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특성이 우리나라 가구의 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3 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박규범 ( Park Gyubeo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1

        경제적 불평등 문제의 핵심인 빈곤에 대한 연구는 미시적 차원에서 점차 확장되어 거시적 차원을 포함한 통합적인 분석이 진행되고 있고, 빈곤을 규정함에 있어 단순히 소득 측면만이 아닌 생활수준 전반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점차 변모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빈곤의 정의를 소득, 자산과 부채를 합한 경제적 복지(economic well-being)의 개념으로 빈곤의 개념을 보다 확장하여 지역 특성이 우리나라 가구의 경제적 복지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노동패널(7차-19차)과 통계청 자료를 결합하여 다층분석(HLM)을 실시한 결과 지역의 특성이 우리나라 가구의 경제적 복지 수준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특성 변수 중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고령인구비율, 경제적 특성인 지역 내 종사자 수와 지가변동률, 사회복지재정비율이 경제적 복지 수준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지역적 맥락과 특수성을 반영한 종합적인 빈곤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Recent inequality research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poverty in capitalist societies. In the same vein, various factors have been considered as poverty measur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level of and change in economic well-being for households in Korea. Economic well-being was employed to measure households’ poverty level which consists of household income, assets, liabilities. This study reviewed the level of economic well-being among households. As a primary analysis, three-level Hierarchical Growth Modeling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on the level of economic well-being and the change of economic well-being over time. Data from KLIPS (7th to 19th waves) and Statistics Korea was used for analyses. The primary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and changes in households’ economic well-being varied widely across regions. Second,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and changes in the economic well-being households. In particular, the elderly population rate,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region, the fluctuation rate of land prices, the proportion of social welfare budget was associated with the economic well-being of households. Based on the results, poverty policy makers should take into account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poverty policies.

      • 헤어스타일의 웰빙 경향

        하경연 한국패션뷰티학회 2004 한국패션뷰티학회지 Vol.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well-being, the emerging well-being culture, and the phenomenon and features of the hair beauty affected by i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dissertations written between 199a and 2002, copies of the beauty journal Short Hair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03, beauty newspapers published between March, 2003 and June, 2004, and relevant Internet sites. When we review the well-being hair style tendency, we may be reminded of a light shaggy cut style with a thick wave volume or a natural wave highlighted, or a natural style with a natural color rendered by the braid technique. The well-being hair styles may be inspired by such natural images as the earth, sand, rock, wind, feather and flowers, while using cut, permanent wave or coloring technique for the hairs, in order to create new hair styles. The goal is to make men in contact with the nature. Meanwhile, as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diverse hair textures, natural and healthy hairs, they want their hairs to look comfortable and active rather than luxurious. The well-being cut styles may be categorized into cut style highlighting healthy hairs with a Bobos luxury and soft and light stroke cut reminiscent of a Bohemian freedom. The well-being permanent style may be divided into thick wave, natural wave, and the permanent style using a strong wave to make hairs look bloated. The hair colors reminding us of some natural images are used to highlight a well-being image. In addition, the concept of well-being pursuing a happy and healthy life has been being introduced into the permanent wave material liquids; such liquids made from natural materials, fruits or herbs increase, while environmental-friendly liquids or materials are used more for healthy hairs. The reason why the well-being culture influences hair styles importantly may be that people's desire of healthy body and mind and a comfortable life is reflected in hair styles. In conclusion, as the hair styles or an index for a new cultural current in our modern age are influenced by the well-being phenomenon, more and more people will put priority on healthy hairs. So, it is deemed necessary to apply the well-being hair styles appropriately to render satisfactory hair styles.

      • KCI등재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가정과교육의 미래방향 탐색: ‘웰빙(Well-Being)교육’의 담론 고찰을 중심으로

        왕석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value home economics education should pursue to be established as an essential subject in the ‘with-/post Covid-19 er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To this end, first of all, changes in the future society symbolized by the with-/post- Covid-19 era were diagnosed through literature review. Moreover,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Korea’s ‘Educational Vision 2045’, which identified the purpose of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future, were considered. Furthermore, the teleology of education of John White, a British educational philosopher, was contemplated. As a result,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is considered to be changing toward the well-being of society and individuals, and effor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well-being subject are being made in various countries for this purpose. While several a number of strategies are possi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well-being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rgues that the easiest way is to strengthen home economics education that already exists as a subject. In addition, the main valu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n essential subject in the with-/post-Covid-19 era is evaluated to lie in the fact that this subject helped society and individuals cultivate diverse competencies necessary to pursue well-being.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conceptual framework necessary to develop a discourse on home economics education as ‘happiness and well-being education.’ Additionally, a conceptual framework describing the unique thinking and execution process that learners will represent in the course of learning of home economics that implements well-being education is suggested. In the follow-up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discourse on well-being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ill be verified by empirical studies. 이 연구는 위드/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정과교육이 필수 교과로서 어떤 가치를 표방하여 필수교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가를규명하고,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위드/포스트 코로나시대로 상징되는 미래 사회의변화를 문헌 고찰을 통해 진단했다. 또,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의 목적을 규명한 ‘OECD교육 2030’ 프로젝트와 한국의‘교육비전 2045’를 고찰했다. 또, 영국의 교육철학자인 White의 교육 목적론을 고찰했다. 그 결과, 미래사회의 교육 목적은 사회와 개인의 웰빙으로 변화하고 있고, 이같은 교육 목적의 실현을 위해 웰빙 과목의개발과 같은 노력을 여러 국가들에서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웰빙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실행전략이 가능하지만, 가장 손쉬운 전략은 이미 교과로 존재하는 가정과교육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제시했다. 또 위드/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가정과교육이 필수교과로서 가지는 주요 가치는 사회와 개인이 웰빙을 추구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함양시켜주는 교과라는 점에 있다고 규명했다. 이것은 가정과교육에서 다루는 교육내용은 ‘OECD교육 2030’에서 웰빙의 기준이 된 OECD 의 BLI 를 거의 모두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전통적으로 가정교과가 ‘삶 중심의 생활교과’이며, 동시에 삶의 질 향상을통해 개인 및 가족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행복추구역량’을 함양해 온 행복 교과의 성격을 가져왔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행복 및 웰빙교육’으로서의 담론을 발달시켜 가는데 필요한 가정과교육의 이론적 개념틀을 개발하여제시했다. 또 웰빙교육을 실행하는 가정과의 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나타내게 될 고유한 사고 및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이론적개념틀을 개발하여 제시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같은 가정과의 웰빙교육의 담론이 더 많은 경험적 연구로 검증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과정, 경제적,관계적 자원과 심리적 복지감: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경혜 ( Gyoung Hae Han ),손정연 ( Jeong Yeon S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8 No.-

        This study examines how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i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sts whether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oc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of Korean baby boomers. The 4,075 respondents born between 1955 and 1963 were surveyed in face-to-face interview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conomic resourc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retirement proc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en and women was support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relational resour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 according to the gender. Lastly, the roles of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in the effects of retirement proc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 depending upon the sub-dimen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gender differences and gender similarities are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retirement process, economic and relational resourc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articula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e different pathways through which the retirement process i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for 4 different groups of baby boomers, the career job, the bridge job, non-employment, and full retirement.

      • OECD 국가의 복지 수준 비교 연구

        김상호,정해식,임성은,김성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한 국가의 복지 수준 및 국민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표들을 활용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한국의 복지 수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고려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1년 조선일보사와 공동으로 2000년대 말 세계적 금융위기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맥락을 반영하여 KIHASA-Chosun Welfare Index(KCWI) 2011(이하 KCWI 2011)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년이 지난 현시점의 종합적인 복지 수준을 판단하고자 지표체계와 가중치를 개선한 KIHASAChosun Welfare Index(KCWI) 2016(이하 KCWI 2016)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OECD 가입국들의 복지 수준을 비교하였다. 2.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는 사회의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복지에 대한 욕구,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확보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자원의 정도를 이용해 복지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OECD(2009)에서 제안한 PSR(Pressure-State-Response)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5개 부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경제활력`은 사회구성원이 현재 노동시장, 상품시장에서 확보할 수 있는 자원이다. 둘째, `복지수요`는 사회구성원 각각의 욕구의 총합으로서 가질 수 있는 욕구이다. 셋째, `재정지속`은 복지에 대한 사회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국가의 여력(餘力)이다. 넷째, `복지충족`은 국가가 구성원의 사회적 욕구에 실제 대응하는 정도이다. 다섯째, `국민행복`은 사회적 욕구와, 복지 노력을 통한 대응 간의 일치·불일치 정도에 대한 결과이다. 그리고 2011년에 제안한 KCWI 2011을 바탕으로 하여 영역 및 지표의 타당성, 국제비교 데이터 가용성 등을 고려하여 개선한 5개 부문, 총 23개 지표로 구성된 KCWI 2016을 제안하였다. KCWI 2011과 KCWI 2016의 부문 및 지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그리고 개별지표를 부문별 혹은 종합 지수와 결합시키기 위하여 국내의 경제, 사회, 보건, 복지, 인구 분야 전문가 5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지표별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지표별 표준화 및 가중치 부여를 통해 최종 5개 부문 및 종합 지수를 산출하였다. KCWI 2011을 도출하였던 김용하 등(2011)의 연구 시점에는 전 세계 각국이 금융위기의 파고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에 있었으므로, 경제활력지표와 재정지속지표를 합산한 가중치가 39.3%에 이르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경제활력지표 및 재정지속지표에 대한 가중치 부여가 27.8%에 그쳤다. 반면에, 복지충족지표 및 국민행복지표에 의미 부여를 많이 하였는데, 2011년에는 두 영역에 42.5%의 가중치를 부여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52.3%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3. 주요 결과 한국의 복지 수준은 2011년 기준 23위에서 2016년 기준 21위로 두 계단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두 시점을 비교하기 위해 영역별로 다시 표준화한 경제활력도는 0.750점에서 0.834점으로 상승하였고, 복지수요도도 0.781점에서 0.786점으로 소폭 상승하였다. 한편, 복지충족도는 0.407점으로 두 시점이 동일하였다. 그러나 국민행복도는 2011년 0.348점에서 2016년에는 0.133점으로 크게 하락한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우리나라의 복지 수준이 그간 종합 순위에서는 높아졌지만, 상대적 위치를 고려한 점수에서는 상위권 국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특히, 국민행복도가 그러하다. 4. 시사점 이상의 분석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 사회의 종합적인 복지 수준을 살피는 데 있어 경제적 관점에서 측정한 활력도와 재정지속 가능성은 전반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복지수요와 복지충족 역시 점수와 순위에서 개선되고 있다. 반면에 복지 수준을 협의로 정의할 경우에 더 적합한 평가 지표가 될 수 있는 국민행복도는 본 연구의 비교 기간 동안 다른 OECD 회원국과 비교하여 상당한 수준으로 악화되었다. 이는 복지 수준을 측정하는 다른 지표와 달리 현실에서 쉽게 체감되는 국민행복도가 악화되었기 때문에 이로써 국민들이 체감하는 복지 수준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을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의 복지정책은 국민들의 복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국민행복도 지표를 구성하는 개별지표를 개선하는 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복지 수준 변화 추이를 다른 OECD 회원국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복지 수준 측정 지표들 중에서 우리나라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이를 정책에 반영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복지 수준을 OECD 국가와 비교하는 연구를 향후에도 주기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Global efforts to measure well-being and to integrate well-being indicators into the policy process became more signifian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11,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developed the KIHASA-Chosun Welfare Index (KCWI) in order to examine the level of well-being across 30 OECD countries, in terms of economic, 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By applying the OECD Pressure-State-Response framework (2009) to the KCWI,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level of well-being among 34 OECD countries and to provide a broad view of well-being in Korea. The KCWI 2016 is classified into five areas: (1) economic vitality, (2) fiscal sustainability, (3) welfare needs, (4) welfare fulfillment, and (5) national happiness. A total of 23 indicators are used to measure and assess well-being across 34 OECD countries. The results of the KCWI 2016 showed that Korea scored 0.593 for economic vitality, 0.778 for fiscal sustainability, 0.734 for welfare needs, 0.786 for welfare fulfillment, and 0.133 for national happiness. Korea`s scores welfare fullfillment and national happiness are lower than the OECD average. Figure 1 shows well-being scores for the five areas in Korea and in the OECD average. Figure 1. Well-being scores in 5 Areas: Korea vs. OECD(KCWI 2016)

      • KCI등재

        저소득층의 물리적 자원의 상실 및 획득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경제적 안정의 매개 역할

        박선영(Park, Sun-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사회복지학 Vol.65 No.2

        이 연구는 저소득층이 겪는 물리적 자원에서의 상실과 획득이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이들이 경제환경과 상호작용하며 경험하는 경제적 안정감이 그러한 상실 및 획득의 영향을 받아 안녕감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자활센터를 이용하는 저소득층 남녀 성인 254명을 대상으로 물리적 자원의 상실과 획득, 경제안정, 안녕감의 수준을 살펴보고, 자원의 상실 및 획득 각각이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계와 이 관계에서 경제안정 수준이 보이는 매개역할을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참여자들은 물리적 자원을 약간 잃거나 얻은 수준이고 획득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경제안정 및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원상실은 유의한 부적 관계를, 획득은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셋째, 자원상실은 경제안정과 안녕감 각각에 대해 유의한 부적인 직접효과를 보인 한편 경제안정의 감소를 통해 안녕감을 감소시키는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끝으로, 자원획득 역시 경제안정과 안녕감 각각에 대해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이고 또 경제안정을 통한 정적인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자원상실과 획득 두 모형 모두에서 부분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실천에서 저소득층 성인의 생활과 밀접히 관련되는 물리적 자원의 상실 및 획득, 경제안정, 안녕감을 활용할 방안과 조사연구에서 가질 수 있는 함의를 찾고 제언하였다. Physical resources are central to coping with economic hardships for people in low-income, yet life experiences such as resource loss and gai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 sense of well-being received scarce attention.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levels of loss and gain of physical resources, economic stability and well-being of 254 adults who participated in welfare-to-work programs; correlations and paths among these variables;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conomic stability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jor results were: first, the levels of resource loss and gain were below a moderate level and the level of ga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ss level. Second, in the relationships with both economic stability and well-being, resource lo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hile resource gai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Third, the negative direct effect of resource loss either on the economic stability or on the well-being respectively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n well-being through economic stability was also significant. Finally, the direct effect of resource gain on either economic stability or well-being was significant; and the indirect effect of resource gain on well-being was also significant. Thus in both models for resource loss and gain, the indirect effect of economic stability was significant, which supports partial mediation model.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were examined, particularly for enabling social work practice to utilize information regarding resource loss and gain, economic stability, and a sense of well-being that were embedded in the community life of people in low-income.

      • KCI등재

        로하스(LOHAS) 생활을 위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생활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이 건강한 삶(well-being)에 미치는 영향

        서상윤 경희대학교 경영연구원 2018 의료경영학연구 Vol.12 No.1

        Objective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factors to affect consumer’s LOHAS life. Methods: The daily life, economic condition, and social factors are tested in terms of determinant factors on well-being life. The daily life factor includes such variables chronic disease, smoking, drinking liquor, disability of ordinary life activities and physical activities. The economic factor consist of household income, participation of economic activity, enrollment of national pension plan as well as personal insurance. Education level, accessibility of medical service, and marital status belong to social factor. The empirical test was conducted with data from 2015 Korean Healthcare Panel Survey. Results: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show that chronic disease, smoking, disability of ordinary life activities as well as physical activitie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well-being life. However, drinking liquor has a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terms of physical wellness and psychological wellness. Also household income, enrollment of national pension plan have positive impact on well-being life. The education level which belongs to social factor only significant variables affects well-being lif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shows the better quality of life. Conclusion: In order to pursuing LOHAS, basically they need to keep not only their body but also their mind healthy. Also they need to prepare financial income and establish a financial future plan for old age.

      • KCI등재

        농촌지역 후기노인의 경제활동 및 여가활동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구곡순담지역을 중심으로

        조공민,김용섭 한국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연구 Vol.20 No.3

        This study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leisure activitie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 rural older people who were above 75 years ol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male elderly people who are younger, more educated, in better health, and in higher economic level have more positive emotions. In regard to religion, positive emotions were the highest for the others, followed by Christianity, atheist, Catholicism, and Buddhism. Second, the analysis by economic and leisure activities showed that more positive emotions were found in the elder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for non-livelihood. Third, the analysis of effects of economic and leisure activities on subjective well-being showed that sociability and self-development ha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while passing time had a nega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ay we understand the elderly as a negative being. What is more, various leisu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 KCI등재

        A Buddhist`s View on Economic Problems

        Ki Moon Cheong(정기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9

        이 글은 욕망을 선욕과 갈애로 구분함으로써 불교적인 경제학의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다. 경제학에서는 욕망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불교에서는 욕망을 선욕(chanda)과 갈애(tanha)로 구분하여 인식한다. 이처럼 욕망을 구분하여 인식할 때 우리는 경제문제들에 대한 인식과 경제학에서의 논리 전개 방식을 약간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경제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효용 극대화에 있다고 전제하고 이는 생산과 소비의 증대로써 인간이 더욱 행복해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활동이나 경제정책은 이를 위한 경제의 성장과 발전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반면에 불교에서처럼 욕망을 구분해서 인식하게 되면 경제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물질적인 욕망 충족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가치에 바탕을 둔 복지의 달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생산과 소비의 증대로써가 아니라 갈애의 소멸을 통해서 가능하다. 그리고 갈애의 소멸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여덟 가지의 바른 길, 특히 바른 생활(正命)을 통해서 달성이 가능하다고 본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modeling “Buddhist Economics,“ by considering a Buddhist`s view on economic problems. In traditional economics, especially in mainstream Neoclassical economics, human desires are treated as value-free. In Buddhism, however, human desires are recognized as two different kinds of desire: tanha, the desire for pleasure and chanda, the desire for true well-being. Tanha is based on ignorance, while chanda is based on wisdom. Both of these lead to satisfaction of human desire but in different ways. People who are driven by tanha seek to satisfy the blind craving for sensual pleasure, but when driven by chanda, desires are directed to attainment of true well-being. If we perceive human desires in this way, it may be possible to build Buddhist Economics, which may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raditional Neoclassical economics. In traditional economics, the objective of economic activities is assumed to be to maximize utility or satisfaction,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expans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All economic activities and policies are, therefore, directed towards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In a Buddhist`s view, however, where human desires are not recognized as value-free, the ultimate goal of economic activities cannot be just satisfaction of material want. It must indeed be the attainment of human well-being based on true value, which can be achieved not by expans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but only by efforts exerted to eliminate tanha.

      • KCI등재

        중년기 및 노년기 사회자본의 경제적 복지 효과 비교

        서지원 ( Ji Won Seo ) 대한가정학회 201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1 No.2

        Social capital theory provides a framework for analyzing the economic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ge effect of social capital by comparing middle aged and the elderly,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ir subjective economic well-being, respectively. The two concepts of “trust” and “social network”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capital. Comparisons between the age groups were made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well- being of four age groups, including younger middle-aged, older middle-aged, younger elderly, and older elderly.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were used. The final sample for this analysis is 8,406 respondents aged 45∼84.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capital, trust and social network, is statistically different by age groups. Second, the model fits in the case of model including social capital variables are all larger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four age groups. Third, social capital is “resource” that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subjective economic well-being.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implications for welfare policies related with issues of social security for the elderly in Korea a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