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형자산의 공정가치 개념과 평가주체

        김성진 ( Sung Jin Kim ),장희순 ( Hee Soon Jang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2 감정평가학논집 Vol.11 No.2

        K-IFRS가 도입되면서 기업의 유형자산의 공정가치 재평가가 허용되었다. 그러나 종전 기업회계기준과 달리 공정가치 평가주체는 명확한 규정이 없어 감정평가업자와 회계법인간에 갈등이 있다. 그래서 공정가치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공정가치의 평가주체의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논거를 필요하다. 공정가치 성격은 시장적인 요소 외에 비시장적 요소도 반영되는 가치이며 표의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공정가치가 가격으로 산정되어 재무제표에 계상되기 위해서는 평가과정을 거쳐야 하며, 그 가치판단은 감정평가업자의 업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평가주체는 감정평가업자가 되어야 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금융감독법규상 은행 등의 유형자산 담보물 공정가치 평가시 감정평가업자가 평가한 가액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둘째, 회계법인이 기업의 부동산 가치를 측정하고, 이의 적정성을 감사하는 것은 견제와 균형의 원리상 공정성과 신뢰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이는 민법상 대등한 당사자간 계약관계인 자기계약이 금지되는 것(민법 제124조)과 같은 논리로 금지되어야 한다. 셋째, 부감법 및 자산재평가법상 유형자산의 재평가는 감정평가업자의 고유 업무임을 명확하게 규정(부감법 제29조 제1항, 자산재평가법 제7조 제2항)하고 있다. 넷째, 풍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갖춘 감정평가업자가 공정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타당하다. 부동산평가제도가 도입된 이래 40여년간 보상평가, 담보평가, 경매평가, 기업자산재평가 및 표준지ㆍ개별공시지가의 평가와 검증을 통해 감정평가에 대한 노하우(Know-how)와 방대한 자료(Data-base)를 축적되어 있기 때문이다. With the introduction of K-IFRS, revaluation of the fair value for the company``s tangible assets is allowed. Unlike the previous accounting standards, however, the absence of clear regulation regarding who should appraise the fair value has caused conflict between appraisers and accounting firm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grounds that is able to settle the controversy between two partie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fair value. In terms of the valuation of the fair value, non-market values as well as market values should be comprehensively reflected. To be recogniz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the valuation is carried out by the assesment process which is more closely referred to appraisers rather than accounting firm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for appraisers to take charge of the valuation of the fair value. The reasons why appraisers should evaluate the fair value as follows : First, under the current financial supervision system, banks and savings banks have to adopt the fair value of collateral evaluated by appraisers. Second, accounting firms which simultaneously measure the fair value of tangible assets and audit its fair value do not guarante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the financial statements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Third, Public Notice of Values, Appraisal of Real Estate Act and Assets Revaluation Act clearly stipulate that the revaluation of tangible assets is only allowed to appraisers. Finally, appraisers have accumulated a wealth of experiences, expertise, and database by performing valuation on various assets including land, real estates, and enterprise over 40 years since real estates appraisal system was introduced, therefore it is reasonable that appraisers should evaluate the fair value of tangible assets.

      • KCI등재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토지의 공정가치 모형의 가치관련성

        신현걸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3

        Under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being adopted by Korean listed companies from 2011, the companies may account for the fair value on the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intangible assets and investments as well as financial instrument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about whether fair value of land can provide the explanatory power for stock prices beyond that provided by book value of land. I limit the scope of the study to land because the fair value of land can be collected from the footnote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but the fair value of other assets except for land are not be disclosed. My test model is based on the Ohlson(1995) model, and the evidence of my test allows stronger inferences to be made about fair value model by using change model as well as level model. I find that the valuation coefficients on book value of land are significant, whereas the valuation coefficients on the fair value-book value difference of land are not significant for the two models. The insignificance of the fair value-book value difference of land is not changed after dividing total samples into two subsamples based on the median of book value of land, substituting net income per share with operating income per share, and substituting the year-end stock prices with the first quarter stock prices.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current stock prices have already include the fair value information of land even though this information is disclosed on foot notes. I conclude that while the effects of fair value of land may not be significant on the stock prices, the comprehensive effect of fair value accounting of IFRS can change the stock prices when all nonmonetary assets are accounted for the fair value model under the IFRS. 본 연구는 향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적용될 경우 공정가치 평가대상이 되는 비화폐성자산 중 규모가 크고 공정가치의 대용치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적은 토지를 대상으로 하여, 공정가치와 장부금액의 차이가 주가관련성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제공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토지의 공정가치 대용치는 주석으로 기재하는 공시지가를 이용하였으며, Ohlson 모형을 기본으로 하는 주가수준모형(level model)과 주가변동모형(change model)을 모두 이용하여 토지의 공시지가가 주가에 추가적인 설명력을 제공하는지 확인하였다. Level model을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 주당 토지의 장부금액과 주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주당 토지의 공시지가와 장부금액의 차이는 주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change model을 이용한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주당 토지의 장부금액 변동은 주가변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만 주당 토지의 공시지가와 장부금액 차이 변동은 주가변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하여 토지의 공정가치 정보가 자본시장에서 유용하지 않은 정보라고 해석하기 보다는 현재 주석으로 공시되는 토지의 공정가치 정보가 이미 주가에 상당부분 반영되어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향후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되어 공정가치로 토지를 평가하더라도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제회계기준에서는 토지 이외의 유형자산, 무형자산 및 투자부동산에 대해서도 공정가치 평가를 허용하기 때문에 국제회계기준에 따라 비화폐성자산 전반에 걸쳐 공정가치 평가를 할 경우에는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매도가능금융자산에 대한 공정가치 서열체계 정보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연구

        김상미 ( Sang Mi Kim ),한종수 ( Jong Soo Han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저널 Vol.24 No.2

        본 연구는 2011회계연도부터 K-IFRS로의 전환에 따라 확대 적용되는 공정가치회계의 정보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분류된 매도가능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정보에 대한 가치관련성(value-relevance)을 실증 분석한다. K-IFRS는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치평가기법과 관련된 투입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정하였다.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의 활성시장 공시가격에 가장 높은 순위(수준 1)를 부여하고 직·간접적으로 관찰 가능한 시장정보에 의해서 뒷받침 되는 투입정보는 수준 2로 분류하며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에 가장 낮은 순위(수준3)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공정가치 서열체계가 낮을수록 관측 가능하지 않은 변수를 투입하여 공정가치가 측정되므로 측정오류 및 경영자의 재량으로 인한 신뢰성의 하락을 예측할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특징에 관심을 두고 이에 대한 시장의 차별적 반응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준 1과 수준 2로 측정된 매도가능금융자산은 양(+)의 가치관련성을 가지는 반면, 수준 3으로 측정된 매도가능금융자산은 음(-)의 가치관련성을 가지는 것을 발견하여, 수준 3의 투입변수에 의하여 측정되는 공정가치에 대한 시장의 부정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정가치평가를 통하여 금융기관의 중요한 감독지표인 자본적정성 지표를 조정하고자 하는 유인이 있을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시장의 반응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본적정성이 낮은 금융기관의 경우, 자본적정성이 증가할수록 수준 3 투입변수로 측정된 매도가능금융자산에 대한 가치관련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본적정성이 낮은 기업들이 수준 3으로 분류되는 매도가능금융자산을 이용하여 자본적정성 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시장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분류된 공정가치정보에 대한 시장의 차별적 반응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실증 분석한 연구로써 K-IFRS 도입으로 확대 적용된 공정가치평가를 시장은 항상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수준 3 투입변수에 의해 측정된 공정가치에 대한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적절한 지침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측면에서 금융당국과 외부감사인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The application of fair value accounting, which is one of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IFRS, keeps expanding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available-for-sale (AFS) financial assets is perceived to be relevant for equity 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important for standard setters to understand not only the effect of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disclosure, but also to enhance fair value disclosure for future standard (e.g. IFRS 9). There is a trade-off between relevance and reliability in using fair value accounting. Proponents of fair value accounting argue that it better reflects how much a firm’s assets and liabilities are worth, therefore it provides more relevant information for certain decisions. In contrast, opponents of fair value accounting argue that fair value is not as reliable as historical cost. Subjective judgement and estimation errors, which are inherent components of fair values, are difficult for investors to verify and thus, fair values could easily be used for managerial manipulation. In spite of the continuing debate on the usefulness of fair value, fair value accounting is achieving more and more popularity nowadays, especially under IFRS. IFRS 13 “Fair value measurement,” requires companies to classify financial assets and liabilities reported at fair value based on the observability of the inputs used in the measurement process; Level 1 (observed inputs from quoted prices in active markets), Level 2 (indirectly observable inputs from quoted prices of comparable items in active markets or other market.related information), and Level 3 (unobservable, firm.generated inputs). Among the three levels of fair values is the Level 3 which seems to be the most problematic. Level 3 fair values are less observable and are subject to greater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vestors and management. Greater amount of subjectivity embedded in Level 3 fair values could include more estimation errors and be used for managerial manipulation. Therefore, Level 3 fair values, which is argued to have relevance, could have the least level of reliability. By using Ohlson‘s value relevance model (1995),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rn that fair value of the financial assets based on unobservable inputs due to lack of active markets (i.e. Level 3) is not reliable enough to be used in financial reporting. To maximize the power of test,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financial firms, because they hold large amount of financial assets and liabilities which are very sensitive to fair value accounting standard, because they have more reliable process of determining fair values than non-financial firms do, and because they have all three levels of financial assets and liabilities in their financial statements.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AFS financial assets because AFS financial assets are the largest class in the financial firms’ 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Thus, we were able to test the value relevance of each level of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under same accounting treatment. First, we test the value relevance of each level of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We expect that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investors and managers can cause more serious problems as fair value inputs become more unobservable by investors. We find that the coefficient of Level 3 AFS financial assets are consistently lower than that of Level 1 or Level 2 AFS financial assets. We also find that the coefficient of Level 3 AFS financial assets is negative. Collectively, the evidence suggests that equity investors recognize Level 3 information unreliable because of its intrinsic measurement error and the error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managers and investors. Second, we examine whether value relevance of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depends on firms’ capital adequacy ratio. The capital adequacy ratio is an important concern for the management and investors of financial firm. Therefore, the management of financial firms have incentives to use their discretion on the estimation of Level 3 fair values to manage the reported level of regulatory capital adequacy ratio.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Level 3 AFS financial assets deteriorates as the capital adequacy ratio increases for the firms who have lower capital adequacy ratio. This result suggests that equity investors suspect th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Level 3 financial assets especially for the firms who have lower capital adequacy ratio. We believe that this paper, by demonstrating the value relevance of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can contribute to extant the insight regarding the usefulness of fair value accounting. And our results suggest that regulators and external auditors should develop adequate guidance and systematic complement to reserve reliability of fair value information.

      • KCI등재

        공정가치 평가, 서열체계 및 위험관리 수준이 미래성과전망에 미치는 영향: 금융자산평가를 중심으로

        강민정 ( Min Jung Kang ),이호영 ( Ho Young Lee )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4

        공정가치 회계는 미래의 기업성과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특히, 2011년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해 상당히 많은 항목에 대해 공정가치 평가를 선택적으로 또는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가치의 이론적 정의에 의하면 성과 예측에 대한 유용성은 당연할 것으로 기대되나, 전통적으로는 공정가치 측정의 신뢰성 문제와 최근에는 실무적으로 부적절한 적용에 의해 파생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면, 미국 발 금융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공정가치 회계의 부적절한 적용이 거론되었으며, 공정가치를 매개로 한 금융가속기(financial accelerator)현상, 공시가격이 없는 금융상품의 평가여부를 재량적으로 결정하는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에 대한 이견이 있는 시점에, 공정가치 평가정보가 역사적원가에 의한 경우보다 기업성과 전망에 증분적 정보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정가치 회계는 전통적으로 신뢰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공정가치 측정오류와 평가자산의 미래 가격변동성이 신뢰성 결정요소로 알려져 있는바(Sunder 2008), 두 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오류와 관련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가격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관리수준이 공정가치 평가정보의 기업성과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열체계가 높은 Level 1의 경우 공시된 시장가치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로 측정오류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Level 3는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로 측정오류가 가장 높을 것이다. Level 2는 직·간접적으로 관측 가능한 변수에 의해 평가되므로 측정오류는 중간 정도일것이다. 즉, 서열체계가 낮을수록 측정오류가 증가하여 신뢰성이 낮아지므로 공정가치의 정보효과가 감소할 것이다. 기업에서의 시장위험관리는 신중한 투자의사결정, 파생상품을 통한 시장위험 회피, 위험관리 보고서의 주기적 작성 및 보고와 같은 내부통제절차 등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위험관리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평가자산 가격의 변동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바, 신뢰성이 높아지고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분석결과, 공정가치 평가손익은 미래 당기손익, 금융상품 처분손익 및 처분손익을 제외한 손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적 원가로 평가한 경우보다 미래성과 전망에 대한 증분적 정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회계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된 공정가치 회계가 도입 목적에 부합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단, 이러한 결과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전반적 결과이므로 세분화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측정오류가 적은 Level 1으로 평가한 공정가치 정보만이 미래성과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서, 서열체계가 낮은 투입요소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는 유용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Level 3에서 공정가치 평가가정 및 방법 등을 충실하게 공시한 경우에는 미래성과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대상을 확대하려는 기준서 개정안에 대해 채택 전에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의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평가방법 등에 대한 충실한 공시의 유도가 중요함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시장위험관리 수준이 높아 평가 자산의 미래 가격변동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 평가의 미래전망가치가 증가함을 제시하였다. 한편, Level 1으로 측정된 경우라도 위험관리 수준이 낮은 표본에서는 공정가치 평가정보와 미래성과와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측정오류가 낮은 경우에도 미래 가격변동성이 큰 경우에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저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공정가치 회계에 대해 미래성과 전망의 관점에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실시하여, 실무적으로 기준서 개정 및 개선 방향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pplication of fair-value accounting keeps expanding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he provision of useful information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Particula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IFRS in 2011, companies began to apply fair-value evaluation for considerable elements selectively or compulsorily.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fair-value evaluation presupposes that it is useful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s. However, the usefulness of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lack of its reliability of measurement and its inadequate application. An inadequate applic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was pointed out as a cause fo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Critics also raised several problem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such as the problem of financial accelerator phenomenon mediated by fair-value and the problem of selective evalua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with no quoted prices and so forth. The role of fair-value accounting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is an important empirical research question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purpose of its initial introduction has been questionable as a result of its lower reliability than its historical cost measurement.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mainly focused on the topic of value relevance of fair-value under the presupposition of the market efficiency. That i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analyzed whether or not the valuation price based on fair-value evaluation is reflected in the stock price. Whether or not the fair-value accounting provides forward-looking informa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 however, cannot be identified only with analyses of its value relevance. From the affirmative perspective, the fair-value accounting is reported that it reflects economic reality by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about the asset values of a company. The information about a financial condition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is expected that it would provide more useful contents about core elements, such as corporate liquidity, its future solvency, and the necessity of extra financing, because it reflects economic realities better than historical cost-based evalu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about the financial performance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how efficiently management has used the company`s resources. To the contrary, however, some criticism to the fair-value accounting has been rais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problem of reliability of measurement, there are possibilities of intrinsic measurement error and management-induced error. Second, despite the accuracies of measurements at present, the future volatility in the valuation asset prices will decrease the usefulnes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this study identifies that fair-value-based valuation has mor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than historical cost-based valuation. By analyzing empirical dat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satisfies the initial purpose of its intro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measurement error and price volatility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The results identify that the fair-value information evaluated by Level 1 h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indicating that the fair-value evaluation not based on observable inputs from quoted prices in active market may not be useful. The fair-value evaluation, however, ha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even at Level 3 w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ssumption and methods of fair-value evaluation is disclosed faithfully.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redictive value of fair-value evaluation information increases when the level of a company`s general market risk management increases. That is, this study identifie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inform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and the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for sub-samples with high risk management level.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regardless of the high level of fair-value information hierarchy, the usefulness of fair-value evaluation decreases when the price volatility is high.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xtant literature on fair value accounting and provides useful insights to regulators in the process on IFRS revision pertaining to fair value accounting.

      • KCI등재

        공정가치 평가, 서열체계 및 위험관리 수준이 미래성과전망에 미치는 영향: 금융자산평가를 중심으로

        강민정,이호영 한국회계학회 2014 회계학연구 Vol.39 No.4

        공정가치 회계는 미래의 기업성과 예측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다. 특히, 2011년 국제회계기준 도입으로 인해 상당히 많은 항목에 대해 공정가치 평가를 선택적으로 또는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공정가치의 이론적 정의에 의하면 성과 예측에 대한 유용성은 당연할 것으로 기대되나, 전통적으로는 공정가치 측정의 신뢰성 문제와 최근에는 실무적으로 부적절한 적용에 의해 파생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유용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예를 들면, 미국 발 금융위기의 원인 중 하나로 공정가치 회계의 부적절한 적용이 거론되었으며, 공정가치를 매개로 한 금융가속기(financial accelerator) 현상, 공시가격이 없는 금융상품의 평가여부를 재량적으로 결정하는 문제 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에 대한 이견이 있는 시점에, 공정가치 평가정보가 역사적 원가에 의한 경우보다 기업성과 전망에 증분적 정보효과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공정가치 회계는 전통적으로 신뢰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며 공정가치 측정오류와 평가자산의 미래 가격변동성이 신뢰성 결정요소로 알려져 있는바(Sunder 2008), 두 가지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측정오류와 관련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가격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관리수준이 공정가치 평가정보의 기업성과 전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열체계가 높은 Level 1의 경우 공시된 시장가치에 의해 측정되는 경우로 측정오류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Level 3는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로 측정오류가 가장 높을 것이다. Level 2는 직·간접적으로 관측 가능한 변수에 의해 평가되므로 측정오류는 중간 정도일 것이다. 즉, 서열체계가 낮을수록 측정오류가 증가하여 신뢰성이 낮아지므로 공정가치의 정보효과가 감소할 것이다. 기업에서의 시장위험관리는 신중한 투자의사결정, 파생상품을 통한 시장위험 회피, 위험관리 보고서의 주기적 작성 및 보고와 같은 내부통제절차 등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위험관리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평가자산 가격의 변동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신뢰성이 높아지고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증가할 것이다. 분석결과, 공정가치 평가손익은 미래 당기손익, 금융상품 처분손익 및 처분손익을 제외한 손익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적 원가로 평가한 경우보다 미래성과 전망에 대한 증분적 정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회계 패러다임의 변화와 더불어 점진적으로 확대 적용된 공정가치 회계가 도입 목적에 부합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단, 이러한 결과는 공정가치 회계의 유용성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전반적 결과이므로 세분화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측정오류가 적은 Level 1으로 평가한 공정가치 정보만이 미래성과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서, 서열체계가 낮은 투입요소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는 유용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Level 3에서 공정가치 평가가정 및 방법 등을 충실하게 공시한 경우에는 미래성과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대상을 확대하려는 기준서 개정안에 대해 채택 전에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Level 3에 의한 공정가치 평가의 유용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평가방법 등에 대한 충실한 공시의 유도가 중요함을 암... The application of fair-value accounting keeps expanding for the purpose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he provision of useful information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Particula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IFRS in 2011, companies began to apply fair-value evaluation for considerable elements selectively or compulsorily. The theoretical definition of fair-value evaluation presupposes that it is useful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s. However, the usefulness of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lack of its reliability of measurement and its inadequate application. An inadequate applic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was pointed out as a cause fo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Critics also raised several problem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such as the problem of financial accelerator phenomenon mediated by fair-value and the problem of selective evaluation of financial instruments with no quoted prices and so forth. The role of fair-value accounting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is an important empirical research question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purpose of its initial introduction has been questionable as a result of its lower reliability than its historical cost measurement.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mainly focused on the topic of value relevance of fair-value under the presupposition of the market efficiency. That i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analyzed whether or not the valuation price based on fair-value evaluation is reflected in the stock price. Whether or not the fair-value accounting provides forward-looking information in the 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 however, cannot be identified only with analyses of its value relevance. From the affirmative perspective, the fair-value accounting is reported that it reflects economic reality by providing the latest information about the asset values of a company. The information about a financial condition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is expected that it would provide more useful contents about core elements, such as corporate liquidity, its future solvency, and the necessity of extra financing, because it reflects economic realities better than historical cost-based evaluation. Furthermore, the information about the financial performance evaluated on the basis of fair-value provides the information about how efficiently management has used the company’s resources. To the contrary, however, some criticism to the fair-value accounting has been raised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problem of reliability of measurement, there are possibilities of intrinsic measurement error and management-induced error. Second, despite the accuracies of measurements at present, the future volatility in the valuation asset prices will decrease the usefulnes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is controversial, this study identifies that fair-value-based valuation has more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s in predicting future corporate performance than historical cost-based valuation. By analyzing empirical dat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air-value accounting satisfies the initial purpose of its introd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measurement error and price volatility on forward looking information of fair-value evaluation. The results identify that the fair-value information evaluated by Level 1 h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indicating that the fair-value evaluation not based on observable inputs from quoted prices in active market may not be useful. The fair-value evaluation, however, ha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future performance even at Level 3 where the information about the assumption and methods of fair-value evaluation is disclosed faithfully.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predictive value of fair-value evaluation information increases when the level of a company...

      • KCI등재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공정가치 측정과 공정가치 평가기관의 품질제고에 대한 연구

        임승연,최선화,송인만,고승의,이창우 韓國公認會計士會 200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7 No.-

        2011년부터 한국에 전면 도입될 예정인 국제회계기준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자산과 부채를 원칙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국제회계기준과 미국회계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정가치의 정의와 측정 및 공시사항에 대해 검토하고, 실제로 공정가치의 측정과 공시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해외의 공정가치 측정 공시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이는 한국에 국제회계기준의 공정가치 관련규정을 최초 도입 시 예상되는 혼선과 시행착오를 줄이고, 기업들이 이를 실무에서 원활하게 적용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국과 유럽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외부 공정가치 평가기관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의 공정가치 평가기관의 품질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왜냐하면 시장에서 공정가치를 관찰할 수 없는 경우 외부의 전문 평가기관이 측정한 공정가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때 공정가치 평가기관의 독립성과 적격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소개하고 있는 두 방안, 즉 평가기관의 관리와 감독을 시장 기능에 맡기는 방안과 정부산하 감독기관에 맡기는 방안 중에서, 회계기준의 표준화와 글로벌화를 추구하는 국제회계기준의 취지를 고려해볼 때 평가기관의 관리와 감독을 시장 기능에 맡기는 방안이 더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are scheduled to be fully adopted in Korea by 2011. Since IFRS require or allow some assets, liabilities and equity instruments to be measured at fair value, transition to IFRS in Korea will require more understandings about the use of fair value and additional guidance on the measurements of fair value. However, the extant guidance on measuring fair value is dispersed across several standards under IFRS and it is not always consistent. To replace the dispersed guidance in IFRS with a single source of guidance for all fair value measurements, the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 Board(IASB) is undertaking the fair value measurement project. This single source of guidance will reduce complexity and improve consistency in its application, clarify the definition of fair value, and enhance disclosures about fair value. Since the IASB takes into account convergence between IFRS and Generally Accepted Accounting Principles in the US(US GAAP) to develop high quality and compatible accounting standards, it uses the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Board(FASB)'s fair value measurement standard, SFAS 157, as a starting point for its fair value measurement project. Hence, with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we expect that the future guidance on measuring fair value in IFRS will be affected by US GAAP. This study reviews the definition of fair value, its measurements and disclosure requirements about fair value measurements in IFRS as well as in US GAAP. As IFRS are still in a dynamic development caused by the ongoing convergence between IFRS and US GAAP, the adopters of IFRS have to be familiar with both global regulations concurrently. We introduce key differences identified between the definition of fair value in US GAAP and the current IFRS. Since, eve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definition of fair value, there are further uncertainties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fair value measurements, we present some examples of the related disclosures in practice. Those examples will help reduce the confusion about and misunderstandings of fair value measurements when the fair value measurements are applied in Korea. This study also discusses regulatory frameworks of asset valuation in other countries and makes a sugges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fessional valuers and their valuations in Korea. In the light of the fair value measurements, the professional valuer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reduce a considerable degree of subjectivity, especially when the quoted market prices are not observable. Since IFRS do not explicitly mention the requirements for the professional valuers, we have to make inferences about them from outside sources. We conjecture that the use of in-house valuations is common for financial assets and liabilities, while the fair value measurements for nonfinancial assets heavily rely on professional valuers. In the real estate sector, the International Valuation Standards(IVS) are widely accepted across countries without a specific authority concerned and hence each domestic setting body adopts them as general standards voluntarily. As current valuation guidance on the use of professional valuers in Korea has been developed for the limited purposes of M&A, IPO, or tax matters, it is not sufficient for financial reporting purposes in IFRS. With the adoption of IFRS, regulatory framework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fessional valuers in Korea will be required. In this regard, we suggest two approaches. One is a market-based approach and the other is a regulation-based approach. Under the market-based approach,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qualification of the professional valuers are set and the professional valuers do their jobs following some authoritative valuation standards such as IVS. This process is similar with those in the US or other developed countries. Under the regulation-based approach, the details of qualifications of the professional valuers are enacted by the National Law and enforced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The qualified professional valuers are designated by authorities concerned and their measurements of fair value are approved publicly. After weighing the pros and cons about both approaches, we recommend that the market-based approach be preferred in Korea because it will go well with IFRS which are in favor of the principle-based application as well.

      • KCI등재

        현행 주식가치평가의 법적 쟁점과 ‘공정한 가액’에 관한 연구

        김홍기 한국상사법학회 2011 商事法硏究 Vol.30 No.1

        Qualifying shareholders disagreeing with particular corporate decisions that are stipulated under the Commercial Act and/or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 Act (“CMFISA”) may dissent and obtain payment for their shares (“appraisal remedy”), provided that the action they wish to challenge is “unlawful or fraudulent.” The dissenter is entitled to the “fair value”standard of value for their share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air value for shareholders’ shares, and discusses how the term fair value should be interpreted. It then provides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use of Market Value as the appropriate standard for valuation. ‘Fair value’ means the value of the corporation's shares, especially,immediately before the effectuation of the corporate action to which the dissenter objects. Three calculation methods of fair value are commonly used: present value of the firm’s existing assets; the market value; and,earning value including future earning opportunities to free cash flow. The Commercial Act and CMFISA, however, suggest that “the details of determining ‘fair value’” within the broad outlines of the definition should be left to the courts. Accordingly, the Supreme Court recently held that fair value is the “normal transaction price that reflect the object exchange value (normal deal price which was reflected objective exchange validity).” At present, however, no clear case law provides an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meaning of normal transaction price. This article is organized in six parts. Part Ⅱ addresses the nature and implication of stock and how it connects to the fair value for shareholders'shares. Part Ⅲ briefly reviews the three calculation methods of fair value for corporate value, and Part Ⅳ analyzes the statutes and case law governing the fair value for shareholders' shares, draw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ifficulties posed by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Finally, Part Ⅴ reviews relevant legal issues, fair value, fair issuing price, appraisal right, squeeze-out merger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appraisal methods for corporate value.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vides a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use of Market Value as the appropriate standard for valuation.

      • KCI등재

        공정가치 공시 및 측정에 대한 연구동향

        송은진(Song, Eun-Jin) 글로벌경영학회 2019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6 No.5

        본 연구는 공정가치 공시 및 측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해당분야에 대한 연구 실태를 파악하고 취약분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촉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정가치는 재무회계의 근본적 질적 특성인 목적적합성을 증가시키며, 국제회계기준 도입 후에는 적용범위가 더욱 확대되어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즉 기존에는 금융상품 등에서 제한적으로 적용되었으나 국제회계기준하에서는 유ㆍ무형자산, 투자부동산 등으로 적용범위가 확대되었다. 또한 공정가치 기준서(K-IFRS 제1113호)가 2011년 제정되어 2013년부터 시행되었기에, 추후 공정 가치의 발전과 활발한 연구를 권장하기 위해 중간점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정가치 기준서의 실무적용 현황과 공정가치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광범위하게 다루고 정리하여 공정가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공정가치의 측정과 적용이 더욱 중요해지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공정가치 기준서의 사후이행검토 결과, 공정가치 기준서의 유용성은 대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인정하였으나, 공정가치 측정과 실무적용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정가치 적용의 비용 대비 효익에 대해 불확실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문헌고찰 결과에서 선행연구들의 연구 분야 및 방법이 다소 편향된 모습을 보였는데 주로 금융상품에 대한 공정가치 분야와 공정가치의 가치관련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공정가치 기준서 시행 이후의 자료만을 사용한 실증분석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공정가치 관련 항목에 대해 다양하고 균형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실무적용에 도움을 줄 수있는 교육지침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rends of existing researches on fair value disclosure and measureme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n the field and to call for the need for research on weak areas. Fair value increases relevance, which is the fundamental qualitative characteristic of financial accounting, and its importance is growing after the introduction of IFRS. In addition, since the fair value standard(K-IFRS 1113) was enacted in 2011 and implemented in 2013, an interim inspection is necessary to encourage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fair valu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air value by extensively covering and arranging the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fair value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fair value standard. This study is very timely. Since fair value accounting will become more important over time. According to Post-Implementation Review(PIR) of the fair value standard, most of the stakeholders admitted the usefulness of the fair value standard. However, they felt difficulty in applying the fair value measurement. In addition, the cost-to-benefit relationship about fair value is uncertain. As a result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 areas and methods of previous studies were somewhat biased. For example, most of the research focused on the financial products and value relevance of fair value. We also confirmed the needs for empirical tests using data only after 2013. Therefore, various and balanced researches on the fair value are needed a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ducational guidelines and improvement plans that can help the practical application.

      • KCI등재

        매도가능금융자산에 대한 공정가치 서열체계 정보의 가치 관련성 : 중국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여효청,박성환 한국회계정보학회 2018 회계정보연구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of the fair value system information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on the enterprise value of listed companies in the Chinese market. In order to do that ,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evance of fair value system information (level 1, level 2 and level 3) were discussed and based on that, the research hypotheses and verification model were founded. Information on the fair value hierarchy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was collected from the companies listed on the Shanghai Stock Exchange and the Shenzhen Stock Exchange in China. The companies which continually lised on the board from 2011 to 2015 were selecetd as the samples and the information about fair value hierarchy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were founded in the annotation of the audit report from 2007 to 2015 and was extracted manually. First, the financial industry in a period of 4years from 2007 to 2010 (voluntary adoption of SFAS No. 157), showed that fair-value hierarchy level 1 and level 2 had positive relations to firm's value. Second,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dustry in a period of 3years from 2011 to 2013(voluntary adoption of IFRS No.13) showed that level 1 and level 2 of fair-value hierarchy information had positive effect on firm's value. Third, financial industry in a period of 2years from 2014 to 2015(mandatory adoption of IFRS No.13) showed that all variables of level 1, level 2 and level 3 were positively related to firm's value. However, non-financial industry showed that only level 1 had positive relation with firm's value. Fourth, after adoption of IFRS No.13, the higher the portion of level 2 is, the lower the value relevance of fair-value hierarchy information becomes. It may be because in case of level 2, the input factors would be selected subjectively comparing to level 1.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level 1 and level 2 of the fair value hierarchy information of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s are positive (+) in most of the analysi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level 3 was not significant in most analyzes. This suggests that the provision of detailed information in the fair value hierarchy system has the effect of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증권시장에서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매도가능금융자산 공정가치 서열체계정보(level 1, level 2 및 level 3)의 기업가치 관련성을 실증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의 상해증권거래소와 심천증권거래소에 계속 상장된 기업을 금융업과 비금융업으로 구분하고 공정가치 서열체계정보공시의 의무도입 전후로 구분하여 기업가치 관련성을 검증한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의 SFAS No.157에 따라 조기 도입한 기간에 금융업의 매도가능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서열체계인 level 1과 level 2는 유의적인 양(+)의 가치관련성을 보이나, level 3은 유의하지 않은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2011년부터 2013년까지 IFRS No.13에 따라 자발적으로 도입한 기간에는 금융업뿐만 아니라 비금융업도 level 1과 level 2가 기업가치와 유의한 양(+)의 결과가 나타났다. 다만, level 3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음(-)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2014년부터 2015년까지 IFRS에 따라 의무적 도입한 기간에 금융업에서는 level 1, level 2와 level 3의 모든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비금융업에서는 level 1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업가치관련성을 나타냈다. 넷째, 2011년부터 2015년까지 IFRS에 따라 도입한 전체 기간에 금융업에서는 level 1과 level 2가 유의한 양(+)의 관계를 나타났다. 비금융업은 level 1만 유의적인 양(+)의 가치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IFRS에 따fms 자발적 도입과 의무적 도입 기간의 가치관련성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금융업에서는 level 1의 가치관련성이 증가되었다. 이는 의무도입과 함께 매도가능금융자산의 비중이 큰 금융업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증가되었다는 증거라 할 수 있다. 금융업뿐만 아니라 비금융업에서도 의무 도입이후에 level 2가 기업가치관련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level 2의 투입변수가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고, 신뢰도가 level 1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매도가능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서열체계정보 level 1과 level 2는 대부분의 분석에서 기업가치에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반면, level 3의 정보는 대부분의 분석에서 유의적이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세분화된 정보의 제공이 정보의 비대칭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 평가실태 및 가치평가기준의 제정방안

        황인태 ( In Tae Hwang ),김문철 ( Moon Chul Kim ),전영순 ( Young Soon S. Cheon ) 한국회계학회 2006 회계저널 Vol.15 No.특별

        Fair value information is more relevant than other measurement attributes. Thus, fair value information is more useful than historical cost information if its reliability is ensured. The Statement of Korea Accounting Standards No. 8 (SKAS No. 8) issued in 2002 requires fair value accounting for all trading and available-for-sale securities after initial recognition. This indicates that in principle even equity securities not traded in an active trading mark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n-marketable securities) are recorded at fair value in the balance sheet. However, the SKAS No. 8 allows an exception for the fair-value accounting for non-marketable securities. That is, non-marketable equity securities can be recorded at acquisition cost if their fair values cannot be reliably estimated. Since the SKAS No. 8 was issued, many have argued that firms do not comply with the fair-value accounting for non-marketable securities due to practical difficulties. Hence, this study examines the efficacy of the SKAS No. 8 by reviewing the practice of the fair-value accounting for non-marketable securities. The results show that only 1.2% of 1,551 listed firms account for non -marketable securities at fair value, indicating that firms in general do not comply with the SKAS No. 8 concerning valuation of non-marketable securities. Furthermore, we find that in general disclosures of the fair-value accounting for non-marketable securities are far from full disclosure and there is no consistency in the disclosures across firms.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reveal that lack of the standard for valuation of non-marketable securities is a major problem in implementing the fair-value accounting for non-marketable securities. Hence, we suggest the standard for valuation of non-marketable securities based upon the survey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valu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uditing guidance on fair value measu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