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은유와 모순의 의미작용에 의한 캐릭터 아이러니의 구조 -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양세혁 ( Yang Sehye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6 예술과 미디어 Vol.15 No.4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 구성의 인과관계가 내적 결핍과 사건의 은유 작용에서 비롯된다는 관점에서 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아이러니는 외관과 현실이라는 두 의미차원 간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외관은 캐릭터에 대한 피상적인 인식 수준이며, 현실은 캐릭터의 선택으로 드러나는 실제적 진실을 말한다. 이러한 의미차원 간에 괴리가 발생하면 캐릭터는 딜레마에 빠져 갈등을 겪고 극적 긴장감은 고조된다. 이렇듯 아이러니는 인간 삶의 부조리를 다양하게 함의함으로써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캐릭터와 플롯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해내는 미국의 장편애니메이션 중에서 대표적 제작사인 디즈니, 픽사, 드림웍스의 작품을 선택하여 아이러니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캐릭터 아이러니는 ①`결핍`이 제시되고 ② 이를 `사건`이 압박하면서 ③`외관`에 모순되는 ④`현실`이 드러남으로써 구축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네 가지 변인은 의미차원의 일치 또는 불일치에 따라 두 개의 대립항으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즉, ①우연히 발생한 사건과 내재된 결핍이 의미차원에서 서로 일치하며 마치 결핍의 데 자뷔처럼 작용하는 `은유 작용`, ②외관과 현실의 의미차원이 서로 괴리되는 `모순 작용`이 그것이다. 은유 작용은 결핍을 함축하며 캐릭터의 핵심적 강박의식을 드러내고, 모순 작용은 아이러니 그 자체로서 캐릭터의 성장을 위한 핵심가치를 암시함과 동시에 주제의식을 전달하는 캐릭터 아이러니의 구조를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끝으로, 캐릭터 아이러니 구조를 심리 역동에 의한 의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앞으로 다양한 작품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검증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초석으로서 본 연구가 향후 캐릭터라이징 분야와 관련하여 유의미한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erspective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of character irony stems from the metaphorical effect of inner deficiency and events and it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Irony refers to the discord between the two levels of meaning, appearance and reality. Appearance is the superficial recognition of characters and reality is the real truth revealed by the choice of characters. If there is a gap between these two, the characters are caught in dilemma and the dramatic tension increases. Irony implies the absurdity of human life in various ways and elicits sympathy of the audience so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setting characters and plot. So this study selected Disney, Pixar, and Dream Works, the representative American feature-length animation producers that depict character irony briefly and clearly, and tri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iron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character irony is formed through a process through which ① `deficiency` is presented, ②`events` put pressure on it, and ④`reality`, which is contradictory to ③`appearance`, is revealed. Also, the four variables could be structured as two opposite pairs according to the concord or discord in the dimension of meaning. That means ①`metaphorical effect` that accidental events and inner deficiency concord in the dimension of meaning and serve as deja vu of deficiency, and ②`contradictory effect` that the level of meaning of appearance and that of reality have a gap. Metaphorical effect implies deficiency and reveals the core obsession of characters, while contradictory effect is irony itself and implies the core value for the growth of characters and deduces the structure of character irony that conveys the sense of subject. It is believed that studie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character irony from the perspective of signification by psychological dynamics are in the initial stage. So there should be process to accumulate data of various works and verify and supplement them. As a stepping stone for such a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significant data in the area of characterizing.

      • KCI등재

        양태 구문 ‘-ㄹ 수 있-’의 다의성 동기

        나익주 담화·인지언어학회 2020 담화와 인지 Vol.27 No.4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polysemy of a Korean modal construction (-l su iss-) is not arbitrary but motivated. It is argued that the construction traces back to the Chinese loanword ‘su(手)’ referring to a body-part “hand” through the medium of various senses of ‘su’ as a naturalized noun which are also linked to the “hand” sense. Those senses are semantically interrelated through metaphor, metonymy, and pragmatic inferencing. Although ‘su(手)’ refer to “hand” just as part of a word, the “hand” sense is extended to its “sports player” or “professional” sense through the metonymy HAND FOR PERSON and to its “move of go-game stone” sense through the metonymy SOURCE FOR PATH/GOAL. Then, its “path” sense is linked to its “manner” sense through event structure metaphors such as STATES ARE LOCATIONS, CHANGES ARE MOTIONS, or MANNERS ARE PATHS, and the “manner” sense leads to its modal senses such as “capability,” “possibility,” “likeliness,” or “guess” through INFERENCE IS JOURNEY, KNOWLEDGE OF MANNER FOR CAPABILITY, or CAPABILITY FOR LIKELINESS metaphors.

      • KCI등재

        영어 구 구조의 인지적 개념화: 이동 사건의 경로 중심으로

        박미경,박수정 언어과학회 2020 언어과학연구 Vol.0 No.92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glish phrase structures from cognitive perspectives. By applying phrase structures to the framework of Figure-Ground organization and Motion event, the system of grammar can be explained cogni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a preposition phrase, some prepositions act like a motion verb semantically due to their directionality. The noun phrase also shows that its constituents can be established cognitively. In some verb phrases, the to-infinitive phrase has the future meaning by conceptualizing of the Path component to, whereas a gerund can be conceptualized as a past time; a Path component indicates to be more salient than a Figure component; both an adverb and a preposition are represented as Paths. Finally, it can be observed that the prepositions ‘to’ and ‘for’ can be apprehended as ‘primary conceptualization’ and ‘secondary conceptualization’, respectively, in an adjective phrase. .

      • KCI등재

        국어의 상적 의미 구문에 대한 의미 해석 - 유형 강제와 인지적 추론 -

        김윤신 한국어의미학회 2012 한국어 의미학 Vol.39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sentences with aspectual meaning in Korean. The Korean sentences with aspectual meaning include the following types of sentence: the aspectual verb construction with an event argument, the aspectual one with an individual argument, the action verb construction with an event argument, and the action one with an individual argument. As for the aspectual meaning, the aspectual verb with an event argument has a very transparent interpretation, but the other cases need special processes of interpretation. We can suggest that these special processes are ‘the type coercion’ and ‘the cognitive inference’ like metaphor and metonymy and that some processes can happen as the mixed form such as metaphor following the type coercion. Also, I can conclude that these generative and cognitive processes depend on the lexical-semantic structure of a word, and that this phenomenon reflects the compositionality of the semantic interpretation.

      • KCI등재

        ‘위기’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

        임혜원(Lim Hye-won)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30

        이 연구는 ‘위기’ 개념에 대한 한국어 은유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위기의 개념화 방식을 존재론적 은유에 의한 개념화와 사건 구조은유에 의한 개념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존재론적 은유에 의해 ‘위기’는 우리의 인지 공간에서 물건으로 간주되거나 사람이나 동물 같은 생명체로 간주되어 만지고 다룰 수 있고 생겨나 변화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닌 것으로 표현된다. 또한 위기는 사건을 공간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사건 구조 은유 속에서 특정한 장소나 장애물로 간주된다. 한국어 사용자는 위기 개념을 불, 폭탄, 거센 물결, 생명체, 구석, 절벽, 수렁, 나쁜 날씨, 질병 등을 통해 이해하는데, 이것들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초래하고 통제하기 어려우며 그래서 위험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한 대상들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한국어 사용자가 위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위기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는지를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aphorical expression about crises to examine how Korean speakers perceive the concept of crisis. The first way to conceptualize crises is to substantiate them in cognitive space as something that can be touched and moved. This conceptualization uses an ontological metaphor, which is a method of objectifying crises as objects or organisms, such as people or animals. Crises can also be conceptualized as places or obstacles in an event structure metaphor of [changes as movements]. This study found that Korean speak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crisis in terms of various things, such as fire, strong waves, organisms, corners, cliffs, bogs, bad weather, disease, and explosion, all of which have a great impact on people’s lives, are dangerous, and therefore are things that people fear. This study’s results show how Korean speakers understand crises and how they understand and express crisis concepts.

      • KCI등재

        러시아어 감정표현 메타포의 인지적 개념구조

        김군선(Kim Kun Sun) 한국노어노문학회 2006 노어노문학 Vol.18 No.3

        본 논문은 러시아어 동사어구로 표현된 감정표현의 메타포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분석의 도구로는 Jackendoff가 원래 개념적 의미론자의 입장에서 개발한 모델을 필자가 러시아어 동사에 맞게 보완한 개념구조의 틀을 이용한다. 감정표현의 메타포는 기본적으로 내면적인 감정의 사건에 외부의 가시적인 공간적 사건의 형상을 상응하게 함으로써 감정 현상을 형상화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 메타포의 성격은 러시아어 동사어구에서 핵을 이룬다고 할 수 있는 PV(P는 접두사, V는 동사어간)의 구조에 의해 결정된다. 감정 사건의 일반적 행위종류는 V 즉, 동사어간이 결정하고, 이 사건의 구체적 형상은 P즉, 접두사가 결정한다. 이를 본 논문에서 사용되는 개념구조도로 설명하면, 감정 사건의 성격은 V가 나타내고 P는 이 V의 시공간적 진행경로의 궤적을 조망하여 사건전체의 공간적 형상을 제공한다는 것이 된다. 이러한 메타포 분석의 메커니즘을 이용해, ‘에워싸다’, ‘멀리 끌고 가다’ 등과 같은 일반적 공간적 사건 진행의 예에서부터 보다 구체적인 파도의 범람, 무거운 짐의 중압, 고통, 감염의 병리적 형상, 식물의 형상, 자연의 색깔 등과 같은 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메타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etaphoric expressions of emotions in Russian verbal phrases. In the investigation is applied a methodology of conceptual structure which, originally developed by the conceptual semanticist Jackendoff, has been adap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Russian verbal structure by the present author. To elaborate into the theory, to focus on the center piece of Russian verbal phrases, prefixed verbs (from now on P V(P for prefix, V for verbal stem)) are structured to represent a spatial configuration of events where V characterizes a generic category of actional events and P specifies the path of the motion in process, imparting an overall spatial configuration to it. Now to introduce the formal theoretical framework, an event is conceptually represented by [event V ([THING<SUP>α</SUP>; FEELING], [path PREF TO [place P [THING<SUP>β</SUP>; CONTAINER of FEELING]]])] where the head is V(action), the agent THING<SUP>α</SUP>, the goal THING<SUP>β</SUP>, PREF prefix and P preposition. To paraphrase it in prose, an event occurs in a way that the agent takes action with regard to the goal with a spatial perspective of PREF and P. Then to proceed to the metaphoric representation of emotions, a mapping is made to correspond the entities in source domains to the entities in target domains so that in the formalism the former is put on the right in the entity bracket, whereas the latter on the left, e.g. [THING<SUP>α</SUP>; FEELING], [THING<SUP>β</SUP>; CONTAINER of FEELING]. With the methodology, our analysis of the metaphors starts with general actional events, then proceeds to more concrete metaphoric actions, i.e. waves, tooth pains, burden, infection, shapes of plants, and col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