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Relations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Nanchao) and the Xiyu

        조윤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1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China had frequent correspondence and exchanges with western countries through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Disunity period from the Han Dynasty perio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Nanchao regime'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countries already reached a matured phase. However, the frequency and scale of exchanges show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China's own political changes. China sharply stood face to face in terms of political domination because of its two civil divisions into north and south regimes, especially during the Nanchao period. During the Nanchao period the direct approach to and negoti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was somewhat inconvenient. In the meantime, the Roman Empire's internal political vortex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etwork in East-West cultural exchanges. On the other hand, the Northern dynasties' bargaining with western countries proceeded with very active exchanges due to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history. However, the bargaining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 and western countries was neither disconnected nor unfulfilled. Rather, the passage of negotiations became more diversified. In particular, since new bargaining routes were secured, direct contact with the west was still in progress. These external backgrounds left considerable cultural factors on the societies of the Southern Dynasties. This therefore enables us to conclude the bargaining between both parties. Since the specific bargaining situation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 and western countries is observed in records from archaeological data and in some literature, it serves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aspect of East-West civilization exchanges at the time by reviewing archa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literature records and at the same time discussing the Southern Dynasties' bargaining process and form.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China had frequent correspondence and exchanges with western countries through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Disunity period from the Han Dynasty perio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Nanchao regime'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countries already reached a matured phase. However, the frequency and scale of exchanges show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China's own political changes. China sharply stood face to face in terms of political domination because of its two civil divisions into north and south regimes, especially during the Nanchao period. During the Nanchao period the direct approach to and negoti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was somewhat inconvenient. In the meantime, the Roman Empire's internal political vortex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etwork in East-West cultural exchanges. On the other hand, the Northern dynasties' bargaining with western countries proceeded with very active exchanges due to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history. However, the bargaining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 and western countries was neither disconnected nor unfulfilled. Rather, the passage of negotiations became more diversified. In particular, since new bargaining routes were secured, direct contact with the west was still in progress. These external backgrounds left considerable cultural factors on the societies of the Southern Dynasties. This therefore enables us to conclude the bargaining between both parties. Since the specific bargaining situation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 and western countries is observed in records from archaeological data and in some literature, it serves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aspect of East-West civilization exchanges at the time by reviewing archa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literature records and at the same time discussing the Southern Dynasties' bargaining process and form.

      • KCI등재

        동서양 문명 교류에서 본 ‘공감’

        김덕삼(Kim Dug Sam),최원혁(Choi Won Hyuk),이경자(Lee Kyung Ja)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7 중국과 중국학 Vol.- No.30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주목받았던 인간 이성에 대한 불만족에서 사람들은 ‘공감’에 주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부응하여 공감에 대하여 그 시원에서부터 의미를 추적하여 현대에서의 공감의 가치를 올바로 확립하는 데 기여하려 한다. 특히 공감의 시원을 동양과 서양의 교류사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공감의 출발과 근원을 추적하고, 동양과 서양에서 어떠한 형태로 해석하고 어떠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연구와 달리 공감을 동서양 문명교류의 과정, 동양에서의 발전 과정, 현대에서의 변화 과정을 통해, 공감의 의미가 공자의 사상에서 출발하여 서구를 거쳐 발전하고, 이것이 현대사회에 어떻게 중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동서양 교류에서 본 공감을 통해 동서양의 문명교류와 그 속에서 유럽에 영향을 주었던 정신문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서 공자의 사상을 추적할 수 있고, 이는 공감의 시원으로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3장에서는 동양에서의 공감을 중심으로 공자의 공감이론이 그의 서(恕)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기초로, 맹자와 소강절에 이르러 변화된 것을 알아보았고 동양에서의 공감의 온고지신(溫故知新)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마지막 4장에서는 현대적 시각에서 본 공감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의 공감의 의미와 공감의 현대적 기원 등을 알아보고, 공감이 동서를 막론한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연구됨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장점과 특징을 감안하여 공감의 의미를 확장하고, 서양의 상황에 편중되어 있는 공감의 가치와 의미를 동양의 상황에 맞춰 적극적으로 해석하고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동양의 발전과 서구의 동양에 대한 변화된 시각을 기초로 현대의 동양사회에서 공감의 가치를 올바로 확립하여 사용함으로서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를 명확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초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People are paying attention to ‘empathy’ in dissatisfaction with human reason, which has been noted in postmodernism. In this paper, in response to this, we will try to contribute to properly establish the value of empathy in the present age by pursuing meaning of empathy from the beginning. Especially, by grasping the origins of empathy in the Perspective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I try to trace the origins and origins of empathy and analyze and interpret what kind of forms are developed in East and West. Especially, unlike conventional research, by examining the process of East-West civilization exchange,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East,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odern world I tried to see how empathy departs from Confucius thought and is drawing attention as an important element in modern society. For this reason,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spiritual culture that influenced Europe and the civilization exchang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empathy as seen from the exchang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trace Confucius’s thought as an influence on Enlightenment thought, and it was necessary to look at it as a source of sympathy. In chapter 3, based on what Confucius’ s empathic theory is from his book(恕), focusing on the empathy in the East, we have noticed a change in Mencius and Sogang-jeol and emphasized Reviewing Method of Old and New(溫故知新).In the last chapter 4, through empathy from a modern perspective, we examine the meaning of empathy in contemporary society and the contemporary origins of empathy, etc, and and confirmed that empathy has been studied variously by scholars regardless of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future, based on the cultural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expanding the meaning of empathy, actively interpreting the value and meaning of sympathy from biased towards the West situation to the situation of the Orient and developing it are needed. In particular,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Orient and the changed perspective of the Orient in the West,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basis for a clear approach to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by properly establishing and using the values of empathy in the modern society, especially in the Asian society.

      • KCI등재

        통일전 동ㆍ서독간 경제교류에 관한 연구

        정진상 한독사회과학회 2006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6 No.1

        독일통일은 정치적으로 동구권의 붕괴와 냉전의 종결을 가져왔으며 경제적으로는 경제체제의 우월성에 대한 논쟁을 마무리 지었다. 분단에 따른 정치적 대립으로 인해 거의 중단된 상태에 있던 동서독의 경제 교류는 1949년 5월 전승국들이 Jessup-Malik협정을 체결하면서 다시 재개되었다. 이후 동서독은 수차례의 협상을 통해서 프랑크푸르트협정과 베를린 협정을 체결하면서 동서독 경제교류의 기본 틀을 마련하였다. 빌리 브란트 수상의 독일정책을 계기로 양독 관계는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동서독의 기본조약 체결 및 동시 유엔가입을 거치면서 내독간의 경제 교류는 더 이상 냉전의 도구가 아니라, 긴장 완화와 대립 관계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동서독의 경제 교류는 서독 정부의 동독에 대한 각종 혜택을 통해서 통일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물론 양독간의 교역 구조나 무역량이 만족할 만큼 성장한 것은 아니었으나 동서독간의 경제 교류는 서독에게는 긴장 완화와 동독과의 유대감을 깊게 할 수 있는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게 했고, 동독에게는 서독으로부터 기술 및 재원 등 경제적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해왔다. 정치적 시대 상황이나 여건이 독일이 통일을 이루는데 바람직하게 작용도 했었겠지만 결국은 독일 스스로 많은 희생을 감수하면서 경제교류와 지원을 통해 통일의 토대를 만든 것은 우리에게 좋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겠다. The unification of Germany has some meanings. Politically, the unification of Germany led to the collapse of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end of Cold War, and economically put to an end the dispute over the superiority of economic systems. The economic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were almost halted by the political confrontation due to the division of Germany, but reopened it by the Jessup-Malik agreement which was signed by Allied powers in May 1949. Since then, East and West Germany engaged in several negotiations and signed with the Frankfurtagreement and Berlin agreement which made a basic framework for mutual exchanges. Because of Prime Minister Billy Brant's policy, the relations of East and West Germany have been changed. The economic exchanges between two Germanys functioned as means for an easing of strained relations not for intensifying the Cold war. The mutual exchanges getting grow continuously until the unification through the various favors of West to East Germany. The growth of trade volume and trade structure were not satisfactory, however, the trade exchanges were complement. The mutual exchanges made it possible that West Germany could achieve the political goals to ease tension and to deepen connectedness with East Germany, and East Germany could get the technical and financial aids from West Germany. Even though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were working for the unification of Germany, however, the economical exchanges between two Germanys were decisive factors for the unification.

      • KCI등재후보

        동서독 정상회담 : 통독과정에서의 역할과 한국에의 시사점

        김강녕(Kim, Kang-nyeong)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사회 Vol.4 No.6

        East and West Germany held a total of seven official summits (and six unofficial summit meetings) from 1970 to 1990, 25 years after their division, until the reunification of Germany. East-West Germany achieved peaceful reunification in 1990 based on continued dialogue, exchanges and cooperation that combines cold reason with warm emotion. In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the East-West German summit still provide many lessons and suggestions regarding the inter-Korean summit, including: ①the promotion of continuous dialogue based on the long-term view of East-West Germany, ②the spirit of dialogue yielding to each other, ③the wisdom of putting aside unreal and sensitive issues and umbrellas, ④the attitude of solving them step by step without haste, ⑤the efforts of West Germany to embrace East Germany and strengthen its unification capabilities i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reunification process. We should take lessons from German reunification and pursue: ①continuous inter-Korean dialogue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②peace and unification diplomacy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strengthen trust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③strengthen Korea s capacity for peaceful unification. 동서독은 분단 25년만인 1970년부터 독일통일을 이룬 1990년까지 총 7차례의 공식 정상회담을 개최하였다. 6차례 비공식 정상접촉도 있었다. 동서독은 지난 1990년 차가운 이성과 따뜻한 감성이 융합된 지속적인 대화와 교류협력을 바탕으로 평화적인 통일을 이룩해냈다. 통일과정에서 동서독 정상회담이 보여준 ①장기적 안목에 기초한 지속적인 대화의 추진, ②서로 양보하는 대화의 정신, ③실현불가능하고 민감한 문제를 뒤로 미루고 실현 가능한 문제를 우산시하는 현명함, ④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풀어가는 자세, ⑤서독의 동독포용 및 통일역량의 강화노력 등은 통독 30주년이 된 지금에 있어서도 남북한정상회담과 관련해서 많은 교훈과 시사점을 주고 있다. 우리도 독일통일을 교훈삼아 ①지속적인 남북대화와 교류협력, ②한반도 통일이해관계국에 대한 평화통일외교의 전개 및 국제사회와의 신뢰구축 강화, ③한국의 평화통일 역량강화를 모색·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스페인과 중국의 문화교류 - 16∼17세기 중남미 교구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김선욱 ( Kim Seon-uk )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8 No.-

        16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스페인에게 동양은 모호한 존재였다.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마르코 폴로의 여행담을 바탕으로 신비롭고 풍요로운 동방의 세계를 상상했다. 그러나 15세기 말 포르투갈이 인도양 항로를 개척한 이후 많은 선교사들과 무역 상인들이 중국과 일본의 해안으로 진출하였고, 1565년 신대륙과 필리핀 간의 왕복 항로가 개척된 이후 스페인도 필리핀을 기지 삼아 중국 남부지역과 일본으로 진출하였다. ‘비단길’이 중국과 유럽을 잇는 대륙의 교역로라면, 스페인이 개척한 ‘은 길’은 ‘스페인―멕시코―필리핀―중국’을 잇는 대양의 교역로이다. 스페인은 이 ‘은 길’을 통해 16세기 중·후반부터 아시아와 직접적인 교류를 시작하였고, 그러면서 그동안 상상 속에서 알게 되던 중국이 구체적인 실체로 다가오게 되었으며, 그 결과로 동·서양의 본격적인 문화 및 학문 교류가 16세기부터 일어난다. 16∼17세기 동·서양의 문화 교류는 주로 중남미 누에바 에스파냐의 가톨릭 교구에서 중국으로 파견된 후안 코보, 마르틴 데 라다, 후안 곤살레스 데 멘도사, 페르난데스 데 나바레테 등과 스페인 출신의 선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16∼17세기 중남미 누에바 에스파냐의 가톨릭 교구에서 파견된 스페인 출신의 선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진 동·서 문화교류의 현상을 살펴보았다. Until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 East was a vague existence for Spain. Many people still imagined a mysterious and rich Eastern world based on Marco Polo’s travel stories. However, since the route between New Spain(Mexico) and the Philippines was pioneered in 1565, Spain has also made inroads into southern China, using the Philippines as its base. If the “Silk Road” is the trade route between China and Europe, then Spain’s pioneering “Silver Road” is the trade route of ‘Spain―Mexico―the Philippines―China’. And Spain began direct exchanges with China in the middle and late 16th century through this “Silver Road”, and as a result, China, which had been known in its imagination, came to be a concrete entity, and as a result, full-fledged cultura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took plac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his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was mainly conducted by Spanish missionaries of New Spain’s diocese, including Martin de Rada, Juan Gonzalez de Mendoza, Juan Cobo and Fernandez de Navarete. This study examine the phenomenon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s conducted by missionaries from Spain dispatched from the Latin American dioceses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 남북한 지방자치단체의 교류협력에 관한 탐색연구

        채경석(Chae Kyung Suk) 한국정치정보학회 2004 정치정보연구 Vol.7 No.2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는 중앙정부와는 달리 비정치적인 분야에서의 교류와 협력이 가능하고 또한 중앙정부가 할 수 없는 일을 보완적 차원에서 추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 지자체의 남북교류는 민족통합과 한반도의 평화체제구축, 그리고 남북관계의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현재 남북한 지자체사이에는 어떠한 유형의 교류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바람직한 남북교류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그리고 동서독의 지자체간(게마인데) 교류협력은 독일통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서독의 지자체간 교류경험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과 시사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지자체 가운데 남북교류에 가장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는 곳은 강원도와 경기도인데 특히 강원도는 지자체 중 유일하게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 차원의 대북 교류는 아직까지 초보적인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북한의 호응이 부족하고, 교류사업을 위한 예산과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 그리고 대북사업에 대한 정보취득과 구체적인 실행프로그램 등이 갖춰져 있지 않은데 주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일찍이 분단국이면서도 우리보다 앞서 통일대업을 이룩한 동ㆍ서독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중앙정부와는 별도로 동ㆍ서독 자치단체 간에 자매결연협약을 맺고 여러 분야의 교류협력을 추진하였다. 분단 상태에 있던 동ㆍ서독 지방 정부들의 자매결연과 교류협력은 훗날 독일의 통일에 크게 기여하였고 통일 이후에도 동ㆍ서독 주민 간에 이질성을 극복하고 민족통합을 이루는데 크게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는 지자체의 남북교류협력사업의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할 대북 협력사업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메조레벨에서 추진되었던 동서독간의 지역교류협력사업에 대한 사례분석도 시도하였다. 교류협력의 사업의 선정은 북한이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문화, 예술, 체육 분야의 사업 우선 선정, 다양한 교류지역의 선정, 지자체간 자매결연추진, 교섭당사자원칙의 정립, 교류협력기금의 안정적 확보,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지자체간 공동협력사업의 추진 등의 대안으로 탐색제시 하였다. Mutual exchange between local governm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ha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because, unlike the case of the respective central governments, there is greater scope for cooperation in nonpolitical areas. How can local government exchanges promote national integration,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and overall improvement of South-North rel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What is the current state of mutual exchange, and what are the possibilities for improving the direction of South-North exchanges? How did mutual exchange between local governments (geminde) in East and West Germany affect the eventual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experience for Korea? Among local governments in North and South Korea, the most active are Kangwon-do and Kyungki-do. Significantly, Kangwon-do has an official post for mutual exchange at the provincial office. But mutual exchange at the local level L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This is primarily because of reluctance on the part of North Korea and a scarcity of expertise and resources for exchange. North Korea also has neither sufficient information nor concrete programs. In contrast, local governments in East and West Germany establish sister relationships which promoted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ese exchanges proved important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eventual unification la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t a desirable direction and identify critical tasks for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of the two Korea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lso analyzes meso-leve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The study identifies several methods and fields that have potential for improving cooperation. including promoting a healthy North Korean self-confidence in cultural activities, arts, sports, diverse areas of exchange. promoting sisterly relationships, establishing a guaranteed exchange fund,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concerned party, and promoting local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 KCI등재후보

        동서독 지자체의 교류경험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고상두 (재) 인천연구원 2018 IDI 도시연구 Vol.- No.14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xchange cooperation at the local level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and its performance and limitations. From a historical viewpoint, East Germany took a positive view on the sisterhood relationship during the Cold War era, but changed it in the process of detente. The local exchange-cooperat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had fruitful outcomes as well as limitations. The sisterhood ties created a social basis favorable to unification by strengthening the national feeling of unity in the long term. After the fall of the Berlin Wall, the financial and human support of Western sister cities contributed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re in East Germany in a very short period. Nevertheless, the German case shows some limits in exchanges and cooperation. Above all, it was not a facile matter to conclude a sisterhood agreement with East German counterparts. Human contact was very limited. In terms of cost sharing, the hosts paid local expenses while the guests paid for their own travel expenses. This balanced and reciprocal cost sharing principle should likewise be adopted in the Korean peninsula. 이 글은 동서독의 지자체 교류협력의 실태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성과와 한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동서독의 도시 자매결연을 역사적으로 보면, 냉전시기에는 동독이 적극적이었으나, 데탕트 시기에는 서독이 적극적이었고, 그 결과 동서독의 자매결연은 대체로 동독이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독은 일정한 성과를 얻었고, 동시에 한계도 경험했다. 동서독 자매결연이 독일통일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것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민족의 동질성을 높임으로써 통일에 유리한 사회적 기반을 조성하였으며, 베를린 장벽의 붕괴 이후 통일을 불가역적으로 만드는 데에 기여하였다. 또한 동서독의 자매결연은 통일 직후 빠른시일 내에 동독의 행정을 재건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독일의 사례는 교류협력의 한계도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도 동독의 지자체와 자매결연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또한 주민 간의 진정한 인적 교류가 제한되었다. 동서독의 경우, 초청자 측은 현지비용을, 방문자측은 여비를 부담하였다. 우리의 경우에도 남북한 지자체 교류가 퍼주기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균형적 비용분담의 원칙에 합의하고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지방행정부의 남북한 교류 협력과 제도화

        채경석 한국동북아학회 2005 한국동북아논총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t a desirable direction and identify critical tasks for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of the two Koreas. Mutual exchange between local governmen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very important implications because, unlike the case of the respective central governments, there is greater scope for cooperation in nonpolitical areas. But mutual exchange at the local level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This is primarily because of reluctance on the part of North Korea and a scarcity of expertise and resources for exchange. North Korea also has neither sufficient information nor concrete programs. In contrast, local governments in East and West Germany establish sister relationships which promoted mutu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ese exchanges proved important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eventual unification lat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lso analyzes meso-level exchang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The study identifies several methods and fields that have potential for improving cooperation, including promoting a healthy North Korean self- confidence in cultural activities, arts, sports, diverse areas of exchange, promoting sisterly relationships, establishing a guaranteed exchange fund,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concerned party, and promoting local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지방정부간에 이루어지는 남북교류는 주로 경제교류, 문화교류, 농수산업 협력, 스포츠 교류 등 비정치적인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중앙정부 차원의 남북교류가 국내외 정치적인 요인에 의하여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과는 달리 지방정부간 교류협력은 남북관계가 긴장되고 경직되어도 지속적인 협력과 교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그동안 남북한의 지방정부간 교류는 강원도와 경기도가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추진해 왔다. 특히 강원도는 지방정부 가운데 유일하게 도청에 전담부서를 설치하고 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전라남도와 제주도도 타 시도에 비하여 비교적 활발한 교류협력을 실시하고 있는데 특히 제주도는 북한에 대한 감귤지원을 계기로 대규모 방북이 실현되는 등 활발한 교류협력을 실시하고 있다. 그렇지만 지방정부의 차원의 대북 교류협력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같은 부진의 원인은 북한의 호응이 부족, 교류협력사업을 위한 예산과 전문 인력의 부족, 대북사업에 대한 정보획득과 실행프로그램의 미비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정부의 남북교류는 민족통합과 한반도의 평화체제구축, 그리고 남북관계를 개선해 나가는데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까? 현재 남북한 지자체사이에는 어떠한 유형의 교류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바람직한 남북교류의 방향과 과제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바로 이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의 남북교류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의 대북교류협력사업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 제시하였다. 교류협력의 사업의 선정은 북한이 자신감을 가지고 있는 문화, 예술, 체육 분야의 사업 우선 선정, 다양한 교류지역의 선정, 지자체간 자매결연의 추진, 교섭당사자원칙의 정립, 교류협력기금의 안정적 확보,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한 지역협의체 구성 등을 대안으로 제시 하였다.

      • KCI등재후보

        Relations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 (Nanchao) and the Xiyu

        Cho, Yun Jae(조윤재)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1

        주지하다시피, 서역과 남조의 교섭에 앞서 그 이전시기인 漢代부터, 三國, 魏晉代를 걸쳐 중국은 서역과 잦은 왕래와 교류가 있어왔다. 그래서 남조정권의 서역에 대한 인식과 이해는 이미 성숙된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중국 자체의 정국변화에 따라 교류의 빈도와 규모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특히 남조 시기는 정치적 판도가 남북으로 갈라져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던 상황이라 남조의 경우 서역과의 직접적인 교섭이 다소 불편했던 시기였다. 한편 로마제국 내부의 정치적 소용돌이도 동서문화교류의 네트웍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 북조정권의 對西域 교섭은 지리적 환경과 역사성으로 인해 여전히 매우 활발한 교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남조정권과 서역의 교섭이 단절되거나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은 아니다. 교섭의 통로는 사실 더욱 다양해졌으며 특히 서남교통로와 남해 연안해로의 새로운 교섭루트가 확보됨으로써 서역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여전히 진행되었다. 이러한 대외적 배경은 남조사회에 적지 않은 서역의 문화적 요소들을 남기면서 양자의 교섭을 想定할 수 있게 되었다. 남조와 서역의 구체적 교섭상황은 고고자료 및 일부 문헌기록에서 관찰되고 있어 당시의 대외관계를 설명하는데 객관적 증거를 마련해주고 있다. 본문은 이러한 문헌기록과 관련 고고자료를 함께 검토해보고 또 남조의 對西域 교섭과정과 방식에 대한 고찰도 병행함으로써 당시 동서문물교류의 일면을 조명해보려 한다.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China had frequent correspondence and exchanges with western countries through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Disunity period from the Han Dynasty perio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Nanchao regime"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countries already reached a matured phase. However, the frequency and scale of exchanges show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China"s own political changes. China sharply stood face to face in terms of political domination because of its two civil divisions into north and south regimes, especially during the Nanchao period. During the Nanchao period the direct approach to and negoti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was somewhat inconvenient. In the meantime, the Roman Empire"s internal political vortex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etwork in East-West cultural exchanges. On the other hand, the Northern dynasties" bargaining with western countries proceeded with very active exchanges due to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history. However, the bargaining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 and western countries was neither disconnected nor unfulfilled. Rather, the passage of negotiations became more diversified. In particular, since new bargaining routes were secured, direct contact with the west was still in progress. These external backgrounds left considerable cultural factors on the societies of the Southern Dynasties. This therefore enables us to conclude the bargaining between both parties. Since the specific bargaining situation between the Southern Dynasties and western countries is observed in records from archaeological data and in some literature, it serves to provide objective evidence. This paper attempts to look into the aspect of East-West civilization exchanges at the time by reviewing archae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literature records and at the same time discussing the Southern Dynasties" bargaining process and form.

      • KCI등재후보

        동서독 도시 간 교류협력과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비교 연구

        김정수 ( Kim Jung Su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Vol.21 No.-

        2000년 이후 대한민국의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북한 지방을 대상으로 해서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하였다.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전국의 지자체에서 추진해서 성사된 남북 간 교류협력사업의 수는 약 100여 건이 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동서독 역시 분단 시기인 1986년부터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 직전까지 동서독 도시 98쌍이 상호 자매결연을 하고 교류협력를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진행되었던 동서독 도시 간 자매결연 및 교류협력과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례를 11개의 비교지표를 사용하여 다각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서독 도시 간 교류와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과는 유사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많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남북교류협력사업과 동서독 도시 간 교류의 차이점에 초점을 맞추어 시사점을 도출하여 사업의 성공적 추진방안을 제시하였다. Many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have promote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with North Korea since 2000. The number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successfully proceeded by local public entities in South Korea was estimated to be more than one hundred. The economic exchanges and cooperation projects were conducted in 98 twin citi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Germany from 1986 to 1989, before the fall of the Berlin Wall.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cases of the partnership between East-West sister cities in Germany 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of local governments in South Korea using 11 comparative indicators. As a result, it proved many differences, even though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the past German sister cities’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by local governments. The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of local governments and exchanges between twin cities in East-West Germany and suggested a successful implementation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