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움직임을 통한 지식의 체화

        오레지나 한국무용교육학회 2019 韓國舞踊敎育學會誌 Vol.30 No.2

        “Human body acquires culture by experiencing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surrounded, and thus Barba, E.(1993) maintains that each of us is a ‘cultured’ body.” Movement through the ‘culturized’ body addresses the problems by connecting “body and mind,” “body and environment,” and “an individual and an individual.” The embodiment of knowledge through movement is realized by the process of “movementthinking” that is the transaction among conscious, preconscious thinking-unificationself expression and self control-body and the world. When the nature of the movement that realizes the embodiment of knowledge and non-conscious knowledge is observed in the point of view based on pro-life existence, it reveals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the movement begins with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based on life-ness. This is based on “Self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the other-ness. At the same time, it maintains its own individuality with uniqueness. Also, it joins the sustaining system of life, that is, the circle of life. Second, when ‘information’ comes to internalize as ‘knowing’ and becomes unified with ‘body’ by deconstructing the borders of ‘knowledge’ to become a practice, the embodiment is realized. As a result, the movement reflects will values and “being directed”. Third, in the cyclical system of the borderless unification of knowledge (consciousness) - body - movement, “movement thinking” is complementary for movement being directed toward something and reflective movement based on public relationship. Fourth, movement, as a substance of existence that fully reflects knowledge and conscious, is dance-knowledge that makes dance experience possible. Fifth, the premise of movement thinking is the restoration of the body-ness that means pro-eco body which regained nature and order of life. With this, the cycle of existence system is sustainable.

      • KCI등재

        '모티프' 중심의 서사적 사고력 교육 : 서사표현교육의 주제론적 접근

        최인자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본고는 서사 창작교육이 서사적 사고력을 교육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전제하에, 서사적 구성 과정을 밝히고 이에 도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구안하고자 하였다. 서사적 사고의 본질은 '가설생성적 사고'라는 점을 먼저 지적하였다. 다음 대표적인 가설 생성적 사고의 하나인 퍼스의 '가추법'(가정적 추론)의 논리를 빌어 그 서사적 사고의 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물론 가추법에서 '서사적 추론'은한 부분에 불과하지만, '가정적 추론'으로 '놀라운 사실'에 대한 개연적 설명을 이끌어내는 과정은 동일하기 때문에, 가추법의 기본 원리를 원용하되 해석적 서사론으로 보완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로 서사적 추론 과정을 1) 놀라운 사실로부터 출발 2) 가설 생성으로서의 줄거리 구성 3) 서사 논리 검증으로 구조화하였다. 특히 2)은 서사적 사고의 특성을 고려하여 '의미있는 전체'를 구성하는 가설이 되어야 하고, 관습적으로 자동화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적절함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추론 과정은 핵심적인 사건에 기반을 두되, 이 사건을 개연성 있게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전제들을 선택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에 '모티프'를 중심으로 교육하는 방법이 적절하다. 모티프는 서사 구성의 핵심적인 구조이다. 곧 '모티프'라는 구조론적, 의미론적 기본 단위를 활용하여 완전 창작의 부담을 없애려고 하였다.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면, 1) '모티프'로 서사적 문제를 발견/설정한 뒤, 2) 모티프에 전제된 일상의 '행위' 도식과, 전통의 서사 문화 탐구하기 3) 모티프를 구체화, 변형, 결합하여 줄거리를 만든다. 이 과정에는 '은유적 발상법'으로 인과적 설명을 다양한 층위에서 모색하도록 한다. 4) 서사적 논리의 개연성을 검증한다. 특히 4)에서는 ① 사회·문화적 용인 가능성 ② 추론의 참신성 ③ 추론의 일관성과 복합성 ④ 경제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주제적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표현교육의 설계 가능성을 점검하였다는 점과 문화적 자원과 개인적 활동, 읽기와 쓰기를 결합하였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The task of this essay is both to explain the process of narrative thinking and to develop instruction method to improve narrative thinking.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the essence of narrative thinking is the thinking of hypothesis production. Next, depending on abduction theory, the process of narrative thinking is explained. It' construction is 1) start from surprising fact 2) emplotment as hypothesis production 3) verification of narrative logic. There are three pattern abductions, such as overcoded abduction, undercoded abduction, creative-abduction. To develop high narrative thinking,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meaningful global structure and creative hypothesis in undercoded abduction, creative-abduction. For this goal, 'motif' based instruction method is very efficient. It's procedure is to 1) establish narrative task in form of motif, 2) inquire motif, 3) embody, transform, combine motif, 4) verify and evaluate narrative logic. Especially, the category of evaluation is 1) acceptance in social cultural context 2) novelty in reasoning 3) coherence and complication in reasoning 4) economy in ex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essay is to develop top-down expression model.

      • KCI등재

        체화된 인지와 마음의 글쓰기 -나탈리 골드버그의 ‘글쓰기 연습’론을 중심으로-

        우미영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new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 writing training method of Natalie Goldberg (born 1948): Instead of specific information or knowledge that is central to practical writing education, Goldberg emphasized the primary attitude hidden under the cover of practicality. This brings the problem of subdued attitudes to a natural level to the center of writing,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writing education beyond the level of information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Above all, Goldberg’s writing method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emphasis on “unthought” when writing. This rejects the view that thinking comes first and writing is the produc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onceptual relevance of writing and thinking and cognition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inking in “unthought”. In Chapter 2, this was looked at from the perspective of writing as an idea that focuses on the “act” of writing. As consciousness and body are connected to one through hands, it is one’s “mind” that the writer should meet through writing as an act of thought. At this time, the mind is connected with perception in cognitive science. The concept of writ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mind were summarized together by examin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Goldberg’s writing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embodied mind, is not a reproduction of what has been decided or given, but rather a creation and creation of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rather than the product of writing itself, we want to move toward creating new experiences and worlds based on the writer’s body/mind, life and experience. Through these embodied mind or mind-writing, new goals or directions in writing education can be found. This is also one direction that writing education should pursue in an environment of cognitive operation beyond consciousn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gard, Goldberg’s practice/performance theory, which is faithful to the basics of writing and oriented toward the embodied mind, which is mind-writing has room for further discussion in the future. This article is a consideration for this. 본 논문의 목적은 나탈리 골드버그(Natalie Goldberg, 1948∼)의 글쓰기 교육 방법을 통해 새로운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있다. 골드버그는 실용 글쓰기 교육에서 중심을 차지하는 구체적 정보나 지식 대신 실용이라는 표피 아래 가려진 1차적인 태도를 강조한다. 이는 당연의 차원으로 가라앉은 태도의 문제를 글쓰기의 중심으로 가져오면서 과학기술 시대 정보의 차원을 넘어선 새로운글쓰기 교육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골드버그의 글쓰기 연습에서는 글을 쓸 때 생각하지 말라고 강조한다. 이는 생각이 먼저 있고 글쓰기는 그 산물이라는 통념을 거부한다. 본 논문에서는 ‘생각하려 들지 말라’에서 ‘생각’의 함의를 통해 글쓰기와 생각 및 인지의 개념적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글쓰기의 행위에 초점을 맞춘 생각 ‘하기’로서의 글쓰기라는 주제 아래 살펴보았다. 의식과 신체가 손을 통해 하나로 연결되면서 사고 행위로서의 글쓰기를 통해 글 쓰는 이가 만나야 하는 것은 자신의 ‘마음’(mind)이다. 이때의 마음은 인지과학에서의 인지와 통한다. 이런 이유로 인지 과학의 관점에서 글쓰기 개념과 인지 혹은 마음과의 관계를 함께 정리하였다. 골드버그의 글쓰기 방법론을 체화된 인지의 관점에서 보면 인지 혹은 마음으로서의 글쓰기는 결정된 바 혹은 주어진 것의 재현이 아니라 세계의 생성과 창출 행위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진행되는 글쓰기는 글이라는 산물 자체보다 글 쓰는 이의 몸/마음, 삶과 경험에 토대하여 새로운 경험과 세계의 창출을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체화된 인지 혹은 마음의 글쓰기를 통해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목표 혹은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이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의식을 넘어선 인지 작동의 환경에서 글쓰기 교육이 추구해야 할 하나의 방향이기도 하다. 이런 점에서 글쓰기의 기본에 충실하면서 체화된 마음 곧 인지의 글쓰기를 향하는 골드버그의 연습/수행론은 앞으로 좀 더 논의될 여지가 있다. 이 글은 이를 위한 하나의 고찰이다.

      • KCI등재

        경험철학을 반영한 역할 토론수업에서 학생들의 사고 과정과 감정의 관계

        장경주,김미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9 교육사회학연구 Vol.29 No.2

        This study illuminates educational meaning of ‘Bingeu impromptu role debate class’ which reflects the philosophy of John Dewey who strived to overcome dualism and the outcomes of recent cognitive science. To do so, this research explores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emotions and their thinking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that students had after the role debate, and the educational role of emotion during the class by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ingeu impromptu role debate is the class activity in which students can feel the emotions which belong to people whose living conditions are restricted by economical, political and cultural situations. This role debate class has the characteristic that vitalizes the quality of situations including emotions. The educational roles of emotions in this class are follows. First, emotion intrigues the process of thinking. Secondly,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emotions that students could have in the restricted condition could help students immerse in the thinking process. Thirdly, the feelings and emotions that students got from the restricted situation where their new bodies belong right after they got new identities did the important role in reasoning to find out the good way to solve the problem. The knowing appeared as a result of the thinking process in the latter part not in the first half.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knowing is that it can transfer well to real life as a whole beyond overt instructional objectives. Most students attending the class constructed as an educational experience with emotion involved were absorbed in the thinking process regardless of school achievement and gender differences. 연구자는 이원론을 극복하고자 했던 존 듀이의 철학과 ‘신체화된 마음’으로 특징되는 최근 30년간의 인지과학의 성과에 주목하고 이를 반영한 수업으로서 빙의적 역할 토론수업을 구성하였다. 이 연구는 빙의적 역할 토론수업을 실시하면서 학생들의 사고와 감정이 어떤 관계를 갖는 것인지, 이러한 수업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지식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서 탐구한 것이다. 연구 결과, 경험철학을 반영한 빙의적 역할 토론수업은 학생들이 특정한 신분과 상황 속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체험할 수 있고, 감정을 포함한 상황의 질성을 살리는 특징을 보였다. 학생들의 감정은 사고 과정을 촉발시키고,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과 논리를 추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얻게 된 지식은 명시적인 수업 목표를 넘어서서 삶 전체로의 전이성이 높은 앎(knowing)의 성격을 띠었다. 몸으로 느끼는 감정을 통합적으로 포함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이 수업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존 학력 차이나 성별의 차이에 거의 상관없이 흥미를 가지고 몰입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는 수업 참여와 성취가 낮은 하위층 학생들을 포함한 많은 학생들의 수업 흥미와 집중도를 높임으로써 교육 격차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무용과 국어의 교육적 통섭 -신체화된 의미, 은유적 사고-

        김정은(Kim Jeong Eun),신현군(Sin Hyun k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무용이 국어교육에 있어 창의성과 통찰력, 생동감을 이끌어 내는 상보적 ‘학’이라는 점을 전제에 두고 통섭에 관한 전망을 탐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체험주의(experientialism) 관점에서 Johnson의 ‘신체화된 의미이론’을 이론적 지표로 삼았으며 무용과 국어의 학제간 통섭은 Wilson의 ‘consilience’개념을 선택, 상호 영향적인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첫째, 무용교육은 ‘몸을 통한사고’가 어떻게 가능한 가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는 소위말해 신체화된 인지로서 국어 교육에 있어 학습 자가 본능적이고 생동감 있는 언어를 구사하게 해준다. 둘째, 무용교육에 있어 의미의 능력은 신체를 통한 인지적 환기이다. 신체화된 은유적 공간과 장소는 국어 교육에 필요한 추상적인 개념과 창발적 사고의 기초를 제공한다. 셋째는 ‘사고의 리듬’이 다. 무용은 문자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언어를 반영한다. 이는 국어 교육의 일환인 쓰기와 읽기에 필요한 연상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포착하게 한다. 넷째, 무용과 국어교육의 통섭은 ‘신체화된 은유’, ‘신체화된 의미’, ‘신체화된 경험’을 중심으로 약술해 볼 수 있으며 두 학문간의 통섭은 진정한 체험적 글쓰기와 반성적 글쓰기, 창의적인 글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prospect of consilience on the premise that dance is a complementary discipline drawing creativity, intuition and vitality from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selected Johnson embodied semantics viewed from experientialism as its theoretical indicator and discussed the disciplinary integration between dance and Korean language, by selecting E. Wilson s consilience , from the interactive perspective. First, dance education clearly shows how thought through body can be achieved, which is so-called embodied cognition and encourages learners to speak natural and vial word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 the meaning in dance education has an ability of cognitive evocation through body. Embodied metaphorical spaces and places provide a foundation for abstract concepts and emergent thought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dance reflects language, though it has no lit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hythm of thought . Dance, therefore, intuitively captures the stream of association necessary for reading and writing, both of which are par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the consilience between danc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 be outlined around embodied metaphor , embodied meaning and embodied experience : the consilience between two disciplines allows authentic experiential, reflective and creative writing.

      • KCI등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아두이노를 활용한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설계

        엄현영,이강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본 논문은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아두이노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실습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교육 과정 진행 전과 후의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아두이노는 프로세싱 언어에서 사용하는 IDE를 통합한 오픈소스 피지컬 컴퓨팅 플랫폼으로서 다른 플랫폼에 비해 저비용(low-cost)이며 비교적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와 실제적 체현성 때문에,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하기에 적합한 교육 자료이다. 이후 설문 조사 를 통해 중학생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필요성 인지 변화 및 사고능력 증진에 관한 피드백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두이노를 활용한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1차수 당 8주 씩 진행하여, ‘16년부터 ’17년까지 2 년간 112명의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결과이다.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이론 교육 및 체현 기반 실습 교육으 로 진행하였으며, 체현기반 실습 교육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RC카 만들기, 아두이노 쿼드로터 드론 만들기를 진행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두이노를 활용한 체현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인지, 필요성 및 프로그래밍 교육이 사고력 증진에 유효한가를 학생들 주관적인 지표로서 유효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We propose an practical embodiment-based programming training course for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Arduino and conduct survey before and after the curriculum. Arduino is an open source physical computing platform that integrates the IDE used in processing language. It is a low-cost, relatively simple I/O interface compared to other platforms, and because of its practical formability, it is educational material suitable for programming. Subsequent surveys will provide feedback on changes in cognition of programming needs and improvement in thinking skills. In this study, the program based on embody-based programming using Arduino was conducted for 8 weeks for each first grade, and 112 middle school students for two years from '16 to '17.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raining, the training wa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ultrasonic sensor to the RC car and the preparation of the adduction quadrotor dr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recognition, necessity, and programming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r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program based on embody-based programming using Arduino.

      • KCI등재

        심리학 3.0과 미래 학습 : 관계 학습의 원리와 실천 전략

        송재홍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3

        최근 심리학의 지평 확대는 근본적으로 행동주의와 인지주의에 기초한 20세기 심리학의 패러다임 관점을 극복하고 맥락주의 은유와 내러티브 관점에 기초한 세 번째 심리학을 탄생시켜 과학적 심리학의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고 있다. 주요 담론은 연결주의의 등장과 지능 개념의 확장, 체화된 인지와 정동신경과학의 발흥, 양자 인지와 내러티브 사고의 확산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20세기 후반 이차 인지혁명 이래 새로운 형태로 진화한 후기 과학주의 심리학의 지배담론을 통칭하여 ‘심리학 3.0’이라고 명명한다. 이 용어는 과학주의 심리학의 새로운 변화 물결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과학주의 심리학의 대립하는 두 가지 관점을 조화롭게 통합할 수 있는 제3의 관점을 동시에 함축하고 있다. 연구자는 먼저 21세기 후기 과학주의 심리학의 지배 담론을 묶어서 ‘심리학 3.0’이라고 명명하게 된 배경을 기술하고, ‘심리학 3.0’을 구성하는 지배 담론의 전개 양상과 각 담론이 미래 학습의 본질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데 어떤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미래 학습은 읽기와 쓰기를 위한 사고 능력의 향상에 집중된 학문 중심의 교과 학습에서 좀 더 자유로워질 필요가 있으며, 그 대신 존중과 화합을 위한 소통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람 중심의 관계 학습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미래 학습의 요체로서 존중, 소통, 화합의 세 가지 기본요소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사회정서 유능성을 증진하기 위한 관계 학습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관계 학습의 핵심 원리와 실천 전략을 제안한다. 이는 무미건조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사막화된 교수활동 중심의 전통적인 학문 학습 환경을 대신하여 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활동 중심의 새로운 사회정서 학습 환경을 모색함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Currently the extension of psychology has led to essentially new discourses of scientific psychology, leading to the third psychology based on contextualism and narrative perspective rather than the paradigmatic perspective of psychology which had been based on behaviorism and cognitivism. Major discourses of post-scientific psychology include connectionism and the extended conception of intelligence, the ‘embodied cognition’ and the emergence of affective neuroscience, and the quantum cognition and the extension of narrative thinking. In this review, researcher has employed the called ‘Psychology 3.0’ to refer to these new discourses of scientific psychology, which reflected the current wave of changes in psychology as well as in scientific psychology: It means the post-scientific psychology, according to historical periodization of pre-scientific psychology, scientific psychology, and post-scientific psychology; it also refers to the extended cognitive science as the result of the called cognitive revolution, following behaviorism and cognitivism that had been the major discourses of scientific psychology during twentieth century; and importantly, it implies the called third conceptions, including quantum cognition and narrative thinking, which could integrate two opposite concepts of the commuting observables in classical scientific thought system. Researcher have reviewed several aspects of the dominant discourses that constitutes ‘Psychology 3.0’, and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each discourse for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the nature of future learning. Future learning needs to be more liberal in curricular learning centered on reading and writing. Instead, it should focus on relational learning in order to improve individual'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based on three basic elements of respect, communication, and resolution. The researcher have suggested the principles and practice strategies of relationship learn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as the essence to future learning. These would be an important milestone in seeking out the new way to improve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s an alternative to the academic learning that might be at stake in the aftermath of the nonsense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본 연극대사 : < 아가멤논 >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용수 ( Yong Soo Kim ) 한국드라마학회 2011 드라마연구 Vol.- No.35

        The dialogue has been faced with an ordeal in contemporary theatre. Today`s theatre called ``postmodern`` puts emphasis on audio-visual images that appeal to our senses, being freed from the literary text relying on language. Behind this movement is the prejudice against dialogue. It is believed that dialogue only expresses the intellectual idea. Because of this bias, the opinion that calls for the nonverbal theatre has emerged as in the case of Artaud. But is it true? My thesis starts with this question. Its basic assumption is that the dialogue can provide the physically sensuous experience. This idea is theoretically supported by the cognitive science. According to the cognitive linguistics, some aspects of word meanings arise from bodily experiences,appealing to the embodied mind. As such, the word not merely communicates the abstract concept but gives the bodily experience of it. Adopting the cognitive science,my thesis attempts to study the theatrical dialogue that causes the physically sensuous experience, leading to the conceptual idea. For this purpose my thesis analyzes the dialogues of Agamemnon as an example. The dialogue of Greek tragedy narrating the past events at length is designed so that we can feel those incidents with a physical sensation to the utmost, creating a kind of virtual action. Consequently it evokes the mental images of those incidents,making us to feel as if seeing them. The embodied emotions acquired this way lead us to think about their meanings through the ensuing cognitive process. To put it simply, the physically sensuous dialogue can cause certain feeling, and the feeling in turn can evoke certain idea. < Agamemnon > may be a good example that illustrates the features of dialogue described so far. Its dialogues not only make us to feel the theme ``dike``, that is, the punishment of justice, with a physical sensation, but also allow us to understand it in a special way. For instance, the speech of the chorus makes us to experience the punishment of Troy with a physical sensation as it narrates that the enraged eagles plunged their claws in a pregnant hare, and thus killed its unborn babies spurting of blood. From this bodily sensation emerges the nature of ``dike``(the punishment of justice). The realization of justice involves another crime. This idea is the result of the bodily sensuous experience that is expanded to the metaphorical meaning. As such, the physically sensuous dialogue can arouse certain idea, not remaining as a mere sense experience. Its result can be described as a ``embodiment of thinking.`` 오늘날 연극에서 말은 수난의 시기를 맞이했다. 소위 ``포스트모던 연극`` 혹은 ``포스트드라마``로 표현되는 현대연극은 이제 말을 중심으로 한 문학적 성격을 벗어나 관객의 감각에 호소하는 시청각적 이미지를 중시하게 된다. 이런 움직임 뒤에는 대사에 대한 편견이 있다. 즉, 대사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삶의 진실을 전달하기에 부적합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르또처럼 비언어적 연극을 주장하는 입장이 대두되었다. 과연 그럴까?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본 논문의 기본가설은 대사가 신체 감각적인 경험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은 인지과학에 의해 이론적으로 지지를 받는다. 인지언어학에 따르면, 언어는 구체적인 신체적 경험에서 비롯된 것으로, ``신체화된 마음(embodied mind)``에 호소한다. 이처럼 언어는 단지 추상적 개념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상태에 대한 신체적 체험을 유발시킨다. 이에 본 논문은 인지과학의 관점에서 연극대사가 어떻게 신체 감각적인 체험을 불러일으키고, 그 체험이 개념적 사고로 이어지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고대그리스 비극인 < 아가멤논 >을 분석의 사례로 삼았다. 과거의 사건들을 아주 길게 서술하는 그리스 비극의 대사는 최대한 그 사건을 신체 감각적으로 느끼게 고안되어 일종의 "가상적 행동(virtual action)"을 창조한다. 그 결과 그리스 비극의 대사는 그것이 묘사하는 사건이나 상황에 관한 ``심상``을 불러일으켜, 마치 우리로 하여금 ``보는``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이렇게 얻어진 ``신체화된 감정``은 후속적인 인지 처리과정을 형성하여 의미를 발생시킨다. 쉽게 말해 신체 감각적인 대사는 특정 느낌을 불러일으키고, 느낌은 특정한 생각을 환기시키는 것이다. < 아가멤논 >은 위와 같은 성격의 대사를 보여주는 사례 중의 하나이다. < 아가멤논 >의 대사는 극의 주제인 ``정의의 응징(dike)``을 신체 감각적으로 느끼게 할 뿐 아니라, 특별한 방식으로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코러스는 트로이에 대한 응징을 우선 신체 감각적으로 느끼게 한다. 그것은 독수리가 날카로운 발톱으로 어미 토끼를 찢어 죽이고, 이로 말미암아 뱃속의 새끼까지도 피를 토하며 죽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신체 감각적 느낌에서 ``정의의 응징``이 그 성격을 드러낸다. 즉, 정의 실현은 또 다른 끔찍한 죄를 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은 강렬한 신체 감각적 경험이 은유적인 의미로 확장된 결과이다. 이처럼 신체 감각적인 대사는 감각적 경험에 머물지 않고 특별한 생각을 환기시킬 수 있다. 그 결과는 ``생각의 신체화``라 할 수 있다. 비언어적인 표현이 각광을 받는 오늘날 우리가 연극의 본질을 언어의 관점에서 되돌아보는 계기가 필요한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편파적인 시각을 벗어나, 연극대사에 관한 균형 있는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숭산 박길진 박사의 종교철학 고찰

        허석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1 N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life, thoughts, and activities of Dr. Soongsan Park Gil-ji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religion.’ Soongsan thought that religion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philosophy. Recently, a number of raw materials on his life and ideas have been discovered. Accordingly, there is an opportunity to renew the discussion on the Soongsan’s philosophy of religion. He asserted that true philosophy should be a study that pursues the ultimate reality. Religion did not stop at knowing this ultimate reality, but at being one with it. He also grasped the ultimate reality as grace. When religion based on morality, which recognizes that all beings are a relationship of grace, is implemented, numer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can be solved. The summary of the discussion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forming in philosophy of religion in the life of Soongsan is divided into ‘the beginning of philosophy of religion,’ ‘the formation and maturity of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utilization of philosophy of religio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Soongsan’s philosophy of religion include ‘Modern Education in Youth,’ ‘Personal Meeting with Religion,’ and ‘Relationship with Won-Buddhism Thought.’ In particular, through the newly discovered data, the impact of Soongsan’s youth studies on his ideological formation was analyzed in detail. It was also noted that his philosophy of religion wa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Won-Buddhist thought. Finally, the meaning of Soongsan’s philosophy of religion was investigated in the relationship among religion, philosophy and morality. It also discusses how Soongsan’s philosophy of religion was embodied in reality. 본 연구는 원불교학의 효시를 연 숭산 박길진 박사의 생애와 사상 및 활동을 ‘종교철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 숭산의 생애와 사상에 관한 다 수의 원자료가 발굴됨에 따라, 그의 종교철학에 관한 논의를 새롭게 할 수 있 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숭산은 종교가 철학의 기반 위에 세워진 것이어야 한다 고 보았다. 그는 진정한 철학이 궁극적 실재(實在)를 추구하는 학문이어야 하 며, 종교는 이러한 철학에 기반하되 궁극적 실재를 아는 것에서 머물지 않고 그것과 하나 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궁극적 실재를 ‘은(恩)’으로 파악하고 모든 존재가 ‘은(恩)’임을 자각하는 도덕종교가 구현될 때 현대사회의 수많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고 보았다. 종교의 궁극적 진리, 인생관과 세계관, 종 교와 도덕의 관계 등에 관한 숭산의 견해와 관점을 철학적으로 규명하려는 본 연구는 다음의 내용을 다룬다. 먼저 숭산의 생애 속에서 종교철학이 형성되는 과정을 ‘종교철학의 태동기’, ‘종교철학의 형성 및 성숙기’, 그리고 ‘종교철학의 활용기’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의미를 분석한다. 특히 장충식 박사와의 인터뷰를 통해 숭산이 한국대학교 육협의회 초대회장으로서 한국교육계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소개한다. 숭산 의 종교철학이 형성되는데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청년기의 근대교육’, ‘종교인들과의 인격적 만남’, 그리고 ‘원불교 사상과의 연관성’을 들 수 있다. 특히 숭 산의 청년기 학업이 그의 사상형성에 미친 영향을 새로 발굴된 자료를 통해 자 세히 분석해 보고, 그의 종교철학이 원불교사상의 형성과정과 매우 밀접한 연 관관계 속에서 이루어졌음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숭산의 종교철학이 갖는 의미를 종교-철학-도덕의 관계성 속에서 규명해 보고, 숭산의 종교철학이 현실 에서 어떻게 구체화되었는지 논한다.

      • KCI등재후보

        백남준의 전시작품의 실험에 새겨지는 새로운 시대정신 형상화

        김소희(Kim, s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2

        ‘열린 회로의 교향곡’으로서 백남준의 실험은 우리의 일상의 삶과 존재방식을 어떻게 뒤바꾸며, 형상화하고 있는가? 유동하는 포스트 모던의 ‘시각적 사고’는 기폭제로서 새로운 시대정신의 분수령의 계기이다. 백남준은 현대인이 미디어에 지나치게 피동적 존재로 가두는 현상으로부터 작가와 관객으로서‘열린 회로’에서 만나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함께 형상화하는’예술 생성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즉 미디어 매체는 유목민의 성격을 이미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대 문명은 현대인에게 유목민으로서 ‘속도 조율권’, ‘이질성에 대한 개입’과 ‘유목적 산책’을 차단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백남준은 ‘좀비-근대’에서 ‘감각의 봉합’의 ‘영혼없는 인형’으로부터 ‘전지구적 소통세계의 감각’을 활발하게 ‘가동’하며, 새로운 시대정신을 형상화하는 예술세계를 새겨주었다. 이에 비추어 볼 때 백남준은‘헤테로토피아의 실험’으로 작가와 관객의 ‘경계 허물기’에서 형상화되는 열린 소통세계 즉‘전지구적 공동참여’라는‘열린 회로의 공동체’를 새롭게 환기하고 있다. 이러한‘헤테로토피아의 실험’의 참여는 충격적으로‘새로운 감각으로 환기하게 하는 시공간’에서 피어내는 ‘문화적 조건’을 연출하고 실험하는 것이다. 즉‘백남준의 실험’은 전혀 상이한 이질적인 요소를 전지구적으로 융합하며, 새로운 관계로 방향을 찾아나아가는‘문명의 대전환’인 것이다. How did the experiment by Nam June Paik change our existence style by "Symphonist Paik"s Open Circuit" and embody our daily life? The visual thinking of the fluctuating post modernismbecame themomentumto divide the newspirit of the age as the catalyst. Nam June Paik presented the creation flow of art which artists and the public meeting in the open circuit progressively participated and embodied art out of the phenomenon which electronic media excessively restricted the human beings as the passive existence. In other words, although media assigned the characteristics of nomad, the modern civilization blocked the right to control speed and intervention and selection of heterogeneity as the nomad. In that process, NamJune Paik created theworld of art embodying the newspirit of the age from"zombie-modernism" to "sealing of sense" and from"doll without soul" to "sense of global communicationworld". In this aspect, NamJune Paik revitalized the community of open circuit, "global participation" and the open world of communication embodying the communication by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with artists and the public as the "heterotopia experiment". The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is to create and experiment the cultural conditionswhich can astonishingly recreate a space into "the space revitalized by newsenses." In otherwords, his approach is the "great shift" finding out the direction for the newrelationship by converging different and heterogeneous elements. ‘열린 회로의 교향곡’으로서 백남준의 실험은 우리의 일상의 삶과 존재방식을 어떻게 뒤바꾸며, 형상화하고 있는가? 유동하는 포스트 모던의 ‘시각적 사고’는 기폭제로서 새로운 시대정신의 분수령의 계기이다. 백남준은 현대인이 미디어에 지나치게 피동적 존재로 가두는 현상으로부터 작가와 관객으로서‘열린 회로’에서 만나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함께 형상화하는’예술 생성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즉 미디어 매체는 유목민의 성격을 이미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 근대 문명은 현대인에게 유목민으로서 ‘속도 조율권’, ‘이질성에 대한 개입’과 ‘유목적 산책’을 차단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백남준은 ‘좀비-근대’에서 ‘감각의 봉합’의 ‘영혼없는 인형’으로부터 ‘전지구적 소통세계의 감각’을 활발하게 ‘가동’하며, 새로운 시대정신을 형상화하는 예술세계를 새겨주었다. 이에 비추어 볼 때 백남준은‘헤테로토피아의 실험’으로 작가와 관객의 ‘경계 허물기’에서 형상화되는 열린 소통세계 즉‘전지구적 공동참여’라는‘열린 회로의 공동체’를 새롭게 환기하고 있다. 이러한‘헤테로토피아의 실험’의 참여는 충격적으로‘새로운 감각으로 환기하게 하는 시공간’에서 피어내는 ‘문화적 조건’을 연출하고 실험하는 것이다. 즉‘백남준의 실험’은 전혀 상이한 이질적인 요소를 전지구적으로 융합하며, 새로운 관계로 방향을 찾아나아가는‘문명의 대전환’인 것이다. How did the experiment by Nam June Paik change our existence style by "Symphonist Paik"s Open Circuit" and embody our daily life? The visual thinking of the fluctuating post modernismbecame themomentumto divide the newspirit of the age as the catalyst. Nam June Paik presented the creation flow of art which artists and the public meeting in the open circuit progressively participated and embodied art out of the phenomenon which electronic media excessively restricted the human beings as the passive existence. In other words, although media assigned the characteristics of nomad, the modern civilization blocked the right to control speed and intervention and selection of heterogeneity as the nomad. In that process, NamJune Paik created theworld of art embodying the newspirit of the age from"zombie-modernism" to "sealing of sense" and from"doll without soul" to "sense of global communicationworld". In this aspect, NamJune Paik revitalized the community of open circuit, "global participation" and the open world of communication embodying the communication by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with artists and the public as the "heterotopia experiment". The participation in the experiment is to create and experiment the cultural conditionswhich can astonishingly recreate a space into "the space revitalized by newsenses." In otherwords, his approach is the "great shift" finding out the direction for the newrelationship by converging different and heterogeneous el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