general self-efficacy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particular, the study examined how the moderating effect of young adults’ general self-efficacy on the negativ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job-seeking stress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may differ between young adults with a weak and a strong membership of young adult group. To obtain the goal, a survey with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After dividing each research participant into participant groups with a weak membership of young adult group (n=54) and with a strong membership of young adult group (n=50),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participants with a weak membership of young adult group,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heir general self-efficac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However, for participants with a strong membership of young adult group, their general self-efficacy moderated the effect of job-seeking stress on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particular,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was more strongly positive as their general self-efficacy increased.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취업스트레스, 청년 집단 소속감,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노인에 대한 태도 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약한 청년 집단 소속감을 가진 집단과 강한 청년 집단 소속감을 가진 집단 간 취업스트레스와 노인에 대한 태도의 부적 인과관계에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청년 집단 소속감이 약한 연구대상(n=54)과 강한 연구대상(n=50)을 구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청년 집단 소속감이 약한 연구대상의 경우,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취업스트레스와 노인에 대한 태도 간의 인과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청년 집단 소속감이 강한 연구대상의 경우,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취업스트레스가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취업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서 노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 KCI등재

        고령자의 삶을 위한 임대차 계약에서의 차별금지 방안 연구

        윤태영(Tae-Young Yoon),이은상(Eun-Sang Rhee) 한국재산법학회 2023 재산법연구 Vol.39 No.4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혼자 사는 노인 가구 비율뿐만 아니라 월세 거주 비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 중 하나는 고령이라는 이유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때 거절당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임대차 계약에 있어 누구와 계약을 맺을 것인지에 관한 상대방 선택의 자유는 계약자유 원칙의 핵심 내용 중 하나이므로 마땅히 보장받아야 한다. 그런데 고령이라는 이유로 상대방으로부터 계약 체결을 거부당하고 결국 존립의 기본이 되는 삶의 터전을 잃고, 나쁜 환경으로 내몰리는 것도 사회적으로 결코 바람직한 모습은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법이 폭넓게 차별금지를 규정하고 있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어 실효성이 미흡하다. 이에 반해 장애인 차별, 고령자 고용 등 개별법 차원에서 규율이 이루어지는 분야에서는 합리적이지 않은 차별에 대한 권리구제에 있어 보다 효과적이다. 이 때문에 사법(私法)적 구제 내용을 포함한 내용을 담은 차별금지에 관한 일반법 제정이 요청되는 것이다. 그러한 법이 없다면 계약의 무효나 불법행위책임을 통한 해결을 도모할 수밖에 없는데, 계약자유 원칙과의 관계에서 이러한 차별에 대한 위법성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독일에서는 ‘일반평등대우법’(Allgemeines Gleichbehandlungsgesetz, AGG)을 제정하여 이 문제를 해결해 왔다. 독일 내에서도 이러한 일반법 제정에 대해 제정 당시에 많은 비판이 있었지만, 이 법은 지금까지 차별금지와 관련하여 공동체 구성원의 의식 전환에 기여하고, 민법의 일반조항으로의 한계를 극복한다는 점에서 큰 역할을 해 왔다. 이 연구에서는 ① 일반평등대우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임대차 계약의 범위, ② 임대차 계약에서 차별이 정당화되는 요건, ③ 불합리한 차별이 있는 경우 인정되어야 할 법적 효과 등 세 가지 사항에 대해 비교법적으로 검토해보았다. As Korea is facing super-aged society, the rat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s increasing along with their rate of living by monthly rent. Recent social problem is that some people get rejected to make a lease contract only because of their old age. Regarding lease contract, freedom of choice in selecting whom to make contract with must be guaranteed, for it is one of the core contents of liberty of contract. It is not socially desirable for the elderly to get rejected for the conclusion of contract and lose their base of existence, which could drive them into a noxious environment. Korea regulates discrimination by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Act; however, there is no legal binding power and therefore insufficient of actual effect. Meanwhile, relieving rights against unreasonable discrimination is more efficient in areas where regulations are enforc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laws such as discrimination against the disabled and employment of the elderly. This is why the enactment of general law regarding private law remedies in antidiscrimination is being requested. Without a general law about antidiscrimination, it is inevitable to seek resolution through invalidation of contracts or liability for illegal activities; however, it is not easy to admit the illegality of such discrimination in relation to the freedom of contract. Germany has solved this problem by legislating ‘General Act on Equal Treatment’ (Allegemeines Gleichbehandlungsgesetz, AGG). Although there was a lot of criticism at the time of enactment of this general law, this law has played a major role in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members’ conversion of awarenes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general provisions of civil law. This study comparatively reviewed a) scope of lease contracts subject to the General Equal Treatment Act, b) requirements for the justification of discrimination in a lease contract, and c) legal effect to be recognized in the event of unreasonable discrimination.

      • KCI등재

        노인의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

        현재섭(Hyun, Jae Sub),최응렬(Choi, Eung Ryul)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4

        범죄피해두려움은 경찰의 치안정책 평가척도로써 중요한 연구주제이다.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는 국외에서 1960년대부터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도 1980년대부터 지금까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범죄피해두려움의 대다수 연구는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최근에는 노인, 여성, 장애인, 외국인 등 사회적 약자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노인의 범죄피해두려움에 있어서도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노인에게 있어서 성별을 중심으로 범죄피해두려움을 수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은 심리적·신체적 요인 등으로 인해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의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고자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범죄피해두려움을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과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남성 노인의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비공식적 사회통제, 경찰활동으로 조사되었다. 남성 노인의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성폭력범죄 제외)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지역유대, 경찰활동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노인의 일반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간접적 범죄피해, 비교취약성,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경찰활동 등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노인의 구체적 범죄피해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범죄소식, 간접적 범죄피해, 비교취약성, 저항능력, 회복능력, 물리적 무질서, 사회적 무질서, 비공식적 사회통제, 경찰활동 등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두려움 감소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Fear of crime victimization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as a measure of the police’s security policy evaluation. The study on fear of crime began when it was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1960s abroad,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Korea since the 1980s. Most of the research on fear of crime victims seek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fear of crime.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due to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elderly, women, the disabled, and foreigners. In particular,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victims in the elderly.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conducted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in the elderly by gender. Older men and older wome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fear of crime victim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elderly. Specifically,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victimization of the elderly male and female elderl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the fear of crime was divided into general fear of crime and fear of specific crime, and the factors affecting each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informal control, and police activity were investigated as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fear of crime in the elderly. Indirect news,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local ties, and polic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s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specific crime victims (excluding sexual violence crimes) among older men.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fear of crime victims of older women were investigated as indirect news, indirect crime damage, comparative vulner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police activity. Influencing factors on the fear of specific crime victims of older women were investigated as indirect news, indirect crime damage, comparative vulnerability, resistance ability, recovery ability, physical disorder, social disorder, informal control, and police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a policy suggestion about fear of crime victims by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