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생태학적 자아의 정립과 생태학적 감수성 증진을 위한 교육

        노희정 ( Hui Jeong Noh ) 한국환경철학회 2013 환경철학 Vol.0 No.16

        본 글은 생태학적 자아의 정립과 생태학적 감수성의 증진을 위한 교육 방안에 대해 탐색한 것이다. 오늘날의 생태학적 위기는 세계관의 문제임과 동시에 생태학적 감수성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친화적인 생태학적 자아를 정립함과 동시에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데 진력해야 한다. 전체론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하는 생태학적 자아는 무한한 생태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자연에 대해 인지적ㆍ정서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연의 아름다움과 신비로움을 식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감수성을 지닌 자아다.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교육은 생태학적 상상력을 키우는 교육, 생명을 사랑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교육, 공감적 의식과 이해를 고양하는 교육, 심미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교육을 지향하며, 이러한 생태학적 감수성을 증진하는 데는 서사적 접근 방법과 자연체험 학습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이 두 가지 교수학습 방법은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 과정과 맥락,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자연체험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감수성 증진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생태학적 감수성의 증진 교육은 자연친화적인 태도와 자연의 아름다움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궁극적으로는 인간 사회의 발전과 지구공동체의 보전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elf and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We must establish the ecological self, and promote ecological sensitivity in order to solve this current ecological crises, because ecological crises are matters of worldview and issues related to ecological sensitivity. An ecological self based on holistic worldview has ecological sensitivity, in that ecological self can present imaginations, have a cognitively and emotionally sensitive responses about nature, and appreciate the beauty and mistery of nature.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aims at promoting an ecological imagination, an attitude of love and respect about life, empathetic consciousness and understanding, and aesthetic sensitivity. And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se educations are the narrative and nature learning experience. These approaches focus on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nature, processes and contexts, and direct, sensual experiences in nature. Therefore, education for promoting ecological sensitivity will cultivate the nature-friendly attitude and capacity of aesthetic appreciation about nature,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and preservation of global community.

      • Rediscovery of Nature in the Schoolyard for Ecological Education

        Eunjeong Ju 한국아세아태평양교육문화융복합학회 2021 Asia Pacific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Vol.1 No.1

        Purpose: In ecological education, the experience of connecting with nature is very important to children. If nature in the school can be brought into the site of ecological learning, it will be possible to give children an opportunity to encounter nature on a daily basis. Therefore, we need to pay attention to ecological education based on nature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Ecological Education in the Schoolyard on the elementary students ecological sensitivity and their satisfactions with it. Method: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50 students in third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t M Elementary School in the urban area. For the study, student satisfaction and changes in ecological sensitivity were measured over the course of Ecological Education in the Schoolyar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increase of ecological sensitivity and satisfaction Results: Through Ecological Education in the Schoolyard, students ecological sensibilities changed significantly. Most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d a very positive perception of Ecological Education in the Schoolyard. Factors influencing the increase in ecological sensitivity were satisfaction, gender, empathy for living things, engagement with nature, and passive enjoyment of nature. Satisfaction with learning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increase in ecological sensitivity. Conclusion: For ecological education, students natural experience is very important. Schoolyards contain nature in everyday spaces that are very easily accessible to students and teachers, so ecological education here has the advantage of being relatively easy and can be carried out frequen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value of the schoolyard for ecological education and to make more active use of the schoolyard.

      • KCI등재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생태교육 방법 연구

        박미경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오늘날 인류는 생태 위기의 심각성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실감하고 있다. 코로나19를 겪으며 지구촌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다시금 깨달았고, 생태 위기 극 복을 위한 행동이 실행에 옮겨져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하지만, 우 리의 라이프 스타일을 단기간에 바꾸지 못하고 있다. 생태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며 더 심각한 위기에 봉착하지 않으려면, 인류는 즉각적 이고 강도 높은 행동의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 생태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우리 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생태적 변화를 위해서는 생태 소양이 필요하고 그 생태 소양 중 중요한 요소가 바로 생태적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생태적 감수성은 자연을 추구하고, 자연으로부터 생명을 발견하고 느끼는 감성적 능력, 즉 인간이 자연 에 대해 가지는 관심과 호기심, 사랑을 가지고 바라보며 공감하는 정서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독교적 가치관은 생태적 감수성을 이해하는데 기초를 제공해 주고 있는데, 기독교는 하나님의 창조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자연을 하나님의 창조 세계 로 이해한다. 이는 생태계를 바라보는 데 있어 근원적인 경외감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창조된 세계는 인간의 소유가 아닌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창조된 세계가 하나님 께 속해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적 감수성 함양의 중요성을 인 식하고,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생태교육의 방법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생태교육에 있어 생태적 감수성의 중요성을 성찰하고 생태교육의 방법으로서의 체험 적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언어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생 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체험적 생태교육의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인 생태교육방법으로는 생태 현장으로의 필드트립 및 성찰보고서 작성하기, 특정 지역의 생태지도 만들기, 새싹 채소 키우기 및 관찰 일지 기록하기, 생태 동화 읽기와 연관 활동하기, 보드게임과 같은 생태 놀이를 활용한 생태교육의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생태 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삶의 방식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생태교육 을 지향하고자 한다. Today, humanity is more acutely aware of the severity of the ecological crisis than ever before. Experiencing COVID-19 has reminded us of how interconnected our world is and has led to the acceptance of the necessity for actions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However, we are struggling to change our lifestyles in a short period of time. Living in an age of ecological crisis, to avoid more severe crises, humanity must create immediate and intense changes in behavior. What is most needed while living through this era of ecological crisis? To foster ecological change, ecological literacy is necessary, and a key element of this literacy is ecological sensitivity. Ecological sensitivity can be defined as an emotional ability to seek nature, discover life from nature, and feel – it is the interest, curiosity, and love for nature that humans hold, and an empathetic attitude that encompasses these feelings. Furthermore, Christian values provide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ecological sensitivity. Christianity is based on the view of God's creation, understanding nature as part of God's created world. This understanding can offer a fundamental sense of awe when viewing ecosystems, and remind us that the created world, including humanity, belongs to God, not as a possession of huma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ecological sensitivity in overcoming the ecological crisis and suggests methods of ecological education for fostering ecological sensitivity. It reflects on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sensitivity in ecological education and argues for the necessity of experiential education as a method of ecological education. To achieve this, it proposes various experiential methods of ecological education that move beyond traditional language-focused education to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Specific methods of ecological education include field trips to ecological sites and writing reflective reports, creating ecological maps of specific areas, growing and observing sprout vegetables and keeping a journal, reading ecological fairy tales and engaging in related activities, and using ecological games like board games as a method of ecological education. Through these methods, the study aims to promote a change in lifestyle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 KCI등재

        생태적 감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윤호경 ( Yun Ho-gyeong ),김정우 ( Kim Jung-wo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0 No.79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미래 사회를 살아갈 세대가 가져야 할 핵심적인 역량을 길러준다. 생태적 감수성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의 중요한 축을 이루며, 문학교육은 생태적 감수성을 길러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교육이다. 감수성을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감성적 능력이라고 볼 때, 감수성은 타자성을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에 따라 구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이 연구에서는 생태적 감수성을 ‘동일시의 생태적 감수성’, ‘관찰을 통한 생태적 감수성’, ‘교감을 통한 생태적 감수성’으로 유형화하고, 중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를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다루어지는 생태적 감수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를 활용한 생태적 감수성 교육의 가능성을 다양한 수준으로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적 감수성 교육은 생태적 감수성에 기반한 감상 안내, 생태적 사유를 담은 표현 해석, 생태적 관점의 확장과 쟁점 제시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enables learners to have key competenc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Ecological sensitivity is an important pillar of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literature educ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 to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Given that sensitivity is an emotional ability to accept external stimuli, sensitivity can be embodied in efforts to accept them. According to this, ecological sensitivity can be presented in three types: ecological sensitivity through identification,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analyzed work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ecological sensitivity cover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 sensitivity education us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analysis, ecological sensitivity education was conducted by guiding appreciation of works, interpreting literary expressions, and expanding perspectives and presenting issues.

      • 한국 현대 생태시 교육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과목을 중심으로

        안세희 ( Sehui Ah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본 연구는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한 생태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과, 특히 <문학> 과목에서 생태시가 교육되어야 하는 필요성은 생태학적 인식이 시의 특성과 만날 때 나타나는 기존의 사회적, 과학적 언어로 설명된 생태학적 인식과는 다른 효과에 있다. 문학이, 시가 독자에게 주는 자문(自問)을 사회적, 과학적 언어의 사실적, 정보적 언술과 다른 특기할 만한 효과라 할 수 있다. 생태시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로 ‘생태적 감수성’을 논의의 중심에 두었다. 생태적 감수성은 생태 문제에 예민하고 기민하게 반응하는 감수성이다. 특히나 이러한 생태적 감수성의 함양은 현재 <문학> 교과가 추구하는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과 맞닿아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생태시, 크게는 생태문학 교육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점은 교육과정 속에 생태시가 자리할 수 있는 성취기준, 학습목표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15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의 생태시 교육 양상을 분석하여 생태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 수준에서 ‘동일시의 생태적 감수성’ 유형의 작품의 수록이 편중되어 있다는 점, 학습 활동이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활동으로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김기택의 작품, 「바퀴벌레는 진화 중」을 활용하여 생태시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였다. 크게 ‘작품 이해 단계’와 ‘목표 활동 단계’로 나누었다. ‘작품 이해 단계’에는 작품의 내용 이해를 위한 중요한 시어와 제목,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질문이 구성되어 있다. ‘목표 활동 단계’는 생태적 감수성의 세 가지 유형, 동일시, 관찰, 교감에 따라 ‘편지 쓰기’와 ‘같은 작가 다른 작품 읽기’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eco-poetry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o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The need for eco-poetry to be educated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especially in the subject of < Literature >, lies in a different effect from the ecological perception described in the existing social and scientific language when ecological perception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Literature and poetry's questions to readers are remarkable effects different from factual and informational statements in social and scientific languages. Ecological sensitivity was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s the educational value of eco-poetry. Ecological sensitivity is the sensitivity to sensitive and agile responses to ecological problems. In particular, the cultivation of this ecological sensitivity is in line with the ‘community-to-person relationship competency’ currently pursued by the subject of < Literature >. The biggest problem facing eco-poetry and largely ecolog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is that there are no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goals for eco-poetry in the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eco-poetry was prepared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patterns of the < Literature > subject of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among the four areas of the < Literature > curriculum, the ‘Attitude to Literature’ area seemed the most appropriate for educating eco-poetry. At the textbook level, it was found that the collection of works of the “ecological sensitivity of the identification” type was concentrated, and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did not move toward activities that could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is study devis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eco-poetry using Kim Ki-taek's work, “Cockroach is Evolving”. It was largely divided into ‘work understanding stage’ and ‘target learning stage’. In the ‘work understanding stage’, questions are organized around the attitude of the poet, title, and speaker, which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work. The ‘goal learning stage’ consisted of ‘writing letter’ and ‘reading other works of the same artist’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ecological sensitivity, identification,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생태적 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해양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민선,신동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생태적 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해양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을개발하는 것이다.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해양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은 19명의 연구집단을 대상으로 11회에 걸쳐 4주간 수업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생태적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적 감수성을 향상시킨다는 통계적 결과를 얻었으며, 심층 면접을 통해서도 생태적감수성 하위 영역인 생물에 대한 공감, 자연에 대한 흥미, 자연 향유, 자연에 대한 경이감 등 모든 영역에서의 향상을 발견하였다. 인공지능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해양 생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자연에 더욱 가까이 접근할 수 있었고, 이러한 학생 참여 활동이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생들의 생태적 감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순 설명식 수업보다 체험 중심의 교육 방법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기술이 학생들의 수업 몰입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arin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taught 11 times within 4 weeks, and an ecological sensitiv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tests show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improved the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mprovements were found in all the areas, such as empathy for the living things, interest in nature, enjoyment of nature, and wonder about nature. Through the marine ecological classes, which us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the students were able to get closer to nature, and the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cological sensitivity. This indicates that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methods are more effective than simple explanatory classes to improve the students’ ecological sensi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roved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tudents’ immersion in the class.

      • KCI등재

        체험중심 생태환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김선일,신영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초등과학교육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perience-based ecology-environmental STEAM education on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The research subjects were 62 third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33 students and the comparative group of 29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the educational program with the experience-based ecology-environmental STEAM education. The comparative group was provided the theoretical and ecological self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text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based ecology-environmental STEAM education had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e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Second, we found that access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is important in all subjects, not in education that is biased toward. Third, in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methods are more meaningful than indirect experiences trapped in textbooks. Fourth, ecological environmen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as well as the intellectual aspect of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gram should be conducted with activities of experience.

      • KCI등재

        도서지역 주민의 젠더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연구

        유상미 ( Yu¸ Sang-mi ),김병록 ( Kim¸ Byung-rok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gender sensitivity of the residents of the island area, and to identify the ecological system variables that affect gender sensitivity. Among the 14 eups and myeons located in Sinan-gun, Jeollanam-do, residents of 4 eups and myeons (Abhae, Map, Heuksan, and Bigeum) with high geographical accessibility and contact frequency with external regions through the Yeonryuk and Year project. This is because it is judged that there will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 of gender sensitivity depending on the geographic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region. The gender sensitivity of island residents is measured by survey questions selected through review of previous studies. Gender sensitivity is classified into the factor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role stereotype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t analyzes the difference in gender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population'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background,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 according to gender, age, occupation, education, and number of years of residence. In particular, in the 'occupation' variable, the simple labor workers and the non-educated in the 'educational' variable have high recognition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gender role stereotypes. Next, we analyze the influence of ecological system variables on gender sensitivity.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f the ecological system.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life perception” of the macroscopic syste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gender sensitivity of the residents of the islands. In the case of islands, especially male-centered occupational awareness is strong, and males are often carrying out agricultural and fishery managers, business owners, and representatives of specific meeting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gender-separated occupational environment not only imprints a fixed image on men or women, but also that a gender-consistent image in a specific occupation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n individual's gender sensi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gender sensitivit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residents in islands. In particular, research on islands is a situation that hardly proceeds due to the limitation of accessibility, and it is significant that the extent of the research subject has been expanded. However, limitations such as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are also pointed out.

      • KCI등재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홍서영(Hong Su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생태 교육은 지식에 매몰된 교육이 아닌 학생들이 자연을 체험하고 그 과정에서 경이감이라는 마음의 울림을 느낄 때 진정으로 달성될 수 있다. 학교에서 실시되는 생태 교육은 이러한 경험을 학생들에게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지는 생태 교육은 학생들의 생태 소양 증진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학생 21명(남 10명, 여 11명)을 대상으로 학교 텃밭을 조성하여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생태 소양인 생태 지식, 생태 감수성, 생태중심적 태도·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텃밭 가꾸기 활동은 학생들의 생태 중심적 태도·실천 및 생태 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생태 감수성과 생태중심적 태도·실천 간에는 상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을 통해 보람과 즐거움, 생물에 대한 책임감, 환경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느꼈다고 이야기하였다. 이를 통해 텃밭 가꾸기 활동은 학생들의 다양한 생태 체험을 가능하게 했으며, 그 과정에서 생태 소양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Ecological education can be truly attained when students experience nature and feel reverence in the process, rather than being buried in knowledge. Ecological education at school can make this experience easier for students. Therefore, ecological education in the process of school education is essential for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of students.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gardening programs on ecological knowledge, ecologic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attitudes of students by constructing school gardens for ecological education for 21 students(10 boys and 11 girls) in 1 clas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garde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ecological attitude and ecological sensitivity. Second,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ecological sensitivity and ecological attitudes. Finally, the students said they felt rewarding and enjoyable, responsible for living things, caring for the environment, and loving through the gardening program. Through this, gardening activities enabled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ecological experiences, and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 KCI등재

        이문재 시에 나타난 생태의식

        이혜원(Lee, Hyewon) 문학과환경학회 2017 문학과 환경 Vol.16 No.3

        본고는 최근 생태문학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공감할 만한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이문재의 시를 통해 그 가능성을 살펴본 것이다. 기존 생태시와 변별되는 이문재 시 특유의 생태의식을 전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우리 생태시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본다. 이문재의 시에서는 ‘생태적 자아’로서 주체적인 ‘나’가 전면에 등장하여 외부의 욕망에 휘둘리지 않고 자기가 중심이 되어 본래의 몸을 회복하고 생명을 향상시키려 한다. 이처럼 생태적으로 각성된 자아는 생명 회복을 위한 능동적 실천의 기반으로서 생태혁명의 정서적, 문화적 가능성을 열어놓는다. 이문재 시에서는 현실의 자연을 대상으로 삼아, 생태적으로 시급한 문제를 안고 있는 도시의 자연을 비롯하여 전지구적으로 심각한 위기상태의 생태 현실을 직시한다. 지구 생태와 관련된 요나스 식의 ‘공포의 발견’을 통해 현실적 욕망을 넘어서는 생명에 대한 책임의 윤리를 역설한다. 그는 또한 생태문제와 관련하여 몸의 감각이 갖는 중요성에 주목한다. 다양하게 활성화된 몸의 감각을 통해 생태적 감수성을 확장하고 나아가 타자와 교감하며 관계의 회복에 이를 수 있다는 생태적 전망을 보여준다. 이문재는 생태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의 연장선상에서 생명 중심의 문명으로의 대전환을 기획하며 근원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도모하고 있다. 문제의식과 지속성과 현실성, 그리고 윤리적 가치에 있어 그의 생태의식은 한국 생태시의 중요한 성과에 해당한다. This paper focuses on poetry of Lee, Mun-Jae to find ecological possibilities associated with understanding of nature and man. Because his poems have deepened consistently in ecological consciousness, that includes new and fundamental ideas. In his poems, ‘I’ am at the center than nature. ‘I’ am an ecological ego who realizes the ecological problems as his own affairs so takes an active part in them. As a basis of active practice for recovery of life, ‘I’ am able to open the emotional and cultural possibility for the ecological revolution. Lee, Mun-Jae pays attention to not only the nature of the city in which has the urgent problems but also the global ecological reality in a state of serous crisis. He feels keenly responsibility for the life that is in the crises owing to the desire of Capitalism, through the ‘heuristics of fear’ about earth ecology. Lee, Mun-Jae attentions to the importance of the sense of the body in relation to the ecological problem. He shows the ecological prospect that we can expand the ecological sensitivity by a sense of active body, furthermore recover the relations with others by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