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법정책의 연구 - 인권침해의 방지 및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

        손영화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1

        Korea has become a member of the OECD and is a member of wealthy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foreign workers are flowing into Korea in so-called South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Vietnam, Philippines etc. In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foreign workers flowed mainly in small businesses of 3D sectors which experienced lack of human capital. And foreign workers contributed greatly to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as social problems surrounding them emerged, such as receiving economic disadvantages and human rights violations, the main social conflict was formed. Labor rights of foreign workers were guaranteed to introduce employment permission system, and great treatment improvement was done o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ocial security side. The Foreign Employment Law stipulates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workers with the provision that unfair discriminatory treatment should not be given to users for foreign workers. Users of foreign workers must enroll in guarantee insurance in preparation for wage unpaid. Foreign workers must take out accident insurance in preparation for illness, death, etc. However, although the employment permission system includes problems, for example, 1) it is impossible to extend the stay for more than 3 years, 2) family members are accompanied and entrance is prohibited during the working period, and 3) business type restrictions that can be employed. In particular,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laborers' workplace change restriction system has only the violation of labor rights and human rights of foreign workers. Foreign workers do not have simple tools to replace the deficient labor force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legal policies to be subject to social integration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In other word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cessity to switch to settlement policy or migration policy, not to conventional rotation policy. 우리나라의 경우 과거 어려운 역사 속에 외국에 나가 달러를 벌기 위해 매우 어려운 노동을 제공한 역사가 있다. 예컨대, 박정희 정권 당시에 산업자본을 도입하기 위한 명목으로 독일에 나가 외화를 벌어들인 광부와 간호사, 다시금 경제개발에 필요한 자금과 자주국방을 위하여 베트남에 파병된 우리 국군, 오일달러를 벌어들이기 위해 중동에 나간 건설노동자 등이 그러한 예이다. 현재에도 보다 잘 사는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수많은 근로자가 외국에 나가 불철주야 노동을 제공하고 있다. 이제는 시대가 변하여 우리나라가 OECD의 회원국이 되었고, 우리나라는 잘 사는 선진국의 일원이 되어 있다. 그리하여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 이른바 동남아시아 국가와 한류를 타고 한국에 온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스탄 등 중아아시아 그리고 중국과 구소련 연방 지역의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와서 외국인노동자로 일하는 시대가 되었다. 외국인노동자는 1980년대 후반 인력부족을 겪던 3D업종의 중소기업체를 중심으로 유입되면서 한국사회의 주요 노동력으로 경제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경제적 불이익과 인권침해를 받는 등 이들을 둘러싼 사회문제가 부각되면서 주요 사회갈등이 형성되었다. 고용허가제 도입으로 외국인노동자의 노동권이 보장되고, 인권보호, 사회보장 면에서는 대폭적인 처우개선이 이루어졌다. 외국인고용법에서는 사용자에 대하여 외국인근로자라는 이유로 부당한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된다는 규정을 두어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차별금지를 천명하고 있다. 외국인근로자의 사용자는 임금체불에 대비하여 보증보험에 가입하여야 하고, 외국인근로자는 질병․사망 등에 대비하여 상해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3년 이상 체류연장 불가, 취업기간 중인 가족의 동반 및 입국금지, 취업 가능한 업종제한 등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고용허가제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외국인노동자의 사업장변경 제한제도가 존속하는 한 외국인노동자의 노동권과 인권은 어느 정도 침해받을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외국인노동자는 우리의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해 주는 단순한 도구가 아닌 우리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통합의 대상이 되도록 법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순환형 정책(rotation policy)이 아니라 정주정책(settlement policy) 또는 이민정책(migration policy)으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노동시장 수급여건을 고려하면 외국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안고 있다. 다가오는 미래사회에의 도전에 대비하면서 보다 아름다운 다문화사회 한국을 만들기 위한 법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시대가 아닌가 생각된다.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합리적인 포용정책을 통하여 보다 국제사회에서 인정받는 한국, 앞서가는 한국이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독일의 외국인 정책 사례 연구와 한국에의 시사점

        이학춘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1 노동법논총 Vol.22 No.-

        Korean society has faced much social and educational problems from foreign workers and migrant wives, because korean society has remained as a single race country for long time and has very few historic experiences to treat foreigners fairly and reasonably. So the german policy of foreign workers is very meaningfull in solving soci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The hint of german policy of foreign workers are as follows. First. we must change the viewpoint of foreign workers. Foreign workers in Korea are evaluated very lowly compared with their roles. Now their role must be newly lighted on korean economy, because middle sized companies can not be operated without their labour forces. Foreign workers are indipensable in contemprary and future period, because birth rate will decrease so sharply year by year. Foreign workers must be considered as basic human resources of korean economy. Secondly, “Encouragement Law for Multi-Culture Family(ELMC)” was enacted in year of 2010. But this law focus on only supporting for the multi-cultural families. It does not regulate whole governance of realisation of multi culturism in korean society. The problemes of migrant wives and foreign workers can not be solved only by economical aid, but by whole social systems. German policy focus on the social intergration of migrant workers, migrant families and their children Third, policies of foreign workers must be changed from recruitment of low skilled man powers to employment of professionals. German and other developed governments give an many incentives to the foreign professionals by inviting them in their own countries. The examples of incentives are exemption of employment visa issue or quota control of nummbers of employees. issuing of permanent residential visa. Now korean government must introduce permanent visa for the high skilled foreign workers Forth. illegal workers must have some opportunities to be legalized under some conditions. Most of developed countries give them legal status occasionally. German government support illegal workers air fares and tuition fees of job creation in their borned countries. In any cases, illegal worker can not be avoided in the all of the world, because they can not have chances in their own countries. Korean employers want also to employ them so long, because they can become high skilled workers in few years, and they are so productive comparing with new comers. Now government must consider to invite foreign workers with their families and give them permanent residential visa, if they have high skilled technology and their employers agree to employ in long term. Finally, the policy of foreign workers must be changed from the economic view point. Foreign workers should find their vision in Korea and have success story. They have human rights and must be protected by labour laws. They deserve respect for their role and royalty to the companies. If companies need them, korean government must give them rights to work in Korea.

      • KCI등재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변경의 자유 관련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장선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論集 Vol.28 No.1

        외국인근로자의 「외국인고용법」상 사업 또는 사업장 변경의 개선입법에 대한 견해는 동조항이 제정된 이래로 계속 있었다. 장기적으로 외국인 고용정책에 있어서 노동허가제를 인정하는 범위를 넓혀가는 안, 입국초기부터 사업장변경의 자유를 보장하는 국가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2년 이상 체류하며 근로한 외국인근로자에 대해서는 사업 또는 사업장 변경을 자유롭게 인정하는 안 등이 있었다. 2021년 대한민국은 ILO 핵심협약 중 강제노동금지에 관한 제29호를 비준하여 2022년 4월 20일 발효되었다. 이러한 변화된 규범적 맥락은 사업장 변경제도 개선을 입법적으로 요청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사업장 변경의 제한을 지역 제한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는 헌법재판소가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변경 관련 결정들을 통해 외국인 기본권 심사기준으로서 입법재량을 제시하여 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헌법재판소는 입법자가 아니며, 권력분립의 원칙을 준수하고 입법자의 권한을 존중하면서 헌법재판소의 헌법 수호 소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입법자의 입법권을 존중하는 것이 헌법재판을 통해 기본적 인권을 보장하는 헌법재판소의 본질적인 소명을 넘어서 사회적 약자의 희생 위에 기존의 입법을 지켜내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외국인근로자의 사업장 변경 관련 사건에서 헌법재판소가 일관되게 근로의 권리를 제한되는 기본권에서 배제하고 자유권인 직업 선택의 자유의 심사기준으로 일관되게 입법재량 심사를 채택한 것은 이러한 관점에서 반드시 변경되어야 한다. There have been views on the improvement legislation of change of business or place of business under the Act on the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since the enactment of this provision. In the long run, there were proposals to expand the scope of recognition of the labor permit system in foreign employment policies, and to freely recognize business or workplace changes for foreign workers who have stayed for more than two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entry. In 2021, the Republic of Korea ratified No. 29 on the prohibition of forced labor among the ILO Fundamental Conventions and took effect on April 20, 2022. This changed normative context legislatively requests the improvement of the workplace change system. Nevertheless, the government is expanding the restrictions on workplace changes to regional restrictions. This is not irrelevant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presentation of legislative discretion as a standard for examining basic foreign rights through decisions related to the change of workplace of foreign workers. The Constitutional Court is not a legislator, and it should fulfill the Constitutional Court’s calling to protect the Constitution while complying with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and respecting the authority of the legislator. However, respecting legislators’ legislative rights should not go beyond the Constitutional Court’s essential calling to guarantee basic human rights through constitutional trials to protect existing legislation at the expense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sistent adoption of legislative discretionary screening as a criterion for screening freedom of choice, a right to freedom of occupation, must be changed.

      • KCI등재

        고용허가제 도입이 중소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서정대,박성준 한국중소기업학회 2002 中小企業硏究 Vol.24 No.1

        연구는 고용허가제의 도입이 외국인력을 활용하고 있는 국내 중소제조업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고용허가제의 도입으로 외국인력을 사회적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자 한다면, 중소기업의 이들에 대한 극히 낮은 수요의 탄력성 때문에 중소기업의 비용부담은 크게 늘어나게 된다. 특히 외국인력 활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소규모 기업의 경우에는 탄력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더욱 커지게 된다. 고용허가제의 도입이 외국인력의 인권 보호에는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외국인력의 도입은 현행 제도하에서와 마찬가지로 쿼터제에 의한 운용이 불가피할 것이므로 불법체류 등 외국인력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제반 문제는 더욱 악화되어 기업체의 비용부담 증가와 더불어 사회적 비용부담 또한 커지게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기업체는 고용허가를 받을 인센티브가 없기 때문에 이들을 불법으로 활용하는 기업체가 양산될 가능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내 실업 문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ermission system to employment on manufacturing SMEs using foreign manpower. The system may contribute a certain extent to promote interests of foreign manpower. However, it would exacerbate the current situation of SMEs' labor market and aggravate problems originated from using foreign manpower. This is primarily because the system will be compelled to operate under the quota system, since there exists enormous potential inflow of foreign manpower. The attempt that tries to limit foreign manpower to a socially desirable level would incur significant increase in labor costs of SMEs using foreign manpower, among other things. This is because the elasticity of SMEs' demand for foreign manpower is very low and smaller businesses, in particular, will bear higher cost increase because of their much lower elasticity of demand than those of other scales of businesses. Furthermore, it is likely that SMEs illegally using foreign manpower increase in large quantity because they would have no incentive to get permission and the system may also have negative impact on the unemployment problem of domestic labor market under such circumstances.

      • 외국인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현실과 과제

        김교숙 釜山外國語大學校 比較法硏究所 2010 比較法學 Vol.21 No.-

        The employment permission system of the migrant worker has been enforced since July, 2004. This system has regarded a migrant worker as a worker recognized on the Labor Standard Act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complementary measures of the labor market’ and ’ the prohibition of the discrimination'. This paper considers as follows; ①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igrant worker, ② the employment procedure of the migrant worker,③ the employment management of the migrant worker, ④ the protection of the migrant worker. To speak conclusively, this paper suggests as follows to protect the migrant women worker, ① the extermination of the sexual harassment, ② the the migrant worker’s right to the social security and the family, ③ the realization of the gender equality, ④ the amendment of the stay qualification measures, ⑤ the labor administration independent on the immigration control administration, ⑥ the establishment and enlargement of the migrant women worker’s right remedy organs, ⑦ the co-existence society of the migrant women worker. 우리나라에 입국한 외국인근로자도 우리의 현대사회를 구성하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을 직시하고 국제적인 인권보장을 바탕으로 한 다민족의 공존•공생사회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는 의식의 전제가 외국인근로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관건 이라고 생각한다. 국내근로자들도 우리 사회의 폐쇄성과 다른 문화에 대한 배타성을 극복하고 외국인근로자와 더불어 생활하고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형성해가는 노력을 기울여야만 진정한 의미에서 국제화를 지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끝으로 외국인근로자의 인권보장을 바탕으로 종래의 국민국가란 개념에서 한걸음 나아가 세계국가란 개념아래 외국인 근로자와의 통화•통합을 통하여 공존•공생사회를 이루는 것이 국제화 • 세계화의 첩경임과 동시에 올바른 노동법의 전개방향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 속 ‘동남아 현상'에 관한 연구

        최경희(Kyung Hee Choi)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10 국가와 정치 Vol.16 No.-

        본 논문은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을 중심으로 한국 속 ‘동남아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 속 ‘동남아현상’은 한국에서 나타나는 초국가주의적 현상의 하나로서, 다문화주의를 추동시켜내는 하나의 원인이다. 본 논문은 한국행을 선택하는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들의 원인과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인도네시아라는 두 공간에서 어떠한 문화교차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한국행 이주노동의 선택요인, 고용허가제를 매개로한 두 국가 사이의 법제도교차, 제도와 문화 사이의 상호작용, 한국문화에 대한 인도네시아 이주노동자들의 경험과 평가를 분석함으로써 ‘인도네시아 속의 한국문화’와 ‘한국 속의 인도네시아 문화’ 현상을 설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utheast Asian Phenomena' in Asia based on Indonesian Labour Immigration to Korea. The 'Southeast Asian Phenomena' in Korea is one of transnationalism phenomena and transnationalism effect also have been produced multiculturalism phenomena in Korea. This paper is to study the causes and process of labor immigration from Indonesia to Korea for discussing how to develop of crossing-culture or interaction-culture phenomena between space of Korea and space of Indonesia. To explain this phenomena, this study have been explained the choice factor of Indonesian labor immigration to Korea, institutional effect of Employment Permission System between Indonesia and Korea and Indonesian worker's Korean culture experience. Therefore we have to consider the phenomena of "the Korean culture in Indonesia" and "the Indonesian cultur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