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프레임으로서 녹색성장(Green Growth) 정책 -딜레마 대응 방안으로서 메타프레임 구성-

        하민철 ( Min Cheol Ha ),윤견수 ( Gyoun Soo Yoon ) 한국정책학회 2010 韓國政策學會報 Vol.19 No.1

        이 논문은 ‘녹색성장 정책’을 성장 프레임과 보호 프레임의 충돌, 즉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한 메타프레임(meta-frame)으로 이해하고, 프레임의 관점에서 녹색성장 정책 추진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연 ‘녹색성장 정책’이 메타프레임으로서 성장 프레임과 보호 프레임 사이의 충돌로 인한 딜레마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추진되고 있는가? 이명박 정부는 ‘대운하사업’으로 인한 딜레마 상황에서 녹색성장 정책을 발표하여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녹색성장 정책은 발표 초기에 성장 프레임과 보호 프레임을 통합하는 메타프레임으로서 성공적으로 작동하였다. 그러나 녹색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대안으로 정책과제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하면서 다시 프레임 충돌이 심화되기 시작하였다. 녹색성장 정책의 핵심 정책과제로 ‘4대강 정비사업’이 부각되면서 기존의 ‘대운하사업’을 둘러싼 프레임 충돌이 재현되었다. 결국 녹색성장 정책은 녹색성장이라는 가치의 통합을 이루는 데는 성공하였지만 ‘4대강 정비사업’이라는 대안을 둘러싸고 찬성(4대강 살리기)과 반대(4대강 죽이기) 프레임 사이의 충돌에 갇혀버림으로써 다시 딜레마 상황에 빠질 위험에 처하였다. 본 논문은 녹색성장 정책을 둘러싼 담론의 재해석 과정을 통해 향후 녹색성장 정책이 메타프레임으로서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고려하여야 하는가를 검토하였다. This article is for understanding the Green-growth Policy in terms of frame. The authors assumed the Green-growth Policy as a meta-frame for overcoming a dilemma caused by frame collision between growth oriented frame and protection oriented frame. Was the Green-growth Policy really overcoming the dilemma and is now progressing smoothly? In the early stage of issuing the Green-growth policy, Lee Myoungbak Administration could break away from the dilemma caused by the Grand Canal Project. That is, the Green-growth Policy as a meta-frame was working well in the early stage. But as detailed programs for the Green-growth Policy were being specified, another frame collision was beginning to deepen. Especially as the 4 Major Rivers Project was being magnified, the past frame collision caused by the Grand Canal Project was reemerged. Summing up, the Green-growth Policy succeeded in the value integration of 'Green-Growth', but it is now faced with another frame collision between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and 'the 4 Major Rivers Killing Project'. It is expected easily that this new frame collision would bring about another dilemma. In this context the authors reviewed the discourse about the Green-growth Policy and seek for some solutions for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Green-growth Policy as a meta-frame.

      • KCI등재

        현대문학에 구현된 ‘복원 프레임(frame)’ 연구

        김민옥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8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storation frame as embodied in contemporary literature by exploring the workings of the frame in Ko Eun's poetry. Ko Eun's poetry is driven by a constant concern for and attachment to human beings. The restoration frame itself, which runs through her poetry, is a poetic endeavor to bring wounded and isolated beings into the solidarity of coexistence, a poetic practice that seeks to restore the true identity of human existence. Ko Eun has lived in an era of destruction, but she is not dominated by reality. Rather, the poet planted the dream of restoration within the era of destruction, and expressed and from the Maninbo expanded that dream by fiercely resisting reality. This also means that he was not confined to a private frame, but keenly sensed the frame required by the times and embodied it in his poetry. Ko Eun's poetry texts based on the restoration frame can be said to be a meaningful material to grasp the restoration frame i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팔당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 갈등의 프레임 분석

        강지선(姜智善),최흥석(崔興碩)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2

        본 연구는 팔당 상수원관리지역 규제정책과 주민지원사업을 둘러싼 갈등에 관한 ‘한강상류 지역주민들의 인식 프레임’과 ‘상류주민들에게 투영된 환경부 및 한강청 공무원들의 인식 프레임’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Lewicki, Gray, & Elliott(2003)의 8가지 갈등 프레임 유형을 적용해 분석한 결과, 양측의 갈등 프레임은 분명한 차이를 드러냈다. 권력 프레임과 사회적 통제 프레임을 제외한 6가지 유형의 갈등 프레임에서 갈등당사자들 간 프레임 부조화가 현저히 나타났다. 팔당 규제정책과 주민지원사업을 비판하는 주민들의 갈등프레임은 정부정책에 의한 팔당상수원 오염이라는 위험 프레임과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손실프레임을 바탕으로 부정적인 정체성 및 특성부여 프레임이 지배적 프레임으로서 작동하고 있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주민들이 갈등상황을 해석하는 상황요약 프레임을 구성하게 만들고 그들이 선호하는 갈등관리 프레임을 결정하게 만들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주민과 정부의 견해 차이에 대한 주민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은 갈등 해소를 위한 정책적 함의 도출뿐만 아니라 갈등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분석에도 유용할 것이다. Focusing on conflict over regulatory policy and community support programs in Paldang water-source management area, this study compares perception frames of local residents with perception frames of public servants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Han River Watershed Environmental Office that residents perceive. The study finds clear differences in conflict frames between residents and public servants by applying eight frame types of Lewicki, Gray, & Elliott(2003). Except for power frames and social control frames, findings indicate obvious frame mismatches in six types of conflict frames. The dominant frames among conflict frames of residents who criticize regulatory policy and community support programs point to negative nature of identity frames and characterization frames based on risk frames(pollution of Paldang tap water source) and a variety of loss frames which affect residents. This leads to shape whole story frames that provide residents with a concise summary of the basis for conflict situations and to decide residents’ preferences for conflict management frames. Analysis on residents’ perception of opinion gaps between residents and public servants can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conflict resolution and identify the causes of conflict.

      • KCI등재

        회화와 영화에서의 탈프레임화 비교 연구: 드가, 크레모니니, 브레송, 스트로브-위예를 중심으로

        김호영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6

        De-framing refers to the work outside the frame that is performed in all visual arts such as painting, photography, and film, and the aesthetic style formed through the work. Ultimately, de-framing aims to violate, subvert, and deconstruct the frame as the boundary of the image. For example, in Edgar Degas’s paintings, frames are often presented as temporary and incomplete boundaries, and everyday spaces or the bodies of people are presented in disproportionate form cut by the frame. In his paintings, the frame is already only a temporary and arbitrary boundary, and aims for decentralization rather than centralization. In Leonardo Cremonini’s paintings, the frame does not play a fundamental role in defining the image and presenting the figures in an optimal composition. In his paintings, the faces of the figures are often obscured or blurred, and their bodies are pushed out of the frame or obscured by objects. In the films of Robert Bresson and Jean-Marie Straub et Danièle Huillet, it is not the narrative tension that dominates the work, but the visual tension or non-narrative tension created by a series of incomplete or fragmented images. In their films, fragments of spaces are subject to special re-sequencing, and at this time, re-sequencing takes place in the audience’s thoughts. The de-framing images in their films constantly encounter the unchained structure of the film, leading the audience’s consciousness to the outside of the frame in time as well as in space. It leads to the thought of all things that the film directs and summons beyond itself, and leads to the thought of the whole world, including the film. In this way, de-framing breaks down the fixedness, immobility, and closure inherent in the existing frame concept in both painting and film, and highlights the frame concept as an arbitrary, variable, and fluid boundary. 탈프레임화는 회화, 사진, 영화 등 모든 시각 예술에서 행해지는 프레임 바깥에대한 작업 및 그 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미학적 양식을 가리킨다. 궁극적으로, 이미지의 경계이자 틀로서 프레임에 대한 위반과 전복 그리고 해체를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드가의 그림에서 프레임은 자주 일시적이고 불완전한 경계로 나타나고 일상의 공간이나 인물들의 신체는 프레임에 의해 불균형한 형태로 절단된 채 제시된다. 그의 그림에서 프레임은 이미 일시적이고 임의적인 경계에 지나지 않으며 중심화보다는 탈중심화를 지향한다. 마찬가지로, 크레모니니의 그림들에서도 프레임은 이미지를 한정하고 최적의 구도로 인물들을 보여주는 기본역할을 전혀 수행하지 못한다. 그의 그림에서 인물들의 얼굴은 자주 식별하기 힘들만큼 지워져 있거나 희미해져 있고, 인물들의 신체는 프레임 밖으로 밀려나있거나 사물에 가려져 있다. 브레송과 스트로브-위예의 영화에서 작품을 지배하는 것은 서사적 긴장이 아니라, 불완전하거나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연속이 만들어내는 시각적 긴장 또는 비서사적 긴장이다. 이들의 영화에서 파편화된 공간의 단편들은 특별한 재-연쇄의 대상이 되고, 이때 재-연쇄는 관객의 사유 속에서 이루어진다. 이들의 영화에서 탈프레임화된 이미지들은 영화 전체의 탈연쇄적인 구조와 끊임없이 조우하면서, 관객의 의식을 프레임의 공간적 외부 뿐 아니라 시간적 외부로 이끈다. 영화가 자신을 넘어 지시하고 소환하는 모든 것들에 대한사유로, 영화를 포함한 세계 전체에 대한 사유로 인도한다. 탈프레임화는 회화와 영화 모두에서 기존의 프레임 개념에 내재되어 있던 고정성, 부동성, 폐쇄성을와해시키고 임의적이고 가변적이며 유동적인 경계로서 프레임 개념을 새롭게 부각시킨다.

      • KCI등재

        디지털 게임 설계 장치로서의 다중 프레임 연구

        김다인(Da-In Kim),성정환(Jung-Hwan Sung)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6

        회화를 기점으로 영화, 만화, 게임을 아울러 관객의 시선을 묶는 행위의 주축을 담당하는 것은 프레임이다. 프레임에 대해 안다는 것은 프레임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지털 게임의 프레임, 그 중에서도 일차 프레임의 한정된 구성을 보완하는 다중 프레임에 관해 다룬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기본 구성인 구조적 프레임, 플레이어 행위의 출력인 가변적 프레임, 기존 시각 매체 특성을 나타내는 표면적 프레임으로 다중 프레임을 분류한다. 이를 통해 디지털 게임 설계 장치로서의 다중 프레임의 양상을 살펴본다. 본 논문은 향후 게임의 다중 프레임 활용 가능성을 도출하고 다중 프레임 분석의 기제를 제공했다는 데서 유의미하다. Starting with painting, it is the frame that plays the main role in movies, cartoons, and games as well as the act of attracting the audience"s attention. Knowing about a frame is to be able to read and use the frame.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frames of digital games, especially multiple frames that complement the limited configuration of primary frames. In this paper, frame within frames are classified into structural frames, which are the basic components of the game, temporal frames, which reflect player behavior, and surface frame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visual media. Through this, we examine the aspects of frame within a frame as digital game design equipmen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derives the possibility of using frame within a frame of games in the future and provides a mechanism for frame within a frame analysis.

      • KCI등재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 고찰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5 No.-

        독자의 읽기 행위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읽기 프레임의 활동은 여러 기제들의 연합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독자의 읽기 과정 전반에 관여한다. 독자의 읽기 행위 특성은 읽기 프레임의 어떤 활동 기제들이 작용하는가에 따라달라진다. 이 논의에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를 외현적, 내재적,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읽기 프레임의 외현적 활동 기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이 밖으로드러나게 하는 동인으로 편향적 읽기 행동, 읽기 형식의 유지, 동형 행위의 반복등을 들 수 있다. 내재적 읽기 활동 기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동인으로 존재의 표현, 적극적 행위, 인지적 처리, 의미의 구조, 고착적태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적 읽기 활동 기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으로독자의 읽기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동인으로 답습적 의미 구성,효율적 내용 인식, 지향적 읽기 수행, 습관적 태도 유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는 독자가 읽기 행위를 수행하는 토대이다. 읽기 프레임의 활동은 여러 가지 기제들이 유기적으로 연합하여 독자의 읽기 행위가 특정한 형식을 갖게 한다. 읽기 교육에서는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접근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적인 학생의 읽기활동 자료를 바탕으로 읽기 프레임의 활동 기제를 면밀히 분석하고 설명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mechanism of reading frame. Thereading activity of reader is dependent on the operation of reading frame. Thetrait of reader‘s act is displayed by the operation reading frame, because of thereading frame is the framework of reader‘s mental process. In this study, thepatterns of operation reading frame divided into outward appearance, mode, andfunction. The outward appearance is the revealed exterior trait of reader‘s activity,which is divided into inclination, continuance, repetition, and outstanding. Themode is the unified shape of operating factors of reading frame, which is dividedinto factors of existence, behavior, cognition, meaning, and propensity. Thefunction is the smoothly and efficiency role of operating factors of reading frame,which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usually meaning construction, efficientlyawareness of information in book, intentionally reading performance, andmaintain habitual reading attitude. The reading frame is a foundation of reader‘sreading act. The operation of reading frame in close cooperation with the severalfactors of reading frame exposes the distinctive feature of reading activity ofreader. For reading instruction, we should recognize the operation of readingframe, and discuss the method of teaching it.

      • KCI등재

        시각적 메시지 전달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가치 연구

        김찬수,김광일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5

        시각적 메시지는 여러 분야에서 우리에게 전달된다. 회화의 그림에서부터 영상 분야의 사진 스틸과 비디오, 상품의 광고, 그리고 요즈음 경쟁이 치열한 스마트폰까지 점차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그리고 이 시각적 메시지들은 우리에게 보여지기 위하여 정해진 틀의 크기(size) 안에서 시각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 틀이 프레임(Frame)이다. 즉, 시각적 메시지는 프레임이라는 틀 안에서 담겨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프레임이라는 구성 틀 안에 담겨지고 있는 시각 메시지가 프레임이라는 틀에 의해 어떻게 우리의 시각적 감각기관에 영향을 주는 것인가에 대하여 궁금해진다. 그래서 본 연구는 우리가 지각하는 시각 메시지가 어떻게 프레임에 의해 전달되는지 프레임의 역할과 가치에 관하여 살펴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것을 위해 우선, 메시지를 담아내는 프레임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그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과 우리의 신체가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요소들에 대한 심리적·철학적·시각적·메커니즘에 따른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시각 메시지의 전달을 위해 프레임의 구성 요소와 시각적 인지 습득 요소들 간에는 차이가 없는지도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각 메시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가치에 대한 내용을 학문적 이론에 의한 프레임의 재해석과 더불어 기계적인 프레임의 생산 요소와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시각적 종합 구성 요소 중, 카메라에 의한 프레임의 구성 요소도 함께 살펴본다. Visual messages are delivered to us in many fields. Its territory is gradually expanding from paintings, still cuts from visual media video, advertisement of the product, and to competitive smart phones. And these visual messages carry visual messages in sizes of the fixed form in order to be seen to us. This form is a frame. In other words, visual messages are contained in a form called as frame. Then a question of how these visual messages in a composition form called frame affect visual sensory organs of people aris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oles and values of frame how visual messages that we perceive are delivered by the frame. Above all, theoretical approach to frame that carries messages is needed. Psychological, philosophical, and visual approaches on factors that compose the frame and factors that our body observes visually are required. Also its is important to examine if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composition factors of the frame and acquisition factors of visual recognition in order to deliver visual messages. This study will inquire contents about values of a frame that composes visual messages along with reinterpretation of frame with an academic theory and production factors and process of a mechanical frame. In addition, component of the frame according to a camera will be looked into.

      • KCI등재

        읽기 프레임의 특징 고찰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for reading instruc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the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to defin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A word of ‘frame’ has a variety of meaning which represents a fixed pattern of an object, a thing and an event. In this study, the frame is a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person’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 people recognizes the object on the basis of the frame. Also the reader understands a text through the reading frame which is a set pattern of an cognitive organization for the reader’s comprehension of texts. The reader understands the meaning of books by the assistance of the reading frame. The reading frame is the reader’s psychological system that supports reader’s reading behavior and constructing of meaning from the books. In other words, the reading frame manages and controls the reading activity of reader. The reading fram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general frame. It’s peculiarity is originated psychological process of reader in reading activity. The characteristic of reading frame comes out by traits of it’s the components. The essential elements of reading frame that exhibits the special characters are the stagnant schema, the acquired reading skills, the categorized book informations, the fixed reading aim, the sole pursuit will for reading theme, the set pattern reading habit and attitude and so on. Those factors of reader frame are build up reading education and repeated reading activity. The while in the reading education was not concerned about the reading frame. For the future the reading education should be interested in reading frame for improving to student’s reading ability. 이 논의의 목적은 읽기 교육의 관점에서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살피는 데 있다. 프레임이라는 말은 일정한 틀을 가진 대상을 폭넓게 지칭하는 말인데 이 논의에서는 읽기 활동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프레임의 관점에서 보면, 사람은 자신이 가진 프레임을 통하여 대상을 인식하고 행동한다. 그런 점에서 독자도 글을 때에는 읽기 프레임에 따라 읽기 행위를 하고 의미를 구성한다. 읽기 프레임은 독자가 읽기를 학습하고, 글을 읽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읽기 프레임은 여러 가지 읽기 관련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요소들의 특성에 따라 그 특징을 갖게 된다. 읽기 프레임의 특징을 드러내는 대표적인 구성 요소들은 정체된 배경지식, 습성화된 읽기 기능, 범주화된 도서 정보, 고착적 읽기 목적, 전일적 주제 탐구 의지, 정형화된 읽기 습관과 태도 등이다. 이들 요소들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읽기 프레임을 이루고 있으며, 독자의 읽기 활동에 관계한다. 이 읽기 프레임에 대하여 읽기 교육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읽기 교육을 통하여 학생이 읽기 프레임의 존재를 알고, 형성하여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WiFi 트래픽의 간섭환경에서 IEEE 802.15.4 노드의 프레임 전송 및 채널변경 방법

        송명렬 ( Myong Lyol So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1

        이 논문에서는 WiFi 트래픽으로 인해 IEEE 802.15.4 노드에서 프레임 전송에 장애가 발생할 때, IEEE 802.15.4 네트워크의 노드들을 새로운 채널에서 동작시키기 위한 프레임 전송방법과 특성에 연구되었다. WiFi 트래픽의 간섭에 대한 평가, 간섭이 적거나 없는 새로운 채널의 탐색 및 동작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연구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IEEE 802.11 네트워크와 중첩된 무선채널에서 IEEE 802.15.4 프레임의 전송지연과 CSMA-CA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은 IEEE 802.15.4 프레임 전송시 프레임들의 충돌 및 IEEE 802.11 노드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충돌된 IEEE 802.15.4 프레임의 잔여부분을 사용하기 위해 프레임형식코드블럭들을 포함한 프레임의 전송방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방법의 실험을 통해, 충돌시 프레임형식코드블럭들이 수신기에서 동기화되어 수신되는 현상을 관찰하고, IEEE 802.15.4 프레임에서 충돌을 겪는 위치, 프레임수신율에 대한 특성이 분석되었다. WiFi 트래픽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IEEE 802.15.4 네트워크의 채널변경명령을 전송하고 응답을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실험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개선된 성능을 나타낸다. In this paper, a frame transmission method to make IEEE 802.15.4 nodes run at a new channel and its characteristics are studied when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in transmission of frames due to WiFi traffic. The researches on evaluating the interference from WiFi traffic, searching for a new channel with little interference or not, and changing the operating channel are analyzed. In an wireless channel overlapped with IEEE 802.11 network, the transmission delay of IEEE 802.15.4 frames, the collision of frames in sending IEEE 802.15.4 frames without applying CSMA-CA algorithm, and the operation of IEEE 802.11 nodes are explained. A transmission method of frames including frame-formated code blocks in order to use the rest part of collided IEEE 802.15.4 frame is proposed. In the experiments of the proposed method, it is observed that frame-formated code blocks are synchronized and received by receivers in case of collision, and then the collided positions in IEEE 802.15.4 frame and the characteristics of frame reception rate are analyz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improved in comparison to an existing method when we measure the time taken to send a channel change command and get the response in order to avoid the interference from WiFi traffic.

      • KCI등재

        공간과 시간의 매개체로서의 이차프레임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그리스도의 채찍질>을 중심으로

        김호영 ( Kim Ho Young ) 경희대학교 글로벌인문학술원 2022 비교문화연구 Vol.67 No.-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의 <그리스도의 채찍질>(1445-78)은 르네상스 회화 작품들 중에서도 이차프레임의 다양한 의미 작용과 서사적 기능이 가장 돋보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는 정확한 투시법과 교묘한 이차프레임의 배치를 이용해 그림의 공간을 복잡한 기호작용의 공간으로 만들어 놓았다. 그림 속에 배치된 다양한 이차프레임들은 원근법이 만들어내는 깊이감과 공간감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시각적 경계이자 동시에 조형적 틀로 기능한다. 특히 조형적 틀로서의 이차프레임에 덧붙여지고 새겨지는 고대풍 문양과 모티프들은 르네상스 정신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림의 입체감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이차프레임은 관객의 시선을 유혹하고 그 내부의 요소들의 의미를 강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그림에서 예수와 빌라도는 그림의 중앙에서 벗어나 좌측 후면에 작은 크기로 배치되어 있지만, 교묘하게 관객의 시선을 유도하는 이차프레임 덕분에 다른 작품에서와 못지않게 그 존재와 특성이 강조된다. 아울러, 이차프레임은 이 그림에서 프레임의 본질적 기능이라 할 수 있는 매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림의 가장 큰 이차프레임인 건물의 주 출입구는 공간적 매개 역할을 담당하는데, 건물의 내부와 외부는 인물들 간의 형태적 유사성을 통해 연결되고 그에 따라 내부와 외부의 두 이질적 사건도 긴밀한 연관관계에 놓이게 된다. 이차프레임은 프레임과 함께 시간적 매개 기능도 수행한다. 이차프레임을 통해 연결되는 서로 다른 시대의 인물들의 시선이 프레임 바깥으로 나아가 그림을 바라보는 미래의 관객의 시선으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이다. Piero della Francesca's Flagellation of Christ (1445-78) is the most outstanding work among Renaissance paintings in which the various meanings and narrative functions of the second frame stand out. Piero della Francesca, who is regarded as a true perfectionist of perspective in painting, made painting into a space of complex and exciting sign action by using accurate perspective and clever second frame arrangement. The various second frames arranged in the picture primarily serve to further reinforce the sense of depth and space created by perspective, and function as a visual boundary and a formative frame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the ancient-style patterns and motifs added to and engraved on the second frame as a formative frame express the Renaissance spirit of the revival of the ancient Greek and Roman styles,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painting. In addition, the second frame plays a role in attracting the audience's gaze and emphasizing the meaning of the elements inside. In this painting, Jesus Christ and Pontius Pilate were arranged in small sizes on the left rear sid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painting, but their existence and characteristics were emphasized as much as in other works thanks to the second frame that cleverly induces the viewer's gaze. Furthermore, in this figure, the second frame performs the mediating function, which is an essential function of the frame. The main entrance of the building, which is the largest second frame of the painting, plays a kind of spatial mediating role,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are connected through the morphological similarity between the figures, and thus two heterogeneous events are placed in a close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second frame also performs a temporal mediating function together with the frame, because the gaze of the characters who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side and outside the second frame beyond the chronological difference goes outside the frame and leads to the gaze of the future audience looking at the pi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