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A panachy framework of analyzing evolutionary dynamics of regional economies

        조철주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4 No.3

        파나키틀은 한 지역이 외부의 변화와 충격에 어떻게 성공적으로 적응하는가를 분석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지역경제의 동태적 변화와 진화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공한다. 파나키는 아직까지 개념적으로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아서 사회경제체계에 적용하여 분석과 정책제시 도구로써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운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제도경제학이나 진화지리학과 결합하여 활용할 경우 지역경제의 변화와 진화 과정을 지역의 경제, 문화, 제도적 특수성과 연관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파나키 틀이 지역경제의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anarchy framework can be used to address why some regions successfully adapt to external shocks and how the spatial organization of economic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changes over time. It emerges as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explaining regional differentiation in economic performance and trajectories. Panarchy is risky because its conception is prone to be fuzzy. Overall, however, the panarchy framework is shown to provide an outlet within which regional economies and policy principles can be analyzed tailed to region-specific contexts. Consequently, panarchy, if articulated in the evolutionary adaptation conceptions of regional economies, can be a useful tool with which policy-makers attack the intriguing issues of promoting regional innovation.

      • 신산업환경과 산업공간 연구의 패러다임

        박양춘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말의 산업공간 연구에 있어서의 패러다임의 성격과 동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패러다임의 특성은 다양한 학문적 기원을 가지고 다양한 연구주제에 적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성격이 제 패러다임의 이론적 치밀성을 떨어뜨리기도 하지만 복잡하고 급변하는 사회현실을 이론적으로 담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논의에 있어서 보완되어야 할 과제로는 산업재구조화의 거시적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을 추동하는 미시적 요인과 거시적 요인을 결합한 연구와 지역경제 진화 궤적에 있어서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보편성을 추동하는 원천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이론적 경험적 연구, 그리고 지역의 운명은 역내 제도들의 역할과 내적 동학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고 거시적 프로세스와 역외에 존재하는 제도적 변수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에 대한 분석을 들 수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ing paradigm in studies of industrial space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 most significant in this discussion is that schools of thought on industrial space have differences in their academic origins and fields of application. Although such a dimension can be a factor reducing the sophistication of the theory, this can help make it effective for the theory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radically changing societies and economies. The challenges that the theories of industrial space need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theoretical dimension are as follows: combining macro-processes and micro-processes driving regional economies, identifying both general factors and local-specific factors affecting the evolutionary trajectories of the regional ec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