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독 청년실업 정책과 고용효과: 커넥티비티(Connectivity) 가설

        정미경,강수돌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1

        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s which may help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youth unemployment policy. It compares the employment effects of being young in Korea and Germany based on the concept of connectivity. The theory o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transitional labor markets theory are mainly based on the analysis of labor supply. Social structure theory, segmented labor market theory and dual labor markets theory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demand for labor. However, theoretical efforts so far have failed to take an integrated view of aspects of labor supply and labor demand. We want to suggest that ‘systematic connectivity’ between school, which is an aspect of labor supply, and firms (work place), which is the aspect of labor demand, can be a significant reason for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and a decisive key to that problem. Using German Socio-Economic Panel (SOEP) and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study examines the hypothesis that the du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trains students in line with the specific labor demand of the enterprises and increases the full-time employment of the young.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connectivity of Korean education is weaker than that of Germany. The employment effect of connectivity is much less significant in Korea than the effect in Germany. In Germany,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vity of education is strong and diverse, and it has also a great impact on employment. Furthermore, the higher the work place connectivity, the greater the impact on employment. That impact is greater for higher educ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Korean education needs to develop a du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dual system to the university rather than the high school. Social dialogue and discussion of the German dual system should be revitalized in order that societal empathy for dual education spreads. 본 연구는 커넥티비티(connectivity) 개념에 의거하여 한국과 독일의 상이한 청년실업 정책이 어떻게 다른 고용효과를 나타나는지 비교 연구, 청년실업 정책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그간 인적자원론이나 이행노동시장론은 주로 노동력 공급의 측면에, 또, 사회구조론이나 분단노동시장론, 이중노동시장론 등은 주로 노동력 수요의 측면에서 이론을 전개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이론적 노력들은 노동력 공급의 측면과 노동력 수요의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지 못했다. 우리는 노동력 공급의 측면인 학교(대학)와 노동력 수요의 측면인 기업(현장) 간 ‘유기적 연결성(커넥티비티)’이 청년실업 문제의 현실적 원인이고 결정적 열쇠가 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독일경제사회패널과 한국노동패널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및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이원화 교육훈련 과정이 기업의 구체적인 노동수요에 맞춰 인력을 양성하여 청년층의 전일제 취업률이 높인다는 가설을 검증한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교육은 독일에 비해 기업 현장 연결성이 낮고 그 연결성이 갖는 취업효과의 유의성도 낮다. 반면 독일의 경우 교육의 기업현장 연결성이 높고 또 형태도 다양할 뿐 아니라 취업에 미치는 영향력도 매우 컸다. 더 나아가 기업현장 연관도가 높을수록 취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고등교육의 경우 이러한 영향이 더욱 두드러졌다. 연구결과, 시사점은 한국의 교육이 기업현장과 직접적인 연결성을 고양할 필요가 있고 고등학교보다 대학에 이원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높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일의 이원화 교육방법론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확산하기 위해 사회적 대화와 토론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고용연계를 위한 기관별 협력 방안

        한창수 ( Chang Su Han ),최승권 ( Seoung Gweon Choi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장애인스포츠 분야와 장애인고용 분야 간 정책연계를 통한 기관별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법·제도 검토와 장애인스포츠실업팀 운영 현황 및 장애인 고용 실태를 파악하였으며, 실증적 자료 보완을 위해 중앙일간지나 인터넷신문을 중심으로 장애선수나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관계자의 기사인터뷰 자료를 근거로 장애인스포츠실업팀의 효율적 운영 방향을 모색하였다.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고용을 연계한 기관별 협력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이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법·제도 정비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특히 「국민체육진흥법」이나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 법」「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대한 법률」등의 포괄적인 범위에서 장애인 체육활동을 규정하고 지원하는 것으로 명문화되어져야 하며, 실업팀을 운영하는 지자체마다 제각각인 설치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관련기관 간 정책연계를 통해 장애인스포츠 실업팀 창단과 운영에 필요한 재정적 어려움을 덜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장애인스포츠 분야에 적용시켜실업팀을 운영함으로서 선수들에게는 직업안정성을 높여 안정적 훈련환경을 제공하고, 기업은 장애인 의무고용률 달성을 통해 사회적 책임과 고용장려금 지원 및 장애인편의시설 설치지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 팀 운영에 부담을 덜어주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의 창단이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실업팀 창단 이후 각 기관별 역할과 업무를 보다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스포츠부문과 장애인고용부문, 기업부문 간 협력방안을 각각 구분하고 기관별 역할 규정과 업무분장 내용 등 구체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장애인스포츠 실업팀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본적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operative measures by organizations through the policy connection between sports and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or stable operation of Business Sports Team for the disabled (BSTD). To end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operation of the team.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asures to promote the stabl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t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y and private enterprise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to provided employment-affiliated measures through collaborative governance to present practical means for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rivate enterprises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and provide good environment for disabled athlete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e concerning foundation, operation and employment of BSTDs through affiliated poligies of relevant institutions. Operation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budget/convenience facilities installation support through fulfillment of obligated employment rate in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rivate enterprises. Through this process, the operation of BSTDs can provide athletes with stable employment and environment for training.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burden of finance concerning foundation, operation and employment of BSTDs through affiliated policies of relevant institutions. Operation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achieve effects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budget/convenience facilities installation support through fulfillment of obligated employment rate in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private enterprises. Through this process, the operation of BSTDs can operate the BSTDs with less burden substantially. Lastly, each organization has to be categorized specifically in its parts and tasks for effective operation after foundation of BSTDs. To encourage the BSTDs to be fostered by building a concrete cooperative-network for this basic environment such as classifying the methods of cooperation through the sectors of the sports of the disabled,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and the corporation from the part of the each organization and the duty division should be activated.

      • KCI등재

        국제근로계약의 준거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인호 대한변호사협회 201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41

        Labor policy has the most immediate impact on labor markets. With mobility ofworkers, postings abroad and globalization in general it is time to examine the law applicable tocontractual obligations in international employment relationships.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Law has provisions regarding the objective connection of the employment contract. They have adouble function. First, they determine the applicable law when the parties have failed to choose it. Second, mandatory provisions favoring the employee are applicable despite a choice of law. Theycontain two connections to be applied alternatively in order: the connection to the country wherethe work is habitually carried out and the connection to the country where the place of businessthrough which the employee was engaged is situated. In light of the rationale of the KoreanPrivate International Law a broad interpretation should be given to the phrase “country where the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 work.” In particular the broad interpretation should be given tointernational carriage relationships rather than easily referring to the connection to the countrywhere the place of business through which the employee was engaged is situated. In this regard the so-called ‘base rule’, enshrining a modified version of habitual working place, could play a keyrole in avoiding the second-tier connecting factor which leans to the employer’s favor. This wouldprovide a reasonable balance to be struck between the interests. If and to the extent that theinterpretation allows it, the broad interpretation approach should be introduced even prior to therevisit of the Korean Private International Law. 노동시장은 노동법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근로자의 유입, 해외근무 그리고 국제교류가 빈번해짐에 따라 국제근로계약에 관한 분쟁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준거법의 지정을재검토할 시기가 되었다. 국제사법은 국제근로계약관계에 있어서 근로자의 일상적 노무제공지와 사용자의 영업소를 순차적 연결점으로 하여 당사자가 준거법을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 준거법을 지정하고 당사자가 준거법을 선택한 경우에도 강행규정에 의한 보호를 부여하는 두 가지기능을 규정하고 있다. 근로자의 일상적 노무제공지와 사용자의 영업소를 연결점으로 하여 준거법을 지정함에 있어서 전자를 우선적으로 적용하여야 함은 물론 전자를 넓게 해석하여 전자의 적용범위를 넓게 해석하여 후자의 적용범위를 제한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국제사법의 입법취지에 타당하다. 또한 국경을 넘나드는 운송수단을 사용하는 국제운송근로계약관계에 있어서도일상적 노무제공지를 넓게 해석하여 이를 근거로 준거법을 지정하여야 하고 안이하게 사용자의영업소를 연결점으로 준거법을 지정하는 것은 부당하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기지원칙’을 적용하여 당사자간의 이해관계를 조율할 필요가 있다. 국제근로관계가 흔히 문제되는 시점에 있어서 국제근로계약관계의 준거법 지정에 있어서의 일상적 노무제공지에 대한 넓은 해석이 국제사법을 운영함에 있어서 참고가 되고 나아가 향후 국제사법의 개정에 있어서 기여할 수 있었으면한다.

      • KCI등재

        최근 주요 선진 외국의 장애인 소득보장과 고용서비스의 연계 동향 및 시사점 : 수급 요건으로서 근로능력평가 및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윤상용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cent trend of disability policy in some developed countries connecting disability benefit and disability-related employment programmes and introduce the basic principles to connect two programmes in Korea. In contradictory situation of progress of people's health and increase of disability benefit beneficiary, some developed countries have been working to change the paradime of disability policy of disability benefit focused policy into social inclusion policy through strengthening active labour market policy. In the concrete, some developed countries have merged benefit agency and public employment service agency, which means to construct single assessment system of disability benefit and disability-related public employment services. However the status of Korean disability policy is inferior to average of OECD countries but also disability benefit and disability-related employment services are not connected. Policy implication for Korea drawed through analysing some developed countries' recent trend in disability policy are development of work capacity of the disabled people, introduction of work ability as eligibility criteria of disability pension and expanding disability-related public employment services agencies. 본 고는 장애급여와 고용서비스의 적극적 연계를 통해 장애인의 궁극적 자립을 도모하고 있는 주요 선진 외국의 최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소득보장과 고용서비스 영역에서 독자적 제도 확충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양 제도의 연계를 위한 정책적 기본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강수준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장애 급여 수급자가 증가하는 역설적 상황에서 주요 선진 외국은 장애급여 수급 요건을 보다 엄격히 하고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임금보조 등의 노동시장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장애인복지정책의 틀을 바꾸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장애급여 및 고용서비스 전달체계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꾀하고 있는데, 이는 장애급여와 고용서비스의 수급 요건 및 수급 자격 심사가 하나의 체계에서 이루어지는, 즉 단일사정체계 구축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OECD 회원국들은 장애급여 수급자 수를 줄이고 보다 많은 장애인이 노동시장에 복귀하여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어 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장애인 소득보장과 고용정책은 제도에 투입되는 예산과 수급자 수, 급여 수준 및 서비스의 질 등의 측면에서 모두 OECD 회원국 평균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수준이며, 아울러 장애인 소득보장과 고용정책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꾀하는 최근의 국제 동향과 달리 양 제도간 연계가 전무한 상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이러한 현실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하에 장애인 소득보장과 고용서비스의 연계를 위한 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객관적인 근로능력(소득활동능력)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 운용되고 있는 유일한 소득보전 급여인 국민연금의 장애연금 수급 요건을 현재의 의학적 손상 중심이 아닌 근로능력(소득활동능력)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 셋째, 근로능력 평가 결과, 일정 수준의 근로능력이 있는 장애인이 실질적으로 자립하기 위해서는 고용 및 직업재활서비스체계 개편과 함께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여야 한다.

      • 경기도 지역일자리 정책사업 현황분석

        임상훈 한국지역고용학회 2012 지역고용노동연구 Vol.4 No.1

        이 글은 경기도 지역에서 지방자치단체가 독립적으로 시행하는 일자리사업과 중앙정부가 시행하는 일 자리사업을 종합하여 검토하였다. 경기도 일자리사업의 가장 핵심적인 특징은 일자리창출사업이 복지 중 심의 공공 일자리창출사업에 집중되어 있어 경기도의 지역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 다. 즉, 경기도는 전국 평균과 달리 중소기업과 제조업 기반의 산업구조와 상용직 중심의 고용구조를 가지 고 있지만 경기도의 일자리창출 사업은 공공부문이 중심이 되어 임시 및 일용직 고용을 창출하는 데 주안 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복지 지원을 위한 일자리사업이 중심이 되어 지역경쟁력 제고에 큰 도움을 두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중앙정부와 경기도가 경쟁적으로 복지 중심의 일자리 사업을 집 행하다보니 일자리사업의 중복성의 문제점이 확연하게 나타나게 된다. 향후 경기도는 자체사업의 핵심영역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현재와 같이 취약계층 중심의 일자리 사업을 시행하여 중앙정부 사업을 보완하는데 중점을 둘지에 대해 전면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자체 일자리사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과 전문 인력의 부족, 예산 부족 등으로 자체사업의 전면적이고 효 과적인 시행에 큰 애로가 존재하여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중앙정부와 지 방정부의 협력과 고용-훈련-복지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특히 현재 경기도 자체사업이 단순 한 고용 지원에 머물러있지만 향후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복지 연계 사업을 개발하고 지역특화산업의 숙 련인력양성과 기능 인력의 기술을 제고하는 고용-교육-훈련의 연계 사업을 발굴하여야 할 것이다. 중앙정 부는 지방자치단체가 각 지역의 상황에 맞게 일자리사업을 추진할 여지를 제공하는 한편 중앙-지방간 협 력을 강화하고 고용-복지를 연계하는 전달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all the public financed job projects implemented in Gyeonggi-Do. It starts with summarizing both public job projects financed by Korean central governments and those by Gyeonggi-Do regional governmen. This work has not been done by anyone since it takes a great deal of efforts and time. Then, the study analyzes common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entral government job projects and regional government job projects. Both job projects are focused on job creation in the public sector. This usually involves temporary work with low wages because those projects tend to hire the disadvantaged to do a short-term job. This common characteristic shows that public job projects in Gyeonggi-Do does not fully reflect its industrial structure and local labor market situations. The Gyeonggi-Do region is equipped with high competitivenes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high employment stability with full time employment practices in the labor market. Those industrial structure and local labor market situations demand pubic job projects to supply more skilled labor and spend more to training of the employed. Thus, Korean central governments and the Gyeonggi-Do regional government need to coordinate their job projects to solve Gyeonggi-Do job problems and improve the strength of the regional situations. This study also clearly indicates that both government develop a regional employment policy converging job creation-training-social protection.

      • KCI등재

        시각장애인 경제활동 특성: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고용서비스를 중심으로

        임종호(Jong-Ho Im)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1

        「2021년 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시각장애인 경제활동에 대한 주요 특성을 살펴봄과 아울러 현황에 따른 시각장애인 경제활동에 대한 함의 및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자료는 2021년 경제활동실태조사서 원자료 활용하여 시각장애인 1,199명에 대한 경제활동 상태,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 고용서비스, 가구 정보 등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취업자는 단시간 일자리와 유연근무제를 원하며, 코로나 취약계층과 고령자에 대한 사회안전망이 필요하다. 둘째, 실업자의 경우 고용 여부만을 강조하기보단 고용의 질을 평가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비경제활동인구에 대해서는 지역사회에서 비공식적 네트워크를 만들고 확장해 나감과 아울러 돌봄을 가족에게만 맡기는 가족 연대주의적 사고는 만성적인 비경제 활동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다. 넷째, 고용서비스를 위해 근로지원인 제도 확충과 근로연계를 위하여 소득이 발생하더라도 일정 기간 의료급여 유지 등 급여 상실에 따른 불안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보완해야 한다. Based on the 2021 Economic Activity Survey for the Disabled,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main status of economic activ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s well a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for economic activiti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For this purpose, this data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conomic activity status, employed, unemployed, non-economic activity, employment service, and household information for 1,199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the original data of the 2021 Economic Activity Survey. Results are First, the employed want part-time jobs and a flexible working system, and a social safety net is needed for the vulnerable class and the elderly. Second, in the case of the unemployed,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quality of employment rather than just emphasizing whether or not they are employed. Third, for the economically inactive population, creating and expanding an informal network in the local community and family solidarity thinking of entrusting care only to the family can exacerbate the chronic state of economic inactivity. Fourth,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minimizing the anxiety caused by the loss of benefits, such as maintaining medical benefit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n if income is generated to expand the labor support system for employment services and to link work.

      • KCI등재

        국제근로계약에 관한 연구

        김희성 한국경영법률학회 2013 經營法律 Vol.23 No.2

        Korea has so far followed the generalized trend of globalization in the world economy, and its labor market has never yet been an exception. It is currently a common tendency from local companies going global and visa versa to now see the Korean employees working together with foreign staffs in foreign firms operating in Korea, as well as the foreign residing Korean employees working jointly with local workers in foreign operated Korean firms, and foreign workers employed to work with Korean local employees in Korean locally operated firms. In such employment relations, it is not a difficult matter to predict the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application of different countries’ sometimes diverse employment laws to be disputed in the Korean court. The stud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integrated legal interpretation methods seeking a careful harmonization in approaching the legal issues, which to be arisen between the standpoints of labor law-side, which attempt to attaining ideology to protect the workers in the legal frame of positive law seeing them as socioeconomic weaker group, and International Court, which tries to fix its rule following certain binding points. Firstly various fundamental principles in American international employment contract law will be reviewed. The progressive meaning to put American law as the major subject for our comparative method is not only from its so far influences to Korean law, but also to capture the fact that the treaty of Rome has formed a basis of current American international employment contract law. The treaty sets a model to its nonmembers as well as member countries. As such, via reviewing the American case,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common legal principles and issues governing each European country. Based on the identified legal principles from American law settings, this study will conduct to examine the specifics of its implementation morphologies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employment rela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extent of governing employment contract law and the special connection with the practical labor law. Korean former theories and precedent trial cases on international employment contract law will be revised and analyzed with the critical comparative assessment on American and EU law, and finally followed by the summery proposals from its poli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국제계약법 분야의 국제사법 개정을 위한 입법론적 쟁점

        김인호(Kim, In-Ho) 한국국제사법학회 2021 國際私法硏究 Vol.27 No.2

        국제사법이 전면개정된 후 20여년의 기간이 흐르면서 변화된 상황에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국제사법을 마련하기 위한 검토가 필요하게 되었다. 계약에 관한 준거법 결정에 관련한 국제사법 규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당사자의 계약의 준거법 선택에 관한 국제사법 제25조와 관련하여서는 묵시적 선택의 범위가 제한적임을 명확히 하였고 당사자가 선택할 수 있는 법의 범위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순수 국내계약과 관련하여 강행규정을 제한적으로 재량적으로 적용하도록 하였다. 객관적 연결에 의한 준거법 결정에 관한 국제사법 제26조와 관련하여서는 가장 밀접한 관련에 의하는 일반조항, 특징적 이행에 기초한 추정규정, 예외조항이라는 순차적 구조의 불분명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징적 이행자의 상거소에 의하도록 하고 이에 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장 밀접한 관련에 의하도록 구조적 변경을 제시하였다. 소비자계약에 관한 국제사법 제27조와 관련하여서는 소비자계약으로 취급되기 위한 세 가지의 요건을 두 가지 요건으로 정비하고 운송계약과 소비자의 상거소지 외의 다른 국가에서 배타적으로 용역을 제공하는 계약을 소비자계약의 범위에서 제외하는 제안을 하였다. 근로계약에 관한 국제사법 제28조와 관련하여서는 일상적 노무제공지라는 연결점을 넓게 파악하기 위하여 “근로자가 일상적으로 노무를 제공하는 국가 또는 그로부터 일상적으로 노무를 제공하는 국가”라고 명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약의 성립 및 유효성에 관한 국제사법 제29조와 관련하여서는 준거법에 따라 당사자의 행위의 효력을 판단하는 것이 명백히 부당한 경우에는 그 “당사자는 그의 상거소지법에 의하여 동의하지 아니하였음을 주장할 수” 있도록 문언을 정비하였다. 이 논문에서의 입법적 제안이 그 동안의 상황변화에 부응하여 국제계약의 준거법 결정에 효율적으로 기능하는 국제사법의 형성에 다소나마 기여하고 나아가 이를 통하여 국제거래의 증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t is time to revisit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in order to streamline PIL in accordance with changing surroundings since its revision in 2001. This essay reviews the provisions of PIL with respect to contracts. First, this essay reviews an implied choice of law in a narrowly tailored way and explores a choice of a non-state body of law. In a purely domestic situation, this essay is of the opinion that courts have discretion not to attribute a stronger effect to the mandatory provisions than the objectively applicable law would do so. In respect of applicable law in the absence of choice, this essays suggests a structural change from a three stage approach of closest connection test, rebuttable presumptions based on characteristic performance, and escape clause to a two stage approach of habitual residence of the characteristic performer and closest connection test. With respect of consumer contracts, this essay simplifies three requirements for a consumer contract to two requirements. This essay also suggests the exclusion of a contract of carriage, a contract for the supply of services exclusively outside consumer country and a contract relating to immovable property. In respect of individual employment contracts, this essay proposes to expand the habitual place of work by providing “the country in which or, failing that, from which the employee habitually carries out his work.” Lastly, in respect of the existence and validity of a contract, this essay refines the wording that a party may establish that he did not consent in accordance with the law of the country in which he has his habitual residence. The suggestions in this essay could contribute to revisiting PIL in order to cope with changed situations and improvement of international trade.

      •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고령자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

        김종향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1 임상사회사업연구 Vol.8 No.2

        고령자의 재취업은 개인적으로는 노후생활에 필요한 소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취업을 통해서 안정된 역할을 갖게 됨으로써 노년기의 무료함이나 고독감을 해소하고, 신체 및 정신적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국가적으로는 사회보장기금의 절약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망에 대한 다양한 요인을 밝히고, 그 요인들이 고령자 재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즉 취업한 고령자 집단과 미취업 고령자 집단의 사회적 관계망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망 요인이 재취업에 도움을 주는지를 밝히고, 취업욕구가 있는 고령자들의 취업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서울시 노원구 고령자취업알선센터에 최근 2년간 등록한 노인 중 과거 취업경험이 있고, 55세 이후 재취업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에 의해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작성한 설문지를 가지고 대면조사와 우편조사를 실시, 총23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Chi-square)과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재취업을 위해 개인적 관계망 유형보다 제도적 관계망 유형을 이용할 경우 재취업 할 확률이 1.8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가 증가 할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2.3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친밀도가 높아질수록 재취업을 할 확률이 0.35(1-0.647)배 감소하지만, 사회적 관계망의 연결강도 중 접촉빈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관계망의 도움유형 중 정보제공 유형 보다 영향력 제공 유형일 경우가 재취업을 할 확률이 3.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립변수로 투입된 이질적 결합정도, 상향지향적 결합정도는 고령자의 재취업 여부에 유의미한 값을 가지지 않아 고령자의 재취업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적 관계망 요인 중 고령자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Wald값과 유의도를 기준으로 볼 때,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관계망의 수(Wald=20.726, p=.000)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령자가 재취업을 위해 접촉한 사회적 관계망이 많을수록 재취업률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그 다음 요인으로는 도움유형(Wald=11.324, p=.001)으로. 고령자에게 있어 재취업을 위해서는 추천?직원소개?직접고용 등의 영향력을 제공하는 도움이 재취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