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의 연행 맥락과 시간 의식

        이옥희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Among ancient Korea poetry and folksongs, those that dealt with temporality were folksongs about four seasons and 12 months. In this paper, meaning of the folksongs i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context of lines and verses and perception of time in the folksongs about 12 months. Context of lines and verses of the folksongs about 12 months can be divided into ritual context, expressive context and playful context. Prayers and admonitory speech in the play of ‘Treading the god of the earth’ belong to the ritual aspect of the folksong. The songs about 12 months used in prayers and admonitory speech reflected people’s desire to purify the uncertainty of next year by representing it in the defined space and time of the play of ‘Treading the god of the earth.’ Twelve months described in terms of seasons in prayers and admonitory speech are more a reproduced and mythical time than an objective time. Expressive aspect of the folksong includes verses and lines of longing for a mother and a lover who were gone. The reason why the writers of the folksongs adapted the form of 12 months was that they tried to emphasize their sorrow for not being with loved ones on festive days of each season while acknowledging parting from loved ones was a part of life in the cycle of time. In the expressive folksongs, it was understood that object time and experiential time were divided but oriented for an ultimate accord. Playful folksongs show some variation that the period from January to October is included in the songs but November and December are excluded. It is understood that the primal purpose of folksongs about 12 months is ritual but playful folksongs deviated from the primal purpose and adapted a freer form to pursue completion of their own new purpose. Poetic structure of 12 months can be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linguistic merrymaking. In the playful folksongs, seasonal festive days were referred to as the best time of year for normal people and time consciousness in the songs oriented to the present. Poetry about 12 months of the ruling clas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folksongs about 12 months of common people in that the former were based on the 24 solar period according to the solar calendar while the latter were based on seasonal period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In poetry about 12 months of the ruling class, objective present time was emphasized whereas subjective and reproduced time was represented in folksongs of common peopl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common purpose of poetry and folksongs about 4 seasons and 12 months was to put the world into a certain order but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social classes in terms of perception of time. 이 글에서는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를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행 맥락과 시간 의식을 살핌으로써 열두달 노래 양식이 빚어내는 의미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의 연행 맥락은 의례적 맥락, 정서적 맥락, 유희적 맥락의 차원으로 정리된다. 의례적 맥락의 민요는 지신밟기의 현장에서 연행되는 고사 축원소리가 이에 해당된다. 고사 축원의 현장에서 열두달 노래가 선택되는 이유는 다가올 1년이라는 불확실한 시간을 정월보름의 지신밟기 현장이라는 한정적인 시간과 공간에 펼쳐놓음으로써 새로 시작하는 일년이라는 시간을 정화하고자 하는 연행주체들의 순환론적 시간관념이 반영된 것이라고 보았다. 정서적 맥락의 민요는 삼삼기, 물레질 등 여성들이 모인 공간에서 불리워진다. 민요의 내용은 떠나간 님과 떠나간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행주체들이 열두달이라는 시적 형식을 채택한 이유는 인생에서 好時節인 세시절일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할 수 없음을 통해 이별의 슬픔을 극대화하며 또한 순환하는 시간 속에서 이별 또한 하나의 과정임을 인정하기 위함이었다고 보았다. 유희적 맥락의 민요는 놀이의 현장에서 주로 불리워지며, 장타령, 화투타령, 범벅타령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정월부터 12월까지의 시적 구성은 언어유희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유희적 맥락에서 연행되는 열두달 노래에서는 가장 좋은 시절이라는 의미로 세시절이 언급되었으며 이들 작품에서 시간 의식은 현전화의 지향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사대부작 월령체가에서 태양력을 중심으로 질서화된 시간역법인 24절기를 월령에 포함시켜 24절기에 따른 농사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은 태음력을 주종으로 하여 질서화된 열두달 민요의 세시풍속과는 차이를 보인다. 사대부작 월령체가에서는 민요에서 보여지는 재현된 시간으로서의 주관적 시간인식이라기보다는 실제적 현실이 강조되는 객관적 시간의 양상을 띤다고 보았다. 즉 사시가류, 열두달 시가류는 순환론적 시간 의식에 기초하여 세계를 질서화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향유계층에 따라서 시간 의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민요 가창자의 전승과 소통

        이창식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The folksinger of folksong will be able to discuss from the various side. Today the site where maintains the tradition of folk song is disappearing from direction of a ceremony. Must understand the transmission method and a being understood aspect of the folksinger because like that. The folk song every the folksinger is different. This paper researched the folksinger people intensively from this writing. Folksinger current quality confronts with a character the area by important folksinger research must be deepened the comparison research with existing literature data. Study of oral folksong will research with field folksong context. We conversed directly the folksinger life of four people with the method which is various. Seok Palrye folksinger was an ability which composes talk of a folk song. Han Taeu folksinger will be able to narrate orally a many kinds folk song. Hwang Okbun folksinger was possibility like the autobio- graphy of oneself of calling a folk song there. Sin Yongnyeo folksinger well folk song and talk. 제천(堤川)지역 구비민요는 지역민들에게 있어 삶의 표현방식의 그릇이다. 구전민요는 삶의 현장마다 부르는 소리가 제각기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민요 가창자 전승의 가변성을 유의하면서 제천지역 민요 각편들을 두루 조사하여 일차적으로 각각 각편의 실상을 정리하고 주요 가창자의 이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증보판 구비문학 조사에 참여하여 현시점에서 민요의 전승기반에 대해 주목하였다. 2009년 증보 한국구비문학대계 사업의 조사 일환으로 시작한 첫 번째 지역이 충청북도 제천시인데, 구비민요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충북 제천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 사설을 1차적으로 살펴 현시점의 전승실태를 드러낸다. 아울러 민요를 통해 제천지역 가창자들 현재 소통 가능성과, 이와 연관하여 오랜 세월에 걸친 민요 소통양상을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구비문학으로서 민요의 현지적 조사의 실상과 한계-증보 한국구비문학 사업이 대체로 이러한 문제점을 지님-를 새삼 따져보았다. 제천지역의 민요 가창자를 통해 현재 소리판 위기를 간접적으로 진단하였다. 가창자 중심의 장기간 현지체류에 의한 참여관찰을 통해 민요맥락(folksong context)의 심층적인 기술이 중요하다. 구전민요지의 현재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문헌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고려하여 지역별 주요 가창자 연구가 심화되어야 한다. 소리판의 변화추이도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여러 제보자 중에서 네 명의 민요 가창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면담하였다. 석팔례 가창자는 사설을 구성하되 이야기-민요적 재담과 신파에 가까운 구연-를 엮어 연극하듯 주변 사람과 어울렸다. 이야기를 민요로 구성하는 능력이 있다. 한태우 가창자는 상여소리로 이미 지역에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자신의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나머지 가창자들과 어울려 어떤 각편도 소화가 가능하였다. 황옥분 가창자는 다양한 각편 사설을 보유하고 있고 어릴 때 고향-강원도 삼척지역 원덕-에서 익힌 각편도 기억하고 있어 자신의 자서전처럼 전달하였다. 신용녀 가창자는 소리꾼과 이야기꾼 양쪽의 소양을 지니고 있다. 친정이 영월지역 주천이라 전형적인 아라리 각편들을 지니고 있었다. 알지도 못했던 가창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금방 소리를 주고받으며 진한 동질감을 가졌다. 상대방 소리 때문에 잊혀진 각편이 생각난다고 하였다. 이해와 소통이 새로운 소리판을 짰다. 전승과 소통의 마지막 불씨 같았다.

      • KCI등재후보

        ‘마을 소리꾼’의 위상과 역할

        김영희(Kim, Young-he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4 民俗硏究 Vol.0 No.28

        이 글은 마을 공동체 내에서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온 ‘마을 소리꾼’ 만의 독특한 연행 자질과 연행 레퍼토리, 이들만이 공유하는 사회적 조건과 연행 현장의 맥락, 마을 공동체 내에서의 역할과 지위 등을 고찰하여 ‘마을 소리꾼’의 개념과 범주를 재구성한 글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마을 소리꾼’의 존재 가능성과 이들이 공유한 공통 자질 등이 드러난 바 있으나 이 글에서는 이를 좀더 본격화, 체계화하여 다른 민요 연행자들과 구분함으로써 연행 주체 내부의 이질성을 좀더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마을 소리꾼’이라고 해서 마을 공동체 내에서 모두 같은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연행 및 전승 현장의 맥락이 변함에 따라, 또 마을 공동체의 특수성이나 연행자 개인의 사회문화적 조건에 따라 ‘마을 소리꾼’ 내부에도 차이가 존재한다. 이 글은 ‘마을 소리꾼’을 개념화, 범주화하기 위해 이들 내부의 동질성을 찾아내는 한편, 역동하는 변화의 맥락과 현장의 결에 최대한 근접하기 위해 이들 내부의 이질성을 함께 탐색하였다. Traditionally, there are some performers well-known as a folksong singer in a village community. Some of them have their own repertories, audience, motivation, intend of performing folksongs. There are mainly folksongs for community works and community rituals in their repertories of performance. They are born in the village, and grew up in the same local community. They have lived and still live, and are going to be passed away at last in the same town. They consider their creative ability as less important factor than their faithful mind for the solid tradition of community. Their performance of folksongs is based on community. The key motivation for the communal performance is to pass on the values and rules of the community and to maintain the community itself by doing so. These folksong-performers have a certain faith and the heart of pride for their communities. And they also have the qualification and authority of the performance of folksongs presenting the tradition of their communities, given by the community. They have a special position in the culture of local community and perform their own roles as traditional singers performing specific folksongs in a village community. So they are called as ‘village community singers of folksongs’ in this article.

      • KCI등재후보

        구술 전승 현장 분석의 시각 전환을 위한 시론

        김영희(Kim, Young-hee)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1 民俗硏究 Vol.0 No.22

        구전이야기, 구전민요, 민속 등 구술 전승(oral-tradition)의 조사 및 분석 과정에서 연행(performance)에 주목할 때 가장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현장(field)을 가로지르는 연행 맥락(context)이다. 연행 맥락(context)을 구성하는 여러 요인 가운데 가장 큰 규정력을 행사하는 것은 ‘연행 주체(the subject of performance)’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구술 전승 분석에서 연행자는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존재로 치부되어 ‘제보자’로 불리거나 각종 이질적인 사회적 조건으로부터 유리된 관념적 개인으로 가정되어왔다. 그러나 동질적인 속성으로 결합된 단순한 집단으로 가정되거나 ‘순수하게’ 개인적인 동기에서 ‘우연적’으로 연행에 참여하게 된 개인으로 가정된 이들 ‘연행 주체’ 내부에는 사실 무수히 많은 이질적인 틈과 역동적인 에너지가 존재한다. 그리고 사실상 바로 그런 틈과 에너지가 연행에 빠져들게 만드는 흡인력을 만들고 전승을 지속케 하는 동력을 형성한다. 연행을 이끌어가는 한 개인은 연행 현장에서 집단을 구성하는 한 사람으로서 존재하며, 이들이 집단 내 다른 구성원과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의 결이 연행의 핵심 맥락을 구성한다. 이들은 오랜 기간 자신의 이야기나 노래를 들어온 집단 내 다른 성원들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들로부터 분리되거나 이들과의 관계를 전제하지 않는 ‘이야기꾼’이나 ‘소리꾼’은 사실상 존재할 수 없다. 많은 구술 전승의 현장 분석에서 연행을 이끌어가는 이와 단순한 ‘청중’을 분리해내고자 하는 시도가 시행된다. 그러나 연행 현장에서 연행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청중’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앉아서 반응만 하는 이들이라 하더라도 이들은 연행에 참여하여 연행을 이끌어가는 연행 주체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들의 존재와 반응이 연행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일 뿐 아니라 연행을 가능케 하는 전제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연행 현장에서 ‘조사자’ 역시 핵심적인 연행 주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조사자’는 마치 투명인간처럼 실제 연행 현장에 존재하면서도 존재하지 않는 듯이 자신의 존재를 가릴 수 있는 요소일 수 있다고 논리적으로 가정되었고, 또한 현지조사에서도 그와 같은 위치에 머물러야 한다는 사실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현장에서 ‘조사자’는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할 뿐 아니라 나머지 연행 주체에 대해 막강한 권력을 행사한다. ‘조사자’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직접 말하지 않더라도 연행자는 ‘조사자’의 무언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연행 레퍼토리를 조절하며 연행 태도 역시 이에 따라 달라진다. 무엇보다 이 ‘낯선 사람’의 존재는 오랜 기간 익숙해진 연행 집단 내부의 소통과 상호 작용에 균열을 만든다. ‘연행 주체’는 동질적인 집단이나 개인으로 섣불리 가정될 수 없고, 연행 현장에 참여한 이들 가운데 연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존재를 가정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이른바 ‘청중’이나 ‘조사자’로 분류되었던 이들 모두 실제로 연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서 연행 맥락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구술 연행물의 성격과 연행 현장의 조건에 따라, 또 연행 주체의 집단적 특성과 정체성에 따라 연행 주체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 연행에 작동하는 내용과 방식, 그리고 힘의 비중은 다를 수 있지만 이들 모두가 ‘연행 주체’를 구성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In the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oral-tradition, if you are concerned with the performance, you must focus on the context of performance to be captured in the field.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the performance-context is the subject of performance. The subject of performance plays not only the role as performancer but also the role as the member of the group in the performance field. The performancer has kep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members of the group who have listened to his story or song a long time. In the performance-field, nobody does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Even though some people react to the performance passively, they sh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subject to take part in the performance and to play the performance. Because their existence and reaction are not only the key factor but also the precondition of the performance. Also, in the performance field, the researcher is the significant one of the subject of performance. ‘The researcher’ is able to exercise strong power as well as to influence broadly the others in the field. Although the researcher does not ask the performancer something explicitly, the repertory of the performance may be changed and the attitude of performance may be different by silent request of the researcher. Eventually, the existence of stranger makes the crack in the pattern of performance. It is impossible to think anyone who does not influence the performance, especially if he takes part in the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All the people being in the field of performance,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classified as audience or researcher, must be considered the core variables to influence actually performance and the main factors to form the context of performance. Though the matter which all the factors to participate in performance exert on the performance, the way in which they influence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with which they affect performance, may be changed or different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oral-performance, the condition of the field,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group. But it is an invariable fact that all factors in performance field construct the subject of the performance.

      • KCI등재

        일제강점기 아리랑 탐구의 한 방향 - 민중적 관심을 중심으로

        최은숙 동남어문학회 2019 동남어문논집 Vol.1 No.47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아리랑을 민중적 관점에서 논의한 학술담론의 현황과 주된 논점에 대해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 아리랑에 대한 연구는 주로 아리랑이 민족의 노래로 호명되고 격상되는 과정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래서 아리랑을 본격적인 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이에 대한 독자적인 논의를 펼친 민중적 시각은 오히려 간과되는 측면이 있었다. 본고는 아리랑을 민중적 관점에서 다룬 학술적 담론을 주목함으로써 아리랑이 지닌 저항의 실제적인 맥락을 확인하였다. 김동환, 김재철, 김태준, 고정옥의 논의가 대표적이다. 특히 김재철과 김태준, 고정옥은 아리랑을 독립적인 장을 통해 논의하였고, 그 정체성에 대한 집중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들은 민중적 관점에서 아리랑을 조망함으로써 아리랑의 참요적 성격과 풍자성을 확인해 내었고, 식민지 조선의 현실을 보여주려 했으며, 아리랑이 현재를 담을 수 있는 노래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면서 독립군아리랑이나 민요시 창작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었다. 이는 아리랑에서 조선의 정서와 심미적 신비성을 확인하려는 담론과는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며, 향토성에 기반을 둔 복원의 대상으로 보는 민요인식과도 거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This paper reviews and anlayzes the situation and the main issues of academic discussions about Arirang, which were made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ajority of the existing studies on Arira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focused on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Arirang was called a representative Korean folksong and given an iconic status representing the Korean People. For this reason, the popular point of view, from which Arirang was seriously studied and an independent research trend was formed, has not received due attention. This paper deals with the academic discourses on Arirang developed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in order to identify real resistant contexts implied by Arirang. Those who analyzed Arirang from the popular point of view revealed its prophetic and satirical characteristics and pointed out that Arirang conveyed the reality of the colonial Chosun and thus could represent the contemporary time. In this regar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creating an Arirang of the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folk lyrics was provided. This trend is significant in its difference from the other trends by which Arirang carries the sentiment of Chosun and aesthetic mysticism or is a folksong that needs to be restored base on folk culture. However, the discussions based on the popular viewpoint did not fully reflect or lead the practice and enjoyment of Arirang in real life. These limitations should also be n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