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의 변천과 고시가 장르의 변천사

        조태성 ( Tae Seong Jo ) 한국고시가문학회 2009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4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about the change of emotion assumes that the notions of feeling, cross-feeling, and emotion are separate. Under this premise, I make a condition of periodization with the class of enjoyment and the background of the age and society in Hyangga, Goryeo songs, Akjang, Gyeonggichega, Sijo, and Gasa. Moreover, I tried to grasp the emotional aspect of the period derived from it. Therefore, by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Genre of Korean classic poetry through the change of emotion, I wanted to make a hypothesis that the change of Genre could be influenced by relations among emotional things. For this, first of all, I examine the creation of Genre or general conditions of change. And I could find that `the difference` of preceding Genre is in the center of these conditions, not the commonality. The present writer thought this difference is the change of emotion. It is right to discuss emotion, feeling, and reason in literature. However, the discussion of emotion which is a notion to unify of emotion, feeling, and reason is insufficient yet because the accurate discussion about emotion is insignificant. In spite of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article is to search possibilities of writ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정신병질 성향군의 정서처리

        양지은,장문선,소준현,곽호완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processing in people with psychopathic tendency using a web-based facial emotion decision task and a change-blindness facial emotion task. A psychopathic tendency and control group were selected out from university students using a Levenson's Self-Report Psychopathy and a Welsh Anxiety Scale. As a result of study 1 which employed a web-based facial emotion decision task, response accuracies of psychopathic tendencies to happiness and surpri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suggesting that psychopathic tendency shows some emotion processing deficits. The results for emotions such as fear and sadness, howeve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2, using a change-blindness facial emotion task, examined attention deficits of psychopathic tendencies in emotion processing. As a result, response times in psychopathic tendencies were significantly s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all six measures of emotion (happiness, fear, anger, disgust, sadness, surprise). In summary, 1) the study 1 showed that people with psychopathic tendency have difficulty in processing emotions such as happiness and surprise. 2) the study 2 showed that they also has attention deficits in noticing changes in all six emotional face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our results may shed lights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discriminating psychopaths from normal,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두 가지 웹-기반 얼굴정서판단과제와 변화맹시-얼굴정서과제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성향군의 정서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Levenson 자기보고식 정신병질 질문지(LSRP)와 Welsh 불안 척도(WAS)를 이용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차 정신병질 성향군과 통제군을 선발하였다. 연구 1에서, 정신병질 성향군이 통제군에 비해 특정 정서를 처리하는데 결함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얼굴정서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신병질 성향군이 통제군에 비해 행복과 놀람 정서를 판단하는데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공포와 슬픔 정서에서는 정반응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 2에서, 특정 정서를 지각하여 화면의 변화를 탐지하는데 있어 주의 결함이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변화맹시-얼굴정서과제를 고안하여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신병질 성향군은 통제군에 비해 행복, 공포, 분노, 혐오, 슬픔, 놀람 정서의 변화를 주의하여 지각하는데 유의하게 느린 반응시간을 보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1) 정신병질 성향군은 통제군에 비해 행복과 놀람 정서를 인식하여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2) 또한 정신병질 성향군은 공포, 슬픔 정서뿐 만 아니라 혐오, 분노, 놀람 정서와 행복 정서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 변화를 탐지하는 데 결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이 향후 정서 처리와 관련된 정신병질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정운채 ( Jeong Un-chae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5 No.-

        이 논문의 목적은 자기서사의 변화가 이루어지는 과정과, 그 변화를 궁극적으로 가능케 하는 공감 및 감동의 원리가 서사의 공명에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치료학은 자기서사의 변화에 대하여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아홉 가지 접근법들을 포괄하면서도 보다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 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자기서사가 변화하는 국면은 작품 감상 및 창작, 문학치료사와 치료대상자와의 대화, 문학치료사와 치료대상자와의 인간관계 등이다. 셋째, 자기서사의 변화는 결국 자기서사를 보충하고, 강화하고, 통합하는 일을 통해서 가능해진다. 넷째, 자기서사를 변화시키는 동력은 어떤 서사가 다른 서사보다 낫다고 판단하는 데 있다. 다섯째, 자기서사의 변화는 서사의 분기점에서 이제까지와는 다른 갈림길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된다. 여섯째, 자기서사의 변화는 서사의 길 내기를 통하여 공고해진다. 일곱째, 자기서사의 변화는 공감과 감동을 통하여 완성된다. 여덟째, 공감과 감동은 공명 현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ange process of the epic of self and resonance of the epic as the principles of sympathy and deep emotion.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hange of epic of self or the change of mental state is discussed, literary therapeutics can suggest more fundamental and specific method than nine approaches of counsel and psychotherapy. Second, there are three phases of the change of epic of self which are appreciation and creation of literary work, a conversation between a literary therapist and a client, and human relation between a literary therapist and a client. Third, the epic of self can be changed by supplementing, strengthening, and integrating the epic of self. Fourth, when one can judge which epic is better or not, one`s epic of self can be changed. Fifth, the change process of the epic of self would start when one chooses a new path at the diverging point of epic. Sixth, the change of the epic of self can be solid through beating a path of the epic. Seventh, the change of the epic of self would be completed through sympathy and deep emotion. Eighth, sympathy and deep emotion are arisen on the basis of the phenomenon of resonance.

      • KCI등재

        조직구조 개편 시 변화관리활동 지각이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변화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서정완,백승령 대한경영정보학회 2019 경영과 정보연구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members' perception of unit change management efforts on their emotional–organizational commitment during the military restructuring. The mediating effect of change acceptance of the members in this relationship is also studied. Currently, the military is seeking to restructure its military construct in order to active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ecurity situation and the decrease in military service resources. If an organization fails to effectively manage its changes when undergoing restructuring,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success of organizational change due to its members’ resistance to chang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effect of members' perception of personnel fairnes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ir emotional-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ediating role of the members' change 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s the hypotheses. Survey results show that personnel justic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emotional-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and that the change acceptance of the members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By presenting the mediating effect of change acceptance with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theory has been expanded. In practice, the change management activities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military structure have been identified, and the effort for enhancing the change acceptance of the members is required to success on the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본 연구의 목적은 군 조직구조 개편 시 부대의 변화관리활동(인사공정성, 변혁적 리더십) 노력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이 구성원들의 정서적 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이들 관계에서 구성원의 변화수용의 정도에 따른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 있다. 현재 군은 급변하는 안보상황과 병역자원의 감소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군 구조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조직이 구조조정을 겪을 때 변화관리활동을 효과적으로 하지 못하면 구성원의 저항에 부딪히고 자칫 성공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성원의 인사공정성 및 변혁적 리더십 지각이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인 직접효과를 가설화 하였다. 또한 인사공정성 지각과 정서적 조직몰입 사이에서 변화수용의 매개효과와 마찬가지로 변혁적 리더십 지각과 정서적 조직몰입 사이에서 변화수용의 매개효과를 위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은 군 구조개혁의 변화를 경험한 부대의 간부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유효 설문응답자는 219명이었다. 분석 결과, 인사공정성과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정서적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구성원의 변화수용이 이들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함을 밝혔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변화수용의 매개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이론의 확대를 가져왔고, 실무적으로는 군 구조개편을 위한 변화관리활동 중 인사공정성과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식별하였으며 구성원들의 변화수용 향상을 위한 노력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감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과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해룡 ( Hae Ryong Kim ),정현우 ( Hyun Woo Jung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3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조직에서 새롭게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감성리더십이 부하의 긍정심리자본과 변화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감성리더십이 부하의 변화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A광역시의 플랜트업체와 자동차부품업체의 193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감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에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탄력성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않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둘째, 변화몰입에는 감성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의 구성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탄력성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감성리더십이 변화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긍정심리자본의 구성 요인인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는 매개효과를 가졌지만, 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감성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변화몰입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이론적 시사점과 조직에서 구성원들을 변화에 몰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감성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되었다.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 of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itment to change and develop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tical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mmitment to the change and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commitment to the change. The suggested hypothetical relationships were tested with primary data from a sample 193 employees of plant and auto parts compan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have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hope, optimism dimen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t not on resilience dimension. Second, emotional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positive impact on the commitment to the change. Thi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eadership and commitment to the change. Thus, the hypothesis on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suppor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commitment to the change research by developing an theoretical model, incorporating the role of emotional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the organization developing commitment to the change, emotional leadership of leader and improv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need to be considered to adopt.

      •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황재윤(Jae Yoon Hwang),정원호(Wonho Jeung)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17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2

        본 연구는 리더의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이 조직구성원간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특히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이 조직구성원간 지식공유에 미치는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과 리더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과 정서적 몰입, 리더 신뢰의 관계에서 관계적 에너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육군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이 조직구성원간 지식공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과 리더 신뢰가 이를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이 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 및 리더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적 에너지가 정(+)적으로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과 지식공유에 대한 선행연구의 폭이 확장되었으며, 조직구성원간 지식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한 선행요인으로써 리더의 변화 지향적 리더십 행동이 필수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 on the knowledge sharing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ommitment and leader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s and knowledge sharing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was verifi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al energy was verified in relation to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s, emotional commitment, and leader trust. A survey of military infantry soldiers showed that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s positively affect knowledge sharing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Also, emotional commitment and leader trust are mediated by the member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s on emotional commitment and leader`s trust positively influenced by relational energ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vious study on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s and knowledge sharing is expanded and that change-oriented leadership behaviors of leaders are essential for promoting knowledge sharing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 KCI등재

        수퍼그래픽에 적용된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의 감성적 변화

        이정엽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4

        우리가 살고 있는 인공 건축물의 표면 또는 공간에 그래픽 적 의미를 부여하는 수퍼그래픽 과 어떠한 목적 미술로서의 역할을 위해 그려지는 일러스트레이션은 그 스타일과 특성이 상당히 비슷하다. 지면에 그려진 일러스트레이션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건물 외벽에 적용될 수 도 있고 실내 커피 샾의 벽면을 장식 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하나의 일러스트레이션이 수퍼그래픽에 그대로 적용되었을 경우 일러스트레이션이 원래 가지고 있던 이미지에 변화가 있을까? 있다면 어느 정도일까 하는 것을 이미지에 대한 감성적 평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험 은 관련 잡지, 웹 등을 통해 일러스트레이션 샘플과 이미지 용어를 선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들에 대한 평가 실험을 하였다. 실험 후 동일한 일러스트레이션 샘플들을 아파트 외벽에 이미지 합성하여 수퍼그래픽을 만든 후 같은 실험자로 일러스트레이션이 적용된 수퍼그래픽에 대한 이미지 평가 실험을 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로 수퍼그래픽 적용 전과 수퍼그래픽 적용 후의 이미지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그 결과 가장 많은 이미지 변화를 보인 것은 독특 이미지로 일러스트레이션이 수퍼그래픽에 적용되었을 때 일러스트레이션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독특한 이미지에 대한 변화 정도가 평균 15%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변화를 보인 것은 재미 이미지로 그 변화 정도가 11.7% 긍정적 발현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개성 이미지가 7.4%, 친근 이미지가 7.3%, 산뜻 이미지가 6.3%, 따뜻 이미지가 3.7%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반대로 일러스트레이션이 수퍼그래픽에 적용되었을 때 이미지에 대한 부정적 변화를 보인 것은 세련 –5.6 %, 밝다 –6.8%, 화려-3.8%로 나타났다. 섬세한 이미지는 수퍼그래픽 적용 전, 후 변화 정도가 0.8%로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일러스트레이션이 수퍼그래픽에 적용되면 본래의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정확하게 어떠한 이유 때문인지는 알 수 없으나 차갑고 밋밋한 시멘트 벽면에 그려진 일러스트레이션이 평범한 지면에 적용된 일러스트레이션일 때 보다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한 미적 감성을 강하게 자극하여 나타난 결과가 아닐까 생각된다. 추 후 이러한 원인에 대해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한다면 일러스트레이션이 적용된 매체 변화에 따른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 변화에 대해 객관적 검증을 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There are concomitant features between a super graphic, which imparts graphic meanings to a surface or space of artificial buildings, where we live, and illustrations, drawn for a purpose as art. Illustrations drawn on the paper can be applied to an outer wall of buildings with some purpose or can decorate the surface of a wall of coffee shop. Then, if a illustration is applied to a super graphic as it is, will there be changes in images of illustrations? If there will be, how much? I investigate this through emotional evaluation study on images. It evaluates illustration images with a survey by selecting samples and phraseology of images through relevant magazines and webs. After experiment, it evaluates images, which a super graphic is applied to, by composing samples on outer walls of apartm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compares and analyzes assessment results of images when the super graphic is applied to and not. A unique image shows the most changes. There may be differences according to illustrations, but the level of changes in unique images is ,on average, reinforced by 15%, when it is applied to a super graphic. And a funny image shows second largest changes. It changes by 11.7%, a positive manifestation. Next, a an individual image, intimate image, fresh image and warm image show positive changes: 7.4%, 7.3%, 6.3% and 3.7%. In contrast, a refined image, bright image and gorgeous image show negative changes in images when it is applied to a super graphic. And a delicate image shows little changes of 0.8%.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change in illustration images when a super graphic is applied to. We could not know the reason of this but we guess the change would happen because cold and flat cement walls more stimulate esthetic sensitivity of illustrations than common paper does. We expect we could do objective verification about changes of illustration image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used medium, if we will study causes of this in more various ways.

      • KCI등재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성인의 자존감과 정서 변화

        김주연,강영심,이유정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s using coffee activities on emotion changes and self-esteem improvem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This program was conducted for five adul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were attending non-degree courses by the National University of Busan City. To collect data, Self-Esteem scale to measure participants’ self-esteem level and MAACL(Multiple Affect Adjective Check List) to identify emotion-changes were used as pre-and post-tests. Wilcoxon signed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and-post tests mean score to analyze the dat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examination design before and after a single group,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emotion and self-esteem of participants were observed and analyzed at each session. Result: First,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Second, the positivity amo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increased and negativity decreased. Third,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negative emotions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activities, but they discovered their strengths and felt a sense of achievement during their various experiences of positive emotions over and over aga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ositive psychology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improves self-esteem and affects emotion changes in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정서와 자존감에 미치는 효 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프로그램은 부산광역시 국립대학교에서 운영하는 발달 장애성인 대상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발달장애성인 5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전-사후검사 를 실시하였으며 윌콕슨(Wilcoxon) 통계를 통해 검증하였다. 단일 집단 사전 사후 검사 설계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각 회기마다 참여자의 정서 변화와 자존감에 관련된 내용을 관찰 기술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에 참여 한 발달장애성인의 긍정 정서는 증가하였고 부정 정서는 감소하였다. 둘째, 발달장애성인의 자존 감이 향상되었다. 셋째, 발달장애성인은 활동 초반에는 부정 정서를 드러내었지만 회기를 거듭하 며 긍정정서를 다양하게 경험하는 동안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성취감을 느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커피 매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발달장애성인의 정서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자존감을 향상 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스포츠워킹 정서변화 척도개발 및 타당화

        김성문(Kim, Sung-Mun),최만식(Choi, Man-Sik) 한국사회체육학회 2018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7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otional change scale for sports walking performance. As the proper procedures of scale development, the content analysis of qualitative exploration,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actual survey of emotional change were carried out for the final scale development. In the preliminary scale development phase, 150 students of a sports walking subject in the university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In the main survey, 215 students of the sports walking subjec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or one-year semesters.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which carried ou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question,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exploring factor structure between question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cale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ub-factors of the sports walking emotional change scale, which secured validity, were analyzed to be relatively stable in the analysis of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As specific sub-factors,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health promotion and social communication structure constituted a scale of sports walking emotional chang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negative emotional change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strength change of sport walking among sub-factors.

      • KCI등재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감성적 접근의 지속가능한 디자인방향

        김수미,기철영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2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1 No.2

        Residential space is the most fundamental space for human life. Mutual influence among humans is important. The contemporary residential space operates as a system formed by close relationships while accommodating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influential social situations. A recent environmental change has led to an influential social situation called “Untact,” which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residential spac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more sustainable index to study the impact of the environmental change brought about by the “pandemic” on the social, economic, and physical environment using the architectural response method from an emotional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sustainable design method by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space and the environment, which is the basis of human life. The sustainable design method that responds to environmental changes using an emotional approach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s a flexible structure that can be used for separation and integration. Second, it expands and separates the community through the terrace. Third, it restores access to the groun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ature and landscape. Fourth, it secures a comfortable environment and safeguards from COVID-19.This study examined the residential space from a sustainable perspective, using an emotional approach that is difficult to define. It is meaningful as a practical study in suggesting various factors and ways to realize emotional space and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