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독일 연방의회 선거제도가 한국의 에 주는 시사점

        김욱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electoral system, and to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Korea’s electoral reform.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German system can be summarized as a “personalized proportional system.” Although it is a mixture of simple plurality system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PR) system, the mixed system operates primarily on the basis of PR system.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s electoral reform lies in the strengthening of PR system. The PR system is superior to simple plurality system in accomplishing various political goals of the country such as increasing proportionality, guaranteeing the equal value for every vote, strengthening political parties’s policy-making functions, and protecting minority rights. As Korea’s current electoral system is based primarily on simple plurality system, the German system becomes a viable alternative in that it could move Korea’s electoral system to the direction of PR system while retaining the current system to some extent. 본 논문은 독일 연방의회 선거제도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의 선거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독일 선거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인물화된 비례대표제”라는 표현대로 소선거구 단순다수제와 비례대표제를 혼합하고 있으면서도 비례대표제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겉으로는 두 제도를 혼합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운영에 있어서는 비례대표제적 성격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한국의 향후 선거제도 개혁의 방향은 비례대표제의 강화에 있다고 생각한다. 비례성의 증대, 지역주의 정당의 완화, 표의 등가성 확보, 정책정당화를 통한 정당정치 활성화, 합의제 민주주의 강화를 통한 소수 권익 보호 등과 같은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선거구제보다는 비례대표제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현재 소선거구제 중심의 선거제도를 가지고 있는 우리로서는 현재 제도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도 비례대표제적 성격을 강화하는 방안으로서 독일식 선거제도의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의 조건과 과제: 뉴질랜드 및 영국 사례와 비교적 관점에서

        장선화 ( Seon Hwa Jang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3 비교민주주의연구 Vol.9 No.2

        이 글은 1987년 민주화 이후 한국의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과정을 단순다수 선거제도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들로 인해 선거제도 개혁을 시도한 뉴질랜드 및 영국 사례와 비교 고찰한다. 한국과 뉴질랜드는 선거제도 개혁에 성공한 반면 영국에서는 제도 변화 시도에 실패했다. 이들 세 국가에서의 제도 개혁 과정과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 글에서 제시하는 선거제도 개혁의 조건과 경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립된 국가에서 선거제도 개혁은 ‘아래로부터’ 선거개혁을 요구하는 사회 내 개혁세력과 ‘위로부터의’ 개혁연계 세력의 연합에 의해 시도된다. 둘째, 선거제도 개혁이 정치적 의제로 부상하게 되는 정치적 국면이 제도개혁 연합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이 된다. 선거제도가 형성되고 발전해온 역사적 맥락, 정당의 이익교환의 구조, 사회 내 개혁세력의 영향력, 그리고 해당 국가의 법 제도적 차이에 따라 선거제도 변화 경로는 상이하게 나타난다. 민주주의 제도 도입 직후 권위주의 정부시기를 거쳐 뒤늦게 절차적 민주주의가 확립된 국가들에서 위로부터 형성, 혹은 수립된 선거제도에 대한 2차 개혁 필요성은 아래로부터 제기되는 경향을 보인다(한국 사례). 민주주의의 역사가 오래된 국가에서 선거제 개혁은 현 제도로부터 불이익을 받는 정당들에 의해 제기된다(영국, 뉴질랜드 사례).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세 사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제도변화의 조건은 소수정당과 사회 내 개혁세력의 제도 전환 요구, 제도개혁의 유인과 능력이 갖추어진 정당의 협력, 그리고 제도 유지의 균형을 무너뜨리는 정치적 국면이었다. 선거제도 개혁의 성공에 중요한 조건은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비교적 중립적인 대안 검토가 가능한 법적·공적권위체의 수립이었다. 한국의 경우 의회에 중립적인 최고사법제도(헌법재판소)가, 뉴질랜드에서는 보다 객관적 위치에서 제도적 대안을 검토하고 개혁을 공론화하는 공적 권위체(왕립선거개혁위원회)가 제도 개혁 시도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der what conditions and how an electoral system change happened. It compared electoral reform experiences in Korea with the electoral system change in New Zealand and an attempt to reform in the United Kingdom. Conditions for electoral system change and routes to the system reform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n the normal democratic state, an attempt for electoral reform begins from below, that is made by reform-oriented group in the civil society. As it connected with political group preferring for electoral system reform, the third parties or reform-friendly group in the opposition parties, an electoral system change is more likely to be realized. Second, it is more likely to be tried an electoral system reform under extraordinary political situation that electoral system reform to more democratic form emerged as critical political agenda. There are some different routes to an electoral system reform as following the countries` endemic historical context how the electoral system to be designed and developed, political parties` interests bargaining structure in the party system, leverage of the reform-oriented group in the civil society, and other democratic institutional arrangements. In Korea, according to retardedtiming of democratization after authoritarian regime, There are reform-oriented demands from below for redesigning the electoral system built by authoritarian political elites. In countries having long-standing democratic electoral system, such as New Zealand and the United Kingdom, some challenges for electoral reform are raised by the political parties having disadvantages under the existing electoral system. Nevertheless, In these three countries, common conditions for electoral system change exist: demands for system change by reform-oriented minor parties and societal group, existence of reform-friendly group in the major parties, and extraordinary political situation breaking the current institutional balance. The critical determinant for electoral system reform Korea and New Zealand achieved was the existence of comparatively neutral public institution that is to say ‘the Constitutional Court’ in Korea and ‘the Royal commission on the Electoral System’ in New Zealand.

      • 새로운 다수제적 혼합제도에 대한 대만 시민의 인식도 -코호트 분석

        ( Chi Huang ),( Ching Hsin Yu ),( Yi Ching Hsiao ) 한국선거학회 2011 선거연구 Vol.1 No.2

        선거제도는 투표를 의석으로 전환하는 규칙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선거에서 누가 승리하고 패배하는가를 결정한다. 선거제도가 정치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의문을 던지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일반 시민들이 선거제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고 있는가 (특히 선거제도가 근본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이행기 동안에) 라는 질문에 대해서 이상하게도 침묵을 지키고 있다. 대만의 선거제도 개혁 경험은 이러한 빈 공간을 채울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해 준다. 대만은 2008년에 의원 선거제도를 변화시켰는데, 지난 50년간 지속되어 왔던 단기비이양식(SNTV) 제도에서 다수제적 혼합선거제도 (MMM)로 바꿨다. 새로운 다수제적 혼합선거제도는 전체 의석 수, 선거구 크기, 선거 공식, 그리고 투표 구조 등에 있어서 과거의 단기비이양식 제도와 상당히 달랐다. 이 글은 새로운 선거제도를 소개하고 이 제도전반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시민들의 선거제도에 대한 지식이 2008년 선거 이전과 이후에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본다. 두 선거 제도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먼저 새로운 제도에 대한 시민들의 전반적 지식을 조사한다. 그 다음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선거 기간과 비선거 기간 사이에 시민들의 지식 변화를 고찰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수의 시민들이 새로운 다수제적 혼합선거제도의 주요 구성 요인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소 조건에 대한 조항이 가장 적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더 나아가, 새로운 선거제도에 대한 시민들의 지식은 선거 모멘텀에 영향을 받아, 선거일이 다가옴에 따라 지식이 올라가고 선거일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다 구체적인 코호트 분석을 통해 시민들 중에 어떤 집단이 선거제도 변화와 관련된 정보를 가장 잘 획득하는지를 고찰한다. 본 연구 결과는 선거제도 지식에 대한 선거 주기 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해준다. Electoral systems provide the rules of translating votes into seats and thus decide who wins and loses in elections. Few would doubt the critical roles that electoral systems play in politics. Yet current literature is curiously silent about how ordinary citizens perceive and understand the electoral system, especiall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hen the system is undergoing fundamental changes. The experiences of electoral reform in Taiwan provide an opportune case to fill up this gap. Taiwan transformed its legislative electoral system from a half-century long SNTV (single non-transferable vote) system to a MMM (mixed-member majoritarian) electoral system in 2008. The new MMM system is a sharp departure from the original SNTV system in the total number of legislative seats, the district magnitude, electoral formula, and ballot structure. This essay intends to introduce the new MMM system and explore citizens` awareness of the new MMM system in general. Also, it explores the changes of citizens` knowledge of the new electoral system before and after the 2008 legislative election. Give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NTV system and the MMM system, it firstly tests of citizens` overall knowledge of the new MMM system. Then, with the help of survey data, it examines the changes of citizens` knowledge in election periods and non-election periods. The findings show a majority of citizens are not fully aware of the institutional components of the new MMM system. In particular, the threshold regulation receives the least attention by citizens. Furthermore, it finds that citizens` knowledge of the new MMM system is a function of electoral momentum, i.e., citizens` knowledge rises as the election date approaches and declines after the election date. Then we proceed with a more detailed cohort analyses to examine which groups of citizens are more likely to pick up information related to the electoral system changes. Our findings partially support our electoral cycle hypothesis of electoral system knowledge.

      • KCI등재후보

        태국의 선거제도와 정당체계

        이병도 한국동남아학회 2002 동남아시아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action between electoral system and political party system in Thailand. It has been usually accepted that electoral system affects the type of party system. In party system, I employed Sartori's party system model. The transformation of Thailand's party system may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 The first phase is 1932-1973, second phases is 1973-1976, and third phase is 1976-2001. During the period, Thailand political party system continuously sustained a competitive multiparty system irrelevant with electoral system and no single party appeared to be capable of forming a majority government by itself. As a result, theory of western scholars about interrelation between electoral system and political party system cannot be applied to the party system change in Thailand. On the contrary, three factors - electoral behavior factor, political culture factor, and a political actor's factor - have influenced upon the Thailand's party system.

      • KCI우수등재

        THE STRATEGIC INTENTIONS AND RESULTS OF THE CHANGES OF ELECTORAL SYSTEMS

        Ji-Yeon Shim,Meen-Geon Kim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4

        All other things being equal, the electoral systems not only affect the process of converting obtained votes to parliamentary seats (mechanical effect) but also the incentive structure of voters and politicians (psychological-strategic effect). From this political effect of electoral systems, this paper infers that politicians and parties would prefer an electoral system that favorably converts support for them into parliamentary seats, and further seek for the change to such electoral system if they are allowed to do it. For example, those who come into power without the voluntary support of voters (e.g. military coup d'etat) will pursue changes in electoral system so as to disrupt the voters' support structure toward the existing party system. In addition, change of electoral system will be sought when electoral environment comes to be disadvantageous due to decrease in voters' support to those in power, despite their efforts to stay in power. To find evidences that prove these inferences, this paper analyzes changes of the electoral systems for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Furthermore, this paper asserts that the fairness of the adopted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amending process. When the amending process is monopolized by a certain group, an unfair electoral system that benefits the group tends to be adopted. However, when several groups participate in the amending process, there tends to be a high possibility of adopting a relatively fair electoral system.

      • KCI등재

        혼합선거제도, 지역경제, 그리고 지역선거정당

        안용흔(Yong Heun An)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2 평화연구 Vol.20 No.2

        이 논문에서 우리는 민주화 이후 실시된 국회의원선거의 각 지역별 선거결과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2004년 도입된 이표병립제의 혼합선거제도와 지역경제의 변화라는 두 변수가 지역 선거정당체제형성, 즉 지역별 선거정당 수 변화에 어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지를 패널분석방법을 채용하여 분석했다. 비례지수 등과 같은 기준을 가지고 혼합선거제도의 제도적 효과를 다소 평면적으로 평가했던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논문은 지역경제 상태라는 변수를 하나의 독립변수로 취급하여 지역 선거 정당체제에 대한 지역경제 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혼합선거제도 도입의 제도적 효과를 분석하려 했다. 분석결과, 지역별 선거정당 수 변화에 대한 혼합선거제도 변수의 효과는 지역경제 변수의 영향력이 통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던 반면, 이를 통제한 상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비례대표제를 부분적으로 포함시킨 혼합선거제도는 지역 내 선거정당 수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경제 변수 또한 지역선거정당체제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지역경제가 성장하면, 지역 내 선거정당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지역경제 변수는 혼합선거제도 변수보다 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By conducting panel analyses of National Assembly elections held after democratization,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regional economic condition and the mixed electoral system, which was introduced in 2004 in order to combine the plurality with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n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electoral party system. Previous studies on the mixed electoral system have a methodological limitation that superficially evaluates its institutional effect with such criteria as the proportionality index.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analyzes the institutional effect of the mixed electoral system, holding constant the influence of the regional economy as a control variable. The panel analysis of the paper reveals that while the mixed electoral syste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ectoral parties when including the variable of the regional economy in the regression model, the variable of the mixed electoral system is regard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when the variable of the regional economy is excluded. In addition, the variable of the regional economy also plays a more statistically and substantially significant part in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electoral party system than that of the mixed electoral system. As the regional economic condition gets better, the number of electoral parties in the region has a tendency to increase.

      • KCI등재

        독일 선거제도의 연대기: 제도적 진화의 정치

        홍재우 ( Jaewoo Ho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3 유라시아연구 Vol.10 No.4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German electoral system from 1871 to 2013. Changes of electoral institutions like other political institutions have been explained through the game theoretical behaviors of political parties and other political actors to secure or expand their political interests or other social needs or public movements to realize public interests. Both approaches are not enough to explain total stories of institutional changes. The paper argues that certain changes of environment that nullify the “status quo” have played significant role creating new institutional arrangements. Political institutions are not just inventions of one-time compromise, but they evolved whenever certain environmental changes provide critical chances along with other elements. The World War I and II made such effects to have Germany design and adopt pure PR and mixed electoral systems respectively. The exogenous shocks create new games by giving new incentive structures and at the same time uncertainty. The electoral systems in Germany were the results of those changes. Nonetheless, path-dependency has also done its effects on political groups’s choices by providing limited alternatives. The left, SPD had favored PR systems while the Right had wanted more majoritarian systems. After 1947 it had taken 10 years until Germans finally institutionalized their own electoral system so-called Mixed-Member-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with two ballots. Since then without significant exogenous shocks, there has been no critical change in basic institutional structure while some adjustments like the total number of seats and electoral formulas have been applied. Recently, however, there have been meaningful changes in German electoral system. But it has not been from the inside legislature but the outside player that reacts to public interests like the principles of democracy. The decisions of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have compelled the political parties to revise the electoral law for enhancing more democratic principles. The court decided that the previous electoral system was unconstitutional for its negative-vote weight phenomena. The legislature had to alter the law twice facing the court’s multiple decisions. The new system changed the order of seat distribution process and introduced “adjusting seats” to remedy the problems of disproportionality that overhang seats had created. In 2013 election, the new system was successfully functional to control those problems, but a new concern has arisen. FDP’s failure to enter the House caused the ever-highest disproportionality since MMP was introduced in the middle of the last century. New challenges may require another institutional reform. The German MMP system is not invented by one elaborate design endeavor; rather, it has evolved under the changing circumstances and new socio-political demands.

      • KCI등재

        독일 연방의회 선거제도가 한국의 선거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김욱 ( Wook Kim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6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4 No.3

        본 논문은 독일 연방의회 선거제도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이 한국의 선거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주목적이 있다. 독일 선거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인물화된 비례대표제"라는 표현대로 소선거구 단순다수제와 비례대표제를 혼합하고 있으면서도 비례대표제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이다. 겉으로는 두 제도를 혼합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운영에 있어서는 비례대표제적 성격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향후 선거제도 개혁의 방향은 비례대표제의 강화에 있다고 생각한다. 비례성의 증대, 지역주의 정당의 완화, 표의 등가성 확보, 정책정당화를 통한 정당정치 활성화, 합의제 민주주의 강화를 통한 소수 권익 보호 등과 같은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소선거구제보다는 비례대표제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현재 소선거구제 중심의 선거제도를 가지고 있는 우리로서는 현재 제도를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도 비례대표제적 성격을 강화하는 방안으로서 독일식 선거제도의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German electoral system, and to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Korea`s electoral reform.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German system can be summarized as a "personalized proportional system." Although it is a mixture of simple plurality system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PR) system, the mixed system operates primarily on the basis of PR system.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s electoral reform lies in the strengthening of PR system. The PR system is superior to simple plurality system in accomplishing various political goals of the country such as increasing proportionality, guaranteeing the equal value for every vote, strengthening political parties`s policy-making functions, and protecting minority rights. As Korea`s current electoral system is based primarily on simple plurality system, the German system becomes a viable alternative in that it could move Korea`s electoral system to the direction of PR system while retaining the current system to some extent.

      • 선거제도 개혁에 대한 연구: 어떻게 바꾸어야 하나

        김형준 ( Kim Hyung-joon ) 한국정치평론학회 2023 정치와 평론 Vol.32 No.-

        As a vote-seat conversion mechanism, electoral system defines the basic rules of political game. Depending on how the electoral system was created, the results of elections and the nature of representative politics differ. This study examines how to change the Korean election system. To this end, we will first discuss the key issues surrounding the reform of the Korean electoral system such as seat distribution method (interlocked vs. parallel), roster preparation method (national vs. regional), number of seats in congress, ratio of seats in regional constituencies to proportional constituencies, roster registration method (single vs. doubl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list method (closed open), etc. Based on this, an in-depth analysis of the electoral system reform plan is conducted.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reform plans for the electoral system. The fixed number of members is maintained at 300 seats, and fo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ountry is divided into 6 regions and seats are distributed in parallel. In order to secure regional representation, an equal number of seats are allocated to each region. Finally, we consider the issues that need to be discussed as key issues for future-oriented reform of the electoral system.

      • KCI등재

        캄보디아의 선거제도와 정당체계의 상호관계

        조영희(Cho Young Hee)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1

        본 연구는 캄보디아의 1993년 선거 이후에 의회와 정부 내에서 집권여당인 캄보디아인민당(CPP)의 정치권력이 더욱 공고화되어 온 이유를 선거제도와 정당체계의 수준에서 논의하였다. 선거제도가 정당체계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정당체계 수준의 특성이 선거제도의 형성과 실질적인 파급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모두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선거제도와 정당체계를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독립변수이자 종속변수로 간주한다. 연구결과 1997년에 개정된 선거법에서 비례대표제 의석할당방식 중에서 동트식을 채택한 이후 매 선거마다 집권여당인 캄보디아인민당에게 유리한 정치적 왜곡효과가 발생한 것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이론적으로 동트식이 비례대표제 내에서는 가장 비례성이 낮다는 점 외에도 실제로 다양한 선거구의 크기별로 비례성에 큰 격차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 결과 선거제도는 정당체계의 수준에서 볼 때, 외형상 다당제를 형성해오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1당이 장기 집권하는 “1당우위정당 체계”(predominant party system)를 형성하는 데 주요한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선거제도라고 할지라도 그것이 적용되는 정치적ㆍ사회적 맥락 속에서 다른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정당이 유권자의 지지를 얻는 방식이 민주적이라면 득표를 의석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에서 정치적 왜곡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캄보디아의 유동적인 정당정치, 정당체계 수준에서의 낮은 경쟁성과 대표성이 선거제도의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정치적 왜곡효과를 극대화시켰던 주요 배경이라고 주장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s for the strength of the CPP (Cambodia People’s Party) in parliamentary and governmental elections since 1993. The focus is on the electoral system and the party system in Cambodia, including not only the effects of the electoral system on the party system but also the effects of the party system on the electoral system. They act both as dependent and independent variable to each other. The transformation of the electoral system in 1997 to apply the d’Hondt system for the allocation of proportional seats resulted in a distortional effect that provides the CPP with more seats in parliament. This is related to the interaction of seat allocation rules and varying district magnitude in Cambodia. As a result, a predominant party system is emerging since the 1998 elections. However, in changed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the results can be different in spite of the same electoral system. If parties mobilize the support from the electorate in a democratic way, the distortional effect of electoral system can be relatively lower. In this context, fluid party politics, low competitiveness and the lack of representativeness of the party system are the main reasons that affect the transformation of electoral system and increase the distortional effects of electoral system in Cambo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