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나타난 교육권 분석

        김광석,주동범 한국자치행정학회 2016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0 No.4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헌법 및 교육기본법에 나타난 교육권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보장 내용을 고찰하고 나아가 교육법제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보장된 교육권과 공교육 내실화 내용을 교육가치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공교육의 기초를 ‘평등성’과 ‘공공성’으로 인식하고 ‘자율’ 및 ‘경쟁’이라는 가치와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은 공교육에 대하여 공공성과 평등성을 인정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자율과 자유’도 공공성과 평등성을 지키는 범위 내의 개인적 권리여야 함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헌법과 헌법의 교육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교육기본법의 규정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행복적 권리로 추구되고 이는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로 보장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헌법과 교육기본법은 ‘교육받을 권리’의 기회와 ‘차별 없는 교육 기회의 가치’를 보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헌법 및 교육기본법은 ‘모든 국민’이 교육의 권리로 누려야 할 ‘공공성’의 혜택을 명문화하여 학습자가 누려야 할 공공의 혜택을 보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s of guarantee for making educational right and public education indicated in the Constitution Law and Educational Basic Law for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substantial and provide some implic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legislation. For this, the contents of educational right and the substantiality of public education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Law and Educational Basic Law were examined by the viewpoint of educational value. We recognized the basis of public education as ‘equality’ and ‘publicity’ and analyzed them comparing with the value such as ‘autonomy’ and ‘competition’.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nstitution Law recognizes ‘publicity’ and ‘equality’ about public education. And it shows that ‘autonomy’ and ‘freedom’ must be personal right within the range of keeping publicity and equality. Secondly, the provisions of the Educational Basic Law involving the Constitution Law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Constitution Law identify that ‘human dignity and value’ are pursued as happiness right that are guaranteed as right for getting equal education. Thirdly, the Constitution Law and Educational Basic Law guarantee the opportunity of ‘right for getting education’ and ‘the value of non-discriminatory educational opportunity’. Finally, the Constitution Law and Educational Basic Law guarantee the public benefit that learner should have putting the benefit of ‘publicity’ that ‘all of the people’ should have as educational right in the statutory form.

      • KCI등재

        敎育判例에서의 公益

        이경운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7 행정판례연구 Vol.22 No.2

        Public interest is the ultimate idea of law, but its content is abstract. In a specific case finding a legitimate public interest will ultimately be a task of the judiciary.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xamine whether public interest appears in the precedents of education and whether it is appropriate in light of the nature of education and the constitutional order. The constitution is accomplishing constitutionalism in education.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education it guarantees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 and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This specificity may be a form of intermediate manifestation of the public interest. The early precedents have used the public interest and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as an argument to avoid the test of discretionary disposition. It is after the actual democratization in 1987 that the judicial review of educational discretion became active and thus the right to education of the people began to be wide guaranteed. The court case's recognition of the value of procedural law and rights can be understood as taking the step forward from that stanc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found its constitutional meaning in many educational cases, but it overestimates legislative discretion. The Supreme Court is also impressed with the independence of education and autonomy of university. However, admitting the power of decision makers is not enough to guarantee autonomy, and allowing members to participate in the public discussion structures that lead to decisions would be a genuine autonom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recedent concerning university autonomy in that the publicness is the most noticeable sign of the public interest. The Private School Act intends to harmonize the independence and publicness of private schools. However, in actual cases, the publicness of education often conflicted with the autonomy of corporations, not with private schools. A case in point is that temporary directors appointed by the Supervisory Authority can not appoint regular directors. This is nothing but a guarantee of the property rights of the founders and their descendants in the name of independence. The precedent set should be developed so that public interest can be more specific to values in harmony with the practical rule of law to ensure individual rights. Of course, if multiple public interests compete with each other, the decision on priorities will inevitably come from a comparative assessment between the interests. 공익은 법의 궁극 이념이라 할 수 있으나 그 내용은 추상적이므로, 구체적 사건에서 무엇이 공익인지는 결국 법원이 판단하게 된다. 이 글은 교육에 관한 판례 중에서 공익이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그것이 교육의 본질과 헌법질서에 비추어 타당한 것인지를 검토하려 시도한 것이다. 헌법은 교육에서도 법치주의를 관철하려 하면서, 동시에 교육의 특수성을 감안한 자주성 ․ 전문성 ․ 정치적 중립성 ․ 대학의 자율을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공익의 중간적 발현 형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판례는 공익과 교육의 전문성을 재량처분에 대한 심사를 회피하는 논거로 사용했다. 교육재량에 대한 사법심사가 활발해지고 그에 따라 국민의 교육을받을 권리가 넓게 보장되기 시작한 것은 1987년 민주화 이후이다. 판례가절차법의 가치를 인정하고 절차적 기본권을 인정한 것은 그러한 기조에서한 걸음 더 나아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헌법재판소는 많은 교육 사건들에서 그 헌법적 의미를 밝혀냈지만, 한편으로 입법재량을 과도하게 인정하고 있다. 교육의 자주성이나 대학의 자치에 대하여 대법원도 우호적 입장이라는 인상을 받는다. 그러나 결정권자의 권한을 인정하는 것만으로는 자율의 보장이라 볼 수 없고, 구성원들이결정을 이끌어내는 공적 논의구조에 참여할 수 있어야 진정한 자율이라 할것이다. 공공성이야말로 공익의 가장 현저한 징표라는 점에서 제도 뿐 아니라 판례의 변화가 필요하다. 사립학교법은 사립학교의 자주성과 공공성이 조화를 이룰 것을 의도한다. 그러나 실제 사건에서 교육의 공공성은 사립학교가 아닌 법인의 자주성과 대립하는 경우가 많았다. 감독행정청이 선임한 임시이사들은 정식이사를 선임할 수 없다고 하여 법인에 우선권을 인정한 판례가 그 대표적 예이다. 이것은 자주성의 이름으로 설립자와 그 후손들의 재산권을 보장한 것에 다름 아니다. 공익이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실질적 법치주의와 조화되는 가치로구체화되도록 판례가 발전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복수의 공익이 서로 경합하게 되면, 그 우선순위의 결정은 이익간의 비교형량에 의할 수밖에 없다.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독교 학교 국내연구 동향 분석: 교육 공공성 요소를 중심으로

        임고운 기독교학문연구회 2024 신앙과 학문 Vol.29 No.2

        이 연구는 교육 공공성을 교육이 추구해야 할 하나의 중요한 가치로 바라보는 관점에서, 국내 기독교 학교 연구 동향을 교육 공공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향후 교육 공공성 실천을 위한 기독교 학교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도까지 발표된 기독교 학교 관련 KCI 등재 학술논문 145편을 수집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기독교 학교와 관련한 교육 공공성 내용 요소 7개와 4개의 연구 시기를 준거로 설정하여 기초동향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논문의 제목, 주제어, 초록을 중심으로 총 649개의 데이터 전처리를 거친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네트워크 시각화 및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학교 연구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사립학교와 관련한 시기별 국가 교육정책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학교 연구는 일반적인 교육 공공성뿐 아니라 기독교적 교육 공공성에 해당하는 요소들을 두루 다루고 있으며, 후자의 빈도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 학교 연구의 키워드들은 다루는 범위가 제한적이며, 그 네트워크가 분산된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넷째, 기독교 학교 연구에서 ‘기회균등’ 및 ‘정의와 평화’ 요소는 적게 다루어지면서 현재보다 과거의 역할과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더 집중되어 있었다. 다섯째, 기독교 학교 연구에서 ‘사회 통합’과 ‘소통’, ‘공적 신앙’ 요소는 주로 사립학교와 관련한 정책의 대응적 접근으로 다뤄지고 있었다. 여섯째, 기독교 학교 연구가 가장 관심을 둔 교육 공공성 요소는 ‘다양화’이며 이는 주로 대안학교 연구에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교육 공공성 관점에서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rends in researches on Christian school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ublicness, considering it a crucial value in education. To achieve this, 145 academic papers on Christian schools, indexed in the KCI until 2023, were collec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seven elements of educational publicness related to Christian schools and four research periods were established as criteria for analysis. Using basic trend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649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papers’ titles, keywords, and abstracts, followed by network visualization and centrality analysis.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es on Christian schools show an overall increasing trend, influenced by changes in national education policies regarding private school. Secondly, researches on Christian schools addresses general elements of educational publicness and those specific to Christian educational publicness, with the latter appearing more frequently. Thirdly, the keywords in Christian school researches cover a limited scope and exhibit an overall dispersed network structure. Fourthly, elements like ‘equal opportunity’ and ‘justice and peace’ focus more on exploring past roles and values than current ones. Fifthly, elements like ‘social integration’, ‘communication’, and ‘public faith’ are primarily addressed responsively concerning private school policies. Lastly, the element of educational publicness that garnered the most interest in Christian school researches is ‘diversification’, mainly explored within the context of alternative school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Christian schools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ublicness.

      • KCI등재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접근: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서미경 기독교학문연구회 2021 신앙과 학문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fundamental problems in the Korean public education fields through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omeniu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solving problems. First, this paper examined the factors of the formation of educational thoughts in order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omenius' educational thoughts.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omenius' educational thoughts show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public education fields in Korea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evealing the driving force behind educational reform and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caused by COVID-19. Second, the fundamental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fields were analyzed and diagnosed by dividing them into the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omenius. Third, based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omenius, this study proposed alternative methods for 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s in Korean public education fields. The diagnosis and suggestions through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Diagnosis 1. The original purpose of educating the restoration of God's image through Pampaedia was lost. Proposition 1. The starting point to solve fundamental problems related to Korean public education is to restore the original purpose of education and provide education to become human beings based on the educational thoughts of Comenius. Diagnosis 2. In terms of education contents, it is another problem that divided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Korean public education fields not complete education. The divided knowledge education led to the collapse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rather than having positive influences on understanding God, the human spirit and nature, and also rather than having beneficial effects on using the knowledge through learning correctly while making the right relationships. Proposition 2.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 of public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store humanity by not only human spirit and nature but teaching bible. This is the complete education of Comenius. Diagnosis 3. The test score-oriented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often used rather than teaching about the restoration of human dignity and the pleasure of learning. Proposition 3. Comenius' teaching method with respect to humanity and pleasure in learning should be applied in practice. This is because the essential capability to ope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social capabilities such as community co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를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통하여 진단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교육사상 형성 요인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들과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 19로 인한 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현시점에서 교육개혁의 원동력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를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의 교육목적,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진단하였다. 셋째,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한국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진단과 제언을 짝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진단1. 한국 공교육 현장은 범교육(Pampaedia)을 통한 하나님의 형상 회복(인간다운 인간)이라는 교육의 원천목적을 상실하였다. 제언1. 한국 공교육 현장은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에서 말하는 인간다운 인간이 되기 위한 교육의 원천목적을 회복해야 한다. 교육과 관련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교육의 본질이 되는 인간다운 인간(하나님의 형상 회복)이 되기 위한 교육의 원천목적을 회복하는 것에 있다. 진단2. 한국 공교육 현장은 교육내용에 있어서 온전한 교육이 아닌 분절된 교육을 하고 있다. 분절된 지식교육으로 인하여 하나님, 인간 정신, 자연을 이해하고, 배운 지식을 올바르게 사용하고, 바른 관계를 맺기보다는 교육공동체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제언2. 공교육 현장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교과교육에 자연, 인간 정신뿐 아니라, 성경을 포함하여 총체적 지식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것이 코메니우스가 말하는 온전한 교육이다. 진단3. 한국 공교육 현장은 인간의 존엄성 회복과 배움의 즐거움 보다는 성적위주의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제언3. 인간성 존중과 배움의 즐거움을 위한 코메니우스의 교수-학습 방법이 실천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 시대를 열어 갈 수 있는 필수역량은 인격적인 연결을 중시하는 공동체적 협력과 같은 사회역량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교육 공공성(公共性)의 측면에서 본 독일의 교육정책

        박종배(Jongbae Park),조상식(Sangsik Cho),임광국(Gwangguk Yim)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2

        최근 교육의 공공성 개념은 교육 정책 분야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을 정도로 지반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교육 영역에 시장주의가 침투하는 정도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물론 역사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교육의 공공성 개념은 근대의 산물이긴 하다. 그럼에도 교육에 대한 규범적·반성적 차원에서 이에 대한 비판과 저항도 거세다. 국가와 결부된 공적(公的, official) 성격, 모든 사람이 관계하는 공통(共通, common)의 성격, 그리고 모든 이들에게 개방된(open) 성격을 교육 공공성의 준거라고 했을 때, 비교교육적으로 그 모범적 사례를 모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 공공성의 세 가지 준거에 대체로 합치하면서 국가주도적인 특징을 가진 교육 공공성의 실례를 독일의 교육제도에서 찾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독일의 교육정책인 의무․무상 교육, 아동 및 청소년 지원 복지 체제, 취약계층 지원 정책 등을 교육 평등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자 교육의 공공성을 보존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본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독일의 교육정책은 시장주의가 만연한 시대적 상황에서도 교육의 공공성이 견실하게 작동되고 있는 모범적 사례이다. Nowadays the concept educational publicity has been deprived of its safe ground, to such an extend that it becomes a target for controversial issues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al reality. In particular, this fact seems remarkable in a situation that the infiltration of market ideology into human education is becoming excruciating. From the point of historical view, the concept of educational publicity is naturally one of the western modern achievements. Nevertheless critical and resistant winds against such an unpleasant tendencies are also blowing in the fields of the normative and reflective pedagogy. When we consider the official characteristic related to state, the common one connected with people of all and the open one to people of all as three refinedly chosen references to educational publicity, a representative sample can be lai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educational study. For this reason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educational policy in Germany is in accord with above-mentioned references to educational publicity and a stately led type. The compulsory and free education, institutional welfare for backing children and teenagers and support system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re educational-political endeavors in order to actualize educational equality, and can be the standard of how we measure educational publicity. Clearly the institutional model of German educational policy is working soundly with undamaged state of educational publicity.

      • KCI등재

        ‘교육의 기회균등’의 헌법적 의미와 개선방안

        장영수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8 고려법학 Vol.0 No.89

        After liberation, South Korea’s education shifted from elite education to public education. The popularization of education contributed in boost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various areas,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serving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enhancement of democracy. Nonetheless, there have been criticism that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has deteriorated, making rags to riches story no longer feasible today. As can be confirmed from Korea’s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s an individual’s as well as the nation’s future. When regarding the fact that better education contributes to a better future, education can be viewed as a definite future investment. Therefore, discrimination in education means discrimination in future development possibilities. One typical problem that critics point out is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resulting in un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natural for the parents to use their wealth to provide better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However, the problem is that educational opportunities differ depending on the parent’s economic competence; a factor that is irrelevant to one’s ability or effort and is threaten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not to mention the foundation of democracy. The deterioration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as well as the educational system that is connected to this issue is not a problem that is limited only to those serving in the field. Instead, it should be regarded as a problem that the nation and the public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d resolve. This article takes such idea as a premise and has searched for the meaning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reason of its deterioration, as well as feasible solutions. First, the article overviews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edu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Next, the article reviewed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s a premise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and confirmed its importance. Furthermore, to realiz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article searched for a way to reform university entrance exam, as well as examining vocational training and lifelong education issues. The future of Korea is determined by education and the future of education is determined by equal opportunity. Since the future Korea without equal education opportunity will undergo extreme discrimination and social conflicts, equal education opportunity is an essential value that cannot be abandoned. Therefore, the effort to expand and strengthen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gin right now. If there is no immediate movement for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social structure will stiffen, social hierarchy will become fixed, and equal opportunity in the future may be delayed or be lost forever. 해방 이후 대한민국의 교육은 엘리트교육에서 대중교육으로 변화해 왔다. 교육의 대중화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국가경쟁력이 제고되었고, 교육은 경제발전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성장을 위해서도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으며, 개천에서 용 나오기가 더 힘든 사회가 되었다는 지적들이 많아지고 있다. 교육은 개인과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며, 이는 우리 현대사를 통해서도 확인되고 있다. 보다 훌륭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은 곧 미래에 대한 가장 확실한 투자이다. 이러한 교육에서 차별이 발생한다는 것은 바로 미래의 발전가능성에 차별이 생긴다는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로 지적되는 것이 부모의 경제적 능력에 따른 교육의 기회균등 왜곡이다. 부가 편중되고 세습되면서 부를 이용하여 자식에게 더 좋은 교육을 시키려는 경향이 커지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비추어 볼 때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그로 인하여 본인의 능력이나 노력이 아닌,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서 교육의 기회가 달라지는 것은 교육의 기회균등을 매우 심각하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자칫 민주주의의 기초를 훼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육의 기회균등 악화 및 이와 결부되어 있는 대한민국 교육제도의 문제상황은 교육종사자들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 전체, 국민 전체의 문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또한 그래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이 갖는 의미와 그 악화의 원인 분석, 그리고 대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의 개념과 성격 및 기회균등의 중요성에 대해서 개관하고, 이와 연결하여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한 전제로서의 공교육 정상화를 검토하면서 공교육이 교육의 기회균등에서 얼마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조건으로서 교육의 기회균등을 실질화하기 위한 대학입시의 개혁방향을 모색하였고, 이와 더불어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결되어 있는 문제로서 교육의 기회균등과 직업교육의 실질화와 평생교육을 통한 교육의 기회균등을 살펴보았다. 대한민국의 미래는 교육이 결정하며, 교육의 미래는 기회균등이 결정한다. 기회균등이 없는 교육에 기초한 미래 대한민국은 훨씬 더 심각한 불평등과 사회갈등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교육의 기회균등은 결코 포기될 수 없는 가치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의 기회균등을 확대⋅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지금 당장 시작되어야 한다. 오늘 바로 교육의 기회균등을 위해 움직이지 않으면, 그리고 그로 인해 사회구조가 더욱 경직되고 사회적 계층이 고착화된다면 미래의 기회균등은 10년 더 늦어질 수도 있고, 영영 때를 놓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공적 신앙 회복을 위한 교육설교: 존 웨슬리의 표준설교를 중심으로

        최은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4 신학논단 Vol.1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뉴노멀 시대 효과적인 기독교교육의 대안을 마련해 보는 데 있다. 오늘날은 급변하는 사회적 정황 속에서 새로운 기준이나 표준이 필요한 뉴노멀 시대가 되었다. 이것은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부터 기인하는데, 기독교는 이미 비대면 온라인 예배 등 종교의 뉴노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에 요구되는 기독교교육의 과제를 찾고, 구체적으로 기독교교육이 어떻게 진행될 수 있는지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뉴노멀 시대 기독교교육의 과제가 무엇인지 사회문화적·역사적·신학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첫째, 기독교교육의 공간을 확대하는 일이었다. 기존에는 대면 공간, 곧 가정과 교회, 그중에서도 교회가 신앙교육의 주요한 장이었으나, 이제는 온라인 공간으로 확대되었기 때문에 온라인 공간에서의 기독교교육이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둘째, 공적 신앙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사적 영역의 신앙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의 부정적 인식을 얻게 되었고, 이것은 가나안 성도 또는 탈교회 현상으로 이어졌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적 신앙을 회복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셋째, 교육설교에 관한 연구와 실천을 진행하는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 살아가고 있고, 또 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 보니 기독교교육의 참여율이 저조한데, 이를 위해 설교의 교육적 기능을 강화하여 교육설교의 형태로 기독교교육을 진행한다면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독교 역사에 있어 탁월한 교육설교가 중 한 사람인 존 웨슬리(John Wesley)의 표준설교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뉴노멀 시대 교육설교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것은 크게 세 가지 곧 온라인 공간을 활용하는 교육설교, 또 공적 신앙을 강조하는 교육설교, 렙트(REBT) 원리를 지향하는 교육설교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기독교교육은 뉴노멀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며, 기독교 신앙과 공동체의 유지와 존속은 물론, 공적 신앙을 회복하고 하나님 나라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lternatives for effective Christian education in the new normal. Today is a new normal era that requires new criteria or standards in a rapidly changing social context. This is due to the impa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and Christianity is already experiencing a new normal in religion, such as non-face-to-face online worship. In this context,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required in the new normal era and to provide direction on how Christian education can be conducted specifically. there are three main tasks for Christian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First, it is to expand the space of Christian education. Previously, face-to-face spaces, namely the home and the church, were the main places for Christian education, but now it has expanded to the online space, so Christian education in the online space is important. Second, to restore public faith. The Korean church has been emphasizing faith in the private sphere, which has led to negative perceptions from society, and this has led to the phenomenon of Canaanite saints or de-churches, and it is necessary to restore public faith to solve this problem. Third, research and practice on educational preaching. Today, modern people are living in busy lives and have a strong negative perception of the church, so the participation rate in Christian education is low. It is believed that Christian education can be mad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ermons and conducting Christian education in the form of educational sermons. To this end, we understood the standard sermon of John Wesley, one of the outstanding educational preachers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and proposed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sermons in the new normal era based on it.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educational sermons: educational sermons that utilize online spaces, educational sermons that emphasize public faith, and educational sermons that orient to the REBT principle. Through this, it was seen that Christian education is still valid in the new normal era and will help to maintain and sustain Christian faith and community, as well as restore public faith and realize the ideal of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후보

        한나 아렌트의 공교육 제안 논의

        박선영(Pak, Sun Young),김회용(Kim, Hoy 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이 글은 현대 공교육에 대한 다양한 기대와 정의에 접근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한나 아렌트의 공교육제안을 논의하였다. 한나 아렌트가 주장한 공교육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녀의 공공성개념을 파악해야 한다. 아렌트가 현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밝혔던 공공성은 “차이에 기반하여 개인이 공적영역에 참여하는 행위”이다. 공공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개인의 독특성, 타인과의 차이, 자신의 견해를 말로서 표현함, 그리고 타인과의 대화와 토론이다. 아렌트는 이러한 공공성 개념과 관련지어 공교육을 제안했는데 어린이의 참여보다는 전통의 학습을, 공공성의 발휘보다는 분리를 강조했다. 그러나 성인의 권위에 의존한 교육은 공공성의 본래의미인 개인의 독특한 참여활동으로부터 멀어지게 되었고, 정치적 참여를 배제하는 공교육은 어린이의 대화와 토론능력을 과소평가하였다. 따라서 공교육기관은 차이에 기반한 개인의 공적 참여활동을 적극적으로 학습하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discuss Hanna Arendt's conception of publicness and argument of her public education in order to approach how the public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First, Hanna Arendt’s conception of publicness is reinterpreted. Publicness is refered to action based on the plurality and uniqueness taken to express an individual’s opinion through speech in the public realm. Second, her standpoint for modern public education is examined. Arendt argued that children must learn about traditions and public education needs to give an authority grown up person. And she asserts that publicness should not become a part of public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publicness and limits of argument for public education, so propose another form of contemporary public education in simple terms. First, This study insistes that both grown-up person(teacher, parents) and children must have the authority of education. Second, This study insistes that Arendt's conception of publicness should be reaffirmed. The broad and changed meanings of publicness are not proper for children and these should be carefully controlled in public schools. But publicness that means "action based on the plurality and uniqueness which is taken to express an individual’s opinion through speech in the public realm" should not be seperated from the school. By nature, as she says, public schools where children gather are basically public places that cannot be changed into private places. in addition, public schools should be put an extenti on to the publicness. Children get a chance to learn publicness and discussion in school in a proper way.

      • KCI등재

        각급학교·대학간 연계정책 대안(Ⅱ)

        유향산(Ryu, Hyang Sa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3 교육연구 Vol.37 No.-

        이 코스에서 가장 핵심적인 코스 내용은 향후 우리나라가 고등학교, 대학간 교양강좌와의 <<연계수겅제도>>를 정책화하려는 데 이를 담장하는 정책입안자들이 스스로 준비된 연계정책가로 자리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테마연구내용이다. Because of the school problems/ their social issues diffusing from 「out of school」to 「in-school」, we need to have not micro-approach but macro-approach for the solving. The following issues are very serious. First, our private education expenses are substitued for the non-competitive public education. Second, the graduated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could not be able to get a working place in our society. In other words, we have to connected each level schools, especially high school student from 2nd and 3rd grade with university for mutual promoted competitive power. In the case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y are always connected each other for the helping system. For solving of the above probelms /issues, we have the topic : The Alternatives(Ⅱ)for the Educational Ploicy Connected All Level Schools with University :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Comparative Course of study for the Buildings of the Public & Higher Education's Competitive Power by the Mutual Promotion Process Each Other. I have been hosted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bout the topic during 2001-2003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mparative studies course such as Master's Course through the function of the Conference. And I have analyzed the Connected Educational Policies form Magnet Schools of America, Magnet Schools, Charter Schools,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Educational Options, Fischle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Human Services, Nova Southeastern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analyzed the Connected Educational Policies or the Choice of School for the public education from Seoul Foreign School managed one school campus town for the K-12 Students integrated by the educational management. I also Korean Educational Policies for the public Education and the higher education competitive power by the mutual promotional process. Finally I have founded the key words building the Connected Educational Policy between the public education and the higher educatopn by the mutual promotion. The First Word: the Builing of Connected Mind of the Educational Policy-Makers, The Second Word : the Building of Connected Educational Policy between each level schools and the univerities, The Third Word :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Course of Study for the Competitive Power for the Public Education and the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mutual promotion. I will play coontinuously to be a host for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function of the master's course for the policy makers to make of the competitive power between the public education and the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상생윤리의 교육 범례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1

        21세기의 세계시민성 시대는 선천의 홍익교육 이념에서 한 단계 나아가 상생윤리의 교육으로 들어가면서 자기도 이롭고 상대방도 이로운 상화(相和)의 교육 범례가 요구된다. 이는 곧 자기와 타자 사이의 ``플러스 섬(plus-sum)``현상을 지향하는 교육 범례이다. 공생(共生)이 ``나와 남``이 같이 사는 일시적이며 상극적 평화범례라고 한다면, 상생은 ``너와 내``가 공공으로 함께 생명을 살리는 상통(相通)의 범례이다. 근대조선에는 개벽사상이 나타나서 기존의 음양(陰陽) 이분법 사유방식을 해체하고 상극을 상화(相和)하는 횡단매개 교육 범례가 나타났다. 상극의 대립구조를 매개하는 상화(相和) 매개의 중매(中媒)교육이 강조되었다. 이는 한국인의 삼원사유에 근거하여『천부경(天符經)』의 하늘·지구·인간의 삼원요소를 매개하는 삼재사상과 연관된 교육 범례이다. 이 글에서는 상생윤리의 구조를 밝히고 이에 따른 교육 범례를 비교론적 관점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비교론적 관점에서 우리는 상생윤리의 교육 범례를 뚜렷하게 부각하고 있는 20세기 초반의 강증산(姜甑山)의 해원상생의 교육 범례, 20세기 중반의 송정산(宋鼎山)의 공공상생의 범례, 20세기 후반의 유영모(柳永模)의 공공구속을 차례대로 비교하여 고찰하면서 21세기 한국의 상생윤리의 실천화용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들은 상극 대립 사이에 횡단매개하는 생명살림 교육 범례를 전제로 상극에서 상생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해원(解寃), 삼동(三同), 공속(共贖)을 중매(中媒)로 삼아 상화(相和)의 계기를 마련하는 것에 윤리교육의 역점을 찾고 상황의 실천화용을 공통적으로 강조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맥락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조선근세 이후의 상생윤리의 교육 범례를 고찰하여 21세기 상생윤리의 새로운 좌표설정을 마련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we focus on three educational paradigms in the context of mutual living ethics in Korea. First of all, Jeung-San(1871-1909) define resentment and regret as social and personal insufficiency and Won(寃) as group`s revenge emotions. Jeung-San believed that the root of these dissatisfactions of Won(寃) can be solved mutual living`s mind in educational paradigm according to Three World`s Heaven Earth Public Affairs. Jeong-San(1900-1962), the second Master of Won-Buddhism established the ideal civilized society that is formed on the basis of Triple Identity ethics. The global village causes more problems than any other period and jeopardizes human survival. Among many problems such as ecocide, religious violence, aggressive warfare and terrorism, nuclear weapons and destruction of humanity, educational paradigm of public mutual living can solve these various antagonism. This paper is oriented to find out educational paradigm in the mutual living`s ethics and practice among Jeung-San Master and Jeong San Master`s Triple Identity ethics with You Yuong-Mo(1890-1981)`s Public Redemption. Firstly, mutual living`s mind in educational paradigm includes the educational meaning of media function with other resentment and regret tradition as the public common value. The principle of public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revenge emotions can be easily found in mutual living ethical thoughts. Secondly, the human life can be found diverse complexity as private with other lives in Triple Identity ethics. To create a harmonious education to keep human being esteem, and public communication as human dignity must be the solutions to various antagonism and many conflicts of the world. Thirdly, Public Redemption can create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of peace and mutual- living mode beyond ideological conflicts and different belief systems. To establish the world of mutual living, the mutual harmonious educational paradigms are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mutual living is trans-versal values that require global responsibility for prosperity and happiness and community of rights and global citizenship. Mutual Harmony and Public mutual living with Pubic Redemption can serve common goodness as eth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