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le of the State in Dealing With Fake News on Social Media

        Satit Petsuwan,Anchana NaRanong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23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8 No.3

        The state’s role in dealing with fake news on social media remains little understoo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to identify the steps and process that the state can take in verifying and managing fake news on online social media, 2) to examine the means that different agencies have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to regulate fake news on online social media, and 3) To draw conclusions from this research and present them in the form of a guideline for improving the governmental policies on the regulation of fake news on social media. A mixed-methods approach was use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document analysis and interviews. Quantitative research was done through data collection in a questionnaire survey. Variables were determined to measure the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an online fake news control policy. The quantitative research showed that different polici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following issues. (1) The organization with the highest mean clarity in determining the steps for verifying and managing fake news is the Ministry of Digital Economy and Society. (2) The highest mean support for the implementation of fake news verification and management is the Ministry of Interior. (3)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had the highest mean data collection and convenient searching for information to verify fake news. (4) The Ministry of Digital Economy and Society has the highest mean in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across agencies. (5) The department with the highest mean sufficient types, channel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with agencies in fake news verification is the Ministry of Transportation. (6) The position with the highest mean ability to shorten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steps is the director. The researcher suggests the following. (1) All agencies should establish clear steps and process for fake news identification and designate personnel to verify it. This includes empowering agencies to conduct legal proceedings. Each agency only has coordinators who have separate job responsibilities, which increases their workload and reduces their power to take legal action. (2) Types of news should be clearly categorized. News that can be easily verified, such as official ministerial announcements, should be immediately responded to through normal channels. News that is new and has not had official confirmation by the ministry or has not been scientifically endorsed should receive expert study. A data center can be set up in each ministry to respond to the population online. (3) For verification of fake news on social media, the state authorized a five-year budget to the Ministry of Digital Economy and Society to manage the National Anti-Fake News Center. However, other agencies should also receive sufficient funding for this mission. (4) In addition to using the channels of the National Anti-Fake News Center, the government should cooperate with mainstream media to find fake news on a daily basis.

      • KCI등재

        가짜뉴스 규제 법안에 대한 입법평론

        홍완식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19 法과 政策 Vol.25 No.1

        We are exposed to false information or fake news every day. Fake news and misinformation in the media or social network service or internet are not new, but became fake news a topic of public concern recently. Especially, fake news that is looked as if comes from a real news source is a threat to democratic society and social trust. Fake news in SNS and internet has become a serious concern in many countries in recent years. The Oxford Dictionary defines fake as an adjective which means not genuine, imitation or counterfeit.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trace the origins of fake news. The term “fake news” came to dominate public political discourse in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Fake news is news articles or informations that are intentionally and verifiably false and could mislead readers. Fake news is a neologism often used to refer to fabricated news. In traditional news, social media or fake news web-sites, fake news has no basis in fact, but is presented as being factually accurate. In modern society are the internet and the social network the very important platform of the fake news. Fake news is a type of yellow journalism that consists of deliberate disinformation spread via traditional print and broadcast news media or online social media. Fake news is written and published usually with the intent to mislead in order to damage an agency, entity, or person and gain financially, ideologically or politically to increase readership. In several bills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e government regulation or self regulation of the ISP are attempted. In one anti fake news bill, someone is imposed a fine if she/he is found guilty of spreading fake news. In other anti fake news bill, the news or information that are seen as a fake news can be deleted. The bills against fake news have to be reviewed constitutionally. The fake news itself can be a threat to the democracy, but the legislation against fake news can be a threat to the freedom of express and to the democracy. 현대사회에서 인터넷을 통한 의사소통이 민주주의의 업적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인터넷을 통한 가짜뉴스의 생산과 확산을 방치한다면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릴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듯이 가짜뉴스의 문제를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러나 정부 혹은 정부 유사 기관이 뉴스의 거짓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사전검열 금지원칙에 위배되거나 가짜뉴스라고 판정된 뉴스를 사후적으로 처벌하는 경우에도 표현의 자유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본권 침해의 위험도 과소평가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권력을 가진 자를 비판하고 조롱하는 가짜뉴스를 단속하고 처벌하려는 유혹은 어느 시대 어느 정권에서도 도모하고 싶어 하는 일이다. 유언비어 단속과 처벌, 거짓 풍문에 의한 시세조작, 허위정보의 규제와 처벌 등의 법령과 판례는 그 용어를 유언비어라고 하던 허위사실이라고 하던 가짜뉴스라고 하던 이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늘 있어 왔다.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악의적이며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가짜뉴스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는 주장에는 이의가 없겠지만, 이러한 목적이 가짜뉴스를 근절하기 위한 모든 정책수단과 이러한 내용의 처벌법령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법률의 영역과 윤리의 영역이 구분되고, 공법과 사법의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규제에도 타율규제와 자율규제가 구분될 수 있다. ‘가짜’ 뉴스를 단순하게 표현하자면 ‘거짓말’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거짓말은 나쁘지만 거짓말을 처벌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법의 영역이라 볼 수 없다. 특정한 내용과 분야・상황에서의 거짓말을 처벌하는 것은 가능할지 몰라도 모든 거짓말을 처벌할 수는 없다. 가짜뉴스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해도 국가에 의한 처벌이 능사는 아니고 「형법」, 「언론중재법」, 「공직선거법」, 「정보통신망법」, 「자본시장법」 등 허위의 사실을 규제하고 처벌하는 기존의 법령을 기축으로 하되 사회의 자율적인 자정작용이 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야 한다.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법률이 필요하다고 하면, 가짜뉴스를 사전검열하고 처벌하는 법률이 아니라, 가짜뉴스를 구별해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하는 내용의 법률을 통하여 가짜뉴스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키는 정책이 오히려 바람직할 것이다. 가짜뉴스를 대하는 주된 기능과 보조적인 기능의 주종관계가 전도되는 것이 아닐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가짜뉴스에 대한 중국 법적 규제의 특징과 향후 과제

        박문령(Piao Wenling),주민(Zhou Mi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3

        현재 한국에서는 언론중재법 개정안이 화두에 올랐다. 한국에 알려진 중국사회는 사전 검열을 통해서 언론을 통제하기 때문에 가짜뉴스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고 느껴지는 것 같지만, 사실은 이와 달리 중국에서도 가짜뉴스, 허위정보가 기승을 부리면서 사회의 불안을 조성하고 있어서 한국과 마찬가지로 가짜뉴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물론 중국은 인터넷에 대한 사전 검열을 실행하기 때문에 한국에 비해서 좀 더 강경하게 법적 대응을 할 수 있는 제도적 특징은 있다. 중국의 경우라도 법을 통해서 엄정하게 조사하고 처벌하는 것은 고의적·악의적으로 谣言(요언)을 제작·유포하는 행위에 제한되어 있다. 현재 중국에서 가짜뉴스의 60% 이상 웨이보(Weibo, 微博) 등 위 미디어(We Media, 自媒体)을 통해서 확산되므로 법규제와 단속의 대상은 주로 개인의 불법적인 뉴스 활동이다. 현재 중국에서 가짜뉴스에 대처하기 위해서 제정된 전문법은 없고 주로 네트워크안전법, 민법, 치안처벌관리법, 형법, 그리고 기타 행정법규를 통해서 규제를 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을 포함한 일부 해외 언론은 중국 네트워크안전법은 외국기업이 주요 타깃이라고 보도하고 있는 것 같은데, 사실 국내에서 온라인 정보를 통제하여 국내의 네트워크 관련 범죄 예방, 개인정보 보호, 온라인 가짜 정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또한 중국에서는 허위정보를 제작, 유포하는 행위에 대해서 행정처벌을 위주로 한다. 치안 처벌관리법은 한국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법 시스템이다. 향후 가짜뉴스의 법 규제상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The revision of the Korean Press Arbitration Act (ACT ON PRESS ARBITRATION AND REMEDIES, ETC. FOR DAMAGE CAUSED BY PRESS REPORTS) has recently attracted widespread discussion and criticism. Unlike Korea, China does not currently have a law similar to the Korean Press Arbitration Act regarding remedies for damages caused by news repor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China is immune to fake news, nor does it mean that the Chinese media will not create and disseminate fake news. Korea generally believes that China can quickly solve the social problem of fake news by strictly controlling public opinion through censorship. In reality, however, Chinese society is also suffering from the dangers of fake news. Compared to Korea, China does not have biased fake news considering partisanship, and China’s legal measures against fake news are more vigorous than Korea’s as a result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China distinguishes between fake news in traditional media and online fake news, often referred to as rumors. In China, rumors subject to strict censorship and legal punishment are limited to cases of deliberate, malicious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fake news. Sixty percent of rumors in China come from social media like Weibo and Wechat. Although China does not have laws explicitly addressing fake news now, the Cyber Security Law, Civil Law,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Punishment Law, Criminal Law, and other administrative regulations address dealing with fake news. For example, while Korea generally considers Cyber Security Law to be aimed at foreign companies, it also aims to prevent cybercrime, protect personal privacy, and prevent online fake news. The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Punishment Law is an administrative law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not found in the Korean legal system, which provides for administrative penalties such as fines and detention for intentional and malicious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disinformation. In the future, how to deal with the problem of fake news with a legal system of Chinese characteristics needs further discussion and clarification.

      • KCI등재

        ‘가짜뉴스효과’의 조건

        노성종(Sungjong Roh),최지향(Jihyang Choi),민영(Young Mi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4

        가짜뉴스에 관한 선행 연구는 ‘얼마나 많은 시민이 가짜뉴스에 노출됐는가?’ 혹은 ‘누가, 왜 가짜뉴스를 수용하는가?’ 각각에 대한 개별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노출’과 ‘수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가짜뉴스효과’를 정의하고,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실제로 유통된 가짜뉴스를 대상으로 가짜뉴스효과의 원인을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가짜뉴스 수용에 작용하는 요인들로 유권자의 정치심리적 성향(후보자 호감도 및 정치이념성향, 정치지식, 언론 신뢰도)을 고려했으며, 가짜뉴스 노출에 작용하는 요인들로 다양한 선거커뮤니케이션 행위(온라인 선거정보이용, 소셜미디어 상에서 이견회피행위, 사실확인 행위, TV토론회 시청)를 고려했다. 가짜뉴스효과뿐만 아니라 실제뉴스 대비 가짜뉴스의 우위효과를 지표화하여, 각각에 대해 유권자의 정치심리적 성향과 선거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영향력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2017년 제 19대 대통령 선거 전후로 2차례의 전국 규모 온라인 패널조사(1차, N = 1,000; 2차, N = 769)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다당 구도에서 이념성향보다 후보자 호감도가 가짜뉴스효과의 주요 원인으로 작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자 호감도는 해당 후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가짜뉴스효과를 낮추거나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동기화 추론이 작용했음을 암시했다. 둘째, 정치지식은 실제뉴스효과뿐 아니라 가짜뉴스효과도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치지식의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셋째, 카카오톡, 라인 등의 모바일메신저를 통해 선거정보를 주로 접할수록 가짜뉴스효과가 높아져 이들이 가짜뉴스 유통의 주된 채널로 작동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넷째, 소셜미디어 상에서 정치적 이견을 회피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폐쇄성이 강할수록 가짜뉴스효과가 상승했다. 다섯째, 유권자의 사실확인(fact-checking) 행위의 효과는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상이했는데, 기사의 출처를 확인하는 방법이 가짜뉴스효과를 감소시키는 데에 상대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research on fake news has focused either on how many people get exposed to fake news or on who falls for fake news. Proposing a new definition of ‘fake news effects’ that encompasses both exposure and acceptance, this study investigated fake news effects using the items that actually were circulated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campaign in 2017. To identify facilitating and constraining factors on fake news exposure and acceptance, the study considered a range of political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candidate favorability, political ideology, political knowledge, and media trust and various types of electoral communication such as online information use, partisan selective avoidance, fact checking, and televised debates viewing. We conducted a two-wave online panel survey (first wave, N =1,000; second wave, N = 769) before and after Election Day. According to data analyses, first, candidate favorability appears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fake news effects; it decreased or increased fake news effects depending on whether the fake coverage was negative or positive for the favored candidate. That is, voters responded to fake news in the direction that was consistent with their political preference. Second, political knowledge increased both real news effects and fake news effects, disconfirming the resistant power of knowledge against misinformation. Third, using mobile messaging platforms for electoral information led to greater fake news effects, implying that they functioned as major conduits for the flow of fake news. Forth, echo chamber effects were found; more specifically, fake news effects were greater among those people who frequently avoided or bloked out politically disagreeing opinions on the social media. Fifth, voters’ individual fact checking activities partially mattered; cross-checking the credibility of news sources decreased fake news effects.

      • KCI등재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아란(Ahra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9 언론정보연구 Vol.56 No.2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페이크 뉴스(fake news)에 대한 공포가 전 세계적 현상이 되면서 2017년부터 한국에서도 이른바 ‘가짜뉴스’를 규제하기 위한 법안이 쏟아져 나왔다. 무엇이 가짜뉴스인지 불명확한 상태에서 각종 법안들은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의 자유에 대한 과다한 규제를 시도한 측면이 있었다. 가짜뉴스 규제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 연구는 최근 가짜뉴스라는 용어를 대체하도록 권장되고 있는 ‘허위정보(disinformation)’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표현의 자유 영역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교법적 연구를 위해 영미법에서의 허위표현 규제의 역사를 살펴보고, 국내의 허위표현 규제의 역사 및 허위정보 규제에 적용 가능한 현행 법령을 분석하였다. 또한 가짜뉴스 규제를 위해 국내에서 발의된 법안들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허위표현이라고 하여 자동으로 표현의 자유 영역에서 배제되는 것이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조명하면서 이 연구는 허위정보 규제에도 기본권 제한의 근본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법을 통한 규제는 최후의 수단으로 작동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Legal regulation has been discussed as a way to respond to controversial fake new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German Network Act has encouraged fake news regulation in South Korea. In order for the law against fake news to be effective and feasible, fake news needs to be more clearly defined. The legislators, however, have tried to propose bills using vague and obscure definition of fake news. This study focuses on the term of disinformation to replace the term of fake news. It briefly examines the history of regulating false expression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for comparative legal research. Then, this research reviews current laws applied to regulate false expression in Korea and explains why the previous legal attempts to suppress false expression failed. It also analyzes problems of the proposed anti-fake news bills.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ransparent procedures and technical solutions to detect illegal false expression should be preferred to the strict laws that are likely to chill free speech.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페이크 뉴스(fake news)에 대한 공포가 전 세계적 현상이 되면서 2017년부터 한국에서도 이른바 ‘가짜뉴스’를 규제하기 위한 법안이 쏟아져 나왔다. 무엇이 가짜뉴스인지 불명확한 상태에서 각종 법안들은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의 자유에 대한 과다한 규제를 시도한 측면이 있었다. 가짜뉴스 규제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 연구는 최근 가짜뉴스라는 용어를 대체하도록 권장되고 있는 ‘허위정보(disinformation)’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표현의 자유 영역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비교법적 연구를 위해 영미법에서의 허위표현 규제의 역사를 살펴보고, 국내의 허위표현 규제의 역사 및 허위정보 규제에 적용 가능한 현행 법령을 분석하였다. 또한 가짜뉴스 규제를 위해 국내에서 발의된 법안들을 조사하고 그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허위표현이라고 하여 자동으로 표현의 자유 영역에서 배제되는 것이 아니라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조명하면서 이 연구는 허위정보 규제에도 기본권 제한의 근본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법을 통한 규제는 최후의 수단으로 작동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Legal regulation has been discussed as a way to respond to controversial fake news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German Network Act has encouraged fake news regulation in South Korea. In order for the law against fake news to be effective and feasible, fake news needs to be more clearly defined. The legislators, however, have tried to propose bills using vague and obscure definition of fake news. This study focuses on the term of disinformation to replace the term of fake news. It briefly examines the history of regulating false expression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for comparative legal research. Then, this research reviews current laws applied to regulate false expression in Korea and explains why the previous legal attempts to suppress false expression failed. It also analyzes problems of the proposed anti-fake news bills.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transparent procedures and technical solutions to detect illegal false expression should be preferred to the strict laws that are likely to chill free speech.

      • KCI등재

        가짜뉴스와 저작권

        계승균(Kye, Seungkyoon) 한국저작권위원회 2018 계간 저작권 Vol.31 No.4

        우리 사회에서 일어난 일련의 정치적, 사회적 변혁을 겪으면서 언론이나 대중 사이에서 널리 회자되기 시작한 용어 중의 하나가 ‘가짜뉴스(fake news)’이다. 가짜뉴스가 번성하고 있는 것은 우리 사회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21세기가 되어서 인터넷과 통신의 발달과 1인 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하여 가짜뉴스가 생산될 수 있는 기술적 환경과 문화적 배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사회적 정보 통신망인 소셜미디 어는 가짜뉴스의 생명을 유지시켜주는 주요한 영양분과 같은 역할을 한다. 가짜뉴스를 법학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대부분 선거, 정치적 표현의 자유 등 정치적 영역에서, 즉 헌법, 형법, 선거법, 언론법 등에서나, 또는 민사적으로는 주로 명예훼손이나 자신의 평가에 부당한 평가로 인한 손해 등을 이유로 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불법행위법의 관심사였다. 그렇지만 창작법의 관점에서 보면 가짜뉴스는 정말로 고민과 창작이 섞여 있는 저작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저작물의 성립요건으로 우리 저작권법 제2조 제1호에서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이라고만 규정되어 있고 다른 요건을 부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저작권법은 가짜뉴스에 규범 친화적이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최소한 저작권법만의 관점에서 가짜뉴스를 바라보면 저작권법은 가짜뉴스의 제작과 배포 자체에 법률적 정당성을 부여한다. 오히려 저작권법의 여러 규정들을 살펴보면 장려한다는 느낌, 또는 장려할 수 있다는 느낌을 가진다. 현대 사회의 기술과 통신의 발전은 가짜뉴스를 제작하는 기술 역시 정교해지고 이를 전파하는 것 역시 더 빨라지고, 더 다양해지고, 더 많아질 수 있다. 사회 각 분야에서, 그리고 전 세계 적으로 가짜뉴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고 있는 이 시기에 우리 사회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규범적 대응을 하려고 노력 중이다. 마찬가지로 저작권법의 영역에서도 새로운 주제로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인다. “Fake news” is one of the terms that has begun to widely be heard in the media and the public following a series of political and social revolutions in our society. Fake news is thriving not only in our society but also around the world. Social media, in particular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ys a role in keeping fake news alive. By the 21st century,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elecommunications, and the advent of single media have created a technological environment and cultural background in which fake news can be produced. If we look at fake news from the viewpoint of law, it was a matter of concern to the political law areas such as elections,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or criminal behavior, and civil damages.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creation law, we can see that fake news is really a mixture of creation. As a requirement of the establishment of copyrighted works, it is stipulated in Article 2 (1) of the Korean Copyright Act as ‘a creation expressing human thoughts or feelings’, and it does not add any other requirements. Copyright law is norm-friendly to fake news. Exactly speaking, at leas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opyright law, the copyright law gives legal justification to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fake news itself. Rather, the various provisions of the Copyright Act make you feel to be encouraged to make fake news. The technologies of making fake news is also becoming more sophisticated and more prevalent, and it can be faster, more diverse, and more abunda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in present society. At the time of debate about fake news in every field of society and all over the world, discussions have to be done in our society in earnest way, and we must try to make normative response to the fake news. Similarly, there seems to be a need for research as a new subject in the field of copyright law.

      • 가짜뉴스(허위조작정보)에 대한 현재의 규제와 향후 규제방향에 대한 소고 -

        배태준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21 Law & technology Vol. No.

        미국, 프랑스 대선 등에서 벌어진 가짜뉴스 캠 페인은 가짜뉴스의 정치적 의사 결정 왜곡 가능 성을 보여준다. 특히 인터넷 환경의 발달로 인해 가짜뉴스의 전파성과 신뢰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가짜뉴스의 규제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런데 가짜뉴스를 규제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짜뉴스인지를 확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 가 짜뉴스의 정의에 대하여 아직 견해가 일치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헌법 제21조에 따라 표현의 자유와 조화를 이루고 비례의 원칙에 부합하는 대응수단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현행 법제하에서는 정보통신망법, 공직선거법, 언론중재법, 민⋅형법 등에서 가짜뉴스 생성자를 규제하고,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도 일 부 가짜뉴스 유통을 막도록 의무를 부여한다. 뿐 만 아니라 가짜뉴스의 규제에 대하여 여러 입법 안들이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형벌이나 행정권에 의존하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에게 과도한 의무를 부여한다는 비판도 있다. 세계 각 국에서도 가짜뉴스 규제에 대한 여러 제도를 두 고 있으나, 대체로 과도한 규제를 도입한 법제에 대하여는 여러 위헌성에 대한 비판이나 판단이 내려지고 있다. 결국 가짜뉴스는 법률에 따른 규제와 자율규제 모두를 통해 제어해야 한다. 규제적 방안으로는 경제적 이익 박탈이 가장 중요하다. 자율규제의 경우 객관적인 기관을 통한 팩트체크, 가짜뉴스 배제 알고리즘 적용 인터넷 사업자에 대한 지원,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이 필요하다. 21대 국회 에서 이러한 논의들이 일부 진행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며, 가짜뉴스의 폐해 방지와 표현의 자유 보호간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이 계속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Influence campaigns through fake news in the US and French presidential elections show the possibility of fake news distorting political decision-making.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spread and credibility of fake news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nvironment emphasizes the need for regulation of fake news. In order to regulate fake new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define what the fake news are, but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the definition of fake news. In addition, pursuant to the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adopt countermeasures that are in balance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conform to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fake news creaters are regulated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Act,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he Media Arbitration Act, and the Civil and Criminal Act.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are also require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some fake news. Several legislative bills have been proposed for the regulation of fake news as well. However, there are also criticisms of excessive reliance on punishment or administrative authority, and of placing excessive obligations o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trying to regulate fake news, but in general, there are criticisms or judgments about the unconstitutionality of such laws introducing excessive regulation. In the end, fake news must be controlled through both legal and self-regulation. As a regulatory measure, deprivation of economic interests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case of self-regulation, fact-checking through objective institutions, support for Internet service providers applying fake news exclusion algorithm,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are required. It is encouraging that a couple of bills are dealing with such self-regulation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fforts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harmful effects of fake news and prote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가짜뉴스의 법적 규제

        유의선(Euisun Yoo) 한국언론법학회 2018 언론과 법 Vol.17 No.2

        가짜뉴스로 인한 사회적 법익 침해가 증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법적 구제는 쉽지 않다. 개인적 법익 침해 논쟁에 비해 피해자 특정이 어렵고 사회적 법익 침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자율규제가 거의 작동하지 못하는 현재의 미디어 생태계에서, 가짜뉴스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자율규제가 제대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여건 조성도 필요하지만, 필요최소한도의 법적 규제방안이 함께 강구되어야 한다. 표현의 자유 보호영역 하에 있는 가짜뉴스 규제에 대한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필수불가결한 정부규제이익이 존재하고 필요최소한도의 규제임을 밝혀야 한다. 법적 규제의 객관적 구성요건으로 허위, 언론사 보도로 오인될 정도의 뉴스 형식, 실질적 폐해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주관적 구성요건으로서 고의나 현저한 과실, 초과주관적 구성요건으로 악의적 목적(정치적·경제적 이득 취득)을 입증할 수 있어야 한다. 국가안보, 사회질서, 공공복리 등 사회적 법익에 미치는 가짜뉴스의 폐해를 막기 위한 법적 규제 방향은 가짜뉴스 생산 및 유통주체, 가짜뉴스 내용의 허구성 정도, 가짜뉴스 형식의 오인 가능성, 수용자 속성 및 예상되는 폐해 정도 등을 감안해서 추진되어야 한다. 더불어 가치중립적인 알고리즘 개발 등 가짜뉴스 생성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종합적 대책이 필요하다. In spite of an increase in the infringement of societal legal rights caused by fake news, it is not easy to seek reasonable methods to legally regulate fake news. This is because the specification of victim and clear identification of infringed legal interest are difficult. In order to restrain the spread of fake news, the measures for legally regulating fake news to the minimum necessary need to be explored. In principle, fake news is in the scope of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for freedom of expression. Therefore, in order for a fake news regulation to be justified, the existence of an essential governmental interest should be proved and strict burden of proof for the falsity must be imposed. The three objective constituents for legal regulation of fake news include ‘falsity’, ‘news format’ that can make the fake news look as a news report of an authoritative press company (deceptiveness), and ‘actual harm’. ‘Intentionality’ as a subjective constituent and ‘malicious purpose’(to gain political or economic benefits) as a super-subjective constituent must also be demonstrated. Legal regulation of fake news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imminent and irreparable social harms that can be caused by fake news. Such regulation must be implemen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er and distributor of fake news, the degree of falsity,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which can be caused by the format, the nature of the users, expected harm, etc. In addition, a comprehensive measure to prevent the creation and spread of fake new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 value-neutral algorithm, also needs to be considered.

      • KCI등재

        가짜뉴스의 합리적 규제에 관한 고찰

        노동일,정완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4

        거짓이거나 잘못된 정보를 유통시켜 국민들에게 혼란을 초래함으로써 민주주의를 위기에 처하게 만들 수 있는 이른바 ‘가짜뉴스’는 당연히 규제의 필요성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가짜뉴스는 그 개념이 모호하여 규제대상이 지나치게 넓어진다는 것이 문제될 수 있으므로 가짜뉴스라는 포괄적 개념으로 규정하기보다는 이를 유형화함으로써 규제대상을 명확히 해야 한다. 아울러 가짜뉴스의 개념과 규제범위를 확정하더라도 가짜 혹은 허위라는 것을 누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가가 문제된다. 정부가 가짜뉴스 판별에 나설 경우 권력층이나 집권자에 의해 오용 또는 남용됨으로써 정치사회적으로 민주주의에 큰 해를 부를 수 있다. 정교하고 세련된 외양을 갖춘 가짜뉴스의 경우는 더욱 판별하기 어려울 것이다. 가짜뉴스에 관한 한국과 미국에서의 논의는 새로운 가짜뉴스 규제방안을 강구하기보다는 정부와 뉴스생산자, 뉴스이용자, 뉴스매개자 등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되고 있다. 본문에서 전개된 논의의 결론은 첫째, 전통적 뉴스생산자들은 정밀한 팩트체킹을 통해 생산된 뉴스를 통해 뉴스의 신뢰도를 높여야 하고, 둘째 뉴스이용자들은 가짜뉴스를 골라낼 수 있는 안목과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켜야 하며, 셋째 뉴스매개자들은 비록 완벽하지 않더라도 가짜뉴스를 걸러내는 장치를 마련하거나 신고된 가짜뉴스를 신속히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는 것 등이다. 가짜뉴스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미디어 리터러시를 위한 이용자 교육을 보다 중시할 필요가 있다. 현재 미디어 환경에서 이용자들은 뉴스 제작자이자 소비자이고 참여자이므로 제작자나 소비자 양자의 입장에서 모두 기사와 광고의 구분, 사실과 의견의 구분, 유머와 뉴스의 구분 등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가짜뉴스에서 허용되는 범위와 제한되는 범위를 이용자에게 알기 쉽게 교육하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선행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가짜뉴스에 대한 해결책은 한두 가지 새로운 법률이나 공권력이 동원하는 규제책 등 정부의 개입에서 찾을 수는 없다. 새로운 현상에 대한 대응책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고, 또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양한 주체들의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서만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So-called ‘fake news’ has a need for regulation in that it can confuse the voter by distributing false or false information, ultimately putting democracy itself at risk. However, the so-called ‘fake news’ may be a problem because the concept itself is ambiguous, as discussed above, and the objects that need to be regulated are too broad. Therefore, rather than trying to define the object of regulation as a comprehensive concept of fake new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object of regulation by tying it. Even if we define the concept or regulatory scope of so-called ‘fake news’, it is also a question of how and who can judge ‘fake’ or ‘false’. If the government makes false news, misuse or abuse by the power or the ruling party can cause greater harm to democracy politically and socially. It would be harder to discern fake news that has more sophisticated and sophisticated appearance than an absurd fake. It is also a problem to use technical methods such as algorithms or big data to block them. In the algorithm generation stage, there may be a prejudice based on the influence of external power or the judgment of the enterprise itself, and above all,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rporation takes the role of the inspector acting on behalf of the government. In the end, it seems that the discussions of the US and Korea are gathering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news producers, news users, and news brokers together rather than trying to regulate new ‘fake news’. The conclusions of the active discussions in the United States are as shown above, and the conclusions of some of the following discussions are also similar. “Traditional news producers need to increase news credibility through news produced through precise fact checking, and news users need to improve their perspective and media literacy to pick up fake news. The news brokers should also devise a technological way to get rid of fake news or to quickly block reported fake news, even though it may not be perfect. As a solution to fake news, user education for media literacy needs to be more important. In the current media environment, users are news producers, consumers, and participants. Therefore, both the producers and the consumers need to understand the distinction between articles and advertisements, the distinction between facts and comments, and the distinction between humor satire and news. It should be preceded by educating 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in an easily understandable and limited range of fake news. So the solution to so-called “fake news” can not be found in government interventions, such as one of two new laws or regulations that mobilize public power. The response to the new phenomenon is time consuming, and it takes time to find solutions to this problem only through the active efforts of various actors. Only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of government, news producers, news brokers, and news consumers can find the best means of cleansing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and the process of finding such solutions is appropriate for democracy.

      • KCI등재

        트위터는 어떻게 가짜뉴스를 유통시키는가?: <교통법규 개정설>과 <9월 전쟁설>의 트위터 유통 패턴과 유력자, 빈출단어 분석

        손승혜,이귀옥,홍주현,최지향,정은정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5 No.4

        A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news get easier and diversified in this digital media era, fake news that deliberately spread misinformation are rapidly increasing and becoming a serious issue worldwide. There has been rising concerns of political misjudgment and social conflict resulted by fake news. This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fake new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It analyzed by whom, how, and in what context fake news were distributed, by tracing the twitter networks of rumors of ‘traffic regulation amendment’ and ‘September 9 war on Korean peninsula’ cas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show that two fake news distribution networks show different patterns with different width and density of nodes and their links. The analysis of influencers and frequently-used word pairs revealed that fake news were being spread by users who actively express their political views or share their interests through issues that people would find interesting. In other words, fake news are distributed by SNS users expressing their views by manipulating social and political issues that have direct impact on people’s daily lives. Consequently, ordinary people can contribute to the distribution of fake news by sharing the information they find useful or concerning, not realizing its inveracity. Distribution analysis of fake news will allow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fake news and suggest strategies against fake news which may increase in size and influence through SNS in the future. 전세계적으로 정보의 생산자와 유통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의도적으로 사실이 아닌 정보를 사실로 위장하여 전달하는 가짜뉴스의 생산과 유통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한 정치적 오인과 사회적 갈등 등의 이슈도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SNS를 통하여 유통되었던 ‘교통법규 개정설’과 ‘9월 9 일 한반도 전쟁설’을 대상으로 이러한 가짜뉴스가 누구에 의해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유통되고 있는지를 트위터 네트워크를 사례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이들의 전체적인 유통 패턴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유력자들은 전통적 오피니언 리더와는 달리 활발하게 트윗, 리트윗을 하는 일반인들이었으며, 빈출 단어쌍 분석을 통해서는 가짜뉴스가 뉴스 자체보다는 사람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이슈를 기반으로 정치적 견해를 전달하거나 관심사를 공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가짜뉴스는 특정 견해를 지닌 트위터 이용자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표현하기 위해 일상생활과 직접 관련된 사회적 주제나 전쟁설과 같은 이슈를 활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짜뉴스의 유통 분석은 SNS를 중심으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더욱 증가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 가짜뉴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대응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