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초적 장면과 여성적 글쓰기의 기원

        심진경(Shim Jinkyung)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7 No.-

        이 논문은 오정희의 <바람의 넋>에 대한 분석이다. 지금까지의 기존논의에서는 이 소설 속 여주인공의 반복되는 가출에 대해 중산층 여성의 일탈 욕망 혹은 여성의 자기 탐색 서사로 분석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오정희 소설에 대한 상투적 분석의 연장선상에 있을 뿐 이 작품 고유의 개성과 의미를 포착하는 데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설의 결말 부분에 이러한 여성의 가출 충동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힌트를 던져 놓는다고 보았다. 그것은 어린 ‘은수’가 전쟁통에 부모와 쌍둥이 여동생이 도둑들에게 몰살당하는 상황을 목격하는 장면이다. 그럼으로써 작가는 여주인공의 기이한 가출 심리에 대해 소설 내적으로 설득력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소설의 결말 부분에 마련된 원초적 장면이 구성되는 방식과 이 장면이 전체 서사와 맺는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바람의 넋』 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도달하고자 한다. 이 소설의 원초적 장면에는 분명 한편으로는 실제 ‘은수’가 겪었던 6·25의 상흔이 각인되어 있는 것이지만, 작가 오정희의 시선은 단순히 거기에서 드러나는 6·25의 역사적 상흔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는 않다. 작가는 오히려 그 체험의 역사적 맥락을 치환하여 1980년대 여성이 처한 현실 속에서 자기 존재의 기원을 탐색하고자 하는 형식으로 바꾸어놓고 있다. This essay is an analysis on Parameuneok(『바람의 넋』) by Oh Junghee. In former discussion on this novel, the repeated elopement of heroine have been interpreted as deviation desire of the middle-class woman or the narrative of self-exploration. However this analysis could not grasp the individuality and meaning of this novel. In this essay, I understand the end of this novel give a hint about the drive of elopement of heroine. That is the scene in which little girl Eunsoo witnessed the situation of her parents and little sister murdered by strangers. Through that, the writer is setting the persuasive foundation in this novel about strange elopement desire of heroine. Therefore this essay aims to renewal understanding on this novel, by analyzing the constructing way of this primal scene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whole narrative of this novel. The trauma of Korean War is stamped on this novel"s primal scene which little girl Eunsoo had experienced on the one hand, but the writer do not accentuate the trauma of Korean war. The writer displace the context of that experience and change that into the form of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self-existence in women"s reality in 1980s Kore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