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생적 문식성(Emergent Literacy)의 개념과 구인 - 국어교육학적 연구를 위한 기초 논의

        오성렬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38 No.-

        Based on the awareness that study on concept and construct of emergent literacy were insufficient, this study reviewed the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on the concept and construct of emergent literacy and summarized the results. The four main characteristics of emergent literacy that had previously been discussed were extracted, and the concept of emergent literacy was defined as “reading and writing-related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children continuously acquire from birth to before receiving full-scale literacy education”.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 models of emergent literacy were summarized, and a list of constructs commonly included was extracted. As a result, phonological awareness, vocabulary, print concept, letter-sound knowledge, emergent reading, and emergent writing were extracted as major constructs. In addition, syntactic awareness, narrative skills, and letter-name knowledge were discussed as constructs of emergent literacy. 이 연구는 발생적 문식성의 개념과 구인에 관한 검토가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발생적 문식성의 개념과 구인에 관한 국내외의 기존의 연구물들을 검토하여 그 성과를 정리하였다. 기존에 논의된 발생적 문식성의 주요 특성 네 가지를 추출하였고 발생적 문식성의 개념을 “출생 이후부터 본격적인 문식성 교육을 받기 이전까지 아동이 지속적으로 습득하게 되는 읽기·쓰기 관련 지식, 기능, 태도 및 이들을 나타내는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발생적 문식성의 구인 모형 네 가지의 특징을 정리하고, 이들이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구인 목록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음운론적 인식과 어휘력, 인쇄물 개념, 문자-소리 지식, 발생적 읽기, 발생적 쓰기 등이 주요 구인으로 추출되었고, 이외에도 통사론적 인식, 이야기 능력, 문자-이름 지식 등이 발생적 문식성의 구인으로 논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아동중심 교육과정을 향하여: 발생적 문식론에 내재된 신화 해체하기

        이수원 ( Soo W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4

        발생적 문식론이 확립되는 초기에는 비형식적 문해 경험을 통해 이동들이 문해 개념을 획득한다 고 가정했다. 그리고 초기 발생적 문식론은 비형식적 문해 환경과 아동의 문해 능력 간의 관계에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읽기와 쓰기에 대한 발달심리 연구결과가 축적됨에 따라 발생적 분석론은 문해 요소들을 가르치는 전략에 주력하며 읽기와 쓰기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발생적 문식론에 내재된, 아동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신화를 해체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문해 요소를 가르치거나 읽기와 쓰기의 기능적인 면을 강조하는 문해 활동이 아동의 창의적인 문해 활동을 방해할 수 있음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문자 중심의 문해 교육을 비판한 Hassett (2006a, 2006b)의 분석방법을 차용·확대하여, 발생적 문식의 특정이 되는 아동관, 교육실제, 가정환경 개념을 비판·분석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비판적 분석은, 진정한 이동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아동에게 터득해야 할 문식 기술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의 삶에 밀접하게 다가서서 아동의 목소리를 들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how emergent literacy obscures the diversity in children``s voices. Since adopting psychological research, emergent literacy scholars have their attention from examining everyday literacy experiences to analyzing the core skills necessary to read and write conventional texts. By expanding Hassett’s (2006a, 200b) critical analysis on print literacy to emergent literacy, I argue that some assumptions governing emergent literacy’s approach to pedagogical strategies, children’s learning and home environment include or exclude a certain types of knowledge, practice and personhood. Emergent literacy precludes the possibilities of a child-centered curriculum by imposing a list of literacy skills for children to master. A child-centered classroom will be possible when young children can participate in class discourses with literacy resources they have at hand.

      • KCI우수등재

        유아의 출현적 문해 발달과 가정문해환경과의 관계

        김길숙(Gil Sook Kim),박찬화(Chan Hwa Park) 한국아동학회 2013 아동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emergent literacy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effects of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on it. 861 pairs each-consisting of a mother and a child aged form three to six years old were asked to complete the early literacy parent questionnaire (Boudreau, 2005) and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questionnaire (Park & Kim, 2008). The results showed that: (1) girls achieved higher scores than boys in emergent literacy and its subcategories. (2) there were age differences in all of the subcategories of emergent literacy except the categories of ``orientation toward literacy`` and ``phonological awarencess``. (3) The study revealed that ``reading books`` in the home literacy environment was the most contributive variable in predicting emergent literacy after controlling the age and gender followed by ``literacy learning``.

      • KCI등재

        어머니 읽기동기와 출현적 문해능력 간의 관계에서 가정문해환경과 유아 읽기동기의 순차매개효과

        황윤세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6

        본 연구는 어머니 읽기동기와 출현적 문해능력 간의 관계에서 가정문해환경과 유아의 읽기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유치원 만 4세와 5세 유아 377명과그들의 어머니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읽기동기, 가정의 문해환경, 유아의읽기동기, 그리고 출현적 문해능력 간에는 의미있는 관련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읽기동기는가정문해환경, 유아의 읽기동기를 통해 출현적 문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순차매개효과를 보였고 이를 검증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읽기동기와 가정문해환경은 유아의 읽기동기 그리고 출현적 문해능력 발달에 주요변인이라는 근거를 제시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Specifically, the dual mediating role of by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was observed. A total of 377 children aged 4-5, and 13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in Seoul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correlati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analyses, employing SPSS 27.0 and Amos 27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ading motivation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Second, mother’s reading motivation increased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s well as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ese findings indicate the critical role of mother’s reading motivation on young children’s emergent literacy skills, dual mediated by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 KCI등재SCOPUS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와의 관계: e-헬스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김희정(Kim, Hee Jung) 한국간호교육학회 2024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30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of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e-Health literacy. Methods: The study surveyed 177 nursing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COVID-19.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4. Results: Nursing professionalism (β=.26, p=.002) and e-Health literacy (β=.18, p=.021)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e-Health liter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Conclusion: e-Health literacy w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 order to improve nursing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enhance their e-Health literacy as well as nurs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리터러시(Literacy)시작 단계 아동의 영어 음소 인식 사례 연구

        우길주 새한영어영문학회 2007 새한영어영문학 Vol.49 No.1

        Using a sing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this study compared two pre and in school age children, reading experience, and pretest measure, during reading aloud and specific strategies targeted at training phonemic awareness. The training program was "Ladders to Literacy" and the children's progress was monitored using the Dyn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 (DIBELS). Four measures, Letter Naming Fluency (LNF), Sound Naming Fluency (SNF), Initial Phoneme Ability (IPA), and Phonemic Segmentation Ability (PSA) were used. Results showed that following training, each child's performance on SNF, IPA, and PSA improved; performance on LNF varied. Conclusion and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학령전 ‘언어 및 발현 문해능력’과 초등학교 1, 2학년 문해력 수준 간의 관계 : 데이터 마이닝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

        이은주(Eun 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시기에 한글 읽기와 쓰기 능력 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령전 발현 문해능력과 언어 이해 요소들을 살펴보고, 언어치료 및 유아교육 현장에서 어떠한 언어 및 발현 문해능력에 대한 명시적인 교수가 요구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육아정책연구소(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의 2014년 7차 데이터(유치원생, 6세)와 2015년 8차(초등학교 1학년, 7세), 2016년 9차(초등학교 2학년, 8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등학교 1-2학년 저학년 시기의 읽기와 쓰기 수행 수준이 또래 평균 20% 이상 아동들은 학령전에 ‘책에 관심을 가지고 스스로 읽는 능력’, ‘쓰기 관련 활동을 자주 선택하고 어려워하지 않는 태도’, ‘단어 운율 맞추기 놀이를 능숙하게 할 수 있으며’, ‘연결 지시어를 이해하고 지시에 따라 행동할 수 있고’, ‘몇몇 쉬운 단어 또는 어려운 단어도 쓸 수 있는 문해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이번 연구결과는 읽기 및 쓰기 수행 수준이 낮은 대상자들에게는 어떠한 부분의 문해능력에 더 집중적인 언어치료 및 누리과정교육이 주어져야 하는지를 제시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before school age) affecting Hangul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level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thods: A decision tre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on the 7th (kindergarten, 6 years old), 8th (first grade, 7 years old), and 9th data (second grade, 8 years old). Results: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levels of 1st and 2nd grade children were related to reading first grade books independently with comprehension, reading most words correctly and answering questions about what was read, making predictions while reading, and retelling story after reading. Children with reading levels within the top 20 percent frequently chose reading & writing-related activities, frequently looked at or read books for pleasure or to gain information, looked for books related to a personal interest or class topic, listened with interest and concentration to stories read aloud, made rhyme words, followed directions that include a series of actions, and were able to write relatively simple words such as ‘mom’ and ‘dad’. Conclus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what areas of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given to children with low reading and writing performance.

      • KCI등재

        4∼5세 유아의 발생적 쓰기 발달 양상

        김혜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발생적 문식성 관점에서 4∼5세 유아의 쓰기 발달 양상을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대구 및 경북 지역의 4∼5세 유아 130명을 대상으로 1학기(6월)와 2학기(12월), 총 두 차례 쓰기 자료 수집을실시하였다. 유아의 쓰기를 촉진하기 위하여 글 없는 그림책을 사용하였다. 질적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4∼5세 유아의 발생적 쓰기 발달 양상 범주는 ‘의사소통으로 목적으로 하는 전 관례적 쓰기’, ‘언어’, ‘관례’로 구분할 수 있다. 전 관례적 쓰기는 ‘그림의 질’과 ‘상징의 정교화’를 포함하며 유아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하여 주체적으로 그림 또는 상징을사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언어는 ‘내러티브 장르의 질’, ‘어휘의 정교화’, ‘아이디어의 양과 질’을 포함하며 유아가 자신의 메시지를보다 더 상세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장르, 다양한 어휘, 쓸거리에 대한 아이디어를 자신의 쓰기에 나타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관례는 ‘문장부호 및 띄어쓰기 시도’, ‘철자의 정교화’를 포함하며 유아가 다른 사람과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관례 관련 지식을 쓰기에 적용해 보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의 쓰기 연구 및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쓰기에 대한 이론적 관점에따라 유아의 쓰기 과정 및 결과물에 대한 해석과 지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발생적 문식성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충분한 이해가요구된다. 유아는 문식성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주체자이므로 이들의 참여를 격려하기 위한 물리적⋅심리적⋅인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문식성 발달을 격려하는 전략 중 하나로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riting development patterns of 4-5 year old children from the perspective of emergent literacy. Methods For this purpose, writing data were collected twice in the first (June) and second (December) semesters from 130 children aged 4 to 5 years in Daegu and Gyeongbuk. To promote children's writing, wordless picture books were used. Data analysis in this study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emergent writing of 4-5 year old children can be divided into ‘pre-conventional writing aimed at communication’, ‘language’, and ‘conventions.’ Pre-conventional writing involves ‘picture quality’ and ‘sophistication of symbols.’ Language includes ‘quality of narrative genre’, ‘sophistication of vocabulary’, and ‘quantity and quality of ideas.’ Conventions include ‘punctuation and spacing’ and ‘sophistication of spelling.’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writing research and education in young children. Interpretation about children's writing may vary depending on theoretical perspectives on writing, so teachers and parents must hav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emergent writing. Since young children are active participants in literacy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hysical, psychological, and human environment for young children. I suggest using wordless picture books as one of the ways to promote children’s writing.

      • KCI등재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 나타난 복합양식 문식성 양상 분석

        옥현진,서수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6 No.-

        This study aimed to analyze 24 first graders’ aspects of multimodal literacy practices in picture diary composition. 255 picture diaries collected from a classroom for three months, researchers’ interviews with the classroom teacher, and transcripts of dialogue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were triangulated for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tended to draw pictures to visualize events, describe characters, and portray settings of their diaries. Multimodality patterns shown most frequently in the diaries were naming on characters and objects, use of speech bubbles, expression of motion, and use of emotic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even the first graders are active meaning makers and bring in diverse funds of knowledge of multimodality to his/her classroom. Consequently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needs to look for the methods to help them maintain and develop their multimodality from the level of emergent literacy.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작성한 그림일기를 대상으로 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실천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약 3개월에 걸쳐 한 학급 24명의 학생들로부터 총 255편의 그림일기를 받아 분석하였으며, 연구자와 담임교사의면담 자료, 담임교사와 학생들 간의 녹취록 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그림일기 텍스트 의미 구성에 있어서 그림의 역할은 크게 세 가지 측면 즉, 사건의 시각화,인물의 묘사, 배경의 설정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으며, 복합양식의 유형도 크게네 가지 측면 즉, 이름 붙이기, 말풍선 달기, 움직임 표현하기, 이모티콘 사용하기로범주화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앞서 범주화한 항목들을 토대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레퍼토리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이미 다양한 레퍼토리를 가지고 공교육을 받기 시작한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학생들을 능동적인 의미 구성자로 인식하고 이들의 의미 구성 활동을 극대화할수 있는 방안을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또 복합양식 문식성을 문식성 발생 단계에서부터 공교육 막바지에 이르기까지 누적적·지속적으로 길러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제언하였다.

      • KCI등재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Young Tae Kim(김영태),Jin Kyong Kang(강진경),Jung A Kim(김정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2

        배경 및 목적: 사회정서는 아동의 발달에 중요한 요인이며, 언어능력은 사회정서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하여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의 하위영역 간에도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언어능력은 수용언어, 표현언어, 초기 문해능력으로 나누고, 사회정서발달 변수는 외현적 행동, 내재적 행동, 사회적 기술, 자기조절로 구분하였다. 방법: 9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ScienceDirect, RISS, DBpia, Kyobo Scholar)를 통해 포함 및 제외 기준을 적용하여 총 12편의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Fisher’s Z를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결과: 아동의 언어능력과 사회정서발달은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각 하위영역에서는 수용언어능력과 내재적 행동 및 자기조절, 표현언어능력과 내재적 행동 및 사회적 기술, 초기 문해능력과 사회적 기술 및 자기조절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정서발달의 하위영역 중 외현적 행동은 언어능력의 전 하위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언어능력이 사회정서발달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언어중재를 통해 부정적인 사회정서는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사회정서는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Socio-emo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hild development. Language ability is closely related with socio-emotional development. This paper reviews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nd investigate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m and between their sub domains. Language ability is composed of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and emergent literacy.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cludes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social skills, and self-regulation. Methods: Twelve studies which meet the inclusive criteria were selected from 9 electronic databases (Academic Search Complete, PsycINFO, ERIC, PubMed, CINAHL Plus, ScienceDirect, RISS, DBpia, Kyobo Scholar).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was carried out using meta-analysis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 [CMA2]).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using Fisher’ Z.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as a whole.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ceptive language and self-regulation, between expressive language and internalizing behavior, and between emergent literacy and self-regulation.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ll sub domains of language ability and externalizing behavior.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nguage intervention method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decrease negative socio-emotions and to enhance positive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