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화된 빈곤과 사회적 배제 :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정미숙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2

        이 논문은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빈곤의 성별적 특성과 배제의 다차원적 차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소득 여성가구주 10명을 심층면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여성가구주들은 저임금과 고용불안정 그리고 장기간의 실업에 의해 노동시장으로부터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빈곤층이 되기 이전의 삶의 경험에 따라서 빈곤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어린시절부터 가난했으며 성인이 된 이후에도 빈곤한 여성들은 고된 노동의 반복과 심리적인 고통으로 생존의 유일한 수단인 건강을 잃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 빈곤층으로 유입된 여성들은 달라진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수용해야 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정체성 갈등을 겪고 있다. 이와 함께 배우자의 양육비 지급 불이행, 보육 서비스 지원이 미약한 조건에서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을 여성가구주 혼자 떠맡게 되면서 빈곤에 더욱 취약하게 되었다. 자녀양육 책임에 의한 배제는 직종선택 제약, 자녀들의 교육기회 박탈로 연결되면서 빈곤의 세습화 가능성이 나타났다. 또한 가족 내에서 배제되어 왔던 경험은 가족 신화에 의한 배제와 맞물리면서 사회적 고립과 자아배제로 나타났다. 지지집단의 부재는 이들이 성차별적인 노동시장 구조에 맞서 싸울 힘을 갖기 어렵게 하는 또 하나의 차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들이 경험하는 빈곤은 단지 소득결핍이라는 물적 차원의 문제로만 환원될 수 없으며,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의 결과라는 점에서 정치적 임파워먼트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starts by questioning the existing view that poverty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is caused by 'family disintegration'. So far the poverty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has been approached as a social problem arising from desertion of the male breadwinner. The general conception that the poverty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is the outcome of 'family disintegration' has made invisible the problem of gendered poverty.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blem of gendered poverty in terms of coping with poverty of the low-incom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This study analyses the traits of gendered poverty through the life stories of ten women who are now heads of a household. The different exclusion experiences this study's participants had before they became part of the low-income class led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ir situations and different responses toward them. For the women who had been poor since their childhood and are still poor in their adulthood, poverty was not the result of divorce, but divorce made visible what had been invisible. Poverty for them was something that had been accumulated through the years of their marriage, but not fully recognized until divorce. In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women, poverty was a process that accompanied escape from the husband's control and authority, but it was also a process through which they experienced conflict in their identity. The work experience they ad before they became part of the low-income class plus the sexual discrimination of the labor market, the responsibility of raising the children and the myth of the family threatened the work right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and aggravated their social isolation, thereby frustrating their efforts to come out of poverty. So far the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programs regarding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have been centered around material and economic support. These women were approached in terms of defect, problem and deficienc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alls for a change of perspective in order for the social support for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to be effective in helping her achieve independence.

      • KCI등재

        성별화된 빈곤과 사회적 배제 -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

        정재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2

        This article starts by questioning the existing view that poverty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is caused by 'family disintegration'. So far the poverty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has been approached as a social problem arising from desertion of the male breadwinner. The general conception that the poverty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is the outcome of 'family disintegration' has made invisible the problem of gendered poverty.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roblem of gendered poverty in terms of coping with poverty of the low-incom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This study analyses the traits of gendered poverty through the life stories of ten women who are now heads of a household. The different exclusion experiences this study's participants had before they became part of the low-income class led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ir situations and different responses toward them. For the women who had been poor since their childhood and are still poor in their adulthood, poverty was not the result of divorce, but divorce made visible what had been invisible. Poverty for them was something that had been accumulated through the years of their marriage, but not fully recognized until divorce. In the new members of the low-income class group women, poverty was a process that accompanied escape from the husband's control and authority, but it was also a process through which they experienced conflict in their identity. The work experience they had before they became part of the low-income class plus the sexual discrimination of the labor market, the responsibility of raising the children and the myth of the family threatened the work right of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and aggravated their social isolation, thereby frustrating their efforts to come out of poverty. So far the social policy and social work programs regarding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have been centered around material and economic support. These women were approached in terms of defect, problem and deficienc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alls for a change of perspective in order for the social support for the woman head of the household to be effective in helping her achieve independence. 이 논문은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빈곤대응 방식을 중심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빈곤의 성별적 특성과 배제의 다차원적 차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저소득 여성가구주 10명을 심층면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여성가구주들은 저임금과 고용불안정 그리고 장기간의 실업에 의해 노동시장으로부터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빈곤층이 되기 이전의 삶의 경험에 따라서 빈곤에 대응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어린시절부터 가난했으며 성인이 된 이후에도 빈곤한 여성들은 고된 노동의 반복과 심리적인 고통으로 생존의 유일한 수단인 건강을 잃을 가능성이 높은 반면, 빈곤층으로 유입된 여성들은 달라진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수용해야 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정체성 갈등을 겪고 있다. 이와 함께 배우자의 양육비 지급 불이행, 보육 서비스 지원이 미약한 조건에서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을 여성가구주 혼자 떠맡게 되면서 빈곤에 더욱 취약하게 되었다. 자녀양육 책임에 의한 배제는 직종선택 제약, 자녀들의 교육기회 박탈로 연결되면서 빈곤의 세습화 가능성이 나타났다. 또한 가족 내에서 배제되어 왔던 경험은 가족 신화에 의한 배제와 맞물리면서 사회적 고립과 자아배제로 나타났다. 지지집단의 부재는 이들이 성차별적인 노동시장 구조에 맞서 싸울 힘을 갖기 어렵게 하는 또 하나의 차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들이 경험하는 빈곤은 단지 소득결핍이라는 물적 차원의 문제로만 환원될 수 없으며, 다차원적인 사회적 배제의 결과라는 점에서 정치적 임파워먼트를 포괄하는 통합적인 접근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이은혜(Yi Eun-Hye),이상은(Lee Sang-E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 가구 중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격차분해를 시도하였다. 연구는 남녀 가구주 간 빈곤격차의 정도를 살펴보고, 옥사카 분해 방식을 사용하여 격차 요인을 분해를 실시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분석을 위하여 1982년부터 2008년까지의 (도시)가계조사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빈곤여부는 상대빈곤율(중위 소득 50%)로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 여성가구주 가구와 남성가구주 가구의 빈곤 격차에서 계수 효과가 전체 격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로 가구주 성별에 따른 빈곤 격차의 추세는 1980년대 증가하다 1990년대 감소, 다시 2000년대 들어서 빈곤격차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빈곤격차 요인 분해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특성 효과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근로자 가구 중 남성가구주에 비해 여성가구주 가구의 특성이 점차 더 열악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동시에 계수효과가 여전히 크다는 것은 도시 근로자 가구들의 경우, 여성가구주에 대한 차별 또는 사회적 지원의 부족 문제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decomposes the gender differences on poverty to explain the causes of the poverty gap between male- and female-headed households. In order to do this, we start from examining the extent of the poverty gap between maleand female-headed families and then conduct decomposition of poverty differences by gender using the Oaxaca method. This paper uses the (Urban) Family Budget Survey data from 1982 to 2008 and measures poverty using 50% of the median income poverty lin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2008, the coefficient effect explains 70% or more of the total gender-poverty gap. Second, the trend of gender-poverty gap in the period of 1982~2008 shows that the poverty gap by gender increased in the 1980s', decreased in the 1990s', and a re-increased in 2000s'. Third, comparing the decomposition results in 1982, 1989, 1999, 2008, we found that the share of characteristic effect of the total gender poverty gap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over time. It mea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headed households have become worse than those of the male-headed households in urban working families. At the same time, the still large coefficient effect suggests that the problems such as the discrimination against matriarchs or the lack of social support for them still play important roles among urban working families in Korea.

      • KCI등재

        빈곤과 젠더의 상호연계성에 대한 시론

        정미숙(Chung Mi-Suk)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여성빈곤 연구가 빈곤의 여성화 현상을 실증하는 단계를 넘어서 빈곤과 젠더의 상호연계성에 대한 탐구로 이어져야 한다는 문제의식 속에서 비롯되었다. 최근 기존의 빈곤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배제 관점을 중심으로 젠더의 이슈로서 여성빈곤을 쟁점화 하고자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차원들이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우선 전통적인 빈곤 개념이 전제하고 있는 관점과 시각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서, 경제주의적 관점은 여성빈곤의 다차원적인 측면을 포착하지 못하며 결과로서의 빈곤을 발생시키는 차별의 기제에 대한 분석을 가로막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여성빈곤은 소득이라는 물적 결핍의 차원을 넘어서 여성들의 자원 형성과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규범과 관습의 문제, 사회적 관계망과 시간 등과 같은 비물질적 차원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여성빈곤의 다차원적 의미와 빈곤을 재생산하는 기제를 밝힐 수 있다고 보았다. 빈곤의 다차원적 성격을 강조하는 사회적 배제 관점은 가족 내의 권력 관계와 여성들 내의 계층적 차이에 주목함으로서 경제 주의적 빈곤 접근으로 설명되지 않았던 여성의 숨겨진 빈곤을 밝힐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빈곤의 역동성을 강조하는 사회적 배제 관점은 여성의 행위성에 주목하여 빈곤을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을 설명함으로서 여성을 대상화, 피해자화, 병리화 하는 위험을 피하고 성별화된 빈곤경험을 구성하는 구조적 제약들에 주목하게 한다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여성빈곤 문제는 여성의 경제적 자립능력을 제약하는 중층적인 권력관계를 이해하는 문제이며, 가족구조와 노동시장 안에서 그리고 가족구조와 노동시장 사이에서 작동되는 젠더관계를 이해하는 문제라는 사실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the present research on the poverty of women should go beyond the verification of feminization of poverty and should look at the links between gender and poverty itself. The theory of social exclusion,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new approach on the study of the poor, is used here as a tool to analyse the points to consider when raising issues on the poverty of women as a gender issue. I have first critically examined the presupposition of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poverty in the effort to show how the economical perspective fails to encompass the various aspects of the poverty of women and therefore fails to detect th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of which poverty often is the result. Poverty of women is not just a matter of material deficiency. Social norms, customs, relational network and personal use of time all affect women’s resources.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that analysis on these non-material factors can reveal the complex meaning of women’s poverty and will also confirm the mechanism that causes the reproduction of poverty. I have also suggested that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e complex character of poverty, by focusing on the power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and the class differences among women themselves, can identify the hidden poverty of women, which the economical perspective has been unable to notice. Social exclusion perspective also emphasizes the dynamics of poverty and tries to explain the social context that produces poverty. I have suggest that by focusing on the agency of women we can analyse the structural limitations that results in the gendered experience of poverty. This kind of approach also reduces the risk of objectification and victimization of women and also reduces the risk of making poor women a case of pathology. In conclusion, I have pointed out that the poverty of women is a matter of understanding the multi-layered power relationship that constricts the women’s ability to become economically independent. It is also a matter of understanding the gender relationship that operates within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labor market and also between the family structure and the labor market.

      • KCI등재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원인과 빈곤위험의 젠더격차

        김수정(Kim Su-Jeong)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가구소비실태(2000)자료를 대상으로 여성가구주 빈곤의 주요원인 및 빈곤위험의 젠더격차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에서 부차적으로 간주되었던 혼인지위, 모성지위, 노동지위 변수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들 변수가 남녀가구주의 빈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남성가구주 가구와 여성가구주 가구의 빈곤율은 각각 11%와 36%로 여성가구주가 3.2배 높은 빈곤율을 보였다. 남성가구주가구로부터 이탈할 경우, 여성의 빈곤위험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기존연구에서 무직의 여성가구주는 빈곤위험이 오히려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는데(“선택적 무직”), 남성의 이전소득에 의존하는 실질적인 남성가구주 가구를 제외하고 분석하였을 때 무직은 여성빈곤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혼인지위와 부모지위는 남녀가구주의 빈곤에 중요한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혼은 남녀모두 빈곤위험을 높이지만, 여성의 경우 빈곤위험이 더 크게 나타난다. 또, 남성가구주의 경우 미취학자녀가 있더라도 상대적으로 빈곤위험이 낮은데 비해 여성가구주의 경우 빈곤위험은 크게 증가한다. 여성가구주의 가족적 특성은 이 집단을 빈곤에 취약한 집단으로 만든다. 현대사회에서 여성 빈곤은 여전히 남성지배적인 규범과 제도가 지배적인 가운데 아내지위, 모성지위의 취약성과 노동지위에서의 불이익이 중첩된 결과로 양산된다. 빈곤의 여성화를 방지하고 여성의 사회권을 내실있게 보장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중층적 상황과 다양성을 고려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causes of poverty between male and female headed households and analys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each variable by decomposing the probability of poverty, using the National Survey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2000 dat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verty rate (using 50% of median income poverty line) in 2000 was 11% for male-headed households(MHH) and 36% for female -headed households(FHH), which means that FHH were 3.2 times more likely to be poor than MHH. Second, “selectively not -employed” hypothesis which explains the lower poverty rate of not-employed FHH is rejected. The spurious relation disappears when the pseudo-MHH who depends on husbands’ transfer income is excluded from the category of FHH, so the employment status of FHH(esp.not-employed) should be one of main factors of poverty of FHH. Third, marital status and parental status are proved to b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the gender gap of poverty. Even though divorce raises the poverty risks of both gender, divorced FHF is more vulnerable to poverty. Moreover, FHF with pre-school children is more likely to be poor than the same group of MHF. Familial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poverty risks of FHF. This results shows that the poverty of women is over-determined by insecurity of women’s labor market situation and vulnerability of women’s marital and parental status in the male-dominated society. This suggests that to protect women from poverty and guarantee women’s social rights, gender-sensitive and multidimensional social security programs are needed.

      • KCI등재

        생명표 모형을 활용한 한국인의 빈곤 생애 분석

        우해봉 ( Hae Bong Wo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3 사회복지정책 Vol.40 No.4

        본 연구는 생명표 모형을 활용하여 성별 및 교육수준별로 20세부터 사망까지의 전체 생존기간 동안 빈곤(중위소득의 50% 미만) 상태에서 체류하는 기간을 계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전체 생애를 가로지른 한국인의 빈곤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첫째, 20세까지 생존할 경우 전체 기대여명 중 평균적으로 남성은 대략 11년 그리고 여성은 대략 18년 정도를 빈곤 상태에서 보낼 것임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러한 빈곤 상태 체류 기간은 각각 남성과 여성의 20세 기준 기대여명의 20%와 27% 수준으로 그 비중이 작지 않음을 보여 준다. 그러나 연령별 빈곤 상태별 기대여명 패턴은 빈곤 경험이 연령별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고연령층에서 심화된 형태로 나타남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성별 및 빈곤 상태별 기대여명 분석 결과는 기대여명에서 여성의 비교우위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여성의 경우 빈곤 상태에서 체류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이 남성에 비해 상당히 길게 나타남으로써 전체 생존기간에서 여성이 가지고 있는 비교우위의 상당 부분이 빈곤 상태로 채워질 개연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분석 결과는 전체 기대여명 중 빈곤 상태에서 보내는 기간의 비중에서 나타나는 성별 격차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 확대됨을 보여 줌으로써 연령이 높아질수록 여성의 빈곤 문제가 더욱 심화됨을 보여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수준별 기대여명 분석 결과는 남성과 여성 모두 고졸 이상 집단에 비해 고졸 미만 집단이 빈곤 상태에서 보낼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이 긴 반면 비빈곤 상태에서 보낼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이 짧은 패턴을 보여 주었다. 분석 결과는 또한 성별 격차가 교육수준에 따라 추가적으로 분화되는 모습을 보여 주었는데, 특히 계층적 지위가 낮은 여성의 빈곤 경험이 가장 열악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Using life-table models, this study examines gender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life expectancy in poverty (less than half of the median household income) for Korean adults aged 20 or older. First, the data indicate that Koreans alive at 20 are expected to live approximately 11 years for men and 18 years for women in poverty, corresponding to 20% and 27% of the total life expectancy at 20 of men and women, respectively. However, this study finds that life expectancy in poverty is not evenly distributed across age. The data indicate that life expectancy in the poverty state is expected to rapidly increase with age. Second, while women live longer lives than men, they are more likely to live longer years in poverty. The proportion of poverty life expectancy out of the total life expectancy among women tends to increase sharply in older age. Finally, persons with a less than high school education have shorter life expectancy in the non-poor state than those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more but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live longer years in the poverty state. This study also shows that gender differences in poverty life expectancy are further differentiated by educational attainment, indicating that women with lower education have a much greater risk of poverty over the life-course.

      • KCI등재

        청소년기 빈곤궤적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

        황인찬,이도훈 한국인구학회 2023 한국인구학 Vol.46 No.1

        How does poverty trajectories during adolescence affect four-year college entrance? This study aims to (1) derive poverty trajectories that incorporate the timing, duration, and sequencing of poverty exposure based on life course theory; (2) consider the role of time-varying covariates that can be both a cause and a consequence of exposure to poverty; and (3) explore the conditional effect of poverty trajectory by gender. Analyzing longitudinal latent class and marginal structural models and using data from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0, we find that adolescents who experience persistent poverty have the lowest likelihood of attending a four-year college.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act of poverty trajectory is contingent on gender. For female adolescents, all poverty trajectories except non-poverty adversely affect 4-year college entrance, whereas for male adolescents, none of poverty trajector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청소년기 빈곤의 궤적은 4년제 대학진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1) 생애과정론을 기반으로 빈곤 노출의 시기, 지속, 배열을 고려한 빈곤궤적을 도출하고, (2) 빈곤 경험이 시간가변 공변인들에 영향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3) 빈곤궤적의 효과와 성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고찰한다. 종단잠재계층 및 한계구조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중1 패널을 분석한 결과, 4년제 대학에 진학할 확률은 만성적 빈곤을 겪은 청소년에게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빈곤궤적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성 청소년의 경우 모든 빈곤궤적이 대학진학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반면, 남성 청소년의 경우 빈곤궤적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부모가족 빈곤위험의 젠더격차와 영향요인

        이혜정 ( Lee Hye Jung ),장수정 ( Jang Soo Jung ),김병인 ( Kim Byoung Inn ),백경흔 ( Baek Kyung Heu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1 사회복지정책 Vol.48 No.2

        한부모가족은 생계와 돌봄의 이중부담 속에서 빈곤위험이 집중되는 대표적 집단이다. 하지만 한부모가족 빈곤지위에 대한 구체적 접근, 빈곤위험의 젠더격차에 대한 접근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8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젠더별 빈곤상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빈곤집단, 빈곤경계집단, 비빈곤집단으로 세분화하여 개인요인, 가족요인, 제도요인의 영향을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여성한부모 빈곤지위에 한부모되기 1년 전 종사상 지위의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어 남성과 달리 여성의 경력단절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남성한부모에 비해 여성한부모의 빈곤지위에 자녀수, 막내연령, 기타가족여부와 같은 가족 요인이 크게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도요인 중 직업·취업훈련경험이 여성한부모 빈곤지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남성한부모의 경우 연령과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 현재의 종사상지위와 같은 인적자본을 구성하는 개인변인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여성한부모 보다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빈곤지위별 정책대응과 한부모가족 정책에서 성인지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verty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by gender using data from the 2018 single-parent family survey, and divides them into poverty groups, poverty boundary groups, and non-poverty group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in multi-direc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effect of the status of employment one year before becoming a single parent was confirmed on the poverty status of female single-parents. It was confirmed that family factors such as number of children, youngest age, and other family status had a greater effect on the poverty status of female single parents compared to male single par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institutional factors, vocational and job training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verty status of single mothe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ale single parents, it was confirmed that individual variables constituting human capital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urrent occupational status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and had a greater effect than female single parents. Based on this, it emphasized the need for policy responses by poverty status and gender-sensitive approaches in single-parent family policies.

      • KCI등재

        한국 노인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연구

        권혁창,박은지,장성현 한국콘텐츠학회 202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이 겪고 있는 빈곤의 여성화에 대해 살펴보며, 노후소득보장제도의 빈곤완화효과를 확인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노인 빈곤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빈곤의 여성화 현상은 노인의 경우에도 여전히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수직역 연금만이 남녀 노인 가구주의 빈곤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민연금, 기초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는 남녀 모두 빈곤완화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근로유무와 사적이전소득의 빈곤 완화효과가 나타나, 한국의 공적 노후소득보장제도만으론 노인빈곤 완화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노인 빈곤의 여성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여성의 공적연금 가입 확대를 추진해야 하며, 개인 중심의 1인 1연금제도의 전환, 출산 크레딧, 가사노동 인정 등을 제언하였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기초연금의 수급액을 상향조정하는 등 비기여 공적이전제도의 재구조화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in Korea and confirms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 of the old-age income maintenan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overall poverty rate among the elderly is decreasing, the feminization of poverty persists among the elderly. Second, only the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significantly reduced poverty among male and female elderly, while the National Pension, Basic Pension, and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had limited poverty alleviation effects for both male and female. However, the poverty alleviation effects of working status and private transfer incom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uggesting that Korea's public old-age income maintenance alone is limited in alleviating elderly poverty. The study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women's participation in public pensions to alleviate the feminization of elderly poverty in the long run, and restructure non-contributory public transfer systems.

      • KCI등재

        여성가장 가족의 빈곤문제와 성인지적 탈빈곤 정책

        송다영 ( Da Young Song ),김유나 ( Yu Na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22 No.-

        The research is to show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nd to examine the gender poverty gap between female-headed households and the other households, using data of the 2006 Urban Survey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are still significant gender poverty gap existing in 2006. The poverty rate of female-headed household is 21.7%, 31.4%, and 36.5%, respectively, in absolute poverty line 100%, 130%, 150%, while those of the other households are 9.9%, 14.0%, 15.4%. The gender gap of poverty is about 2 times. Accord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it is evident that female-headed households confront more destituted situations in employment, housing, and children-rearing than male-headed households do. After controlling all the other variables, gender is one of the fundamental variable to explaining the probability of becoming the poor. In conclusion, gender-sensitive social policies are proposed, which are much effective for the disadvantaged female-headed household out of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The paper highlights that the anti-poverty policy for female headed households be developed and designed differently from the generalized male-based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