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 읽기의 인식론 : 영상인가, 상상인가?

        이을상(Lee, Eulsang)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0 No.2

        오늘날 뇌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거니와 뇌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컬러사진이 더 이상 일반 대중에게 낯선 그림도 아니다. 이러한 마음읽기에 사용되는 장비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이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촬영 장치이다. 초기의 fMRI는 단순히 뇌 기능 지도만 그리는데 그쳤고, 그래서 현대판 ‘골상학’이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 분석기법이 한층 향상되어 뇌 영상을 이용한 마음읽기가 가능해졌다. 여기서 문제는 “뇌 영상은 거짓말하지 않는다.”는 대중의 믿음인데, 이러한 대중의 믿음이 잘못된 이데올로기에 기인한 것임을 밝히려는 것이 이 글의 핵심이다. 뇌파나 fMRI 등에서 측정하는 신호는 직접적인 세포활동이 아닐 뿐만 아니라 측정된 신호는 다시 여러 차례 계산 과정을 거쳐 연구 목적에 합당하게 임의로 변환된 값이다. 이러한 사실은 근원적으로 뇌 영상의 객관성에 대한 물음을 제기한다. 이것은 일종의 인식론적 물음인데,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뇌 영상이 신경세포의 활동을 기술적으로 재구성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나아가 뇌 영상의 해석과 관련하여 이론과 (측정된) 자료의 의존성을 과학사회학의 관점에서 비판할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비판적’ 신경윤리학의 정립을 위한 새로운 함의를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oday we do not ne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brain research or is not it rare for the public to see colorful pictures of the brain. The most general apparatus used for "mind reading" is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Early fMRI was only used to draw a map of brain functions, so it was condemned as a modern edition of physiognomy, but now from its advancements, it is possible to read a mind using neuroimaging as the techniques of analysing fMRI. However, the development of such technology caused a problem, arising from public faith, that "neuroimaging never lies." But it is false, a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eal the falsity resulted from a wrong ideology. Neuroimaging is not a direct measurement of cell activity, but resulted from repetitive arbitrary calculations transformed into a value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This fact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objectivity of neuroimaging. This is a kind of epistemological question, especially in relation to epistemology we indicate two problems. First, neuroimaging reconstructs a neuronal activity technically. Secondly, neuroimaging is interpreted with an interdependence between theory and data. Therefore, I am sure that the epistemological critics of neuroimaging can provide a foundation of a "critical" neurothics, but what a critical neuroethics means is another problem.

      • KCI등재

        수면 뇌파-기능자기공명영상 동기화 측정과 신호처리 기법을 통한 수면 단계별 뇌연결망 연구

        김중일,박범희,윤탁,박해정 대한수면의학회 2018 수면·정신생리 Vol.25 No.2

        Objectives: Synchronous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has been used to explore sleep stage dependent functional brain networks. Despite a growing number of sleep studies using EEG-fMRI, few stud- ies have conducted network analysis on whole night sleep due to dif culty in data acquisition, artifacts, and sleep management within the MRI scanner. Methods: In order to perform network analysis for whole night sleep, we proposed experimental procedures and data process- ing techniques for EEG-fMRI. We acquired 6-7 hours of EEG-fMRI data per participant and conducted signal processing to re- duce artifacts in both EEG and fMRI. We then generated a functional brain atlas with 68 brain regions using independent com- ponent analysis of sleep fMRI data. Using this functional atlas, we constructed sleep level dependent functional brain networks. Results: When we evaluated functional connectivity distribution, sleep showed signi cantly reduced functional connectivity for the whole brain compared to that during wakefulness. REM sleep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connectivity patterns compared to non-REM sleep in sleep-related subcortical brain circui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feasibility of exploring functional brain networks using sleep EEG-fMRI for whole night sleep via appropriate experimental procedures and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for fMRI and EEG. 목 적:본 연구는 전수면주기동안 수면단계에 따른 전체뇌영역과 수면 관련 뇌영역들의 뇌기능 연결망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동기화된 뇌파(EEG)-자기기능공명영상 (fMRI)를 전 수면 주기 동안 측정하고 신호처리 기법을 사용 함으로수면단계에따른뇌연결망의탐구가가능함을살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 법:정상 성인 피험자 5인을 대상으로 6~7시간의 수 면동안 MRI 기계 안에서 안전도, 심전도, 근전도와 EEG- fMRI를 측정하였고 EEG에 발생한 MRI 자장 변화 잡음과 심박관련 잡음을 제거하였다. fMRI에서는 피험자의 움직임 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부분볼륨활용기법 을 제안하여 사용하였다. 잡음이 제거된 수면중 fMRI에 독 립성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뇌 전체를 68 영역으로 구획하 여 수면 연구에 적합한 뇌 구획 지도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 로 각 구획들간의 연결성을 계산하였다. 수면관련 뇌심부 영 역을 선택하여 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 과:뇌파를 비롯한 수면 생리적 신호들은 잡음 제거 의 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수면단계설정에 문제가 없으며 수 면 단계별 뇌 연결망 연구가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뇌연결 망 분석에서 수면 관련 뇌심부 연결망은 렘과 비렘수면에 따라 다른 특성이 나타나는데 비렘수면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연결성을보였다.대뇌를포함한전체뇌연결망의경우각 성에 비해서 수면 중에 뇌 연결성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Kolmogorov-Smirnov 검정 ; p < 0.05, Bonferroni cor- rected). 결 론:본 연구를 통해서 장시간 수면 EEG-fMRI 측정 과 수면단계설정이 가능하고 신호처리 기법을 통해서 보정 하게되면뇌기능연결망을이용한전체수면뇌연구가가 능함을 시사한다.

      • 뇌가 마음을 설명할 수 있을까?

        전지원 ( Ji-won Chu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7 동양문화연구 Vol.27 No.-

        전통적으로 철학과 심리학에서 인간의 마음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관점이 있어 왔다. 최근 신경과학 및 뇌영상학의 발전으로 살아있는 뇌의 기능적 양상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두뇌의 작동방식으로 마음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특히 뇌기능자기공명영상은 혈액산소수준의존(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을 통해 뇌의 기능적 활동양상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뇌신경적 활성화를 측정할 수 있다. 뇌기능 연구 방법을 통해 실험과제에 따른 뇌기능적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행동반응양상과 관련된 뇌기능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적 뇌연결성 분석을 통해 뇌의 각 영역이 다른 영역들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체화된 인지적 관점에서 지능적 행동양식은 신체, 뇌, 그리고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계산인지신경과학 분야는 외부 환경에 따른 행동적 측면을 고려하여 신경적 활동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뇌의 작동방식에 기인하여 마음을 설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Traditionally, there has been various approach in order to explain human mind in philosophy and psychology. Recently,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technique let available to investigate functional aspects on the human brain. Therefore, many researchers try to explain mind using neuroimaging technique. In particular,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e measures neural activities on the brain by detecting changes related to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We could acquire functional neuroimaging associated with behavioral response towards experimental task. Also, we could identify core brain networks using functional connectivity analysis. Embodied cognition has grown in importance in light of recent mind-body issue. In embodied cognition approach, intelligent behavioral pattern has emphasized interaction among body, brain response, and environment. Computational cognitive neuroscience suggest that neural modelling based on context condition, and explain human mind based on brain response.

      • KCI등재

        뇌과학 연구와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기술 동향

        이충희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1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is a new imaging technique developed recently, and can non-invasively obtain activated brain images arising from the blood oxygen level dependence (BOLD) effect. The state of the art in brain science research and fMRI is reviewed, the R\&D results and the patents for MRI and fMRI obtained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Union, Japan, and Korea, are presented, and their technological levels of brain science research, MRI, and fMRI are evaluated, providing future outlooks for progress in brain science, MRI, and fMRI. In this paper, brain structure and function, the principles of NMR, MRI, and fMRI, and their applications in brain science studies are presented. 뇌과학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fMRI) 기술의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학술정보 및 기술특허 분석을 통하여 미국, 유럽, 일본, 한국 등 주요국의 뇌과학 연구와 자기공명영상 (MRI), fMRI의 기술 수준을 평가하고, 국내의 MRI, fMRI 및 뇌과학 연구의 전망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국의 MRI, fMRI, 뇌과학 기술 관련 국가의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정책의 우선순위 및 R\&D 투자, 연구수준, 특허건수, 관련 생산업체의 경쟁력 등 전체 경쟁력은 미국이 1위이고 다음은 유럽, 일본, 한국 순이다. 본 논문에서는 뇌의 구조 및 기능, 뇌신경 신호검출 및 생리학적 기능영상기법, 핵자기공명 (NMR), MRI, fMRI 등의 원리와 뇌과학 연구관련 응용에 대해 소개한다.

      • KCI등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장애(ADHD) 아동의 작업기억 과제 수행 시 fMRI 분석

        이용기(Yong-Ki Lee),안성민(Sung-Min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학생의 지적결함, 학습 문제 및 저조한 학업 성취는 이들이 정상 학생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지능을 가졌기 보다는 주의를 집중하지 못하는 특성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HD 학생들과 정상군 학생들의 뇌기능영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ADHD 학생들의 뇌기능 차이와 작업기억 과제 시 나타나는 뇌의 활성영역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뇌기능영상과 임상설문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뇌기능영상의 자극은 작업기억으로 하였다. 분석에는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작성법과 사회과학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단일표본 t 검정, 두 표본 t 검정, 다중 회기 분석 등으로 분석 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에서 나타내었다. 그 결과 ADHD 학생들의 전두 피질, 두정엽 피질, 시상, 미상핵 등 많은 부분에서 불균형적인 발달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작업기억 과제 수행의 어려움을 느낄수록 일부 안와 전두 피질, 해마가 활성화되었다. 보다 많은 ADHD 학생들의 대상자가 확보되어 ADHD 유형별 연구가 필요하며, 뇌기능영상에서 보다 많은 자극으로 실험한다면 ADHD 학생들의 전반적인 뇌기능평가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tudents’ intellctual defects, learning problems, and poor academic achievements seem to be due to significantly lower intelligence compared to the normal students, but rather the characteristic of inability to pay attention at a given time can be seen as the more attributing reason. In this study, a comparison between the ADHD students and the normal students will be performed using a fMRI analysis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brain fu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a working memory task performance and to assess the difference in the activated regions of the brain. Clinical survey examinations and fMRI measurements were performed for a group of 26 elementary students from the Incheon area. The stimulus of fMRI was a working memory. Cartography statistically analyzed parameters and the Statistical Package of Social Sciences using single-sample t-test, two-sample t-test,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 <0.05 in, respectively. The disproportionate developments could be seen in the ADHD students group such as the frontal cortex, parietal cortex, thalamus, and caudate nucleus, among others. In addition, as some students felt the increase in the difficulty of working memory task performance, the orbitofrontal cortex and the hippocampus were activated, which seems to be the result of an effort for looking for an answer. More types of ADHD students needs to be secured as research subjects, and more stimulations for fMRI experiments should be considered as it would be useful in the overall evaluation of brain function.

      • KCI등재

        ADHD 아동의 뇌 기능적 특성 분석

        홍선주,손영돈,성태제,김성숙,진경애,이명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7 No.3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학령기 아동에게 흔하게 발병하는 정신장애로 산만성, 부주의성, 그리고 충동성의 부적응 행동을 보인다. ADHD 학습자는 특징적 증상들로 인해 학업을 포함하여 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등에도 어려움을 경험한다. 특히 발달과정에서 품행장애, 우울증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공존질환을 유발하여 청소년기의 정서 및 인지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정서 · 행동 문제를 야기하는 뇌 기능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초등학교 3~4학년 ADHD 아동과 일반 아동의 실행기능상 뇌 기능적 특성을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을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fMRI 영상 분석 결과 ADHD 아동은 자동적인 인지반응에 대한 억제와 인지전환에서 일반 아동과 다른 뇌 활성화 패턴을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 발견된 ADHD 아동의 뇌 활성화 패턴에 대한 결과와 ADHD 아동의 뇌 기능적 특성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ADHD 아동의 뇌 발달과 기능 촉진을 위한 인지증진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필요성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Currently, school bullying and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 of adolescents are important causes of undermining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atisfaction at public school. Students who experience school bullying and suicidal behavior have diverse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clud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DHD is a kind of mental disorder that is commonly detected in school-aged children and could be one serious origin of bullying and depression lead to suicide of adolescents. In the current study, we compred the brain activation patterns between ADHD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during Arrow-Word Strooo task using fMRI. The result indicated ADHD childrens’ dificits of goal-driven cognition ability such as Default Mode Network (DMN) inhibition and cognitive set shifting. We suggested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gnitive enhancement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who diagnosed ADHD and have similar symptoms of ADHD in early childhood.

      • KCI등재

        뇌영상 증거의 과학적 증거로서의 기능과 한계

        이인영(Lee, In-Young) 韓國刑事法學會 2010 형사법연구 Vol.22 No.4

        A number of neurosience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electroencephalophy(EE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PET). In recent years development efforts over the past decade have increasingly focused on fMRI. Developments in neuroimaging has facilitated new research investigations into normal human brain functioning and have provided important new sights into the mechanisms of many neurological and psychiatric disorders. Brain images are becoming more common in courts in America. Some lawyers and neuroscientists are critical of introducing a brain images as legal evidence in criminal courts. Therefor, before admitting to introduce functional brain images in criminal trials, court must answer these central questions: How probative for criminal responsibility is the brain images? and whether the brain images confuse or mislead, how dangerous is the brain image? Does its danger substantially outweigh its probative value? We should focus on the extent to which brain images could be used to reduce responsibility, not to establish it. Brain images are sometimes offered to show that a particular defendant is abnormal in some way that is claimed to remove or reduce criminal responsibility. But even if in many cases the defendants has a functional abnormality that is correlated with violent crime, correlation does not prove causation. To be relevant to criminal responsibility, it is not enough for the brain image to disclose an abnormality that caused the criminal behavior. Any data regarding brain structure or function is unlikely sufficiently contemporaneous to the time of the crime to be meaningful. Because of this scientific uncertainties, the use of data from brain images in the courts has to be admittable in restrictive conditions. In recent brain scan might be admissible in some situations, such as capital sentencing. We carefully consider the question, whether brain images bring more harm than good to criminal trials. Some lawyers and neuroscientists answer that only time and carefully analysis will tell. We need to determine the error rates of various methods in neuroscience and to prepare the basic guidelines of using brain images as legal evidence and establish appropriate rules governing the burden of proof.

      • 정서유발단어에 대한 주의이동시 뇌신경망의 활성 양상

        김연희,장은혜,고명환,신승훈,양경혜,손진훈 한국뇌학회 2002 한국뇌학회지 Vol.2 No.2

        본 연구는 fMRI를 사용하여 정서유발단어에 의한 주의이동과 관련한 뇌신경망을 규명하기 위하여 12명의 오른손잡이 여대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fMRI 실험을 위한 뇌활성화 과제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선정된 행복, 슬픔, 위협에 해당하는 각각 36개씩의 단어와 각 단어의 짝을 이루기 위한 중성단어를 이용하여 변형된 Posner 패러다임을 블록디자인으로 고안하였다. fMRI 영상은 1.5T Simens Vision scanner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single-shot EPI 기법으로(TR/TE:3840/40ms, flip angle: 90, FOV: 220, 64x64 matrix, Slice thickness: 6mm) 이미지를 얻었고 피험자의 반응시간을 기록하였다. 자료분석은 SPM-99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정서유발단어는 중성단어에 비하여 반응시간이 의미있게 빨라 효과적인 주의이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정서유발단어와 중성단어에 의한 뇌활성화 상태를 감산분석한 결과, 좌측 상두정엽, 양측 후두엽 및 소뇌에서 뇌활성화를 보였고, 이들 영역은 정서유발단어에 의한 주의이동시 특징적으로 활성이 일어나는 뇌영역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여러 가지 정서가를 가진 단어에 의해 유발되는 주의의 정도가 특징적인 신경망의 활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neural network related to the shift of attention and its modulation by emotion-provoking words using functional MRI (fMRI). Twelve right-handed normal female volunteers participated in fMRI study. Their mean age was 24 years and the mean modified Edinburgh score was +90. Emotion-provoking words representing happy, sad, threatened, and neutral emotional valences respectively were chosen by the assessment of 60 normal volunteers using semantic differentiation and Mannequin scales. The activation tasks were designed using modified Posner's paradigm to have 4 blocks of each emotional and control periods, Imaging was conducted on a 1.5T Siemens Vision scanner. Single-shot echoplanar images (TR/TE = 3840/40 ms, flip angle = 90, FOV = 220, matrix = 62 ? 64, slice thickness = 6㎜) were acquired in 20 contiguous slices parallel to the AC_PC line as well as conventional T1-weighted images. Response times were obtained during the scanning, Imaging data were realigned, coregistered, normalized, smooth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in group using SPM-99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valence of word stimuli produced the effect of attentional engagement. The left superior parietal, inferior frontal, bilateral occipital lobes and cerebellum were main area of modulation of attentional network by emotional words stimuli. The different extent of brain activation induced by different emotion-provoking words were determined.

      • KCI등재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 증거의 정확도와 법적 시사점

        홍성욱 ( Sung Ook Ho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서울대학교 法學 Vol.52 No.3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various experimental researches using an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chine as a lie-detecting device, and evaluate whether such fMRI images will be accepted as reliable evidence in courts. For thi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history of polygraph lie detector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before the advent of fMRI lie detectors. It then discusses the principles of fMRI technique along with its limitations, as well as experimental researches using fMRI that have attempted to pinpoint the neural correlates of telling lies. After this, the paper explores various criticisms on using fMRI as lie detectors by classifying them into four different, but related, categories. Then, some positive evaluations on the use of fMRI lie-detecting devices will be examined. By synthesizing these various opinions and analysis over the use of fMRI as lie-detecting devices, the paper will suggest its legal implications, estimating the possibility of fMRI images being accepted as legal evidence in courts in the future.

      • KCI등재

        휴식상태 뇌기능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파킨슨병 환자의 발성 관련 배쪽시상핵 기능연결성 분석

        김선우(Sun Woo Kim),박영훈(Yeong-Hun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환자의 말산출 연결망을 증명하기 위해 휴식상태 기능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하여 발성에 관여하는 주요 핵으로 알려진 배쪽시상핵과 대뇌피질 간의 기능적 연결성(functional connectivity, FC)을 살펴보았다. 방법: 약물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상태인 PD 환자 14명과 정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3.0 Tesla로 뇌영상을 획득한 뒤 두 집단 간의 FC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집단 간 FC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된 대뇌피질에 대해 집단 내에서 선형적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통제군에 비해 PD 환자군은 오른쪽 시상과 좌우 대뇌피질 간의 FC가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며, FC가 감소된 대뇌피질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좌반구의 상전두이랑, 중전두이랑, 중측두이랑, 쐐기앞부분과 우반구의 내측전두이랑, 중심뒤이랑이었다. 두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인 피질영역들 간의 상관관계를 집단 내에서 비교한 결과, 정상 집단은 왼쪽 쐐기앞부분-두정엽 영역(오른쪽 중심뒤이랑)에서 정적 상관관계(r=.857)가 존재한 반면에 PD 환자군은 왼쪽 쐐기앞부분-전두엽 영역(오른쪽 내측전두이랑, 왼쪽 상전두이랑 및 중전두이랑)(r>.60)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발병 후 PD 환자군의 발성 능력 감소는 오른쪽 배쪽시상핵과 좌우 대뇌피질 간의 기능적 상호작용 감소와 관련되며, 특히 대뇌피질 단계에서 확인된 쐐기앞부분과 전두엽 영역 간의 높은 상관관계는 발성에서 쐐기앞부분이 대뇌피질 영역을 통합하는 주변 핵심으로서 기능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Phonation impairment is a frequent symptom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PD). Phonation generally worsens as the disease progresses, causing a progressive loss of communication abilities and increasing isolation from society. Despite our understanding of the sites primarily responsible for phonation in normal subjects (NS), alteration of the functional network in patients with PD still remains unclea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of neural systems of phonation, using the resting-state fMRI (rs fMRI) technique, that in comparison to NS, patients with PD exhibited altered functional connectivity associated with the thalamus. Methods: We acquired rs fMRI, and then analyzed the functional interactions from the seed regions of interest (ventral thalamic nuclei). This study included 14 patients with PD and 10 NS. All participants underwent fMRI scanning with a 3.0-Tesla MRI scanner to obtain T2*-weighted single-shot echo planar imaging sequence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PD, in the “ON” medication state, exhibited reductions in the right thalamus and both hemispheres of the cortex in the phonation network compared with controls. Specifically, in the PD group, the right thalamus seeds showed strong contralateral connections with the left cortex. In addition,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ft precuneus and the both frontal lobules (r>.60) in the PD group. Conclusion: Using the rs fMRI technique, we provided evidence that the patients with PD exhibited a significantly lower functional connectivity when compared to the NS group in relation to phonation control. Also, our data demonstrated bilateral organization of the rs connectivity in contrast to dominant functional influence of the left hemisphere on correlation organization, and recruitment of the right thalamus within the PD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