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배가사 <북정가> 연구

        김정화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4 No.-

        <Bukjeongga> is the long length exile Gasa composed in the 19th century, which is the first work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It is included in Donam bungo) 『Gagok 38』 possessed by Yeungnam University. It is an astonishing thing to discover another exile Gasa when there are just dozens of exile Gasa found so far. Furthermore, <Bukjeongga> was a work by a nobleman and is the latest exile Gasa. And, it is also unique in that it was enjoyed at women’s quarters. Lee Jungen is allegedly known as the author of <Bukjeongga>. He was born in 1837 and was in exile in 1886. The work was written not long after his exile. It might be 1886 or right after. <Bukjeongga> reaches almost 1400 phrases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Though they are long length works, they are organized very well. The first part has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author described his situation on exile and its reason for his destiny. In the second part, he described own history grown in the greatest family, life of exile and regret and satire on life. In the third part, he made up his mind to keep his own place. While many kinds of long length Gasa have partial disorganization, <Bukjeongga> is not. Exile takes its focal point and other contents support his improper and unjust exile, which demonstrates solid composition in terms of structure. Meanwhile, exile Gasa <Bukjeongga> describes hardships of exile life vividly. It is a matter of fact that a nobleman could not escape hardships of life of exile. <Bukjeongga> records sufferings from disease and lack of money and disgrace due to degradation of social position in several occasions. <Bukjeongga> describes social conditions in various hierarchies. Slanders were rampant, and there were many greedy thieves and shameful noblemen and scholars. This is his demurral as a nobleman who suffered from unfair exile. The result of sin that was not compromising with world was exile.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tructure of <Bukjeongga> as an initial work, followed by the features of exile Gasa focusing on the author’s exile Gasa. Although study on contents is important, it needs thorough annotation in the first place and the study of formality is also needed. This study could not comprehend many due to the shortage of the length, it is expected that more specified study with comparison with others is carried out. 본고에서 살피고자 하는 <북정가>는 19세기에 창작된 장편 유배가사로 학계에는 처음 소개되는 작품이다. <북정가>는 영남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남문고본 『歌曲三十八種』에 들어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유배가사가 10편 정도밖에 되지 않는 상황에서 또 하나의 유배가사가 발견되었으니 실로 놀라운 일이다. 게다가 <북정가>는 양반 사대부의 작품이면서 상당한 장편이고, 가장 최근의 유배가사이며, 규방 공간에서 향유되었다는 점 등 여러 면에서 비상한 관심을 끈다. <북정가>의 작자는 이중언으로 추정된다. 작자는 1837(정유년)년에 태어났으며 1885년 12월 추착(推捉)되어 1886(병술)년 2월 29일 유배를 떠나게 된다. 작품을 쓴 시기는 유배지에 도착한 후 얼마 되지 않은 시점으로, 1886년 내지는 그 직후일 가능성이 크다. 길이는 4율어(<음보>)를 1구로 했을 때, 약 1400구에 가깝다. 4율어구 정격구가 대부분을 이루는데, 각 율어를 이루는 음절의 수는 3음절과 4음절이 우세하고 2음절은 드물게 나타난다. 전체적인 구성은 서사, 본사, 결사로 이루어져 있는데, 장편임에도 불구하고 구성이 매우 정연하다고 평할 수 있다. 서사는 이중의 구조를 지니고 있는데, 유배를 떠나게 된 자신의 신세와 이 모든 것이 팔자 소관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고, 본사에서는 대명가에서 성장한 자신의 내력과 본격적인 유배 및 사대부로 살아온 자신의 생애에 대한 후회와 여러 삶에 대한 풍자를 드러내며, 결사에서는 자신이 살아온 대로 분수에 맞게 살 수밖에 없음을 새롭게 다지고 있다. 장편 가사들이 구성면에서 대부분 부분적인 파탄을 지니고 있음에 비해, <북정가>는 그러한 부분이 매우 적으며, 유배가 주된 내용을 이루면서 다른 내용들도 자신의 유배가 부당하고 억울한 일임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긴밀한 짜임을 지니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유배가사 <북정가>에는 구한말 선비의 유배체험이 사실적으로 드러나 있는데, 두드러지는 점이 고생담에 대한 서술과 세태 고발이다. 사대부라고 해서 유배길에 고난이 없었을 수는 없다. <북정가>는 작자가 사대부이면서도 병으로 인한 고통, 노자 부족으로 인한 고생, 신분 하락으로 인한 치욕 등 자신이 받은 고난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굴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유배로 인한 고생담은 작자의 자기 토로이다. 이는 19세기에 오면서 가사의 장편화와 더불어 사실적이며 보고적 성격이 부각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것이다. <북정가>에서 각계 각층을 통해 드러내는 세태 현실은 매우 구체적이다. 참소가 부귀공명의 수단이 되고, 욕심에 눈이 먼 포군, 관속, 토호 등 모두가 도적과 다를 바가 없으며, 부끄러운 사대부와 학자가 들끓는 혼탁한 세상의 실태를 개탄한다. 이는 한편으로 자신의 억울한 유배에 대한 사대부로서의 항변이다. 백성에게 은택을 펼치지 못한 데 대해 사대부로서 책임 의식을 느끼는 것 또한 일종의 항변이다. 올곧게 살아온 자신이 세상에 대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세상과 타협하지 못한 죄의 결과는 유배일 뿐이다. 자신의 유배가 억울하다고 하는 대신 세태를 고발하는 사대부로서의 항변은 <북정가>의 작품성을 보여주는 한 면이 될 것이다. 본고는 <북정가>에 대한 일차적인 작업으로 전체적인 구성을 간략히 살피고, 작품에 드러난 작자의 유배체험을 중심으로 유배가사로서의 특징...

      • KCI등재

        유배, 일상의 단절과 소통 - 박태보(朴泰輔)의 선천(宣川) 유배 생활을 중심으로 -

        김경숙 한국고문서학회 2023 古文書硏究 Vol.62 No.-

        This essay reconstructs the everyday lives in exile, in terms of his connection and communications, which Pak T’ae-bo, a fresh official, lived in the 17th century. In the place of exile where his preexisting connections were cut off, he had to manage to live a new ordinary life differing from his past one. That is, Pak came to associate himself with the persons on the site such as district magistrates or Buddhist monks. Also, he led a leisurely everyday life by sightseeing beauty spots in his exile place as the so-call leisure class did it in those days. Meanwhile, Pak maintained his old personal ties by exchanging letters with his family and relatives in Seoul, which made it possible to continue his past everyday life in Seoul. This was helped by the fact that his place of exile was Sŏnch’ŏn located on the Ŭiju Road connecting between Ŭiju and Seoul. Taking advantage of the contemporary official post-station system(p’abal), his extended-family members and he asked official couriers deliver their letters to each other. His father and uncle on his mother side told him that his exile was the ordeal in his lifetime and at the same time an opportunity of his growth, emphatically requesting that he had to cultivate his learning and character. We need to appreciate exiler’s life by integrate his new isolated everyday life and continual one, and also his association with acquaintances in the place of exile and his communications with his family members.

      • KCI등재

        조선 선조대 지산 조호익의 유배생활

        우인수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6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Jo Ho-ik's life in exile. Jo had a peculiar career involving 17 years in exile from the age of 32 to 48. The study examined how he was sent into exile and how he looked on the journey to exile in many aspects. His life in exile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suffering of confinem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excursions to mountains. At the age of 32 when he was living in Changwon, Jo was designated as an illegal force in the country, being hated by Choi Hwang, the governor of Gyeongsang Province, who tried to have him sort out the army list. Eventually, he received a cruel punishment of being moved to a remote region with his entire family. Analysis of his Seojeongbu(西征賦) offers some clues to how he looked on his journey of exile from Changwon to Gangdong. He loaded all the household goods in a cart and hit the road on the back of horse, being accompanied by a groom and servant. Some of his brothers and relatives would accompany him on the journey for some distance as long as their circumstances allowed. He had to pay for all the costs to the destination. Arriving in Gangdong-hyeon, Pyeongan Province, his exile destination, he had a temporary house allocated to him. Later he built a house at a proper location and settled down there. His life in exile was a succession of loneliness, yearning, and inconvenience. Despite all that, he managed to accept his situation relatively well and sublimate it to deepen his study as an intellectual that had cultivated his academic quality. In addition, he taught many students gathering from neighboring areas and made them into his pupils. It was a great reward for him to meet and teach such talented scholars as Lee Shi-jik and Kim Yuk. Though he was sentenced to exile, he was allowed to live a relatively free life within the perimeters of the designated area. Since he was from a noble family with knowledge, the local chief administrators in charge of his supervision applied flexibility when dealing with him. He was even permitted a holiday once every several years to visit his hometown and made an excursion to Mt. Myohyang and Mt. Hyangpung in the vicinity. 이 논문은 조호익의 유배생활을 다룬 글이다. 조호익은 32세에서 48세까지 17년간 유배생활을 한 특이한 경력의 소유자였다. 본고에서는 유배를 떠나게 된 경위를 살폈고, 유배길에서의 여러 모습도 아울러 살폈다. 그리고 유배지에서의 생활을 구속의 고통, 교육활동, 산수유람 등의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호익은 창원에 거주하던 32세 때 그에게 軍籍 정리를 담당케 하려던 경상도 都事 최황의 미움을 사서 향촌의 불법적인 세력가로 지목되었다. 결국 변방지역으로 가족 모두를 이주시키는 가혹한 형벌에 처해졌다. 창원에서 강동에 이르는 유배길의 모습은 그가 쓴 「西征賦」의 분석을 통하여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었다. 수레에 가재도구를 모두 싣고 말을 타고 길을 떠났다. 마부와 종자를 대동하였으며, 형제와 친척이 자신의 형편에 맞추어 일정 거리를 동행하다가 돌아가곤 하였다. 목적지까지 이르는 길에서의 모든 경비는 본인이 부담하여야 하였다. 목적지인 평안도 강동현에 도착하여서는 임시 거처를 배정받았다. 그 후 적당한 곳에 집을 짓고 정착하였다. 외로움과 그리움, 그리고 불편함의 연속이었다. 그런 가운데 그는 학문을 닦은 지식인답게 자신의 처지를 비교적 잘 수용하면서 그것을 학문을 깊이 하는 기회로 승화시켰다. 그리고 주변 지역에서 몰려드는 많은 학생들을 제자로 길러내었다. 이시직이나 김육 같은 인재를 만나 가르친 것도 큰 보람이었다. 한편 전가사변형에 처해졌다고는 하지만 해당 현의 범위를 벗어나지만 않으면 비교적 자유롭게 살 수가 있었다. 그리고 학식이 있는 사족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감독 책임을 진 수령들도 대개 융통성있게 대해 주었다. 수년에 한 번 정도씩은 휴가를 받아 고향에도 다녀왔으며, 인근 지역에 소재한 묘향산과 향풍산을 유람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후보

        文谷 金壽恒의 시문에 구현된 靈巖 유배지에서의 생활

        박명희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8 호남학 Vol.0 No.43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Kim Soo-Hang lived in his exile at Yeongam through his poetry, and how to use the exile and to present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To look at Kim Soo-Hang’s poetry at the early exile life at Yeongam, we often find that he was somewhat depressed. It is assumed that a few factors such as his fear to strange place would work together while he was guilt he was an exile. He identified himself with Gulwon who was exiled as a public servant of Chu Dynasty, China and was finally dead at the exile to maximize his miserable status. However, he did not consider his life as pessimistic as Gulwon. Rather, he showed his intention to accept his condition as it was while keeping identifying himself with Gulwon. Kim Soo-Hang made a tour of Mt. Wolchul while in exile, which means the radius of his actions was considerably wide. He had difficulty in adjusting to his conditions at the beginning of his exile, but as he recovered his stability, he kept his composure to look around his surroundings. In particular, friendship with Buddhist monks in monk cells of Mt. Wolchul and his tour of mountains and waters and exchange with many people were very valuable to him. Kim Soo-Hang was unwilling to make friends with people in the beginning of his exile, but as time went by, he made a tour of mountains and waters and communicated with neighbors. He was able to communicate with them because he adjusted to the nature and the friendship with them was true. It will be useful to reorganize his poetry and writing written in Yeongam into stories, considering them as “Kim Soo-Hang’s records of Yeongam”. Fortunately, as he wrote a considerable amount of writing and poetry, we can have a wider chance to reorganize them as stories. Though his writing is not a journal with exact dates, it presents how he lived there in regular sequence. 본 논고는 김수항이 영암에서 유배 생활을 할 당시 어떻게 생활했는지를 그가 남긴 시문을 통해 추적해보고, 그러한 시문의 활용방법과 앞으로의 전망을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였다. 김수항의 영암 유배 초기 시문들을 보면, 우울한 모습이 자주 보인다. 이는 죄를 지어 온 몸이라는 생각도 있었겠지만, 처음 접하는 낯선 공간에 대한 두려움 등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면서 자신을 중국 초나라의 신하로서 유배를 가 결국 생을 마감한 굴원과 동일시하는 모습을 보여 스스로의 처지를 극대화하고 있다. 그렇지만, 굴원처럼 생을 비관적으로 보지는 않는다. 오히려 중반으로 갈수록 굴원과 동일시하는 모습을 견지하면서도 자신의 처지를 그대로 받아들이겠다는 의지를 드러낸다. 김수항이 유배 온 상황에서 월출산을 유람했다는 것은 그 자체만 두고 보더라도 행동반경이 상당히 확대되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처음 유배 왔을 때는 낯설기 때문에 모든 것이 힘들었을 것인데, 점차 마음의 안정을 되찾아가면서 주변 승경에도 눈을 돌릴 여유로움을 가졌을 것이다. 특히, 도갑사 스님 등을 비롯한 월출산의 크고 작은 암자의 스님들과의 교유는 이념을 초월한 인간 대 인간의 만남이기 때문에 더욱더 값진 것으로 산수 답사를 통한 外遊의 확대는 결국 인간적인 교유의 확대로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의미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김수항은 처음 유배 왔을 당시 외부 사람들과 거의 접촉을 꺼려했었는데, 점차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을 완상하고 주변 산수를 답사하는가 하면, 멀고 가까운 현지인들과 소통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현지인과의 소통이 가능했던 것은 김수항이 자연인으로 돌아갔기 때문이며, 형식적이지 않고 진정한 뜻을 담고 있기에 더욱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김수항이 영암에서 남긴 시문 및 문장 등을 ‘김수항의 영암 기록물’로서 생각하여 이야기를 재구성해보는 방법도 활용적인 측면에서 한 번 고려해볼만한 일이다. 다행히도 김수항은 영암 유배지에서 적지 않은 시문 등을 남겨 이야기를 재구성할 수 있는 여지를 다분히 제공해주고 있다. 김수항의 영암 기록이 연도와 날짜까지 정확히 알려주는 일기문의 성격은 아니지만, 어떻게 생활했는지를 순서를 지켜 많은 시문들은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삶에서 행복담론과 윤리교육적 함의

        장승희 한국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0 No.1

        This study attempted a happy discourse in Dasan Jeong Yakyong's life and explored its ethical educational implications, using the 'studies of happiness' from positive-psychology as the basis. Recently, as social distinctions and non-face-to-face education with Corona 19 expand, it has become difficult for the generation corona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to feel happy due to the corona-blue. Dasan Jeong Yak-yong, who liv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overcame hardships during his 18-year exile. His attitude to life teaches a great lesson to people today. According to the happiness formula of 'happiness studies'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H=S+C+V [happiness=born temperament(48%)+external condition(10%)+voluntary effort(42%)]. The natural temperament and external condition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so there are about 42 percent of what one can achieve by trying on its own. Let's apply this fact to Dasan's life. Prior to exile, Dasan lived a happy life as he practiced Confucian learning from his family and relatives in his childhood. After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in the past, he had to live a precarious public life. As Dasan's family was deeply related to Catholicism, Dasan was constantly attacked by the powerful. After King Jeongjo's death, Dasan's family was devastated by the new persecution, and Dasan had to live a long exile. In general, 70 percent of people fall into 'learned helplessness' in adversity, but Dasan overcame the extreme environment of exile and made great achievements. His pursuit of happiness in exile can be explained by three efforts, linked to his ideological orientation. First, it is ‘Sindok[愼獨]’, a method of mind study based on fear of Heaven. Second, he loved learning[好學], so he found meaning in life through writing and left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as his legacy. Third, 'Yeou[與猶]’ which is same as his house name, which refers to an attitude of always being cautious and wary in human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I searched for three meanings of ethics education. First, the need for effort and mind study to overcome any hardship, second is the methodological effort to find the meaning of life by exercising one's own strengths, and third is the humanities mind healing method. Today's spirit of the times is 'happiness' in addition to tangible and intangible wealth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healing of Corona Blue, happiness education is needed for the generation corona in terms of sociality and emotion. The fact that 42% of the pursuit of happiness in Happiness Studies depends on their own efforts shows that people's happiness are highly depend on their own efforts. The effort attitude of pursuit happiness shown in the life of Dasan Jeong Yak-yong in the Corona era will be great help in setting the direction of pursuit happiness. 이 글의 목적은 긍정심리학의 ‘행복학’을 토대로, 다산 정약용의 삶에서 행복담론을 시도하고 윤리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것이다. 행복학의 행복공식에 의하면, H=S+C+V[행복=타고난 기질(48%)+외적 조건(10%)+자발적 노력(42%)]이라고 한다. 즉, 타고난 기질과 외적 조건이 큰 비중을 차지하여 자신의 노력으로 이룰 수 있는 부분은 약 42% 정도이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속되고 비대면 교육이 확대되면서, 코로나블루(corona-blue)로 M-세대는 물론 일반인들도 행복감을 느끼기 어려운 상황이다. 조선후기 18년의 유배생활 동안 고난과 역경을 지혜롭게 극복한 다산 정약용의 삶의 자세는 오늘날 사람들에게 시사해주는 바가 크다. 유배 이전 다산의 어린 시절은 유교적 배움을 실천하던 행복한 삶이었지만, 과거 급제 후 관직생활은 당쟁의 심화로 살얼음 걷는 듯 위태로웠다. 다산의 가문은 천주교와 깊이 연관된 남인으로 끊임없이 정치적 공세를 받았는데, 정조의 죽음 이후 신유박해로 풍비박산이 나고 다산은 긴 유배생활을 해야만 했다. 일반적으로 70% 사람들은 역경을 경험하면 ‘학습된 무기력(learned helplessness)’에 빠진다고 하는데, 다산은 유배라는 극단적 환경에서도 역경을 극복하여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유배생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다산의 노력을 행복담론과 연계시켜 그의 사상적 지향을 염두에 두고 세 가지로 분석해 보았다. 첫째, 상제에 대한 외경을 토대로 ‘신독(愼獨)’으로 마음공부를 하며 자기관리를 한 것이다. 둘째, 자신의 성격강점인 ‘호학(好學)’을 발휘하여 저술 작업에 매진함으로써 유배생활에서 삶의 의미를 찾았을 뿐만 아니라 『여유당전서』를 유산으로 남긴 것이다. 셋째, 그의 당호인 ‘여유(與猶)’는 자신의 경험에서 나온 삶의 자세인데, 인간관계를 비롯한 모든 것에 항상 조심하고 경계하는 태도를 유지하려고 한 것이다. 이러한 다산의 행복추구 노력과 방법을 토대로 청소년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윤리교육적 함의는 세 가지이다. 첫째, 고난극복을 위한 노력으로서 마음공부의 필요성이며, 둘째로 자신의 성격강점을 발휘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찾는 방법과 노력, 셋째는 글쓰기를 통한 인문학적 마음치유 방법이다. 오늘날 시대정신은 유형무형의 부(富)에 더하여 ‘행복’이라 할 수 있다. M-세대의 사회성과 정서적 안정을 위해 무엇보다 행복교육이 필요하다. 행복교육을 위해 사회적․제도적 준비뿐만 아니라 자신의 노력으로도 가능하다는 점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다산 정약용의 유배생활에서 보여준 삶의 태도와 노력들이 코로나 시대 행복추구의 방향 제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唐代長流補闕

        종호 ( Hao Zhong ) 한국중국학회 2015 中國學報 Vol.72 No.-

        Despite of the three common levels Banishment, there are three other kinds of Banishment in the Tang Code, which is Five Heavy Banishment, Special Banishment and Banishment with Heavier Labour. What do not legislate into Tang Code even till the end of Tang Dynasty is the Life Exile, which was first executed under the rule of Gao Zong [高宗]. For such unique reason this paper could only conclude the institution of this execution from the especially cases of the Life Exile. The study based on the analyzed those recorded cases of Life Exile in the three books of Tang Records, History as Mirror and Ce Fu Yuan Gui [冊府元龜] . The paper demonstrated that Anzhi [安置]is the way to deal with royal member, on the other hand functionary had to be exile. What could be found is Life Exile proves it’s stark political character at the start and in the end of Tang Dynasty, but in middle-later period it becomes weak. The main reason for Life Exile has to be existed is the original criminal law system cannot satisfied, the Ruler required it to run the role bureaucracy. After the time of Xuanzong [玄宗] the Life Exile have been used widely, and almost be routinization.

      • KCI등재

        18세기 후반 정조 초엽, 이방익의 <홍리가>에 나타난 유배 체험과 인식 고찰

        남정희(Nam Jeong-hee)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6 No.-

        이 글에서는 18세기 후반, 정조 대에 중추도사였던 이방익의 <홍리가>를 독해하고 작품 속에 드러나는 의식 지향을 검토하였다. 1783년에 창작된 이 작품 속에는 유배자로서 이방익이 겪은 삶의 고통과 시련이 비교적 솔직하게 거론되고 있으면서도 전대의 사대부 유배가사와는 다른 점도 드러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작품은 개별적인 독자성과 함께 조선후기 가사로서의 변모의 모습도 드러내고 있다 할 것이다. 이방익은 정치적인 맥락에서 조선의 관료 사회에서 서반의 말직을 역임하였고 가장 비주류적인 위치에 놓여 있었다. 그는 1782년에 노론 청류였던 이택징의 반역 사건에 연루되어서 남해의 고도인 구자도로 유배를 떠나 <홍리가>를 창작했다. 논지를 전개하는 과정에서는 주로 <홍리가>에 나타나는 유배지의 현실을 상세하게 고찰하고 작자가 유배의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를 정밀하게 고찰해 보았다. 관의 힘이 미치는 공간 속에서 화자는 복종과 경멸의 태도를 함께 취하고 있었으며, 민의 공동체 내부에서는 동화되지 못했지만 백성의 고통에 대해서는 연민을 드러내었다. 작자의 이러한 이중적인 태도는 이 유배지를 체제 외부의 장소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왕의 교화가 미치지 못하는 곳으로 인식하고 그것에 대한 아쉬움과 절망감을 작품 속에서 토로하였다. 결과적으로 작자가 원하는 바는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이 일상이란 왕은 왕의 윤리를 지키고 신하는 신하의 윤리를 지키는 태평성대였다. 특히 이 시기에 정조 역시 왕이 주도하는 공론(公論)을 사대부 전체 사회에서 수용시키려고 하였다. 그런데 <홍리가> 속에서 작자는 이러한 성왕(聖王)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지만, 연군 의식을 전대에 비해 강력하게 드러내고 있지는 않다. 그보다는 오히려 사친(事親)의 정서를 작품의 전면으로 부각시켰다. 이때 연군의 정서는 전대의 유배가사 속에 구현되는 것과는 이질적이었고, 이것이 전대의 사대부 가사와는 다른 지점이 되었다. This article read < Hongriga > of Lee Bang‐ik, who was Jungchudosa at King Jeongjo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examined his propensity of 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the works. In this work, which was created in 1783, Lee Bang‐ik s life suffering and trials as an exiled person is relatively straightforward, but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xile‐gasa of the Literati. In this respect, the work also reveals the individual identity and transformation as Gasa in late Joseon. Lee Bang‐ik served as Seoban s petty office in the political bureaucratic society of Joseon and was in the center position of nonmainstreamers. In 1782, he was involved in the rebellion of Lee Taek‐jing, who was a Cheongryu of Norron, and went for the exile in Gujado, a remote island of the southern sea, to create < Hongriga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ality of exile place appearing in < Hongriga > in detail and examined precisely how the author perceived the space of exile. In the work, in the space where the power of authority is, the speaker was taking attitude of submission and contempt at the same time, and inside the community of people, though not assimilated, they showed compassion for the suffering of the people. This double attitude of the author was because he recognized this exile place as the place outside the system. Moreover, he recognized that the enlightenment of the king was insufficient, and expressed his regret and despair in his work. As a result, what the author eventually wanted to do was to return to his everyday life. This everyday life was a peaceful reign where the king keeps the ethics and the servants keep their ethics. Especially at this time, Jeongjo also tried to accommodate the king‐led public opinion in the whole society of the Literati. In < Hongriga >, however, the author perceives the existence of this sage king, but does not reveal the yearning for the King more strongly than before. Rather, he raised the emotions of the serving parents to the front of the work. At this time, the emotion of yearning for the King was dissimilar from that of the former Exile‐ gasa, and this became a different point from the Literati Gasa before.

      • KCI등재

        1855년 정재 류치명의 유배 경위와 智島 생활

        김지은(Kim, Ji-eun)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0 No.-

        이 논문은 定齋 柳致明(1777~1861)의 유배 경위와 유배지에서의 생활을 살핀 글이다. 류치명은 이황 이후 이상정으로 이어진 퇴계 학맥을 계승한 19 세기 영남 남인을 대표하는 학자이다. 영조 대 이후 영남 남인의 중요한 정치 적 과제는 의리를 밝혀 사도세자의 추숭을 이뤄내는 것이었다. 1855년(철종 6)은 사도세자 탄생 2周甲이 되는 해였다. 영남의 유생들은 사도세자추존만인 소를 계획하였고, 公論을 모아 5월에 상소를 올렸다. 이에 앞서 류치명이 먼저 사도세자의 추숭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虎派 의 領袖로서 영남 남인의 정치적 숙원을 대변하고, 사도세자의 스승이었던 고 조부 柳觀鉉에 대한 후손의 도리를 다하기 위함이었다. 조정에서는 그의 상소 를 국가의 典禮에 대한 도전이라 받아들이며 크게 반발하였다. 결국 류치명은 79세의 나이로 絶島 유배라는 무거운 형벌을 받게 되었다. 류치명은 4월 13일 집을 출발하였다. 유배길에는 아들과 제자들이 동행하 여 그를 보필하였다. 5월 2일 전라도 智島에 도착하였고, 그때부터 解配의 관 문이 도착한 11월 27일까지 6개월이 넘는 기간을 이곳에 머물렀다. 류치명은 후원자들의 지원과 문인 및 지인과의 교류 속에서 외롭지 않게 유배생활을 이어갈 수 있었다. 조정의 상황과 영남의 소식은 발 빠르게 전해졌으며, 류치명 또한 편지를 통해 섬에 적응해가는 자신의 근황을 전하였다. 문인들은 꾸준히 지도를 방문하여 스승의 안부를 살폈고, 함께 새로운 경험을 공유하였다. 학문 활동도 계속되었다. 매일 경전을 읽으며 학문의 깊이를 더하였고, 저 술과 교정 작업도 게을리하지 않았다. 문인과의 교육 활동도 지속적으로 이루 어졌다. 그의 명망을 듣고 찾아오는 이들도 많았다. 그들은 류치명에게 글을 부탁하였으며, 제자가 되기를 청하며 사제의 인연을 맺기도 하였다. 지도에서 의 유배생활은 이후 류치명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되고, 시대를 대표하는 학자 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데 기여한 경험이었다 할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ails of the exile of Jeongjae Ryu Chi-myeong (1777~1861) and his life in the place of his exile. Yu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Yeongnam Namins in the 19th century, inheriting the scholarly lineage of Toigye School from Lee Hwang to Lee Sang-jeong. One of the important political tasks given to Yeongnam Namins, who were pushed out of the political arena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was to bring justice to the case of Crown Prince Sado and worship him. The year of 1855 (the sixth year of King Cheoljong s reign) marked the two Jugap(周甲) anniversary of Crown Prince Sado s birth. In May, Confucian scholars in Yeongnam planned a Maninso to honor Crown Prince Sado and made an appeal to the king by gathering public opinion. Before this, Ryu Chi-myeong made an appeal to the king to worship Crown Prince Sado. It was an attempt for him to represent the long-cherished political wish of Yeongnam Namins as the leader of Hopa and fulfill his duties as a descendent of Ryu Gwan-hyeon, who was his great-great-grandfather and the teacher of Crown Prince Sado. The royal court vehemently opposed his appeal and saw it as a challenge to the precedents of the state. In the end, Ryu received a heavy sentence of exile to island at the age of 79. Ryu departed for his place of exile on April 13. His son and pupils accompanied him during the journey. He arrived in Jido(智島), Jeolla Province on May 2 and stayed there for over six months until Gwanmun of Haebae arrived on November 27. He managed to lead a life in exile without feeling lonely thanks to the support of his sponsors and his exchanges with literary figures and acquaintances. The situations of the royal court and the news of Yeongnam were consistently conveyed to him by people who informed others of his recent news of adjusting to the island through letters. Literary figures made ongoing visits to Jido to look after their teacher and shared new experiences. Ryu continued his academic activities. He read scriptures every day to deepen his studies and kept himself busy with writing and proofreading. He also continued to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literary figures. More and more people visited him due to his reputation, asking him to write for them or accept them as his pupils. His life of exile on Jido expanded his influence further and contributed to the consolidation of his position as a scholar representing his time.

      • KCI등재후보

        李荇의 유배시에 나타난 정서 양상

        김은지(Kim Eunji) 국어문학회 2011 국어문학 Vol.50 No.-

        본 연구는 李荇이 충주, 함안, 거제도에서 유배 생활을 하며 지은 유배시에 나타나는 시적 정서를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조선전기의 중앙집권체제는 중기로 접어들면서 서서히 붕괴되었고, 사대사화가 일어나면서 혼란은 더욱 심해졌다. 이로 인하여 관직에 나아간 이들은 뜻을 펴기도 했고, 정치적으로 뜻을 잃어 유배를 당하기도 했다. 유배는 죄를 범한 자를 죽이지 않고 멀리 유배지로 보내어 終身토록 돌아오지 못하게 하는 형벌인데, 이런 극적인 체험은 유배를 당한 인물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여기서 유배생활은 정치적 삶과 전원생활로 대표되던 당시의 삶에 빠질 수 없는 또 다른 삶의 한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삶의 모습이 잘 나타나 있는 李荇의 유배시를 대상으로 시에 나타난 정서와 정서의 변화양상을 살피겠다. 李荇은 연산 10년(1504)에 일어난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 길에 올라 3여 년 동안 충주와 함안을 거쳐 거제도로 유배지를 옮겨 배소되었다. 유배지를 옮길 때마다 충주에서는 ≪謫居錄≫, 함안에서는 ≪南遷錄≫, 거제도에서는 ≪海島錄≫을 제목으로 詩稿로 남겼다. 유배시에 나타나는 정서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기준으로 삼은 것은 현실을 바라보는 시적화자의 태도이다. 유배 상황에 대한 李荇의 시적 발화 과정을 현실에 대한 갈등 표출(외현화/내면화)이라고 보고, 각기 다른 상황에서 쓰인 시를 살피기 위하여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행의 유배시는 분류한 기준에 따라 정서 층위를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유배자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서 현실을 이야기하는 방법이 달라진다. 시에서 현실에서의 갈등을 어떻게 나타내느냐로 정서의 양상을 살필 수 있으며, 현실과의 갈등 또는 내적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謫居錄≫의 초창기에 나타나는 좌절과 절망하는 自嘆의 정서는 ≪南遷錄≫에서는 스스로를 위안하는 自慰의 정서로 나타남으로써 긍정적 정서로 나아가려한다. 이러한 현상은 ≪海島錄≫에서의 유배온 여러 인물들과 교유를 통하여 그가 느낀 좌절과 고독감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오히려 스스로를 되돌아 볼 기회를 찾은 듯 보인다. 그리하여 自照의 정서로 가닥을 잡았다. 이행은 자신의 내면에 관심을 가지고, 혼란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모습을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보려는 태도를 형성해 갔던 것이다. 현실의 불만을 적극적으로 내면화한다는 것은 시적화자가 갈등을 조화롭게 해결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런 과정은 시적화자이자 작가가 현실에서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행의 시세계와 문학이 가지는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믿고 여기에 그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poetic emotion shown in the poem made by Lee Haeng while exiling in Chungju, Haman province and Geoje Island. The centralism of early Chosun period slowly collapsed during the middle age and the society was in chaotic situation with the four events of massacre of scholars. Hence, the some people who entered the government service accomplished their will or some were exiled by losing the political power. The exile is a sort of punishment which criminals were sentenced for rest of their lives instead of the death sentence, then these extreme experiences influence the exiles. The exilic life is the other aspect which cannot be missed for the politicians of those times with the political and rural life. Let’s look at the poetic emotion and emotional changes shown in the poems by Lee Haeng during the exile. Lee Haeng’s exile was assigned to Chungju at first for 3 years then to Geoje Island through Haman province by involving in the Gapja massacre of scholars. As he moved the place of exile, he left manuscripts of poems with the tile of Jeokgeorok(≪謫居錄≫) in Chungju province, Namcheonrok(≪南遷錄≫) in Haman province and Haedorok(≪海島錄≫) in Geoje Island. The criterion of classifying the types of emotions in exilic poetry is the attitude of poetic mind toward the reality.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reality is changed depending on the exilic situation. The types of emo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way how to express the conflicts against the reality and we can see how to solve the problem against the reality or internal conflict. The frustrated and the desperate emotion of self lamentation shown at the beginning of Jeokgeorok(≪謫居錄≫) changed into the positive emotion as comforting himself in Namcheonrok(≪南遷錄≫). This transformation seemed to somewhat solve the desperation and solitude through the friendship with the other exiles and rather to have the opportunity to look back himself in Haedorok(≪海島錄≫).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poem attained the emotion of self enlightenment. Lee Haeng internally looked over himself and established the attitude of making more objective observation of his nature in the chaotic reality. The active internalization of dissatisfaction toward the reality shows poet himself solving the conflicts harmonically. This can be known as the process in which the writer or poet solves the problems of real world.

      • KCI등재

        세계문학의 패러다임과 한국고전시가의 보편적 가치 ; 만주망명가사와 디아스포라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0 N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look at the Manchurian exile Gasa from a diaspora perspective. In Chapter II, this research suggested 7 pieces of Manchurian exile gasa first. Then, this research looked at their living in exile is not a settled one but a thoroughly ``Nomadic Life`` and as its detailed aspect, analyzed <Shinsetaryeong>. In Chapter III, this research inquired into what the essence of lyrica ego which penetrate 7 pieces of the Manchurian Exile Gasa. The seven pieces of Gasa assumes ``National Ego`` in the core of poetic sentiments. ``National Ego`` means ``the ego in which personal emotion and national consciousness`` are united into one. The lyricism of these pieces of Gasa corresponds with the historical imagery of a nation while jumping over the stage of personal emotion. In Chapter Ⅳ, this research took a look at in what aspect authors`s cultural identity appeared. The authors were marginal people who couldn`t belong to their colonial fatherland they left at all, or intended to belong to China they emigrated to. They tried to retain their own cultural identity instead of being assimilated to China, and one of such efforts was creation of Gasa. Manchurian Exile Gasa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exposes an initial aspect of Manchurian diaspora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