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엘리사벳을 찾아서

        오현선(Hyun Sun Oh)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6 기독교교육논총 Vol.12 No.-

        우리의 사회적 상황에서 우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여성주의적 기독교교육론을 실행함으로써 우리가 갖는 희망과 비전이 다른 상황과 다른 세계의 여성들에게도 전해질 것이다. 우리가 가지는 여성의 정체성과 비전을 분명하게 말하고 우리의 진정한 존엄성과 가치를 분명히 할 때 우리는 분명 우리 자신과 사회, 그리고 역사의 주체로서 다시 태어날 것이다. 이러한 비전과 꿈이 우리의 것이 될 때까지 우리는 엘리사벳을 찾아 떠나는 우리의 순례를 계속해 갈 것이다. 이 논문은 한국사회의 마리아에 대한 이야기이며 이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성숙하게 하기 위한 여성주의적 기독교교육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필자는 온 세계의 여성들의 자유롭고 정의롭게 사는 삶을 꿈꾸지만 이 글은 이론적으로 또한 실천적으로 한국의 가난한 여성에 일차적인 초점을 두고 쓴 글이다. This dissertation is an expression of my continuing commitment as a religious educator to the liberation of women. It addresses the need of the formulation of an appropriate theory of feminist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for empowering women in Korea based upon their needs, their struggles, and their hopes for a better life. There is currently no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related with women? particularity and reality in the Korean churches. Especially, poor women and their issues are not given any special attention nor are they considered important in matters of the church and theology. This project helps them understand who they really are and promote praxis that expands their dreams for women? fuller humanity. As the primary methodology, I use the interviews with 33 Korean poor women including 8 activists who are working in solidarity with them. The second method is an analysis of written materials produced by variou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which support the poor in Korea and a critical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nd the communication of other authors?perspectives from Minjung theology, Asian feminist theology, and Western feminist religious education. This effort dreams poor women to grasp and reclaim confidence in themselves as participants in society who have the knowledge and energy to transform social realities. They possess the most practical force to bring about transformation because of the strength and wisdom they have accumulated through their life experiences. Once they have a chance to realize this potential and are freed to share their stories, experiences, and wisdom, they will be empowered to push the liberative force beyond the personal. Working together, women of poverty will have enormous power, presenting an irresistible challenge to oppressive realities. This is precisely what a feminist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will do. To listen to the voice of women and help them speak out from their places of suffering without fear is essentially the beginning of feminist religious education in Korea. Such religious education that I want to create provides Korean women with hope for changing self, church, and society and enables them to realize their potential by sharing their vision and work.

      • KCI등재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과 여성

        이덕주(Rhie Deok-J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6 No.-

        이 논문은 1903년 원산 부흥운동으로부터 시작하여 1907년 평양 부흥운동에 이르는 한국 교회 초기 부흥운동 과정에 나타난 토착교회 여성들의 종교 체험과 그 결과 형성된 여성의식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초기 부흥운동은 한국 토착교회 성격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바, 한국교회 여성사에서도 마찬가지 의미를 지닌다. 우선 한국교회 여성들은 부흥운동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03년 원산부흥운동의 시발이 된 여름 선교사 연합 기도회는 원산에 주재하거나 원산을 방문한 여성 선교사들이 조직한 것이었다. 이 모임에 성경공부 인도자로 초청을 받아왔던 하디가 기도회를 인도하던 중 ‘성령 감동’을 느끼면서 자신의 한계와 실수를 인정하고 자백한 것이 부흥운동의 출발이 되었는데 현장에 있던 여성 선교사들도 같은 ‘성령 체험’을 하였다. 이후 하디는 개성과 서울, 평양, 인천 등지로 가서 부흥회를 인도하였던 바, 이들 지역에서 사역하고 있던 전도부인과 교회여성들이 죄를 자백하고 회개하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이들 여성 사역자들은 부흥운동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였다. 부흥운동에 참여한 교회 여성들은 부흥회에 참여하여 회개와 중생과 성화의 체험을 하였다. 기독교의 기본 체험이라 할 수 있는 이런 체험을 통해 교회 여성들은 기독교의 본질을 체득하였고 이를 통해 기독교와 다른 종교의 차이를 확연히 깨닫게 되었다. 또한 토착교회 여성들은 자신들에게 익숙한 ‘토착적’ 문화 양식을 통해 자신의 신앙을 표현하기 시작했는데 그 결과 서구 기독교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한국 특유의 토착적 신앙 양태들이 나타났다. 초기 부흥운동 기간 중에 자연 발생적으로 나타난 새벽기도회와 날연보, 성미 등이 그 대표적인 것들이다. 이러한 토착적 신앙 양태를 통해 기독교는 ‘서구적’ 종교가 아닌 한국의 토착 종교와 문화속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또한 토착교회 여성들은 부흥운동 체험을 통해 여성의식이 변화되었다. 기독교 선교가 이루어지기 전 봉건적, 가부장적 제도 하에 의사 표현도 자유롭게 할 수 없었던 여성들이 부흥회 중에 공개 자백이라는 형식을 통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을 뿐 아니라 ‘성령에 감동된’ 여성들은 남성들도 참석한 모임에서 집회를 인도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초이성적 종교체험이 여성들에게 그런 자신감과 용기를 불어넣어주었던 것이다. 초기 교회 여성들의 지도력은 이런 체험과 고백을 통해 형성되었다. 부흥운동 기간 중 이루어진 종교체험과 의식 변화는 개인적 차원에서 끝나지 않고 가정과 사회, 민족 차원에서 자유와 해방운동으로 연결되었다. 봉건시대 가부장적 제도의 폐해인 축첩 문제가 부흥회 기간 중 심각한 죄악으로 인식되면서 축첩 폐지현상이 기독교인 가정에서 나타났으며 교회 안에서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지위와 의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자유와 해방 체험은 한말 민족이 처한 위기 상황에서 민족 해방운동으로 연결되었다. 남성들의 경우, 부흥운동이 교회의 비정치화를 촉진시킨 요인으로 작용한 면이 강했으나 교회 여성들은 일제의 침략과 지배 현실에서 나라와 민족을 위한 구국 운동에 적극 나세게 되었다. 대표적인 예로 1905년 11월 을사 5조약 체결 직후 이화학당 교사와 학생들이 전개한 구국기도회를 들 수 있다. 1904년 봄 하디 부흥회 이후 이화학당 교사와 학생들은 신앙적 성격의 기도회를 정기적으로 갖았던 바, 민족적 위기 상황에서 기도회의 주제가 구국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이런 식으로 초기 부흥운동을 통해 한국 토착교회 여성들로 하여금 기독교라는 종교의 본질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여성의식의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교회 안에서, 가정과 사회, 국가와 민족에서 여성의 역할이 남성과 동등한 것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한국 토착교회 여성들에게 초기 부흥운동은 자유와 해방을 체험하고 실천하도록 만든 ‘영적 축복’이었다. This paper aims for declar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ole and experience of the Church women in the early revival movement from 1903 to 1907. This movemen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history of Korean Church for promoting of Christian initial experience for native Christians, accelerating of the Church growth and shaping of indigenous Christian characteristics in Korea. From the beginning, the Church women took initiative roles and get religious experiences in this revival movement. Especially on the Aug. 24th of 1903, the birthday of Wonsan revival movement, a few female missionaries took a week prayer meeting at Wonsan mission station and requested Dr. R.A. Hardie to lead Bible study in which Hardie himself enthralled by Holy Spirit, became aware of the reason of past failure in mission work, confessed it publicly and was strengthened with full spiritual power. Female missionaries who had invited him were also experienced Holy Spirit and empowered in fullness in this meeting. After this meeting Hardie took revival meetings for Korean Church leaders in which they also received Holy Spirit, repented their sins and got renewal life. Thereafter consecutive revival meetings were held in Songdo, Incheon, Seoul and at last in Pyongyang on Jan. of 1907 that made a turning point for a rapid growth of the Korean Church. In these revival meetings female missionaries and Korean Bible women also experienced a bountiful grace and took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revival fever to countries. Church women who had participated in the revival meetings had experienced the Christian initial experiences such as repentance, renewal, reconciliation and sanctification, which was the most characteristic phenomena of the early revival movement, By these experiences Korean Church women could understand and discern Christianity from the other native religions. And the inspired Korean Church women began to express their faith in their familiar native religious metaphor as 'Sung mee'(rice offering), 'Nal Yunbo'(day offering) and 'Sae Byuk Gidohoi'(Daily early morning prayer meeting) etc. which formulated the Korean indigenous faith. In this way, Church women took a important role in the indigenization of Christianity on the Korean soil and culture. Revival experiences also changed the consciousness of Korean Church women toward gender, family, society and nation. At the days of beginning of Christian mission, Korean women were under the oppressive male-centered confucian social system so requested only silence and submission to determination of men in family or society. But in the midst of revival meetings, Church women empowered by Holy Spirit stood up or interrupted speeches of male preachers during the session to confess their sin and opinion publicly. By these extraordinary religious experiences Church women could acquire a consciousness of liberation and freedom from male-centered social custom and applied it to their family and social life. Their sense and value of equality in gender was embodied as the voluntary evangelistic campaign by women to women, extension of the education for women in Church and abolition of concubine custom in Christian home, They also engaged in patriotic movements that were monopolized by men in ancient times. In Oct. of 1905, just after signing of unequal treaty between Japan and Korea, Church women spontaneously held ‘Gukuk Gidohoi'(save-nation prayer meeting) in which they prayed for liberation and freedom of nation in the critical times by Japanese imperial invasion. In this way, the Korean Church women obtained the feministic consciousness on equality of gender by initiative engagements in the early revival movement and embodied it in voluntarily evangelism, educational works for women and nationalistic movements by women. That is the reason which I call the early revival movement as the 'spiritual' gift of liberation and freedom to Korean women who were oppressed and victimized so 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