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도시 속의 민속문화 전승양상과 도시민속학의 새 지평

        임재해(Lim Jae-Hae) 실천민속학회 2007 실천민속학연구 Vol.9 No.-

        민속학은 농촌 민중의 전통을 다루는 문화학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계급적 시각과 통시적 시각에서 보면 도시민중의 전통문화도 민속으로 다룰 수 있다. 도시사회에 오히려 굿이 더 성행하는 것처럼, 도시사회에서 전승되는 민속문화도 당연히 민속학의 중요한 대상이다. 잔존문화 여부로 농촌과 도시 민속을 가르는 이분법적 편견은 극복되어야 한다. 잔존문화론의 편견 못지않게 지배문화와 현대문화, 도시문화에 대한 민속학적 편견도 문제이다.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문화도 새로 만들어진다. 반촌의 양반들도 지금은 한갓 민중이다. 따라서 양반들의 지배문화 전통도 이제는 민속문화의 범주에 속한다. 현대사회에 새로 등장한 자동차고사와 입시주술, 인터넷사주 등은 현대문화와 함께 형성된 현대민속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현대민속은 도시사회에서 두드러진다. 그러나 도시도 과거에는 시골이었기 때문에 전통문화 가운데에는 농촌민속이나 다름없는 민속문화도 있다. 도시민속의 범주는 존재양상에 따라 다섯 가지로 분별된다. 하나는 도시지역의 전통적인 토박이 민속이고, 둘은 도시지역에 새로 편입된 신도시 지역의 전통 민속이며, 셋은 도시에 이주해 온 사람들의 민속이다. 넷은 시골지역에서부터 영향을 받아 전승되는 민속이며, 다섯은 도시사회에서 새로 형성되어 전승되는 현대민속이다. 현대 도시민속은 민속의 생산자와 수요자의 처지에 따라 두 갈래로 형성된다. 생산자에게 이윤추구의 민속이 형성된다면, 수요자에게는 성공과 안전 추구의 민속이 형성된다. 도시사회의 문제상황들이 현대 주술민속들을 창출하는데, 수요자는 성공과 안전을 추구하는 주술민속을 기대하고, 생산자는 이러한 수요자들을 위해 주술물과 점복문화를 상품화하는 것이다. 민속학의 시각을 문화론에서 민중론으로, 또는 문화의 이치 해명에서 민중의 문제 해결로 나아가자면 도시민중의 민속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시민중의 민속은 도시사회의 조건 속에서 민중들 스스로 창출한 문화이다. 도시민중의 삶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시 민속학이 되기 위해서는 민속보다 민중을 더 중요하게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민속의 영역보다 민중의 성격에 따라 도시민속의 전공이 결정될 필요가 있다. 효율적인 도시민속학을 위해서 도시에 거주하는 민속학자들이 도시의 특정 민중집단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조사와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Folklore has been regarded as a study of culture that treat a tradition of rural folk. But if we consider with a view of classes and a historical aspect, we could study a traditional culture of urban folk. As like prevalence of Gut in urban society, folk culture handing down in urban society also is to the important subject of folklore. We have to overcome prejudice of dichotomy that separate urban folklore from rural folklore by survival culture. Not only the prejudice of survival culture theory, but also folkloristic prejudice about a culture of the ruling class, modem culture and urban culture is a big problem. Our society change continuously and culture make newly. Now the traditional Yangban is also folk. Therefore traditional Yangban culture also belong to the category of folk culture. worship for car, a magic of an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Four Pillar by internet and so on in modem society is modem folklore on making modem culture. Especially modem folklore is notable in urban society. But in the past urban society was also rural society, so some of a traditional culture in urban society is like to folk culture of rural folk culture. The category of urban folklore is distinguished with five items by existence aspect. First is a original traditional folklore in urban society, second is traditional folklore of new town belong to big city, third is a folklore that handing down culture of resident from rural society. Fourth is a handing down culture that be influenced by rural area, fifth is a modem folklore that be making in urban society newly. Modern urban folklore is shaped two ways by means of a stands of a producer and a consumer. While producer make folklore that pursuit of profits, but consumer make it pursuit of success and safety. Because many problems of urban society bring about invention of magic folklore, a consumer hope to pursuit of success and safety, and producer merchandise magic goods and fortunetelling culture for a consumer. If we could develop aspect of folklore from culture theory to folk theory, or from a explication of principle to a solution of real folk's problems, we need to remark a folklore of urban folk. A folklore of urban folk is to invent oneself in the condition of urban society. In order to be urban folklore that understand life of urban folk and solve their problems, we have to note folk more than folklore. Therefore we need to decide our major of urban folklore by means of character of folk more than category of folklore. To higher efficiency of urban folklore, folklore scholars who live in urban society need to research and continuous study of a specific folk group in urban society.

      • KCI등재

        제주의 민속 문화와 마을 만들기

        허남춘(Nam Choon Heo),강소전(So Jeon Kang) 제주학회 2014 濟州島硏究 Vol.42 No.-

        이 논문은 제주의 민속 문화를 자원으로 하여 진정한 ‘마을 만들기’의 미래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제주의 마을 만들기 현황과 양상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제주의 민속 문화와 마을 만들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마을 만들기의 중요 자원으로서 민속 문화의 의미와 마을 만들기 과정에서 민속 문화가 드러내는 애로점도 살펴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속 문화는 마을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 실행할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에 실제 민속 문화와 마을 만들기의 가능성과 그 진행과정에 대해서 시론적으로 서술해 보았다. 성공적인 마을 만들기에는 주민이 주체가 될 수 있는 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을의 자원 가운데 민속 문화는 역동적인 소재이다. 그 역동성 속에서 사람들은 한 지역의 시간과 공간을 살아왔다. 역동적이기 때문에 공동체의 지식이 축적된 것이며, 그로 인해 공동체가 연대할 수 있었다. 민속 문화의 역동성은 양면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민속 문화를 발굴하고 가꾸어 가는 마을 만들기 과정을 거치며 공동체의 심성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애로점도 분명히 있다. 민속 문화를 마을 만들기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마을 주민들의 인내력과 합의가 중요하다. 민속 문화를 활용함으로써 경제효과 일변도의 마을 만들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민속 문화는 진정한 마을 만들기의 핵심요소가 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folk Culture of Jeju and Village Making (Maeul-mandeulgi). Main resource of Village Making is folk culture. First, this paper observed simply about folk Culture of Jeju and Village Making present condition and aspect. Then, we observed about relation of Village Making with Jeju s folk culture. Folk culture is important resource of Village Making and has all good meaning and difficult problems. Nevertheless, folk culture is a resources which make it possible to practice by village inhabitants. We described about possibility and process of Village Making with folk culture. We think that it is important that take advantage of resource which can do by inhabitants. This is way that Village Making succeeds. Folk culture among resource of the village is dynamic. To use folk culture in resource of Village Making, endurance and agreement of village inhabitants are important. Folk culture is essential element of Village Making.

      • KCI등재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Rooted in Folk Traditions

        박권일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This study focused on a lack of systematic discourse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within folk culture. Therefore, it was an exploratory study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popular culture and folk culture while highlighting their complementary roles.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stablished a theoretical framework by delving into the concepts of popular culture and folk culture from a cultural studies perspective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Subsequently, the study identified the presence of elements of popular culture embedded in folk culture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culture and folk culture. A brief summary of this indicates that as follows. First, folk culture has evolved as a culture that transcends various social classes and geographic regions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a specific class or art form. Second, It exhibits characteristics that are collectively produced, transmitted, and enjoyed. Third, each region's creativity has allowed folk culture to develop its unique identity as a community-based culture, fostering cultural diversity. Based on this, the study concluded that folk culture shares characteristics with popular culture, a Culture That the People Actively and Creatively Create, An On-Field, a Participatory Culture of Bilateral Communication, and a Timeless Culture Based on Imagination.

      • KCI등재

        제주도 전통문화자원과 그 활용 - 성읍민속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

        변성구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7 No.-

        문화산업 시대에 전통문화 자원의 활용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본고는 제주도의 전통문화자원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 성읍민속마을의 사례를 들어 전통문화자원의 활용 방안을 찾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제주도는 섬이라는 자연환경의 영향으로 언어전승과 민간신앙,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민요, 민속공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문화‧예술적 가치를 지닌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하게 전승되고 있다. 국가 지정 무형문화재로 관모공예 3건, 무속신앙 1건, 제주민요 1건 등 모두 5건이 지정되어 있다. 특히 제주민요는 성읍마을에서 전승되는 <오돌또기>, <산천초목>, <봉지가>, <맷돌노래> 4곡이 지정되어 있다.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는 민요 8건, 무속신앙과 굿놀이 2건, 전통주 제작기술 2건, 민속공예 5건, 민간신앙 2건, 불교의식 1건 등 총 20건이 지정되어 있다. 이 중에 민요는 농업노동요(<제주농요>, <진사대소리>, <귀리겉보리농사일소리>) 3건, 어업노동요(<해녀노래>, <멸치후리는노래>, <삼달리 어업요>) 3건, 잡역요(<방앗돌굴리는노래>) 1건, 제주시 창민요 1건(13곡) 등 모두 8건이다. 민요가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제주도 민요가 문화 예술적 가치를 지닌 전통문화자원이며, 또한 풍부하게 전승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읍마을은 마을 자체가 국가 지정 민속자료 제188호(성읍민속마을)로 지정되어 있다. 거기다 국가 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1건(제주민요), 제주도 지정 무형문화재 3건(오메기술, 고소리술, 성읍리 초가장) 등 많은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성읍마을은 성읍민속마을보존회를 결성하고 정의골 민속한마당 축제와 생생문화재 사업 추진, 제주민요 정기공연,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개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성읍마을은 문화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 ‘성읍민속마을’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성읍마을은 전통문화자원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성읍마을의 사례는 무형문화재의 전승과 활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에 많은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첫째, 마을 자치회에서는 민속보존회를 조직하여 전승기반을 확보한다. 둘째, 전문가 집단에서는 전통문화자원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고 문화원형에 대한 연구를 한다. 셋째, 민속보존회 및 기획자는 살아있는 문화를 만들어가는 문화사업 운영, 문화상품으로서 문화콘텐츠 개발, 전통문화축제 개최 등 다각도의 활용을 위해 노력한다. 넷째, 문화재 담당기관은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또는 민속보존회장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소양교육을 실시한다. 특히 전통문화 자원을 문화상품으로 활용하는 이벤트로서 지역문화축제의 개최는 앞으로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계속 추진되어야 할 가치 있는 활용 방안임에 틀림없다. 남은 과제는 전통문화 축제나 생생 문화재 사업, 문화콘텐츠 개발 등이 전통문화의 활발한 전승과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순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v In this era of cultural industry, it is very important to utilize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his study focuses on observing characters and meaning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of Jeju, and suggests how to promote the resources by giving an example of Seongeup Folk Village. The natural circumstance of Jeju, being an island isolated from mainland, helped its variou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o be preserved, including dialect, folk beliefs, seasonal customs, folk plays, songs, craft arts, etc. Five Jeju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three weaved hat crafts, one local shamanism, and one folk song set-were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Especially, “Odolttogi”, “Sancheonchomok”, “Bongjiga”, and “Maetdolnorae-Stone grinder song,” are four Jeju folk song sets which were passed down in Seongeup folk village and lis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s well. In addition, total 20 cultural resources were listed as Jeju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eight folk songs, two shamanism and exorcisms, one brewing skill, five traditional handcrafts, two shamanisms, one Buddhist ritual. and eight folk songs. Eight folk songs consists of three farmer’s labor songs(“Jeju-nongyo-Jeju farmer’s song,” “Jinsadaesori-Woman’s field labor song,” “Gwiri Geotbori Nongsail Sori-Gwiri hulled barley labor song”), three fisherman’s labor songs(“Haenyenorae-Woman diver’s song,” “Myeolchihurineunnorae-Anchovy net hauling song,” “Samdalri Eoeopyo-Samdal-ri Fishing Songs”), one labor folksong(“Bangatdolgul lineunnorae-Millstone Song”), and one Jeju-si Changminyo(Popular Folksong) set(13 songs). Forty percent of Jeju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re folk songs, which implies that Jeju folk songs are abundantly inherited cultural resources and hav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Seongeup Folk Village itself is designated as National Folklore Materials No. 188. Also, the village has one State-designated Intangible Property(Jeju folk song), three Province-designated Intangible Properties(“Omegisul-millet liquer”, “Gosorisul-distilled liquer”, “Seongeup-ri Chogajang-Thatched-roof House Artisans”), etc. To promote its heritage, the village established Seongeup Folk Village Conservation Committee and runs various initiatives to develop and utilize its cultural contents such as Jeongui-gol Folk Festival, Saengsaeng Cultural Resource Promotion, Jeju Folk Song Performances,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Program, etc. Also the village provides the Internet website called “Seongeupminsokmaeul(http://seongeup.seogwipo.go.kr)” to share its culture contents related information. As we can see, the village is creating high value businesses utilizing its heritage. The case of Seongeup Folk Village shows a way for utiliz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irst,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 of Songeup Folk Village establishes its tradition conservation committee and builds a stepping stone for passing down its heritage. Second, a group of experts builds a database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nd studies further to find the origin of its culture. Third, the committee and promoter bring its utmost to utilize its heritage in diverse ways such as culture business operation, contents development, festivals and so forth. Fourth,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related government agencies provide professional level training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folklore conservation committee. In particular,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s is to host local culture festivals which promote its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s valuable products, in connection with tourism business. Remaining task is to support all these efforts to boost local economy and transmit traditional culture.

      • KCI등재

        지역민속에 의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 -안동지역의 네 가지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임재해 국립민속박물관 2008 민속학연구 Vol.0 No.23

        지역민속을 자원으로 지역문화 창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여러 지역을 대상으로 관념적 논의를 하는 것보다 구체적인 지역민속 자료로 지역문화 창출 사례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구자가 살고 있는 안동지역 민속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네 가지 민속, 곧 하회별신굿, 동채싸움, 놋다리밟기, 성주풀이 등을 중심으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을 논의하였다. 하회별신굿은 마을굿으로서 가장 작은 범주의 지역문화이되, 현재는 마을을 넘어 고을로, 다시 고을을 넘어 세계로 뻗어가고 있다. 그런데 처음부터 고을 단위로 전승되는 동채싸움과 놋다리밟기는 고을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한 채 지역축제에 공식적으로 연행되는 것이 고작이다. 성주풀이는 그럴 기회도 없다. 안동이 성주신앙의 본향이자 민족신앙의 구심점인데도 성주풀이는 지역문화답게 전승되지 않는다. 민족신앙은 죽어 있는데 마을신앙은 세계화되어 있는 것이 안동문화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를 하회탈춤에서 찾을 필요가 있다. 하회탈춤은 탈과 탈춤, 마을이 제각기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어 상승효과를 내며, 하회탈춤의 상설공연과 공적인 연행 기회가 다양하게 보장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민속도 문화재로 지정하고 그 민속이 공적인 연행이 지속되도록 해야 한다. 가장 전승력이 약한 성주풀이의 경우도 성주굿과 성주의 본향을 모두 문화재로 지정하고 성주신앙 박물관, 성주공원, 성주굿 축제를 통해 공적으로 성주풀이를 연행할 수 있게 되면 지역이 성주신앙의 메카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하회탈춤이 세계화되어도 지역문화 창출의 성공이라고 만족할 수 없다. 민속문화로서 본디 기능과 의미를 상실하고 있는 까닭이다. 전승자들이 본디 탈춤 정신은 이어받지 않고 형식과 기법만 전수하여 기득권을 누리는 탓이다. 따라서 지역 민속을 본디 모습대로 전수하는 데서 머물지 말고 본디 정신과 이치를 이어받아서 현대상황에 맞게 재창조해야 하며, 지역민속의 창조력을 바탕으로 우리 시대의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데까지 나아가야 지역문화가 발전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그러므로 민속문화의 이치와 기능에 토대를 둔 지역문화 창출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seek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based on local folk customs. It is better, in this case, to deal with the issue using a specific material, rather than suggesting an abstract discussion in an attempt to cover various exampl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using the four folk cultures prevalent in the Andong area, where I reside: Hahoebyeolsingut, Dongchaessaum, Notdalibalgi and Seongjupuli. The Hahoebyeolsingut, a village rite of exorcism, belongs to the smallest category of folk culture. However, it is expanding itself to become a local culture, and even a form of global culture. On the contrary, Dongchaessaum and Notdalibalgi are local cultures, but they have yet to expand beyond their initial confines, and are only being officially performed in the local festivals. Seongjupuli does not even have such opportunities for display. Although Andongis the place of origin of the Sung-ju faith, and the center of faith, Seongjupuliis not inherited as a local culture. The present state of the Andongculture is that even as the faith of the people has died, the faith of the village has become globalized. Therefore, the cornerstone of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ulture should be the Hahoebyeolsingut. There is a synergy effect with regard to the Hahoebyeolsingut, since the masks, the dance, and the village are all enlisted as national treasures separately. Also, the dance has been guaranteed to run on a continual basis, and in various official performances. Therefore, other folk cultures also have to be enlisted as national treasures, so that their performances can be guaranteed on an official and periodical basis. Seongjupuli has the weakest transmission rate of all the folk cultures being discussed here. But if the exorcism performance, and the locality of the origin of Sung-ju, are all enlisted as national treasures, then this becomes another matter. The impact of this would be even more significant if Seongjupuli is guaranteed to run on an official and periodical basis accompanied by such activities as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of Sung-ju faith, the Sung-ju Park, and the Sung-ju exorcism performance festival. With all these efforts, the area can definitely develop into the Mecca of the Sung-ju faith. Globalization of the Hahoebyeolsingut should not in itself satisfy us. This is because it has lost its original function and meaning as a folk culture. Also, those who transmitted this culture, while they have inherited the form and technique of the dance, did not inherit the original spirit. Therefore, we should not stop at transmitting the original cast of the folk culture. Instead, we should strive to recreate it, having understood and absorbed its spirit, and adopt the present context. Only when we create our own new culture based on the creative power of the local culture, will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local culture be truly possible.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ner principles of the workings of folk culture.

      • KCI등재

        중국 민속관광 개발과 민속문화 보호에 대한 연구

        왕령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민속문화는 중요한 관광자원으로서 지역의 경제발전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고 민속문화를 보호하여 홍보하며 지역의 관광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민속관광 개발은 민속문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래문화가 관광지 문화에 미치는 문화적 충격, 과도한 개발로 인한 민속유산 훼손, 민속풍토의 동화, 민속문화의 저속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본 논문은 중국 민속관광의 발전과 민속문화의 보호를 위하여 네 가지 요구 사항을 제시한다. 즉, 개발과 보호, 전승과 발전 간의 관계를 올바르게 처리하고, 지역 실정에 따라 관광자원을 개발하고, 정책적인 지도를 강화하여 지역사회에서 민속문화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임이다. 아울러 전문 인재를 양성하여 민속문화에 대한 연구와 전승을 확대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Folk culture, as an important tourism resource, can effectively promote local economic development, protect and promote folk culture, and enhance local tourism competitiveness. However, in reality, the development of folk tourism can also have a certain negative impact on folk culture, such as the impact of foreign culture on the culture of tourist destinations, excessive development causing serious damage to folk heritage, assimilation of folk customs, and vulgarization of folk culture. This article proposes four need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folk tourism and the protection of folk culture, namely the need to correctly handl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and protection, inheritance and development; Need to develop local tourism resources according to local conditions; We need to strengthen policy guidance and enhance the awareness of protecting social folk culture; We need to cultivate professional talents and increase research and inheritance of folk culture.

      • KCI등재

        현대 고려인 민속문화의 형성과 체계

        강정원(Jeong Won Kang) 한국민속학회 2021 韓國民俗學 Vol.74 No.-

        이 논문은 현대 고려인 민속문화의가 형성되어 온 과정을 설명하고 민속문화를 유지하는 체계와 구조를 음식상을 통해서 파악하며, 그 의미와 기능을 이해하고자 한다. 고려인들의 민속문화는 이주 · 정착의 역사와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다. 고려인들은 1860년대 초반에 조선에서 러시아로 처음 이주해 갔고, 1910년대까지 약 10만 명 정도가 러시아 연해주를 중심으로 살았다. 소련이 성립된 이후에 고려인들은 집단화 정책 등에 적응하면서 생활하다가 1937년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하게 되었다.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이후에는 연해주와 달리 광대한 중앙아시아 전역에 산재하여 거주하게 되었다. 공동으로 생활하는 집단의 규모가 적어지게 되어서 민속문화에도 일정한 변화가 생겼다. 1950년대 후반에 거주제한이 풀림에 따라 도시로 이주하거나, 중앙아시아 내의 여러 국가 사이에서 이동하며 살았다. 1990년대 초반 소련이 붕괴되었고 고려인들은 소련시민에서 중앙아시아 각 국가의 국민이 되어 각 국가의 소수민족으로 살고 있다. 고려인들의 민속문화는 중앙아시아로 강제이주하면서 그 이전에 유지해 온 기본 체계에 큰 변화가 생겼고, 소련의 민족정책과 민속정책에 의해서 봉건적이라고 낙인찍힌 여러 민속문화는 소멸되었고, 남은 민속문화도 형식만 남은 경우가 많았다. 형식은 민족적이고 내용은 사회주의적이어야 했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로 이주해 온 이후에 고려인 민속문화에서 핵심을 이룬 것은 일생의례와 조상숭배와 관련된 세시의례, 조상제사 등이었다. 이는 넓은 중앙아시아에서 고려인 내혼을 유지하고 친인척 사이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데에 중요한 관계로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인들의 일생의례는 음식상으로 상징화되는데, 돌상과 혼례상, 환갑상, 제사상으로 구성된다. 돌상과 혼례상은 부모가 자식에게 차려줄 의무가 있고, 환갑상은 자식이 부모에게 차려주어야 한다. 제사상은 후손이 조상에게 차려주어야 할 의무가 있는 것이다. 음식상은 음식상 위에 올라가는 음식들의 체계와 구조를 통해 상징적으로 유지되며,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일생의례 음식상으로 상징되는 민속문화는 고려인들의 민족 경계와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지속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the development history of folk culture among ‘Koryoin’ in Central Asian countries and analyzes the system and structure of folk culture focusing on the food table. Through this study, we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lk culture theory. The formation of the ‘Koryoin’ folk culture in Central Asia under the USSR’s national policies will also be explained. The folk culture of ‘Koryoin’ was formed from the late thirties in Central Asia. The Koreans in the far eastern region of the USSR lived with the traditional folk culture. After deportation, things got worse for maintaining folk culture. They lived in the many scattered Kolkhozes in the vast Central Asia region. In these circumstances, folk culture has changed. The USSR had national policies to oppress the feudal culture and forbid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and rituals. The modern folk culture of Koryoin formed from the oppression from the thirties to the seventies. The daily rituals and ancestor worship rituals have survived and the basic systems of foods have continued till now, because they can support the maintenance of the boundaries of the ‘Koryoin’ nation. The traditional folk cultures of Koryoin help identity intensification. ‘Dolsang’, a food table laid in celebration of a baby’s first birthday, and a table for wedding banquets, ‘Hwangabsang’, a food table for those celebrating their sixtieth birthday form a system of food tables. This is the basic structure of the folk culture of ‘Koryoin’ in Central Asia. For the ‘Koryoin’ these food tables must be served if possible. They come to Southkorea to get the money for the food tabl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Parents have to serve up a ‘Dolsang’ and a table for weddings, on the condition that children have to serve a ‘Hwangabsang’. Parents and children maintain a relationship of reciprocity.

      • KCI등재

        民俗文化의 傳承과 再創造에 대한 試考

        김종대(Kim Jong-Dae)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0

        우리 민족의 민속문화에 대한 논의는 과거 지향적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아우르는 지향점을 갖고 있어야 한다. 이런 주장은 원론적인 것이지만, 실제로 학문적 대상과 조사연구는 과거지향성을 갖고 있었다. 즉 원래의 학문적 지향점보다는 하나의 지향점에 더 중심을 두고 있었다. 그러한 지향점이 가능했던 것은 과거문화의 전통을 잘 갖고 있었던 농촌이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농촌을 유지하고, 농촌의 전통문화를 지속시킬 만한 사람들이 현격히 줄어들고 있다. 반면에 도시에 집중적인 인구가 유입되고 이들이 우리 민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학문적 지향성과 달리 우리 민족의 절대 다수는 도시에서 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도시에 대한 민속학적 논의는 매우 미약하다. 특히 외국의 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못하다. 이런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고 하겠다. 도시의 사람들이 존속시켜왔던 도시민속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생성과 쇠퇴의 주기가 매우 짧은 특징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변화의 내용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조사되거나, 그것을 논의하는데 매우 인색하였다. 이런 관점에서 도시민속에 대한 시급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는 것을 본 글에서 주장하고 있다. 이것은 과거를 모두 무시하자는 태도는 아니다. 과거를 근거로 삼아 현재 도시 문화가 어떤 변화를 하고 있으며, 그런 변화의 이유나 현상에 대해 다루어보자는 것이 본인의 주장이다. In the field of folk culture, both present and even future life should be more highlighted rather as well as the past. This sounds ideal, however, for the most of part, recent critical debates about folk culture have tended to center around the question of the past. In other words, present and future folk culture was less studied than the past culture. Certainly, it has not caused any problem so far, because agricultural area where traditional culture transmitted was well preserved. However, a lot of people are leaving these areas so critically, which makes urban population increase rapidly. At present, most of population in Korea is living in urban area. Despite the situation, folk culture study is still focused on the past lifestyle and agricultural area. Urban folklore still remained untouched area. For while present urban folk culture study ostensibly addresses only introduction of foreign case studies. This does make no attempt to answer the silent questions of the academics and the public. Although the urban folk culture is always changing and its production and deterioration are accelerated, the urban folk culture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from scholarship in general in comparison with such fields of folkl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 of urban folk culture and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it need to be conducted with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past. In addition, it is my intention to address the immediate need of urban folk culture study.

      • KCI등재

        초 · 중등 민요교육의 문화교육적 탐색

        김민하(Kim, Min-ha)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2 No.-

        본 연구는 오늘날의 학교교육에서 민요교육의 필요성과 위상을 보편타당하게 정립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교육의 관점을 제안하고, 문화교육의 접근에 따라 민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교육적 접근에 따라 민요교육을 설계해야 할 필요성을 ‘문화적 산물로서 민요를 바라보는 관점의 확대’, ‘문화교육의 적용을 통한 민요의 본질적 이해 제고’, ‘문화교육에 기초한 민요교육의 지속성 및 역할 제고’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민요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탐색해 보았다. 첫째, 민요의 연행 맥락을 바탕으로 인간 삶의 보편성과 문화 다양성을 인식하도록 민요교육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민요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내재된 전통적 가치를 현대적 관점에서 수용하고, 전통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민요교육을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요가 지닌 과거의 전통성에만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현 교육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 ‘과거-현재-미래의 통시적 관점에서 민요의 가치를 탐색하는 것으로 관점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교육으로서 민요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민요교육 차원에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앞으로 문화교육으로서 민요교육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학교급별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방안이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차기 교육과정에 따라 음악교과서를 개발할 때, 민요교육 내용에 문화교육의 관점을 적극 반영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as a method of establishing folk song education’s universal status and necessity in today’s school education and explore folk song education’s direction with culture education’s approach. This study considers the necessity to design folk song education with culture education’s approach in three aspects: ‘Expansion in viewpoint on folk songs as products of culture’, ‘improvement in essential understanding of folk songs through applying culture education’, and ‘improving folk song education’s sustainability and role based on culture education’. Recognizing such necessities, this study explores folk song education’s direction in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as follows: First, folk song education shall be designed based on performance context of folk songs to form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life. Second, folk song education needs to be structuralized in a way that cultivates abilities to accept traditional values inherent in sociocultural context of folk songs in modern viewpoint and to interact with traditions. Third, to improve current education that enable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values only, a wider perspective is needed, and folk songs’ values shall be explored in diachronic point of view of ‘past-present-future’. This study confirms folk song education’s potential as culture education and explores defects of folk song education that require supplementation. To further realize folk song education as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more discussions are needed on contents for each school and class as well as application pla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urthermore, in developing textbooks according to future curriculums,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are made to actively apply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to folk song education content.

      • KCI등재후보

        국가무형문화재와 지역사회의 협력을 통한 기대효과 -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중심으로 -

        김대균(Kim, Daekyun) 무형유산학회 2022 무형유산학 Vol.7 No.1

        본 연구는 국가무형문화재를 비롯한 민속문화들이 전승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담보해야할 지역성 확보와 민속문화와 지역단체와의 상호 협력관계에서 발생하는 기대효과를 밝히고자 시작되었다. 기 · 예능분야의 민속문화는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안동하회탈춤과 같이 특정 지역 · 특정 집단에서 연희가 이루어지던 것이고 다른 하나는 줄타기, 남사당패와 같이 특정 지역에 본거지를 두고 전국 방방곡곡 연희를 펼치던 유랑예인집단을 통해 이루어지던 기 · 예능이 그것이다. 전자의 경우 그 전승과정에서 지역성에 대한 전승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편이지만 후자의 경우 지역성보다는 기 · 예능의 외적인 부분에 대한 전승과 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어느 것이든 그 민속문화의 근간이 되는 지역성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민속 문화가 여러 지역단체들과 어떠한 협력 · 공생의 관계에서 전승되고 발전되어왔는지에 대한 연구는 민속문화의 연구에 있어 필수적인 부분이다. 국가 및 지자체 지정 무형문화재 자체가 가지는 문화적 창조력 및 문화재 보유지역이 가지는 문화 경쟁력으로 인해 민속문화와 지역단체와의 협력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고 보아야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와 과천에 위치한 지역단체와의 협력 사례연구를 통해 민속문화에 있어 지역성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민속 문화와 지역단체가 협력을 통해 각기 얻게 되는 기대효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민속문화와 지역이 공생하며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clarify the synergistic effect that arises from mutual cooperation between folk culture and local organizations and securing locality that must be guaranteed in the process of passing on folk culture including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Folk culture in the field of arts and entertainment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performed in specific regions and specific groups, such as Andong Hahoe Mask Dance, and the other is the performed through a group of nomadic artists who performed all over the country with their bases in specific regions such as tightrope walking and Namsadangpae. In the former case, the transmission and research on locality tend to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but in the latter case, the transmission and research on the external part like skills of the arts is the mainstream rather than the locality. However,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locality that is the basis of the folk culture and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operation and symbiosis between folk culture and local organizations are essential parts of the study of folk culture. Because of the cultural creativity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emselves and the cultural competitiveness of the cultural properties holding regions, it should be seen that cooperation with folk culture and local organizations is entering a new er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meaning of locality in folk culture through tightrope walking and a case study of cooperation with local organizations located in Gwacheon. In addition, through a study on the synergistic effects obtain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folk culture and local organizations, it suggests the direction in which folk culture and the region must coexis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