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분기말까지 누적소폭이익 기업의 연차보고이익 분포의 특성 -이익유연화를 중심으로-

        박종일,전규안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1

        Prior research examines whether firms manage earnings to meet or beat certain benchmarks (e.g., profitability, earnings increases, and analysts’ forecasts). Building on the results of Burgstahler and Dichev (1997) show that there is a large discontinuity, or kink, in the annual earnings distribution around zero. Degeorge et al. (1999) find similar evidence using quarterly earnings distributions. Also, prior research examines whether manage earnings the fourth quarter earnings to use the last chance to meet or beat certain benchmarks. Specifically, prior research examines whether firms that unmanaged earnings are small loss of the cumulative earnings distribution at the end of the first three quarters report small profits annual earnings to avoid negative earnings surprises by managing the fourth quarter earnings (Kerstein and Rai 2007 ; Park and Jeon 2010). Whereas, we investigates whether firms with small cumulative profits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quarter manage fourth quarter earnings to income smoothing. We argue that such firms are the most likely not to manage earnings upward or downward, still at the stay. One particular manifestation of earnings management is smoothing or managing reported earnings to achieve a certain earnings targets across accounting periods. Tucker and Zarowin (2006) report that the changes in the current stock prices of higher smoothing firms contain more information about these firms’ future earnings than do the changes in the current stock prices of lower smoothing firms. Taken collectively this study support the notion that income smoothing represents an efficient vehicle for managers to reveal private information. We then test whether firms shift abnormally within the fourth-quarter earnings distribution to achieve annual profits corresponding to the smallest profit level considered. Further, we extend the earnings distribution approach to identifying earnings management by examining changes to the earnings distribution, not just the earnings distribution itself, and also extends Kerstein and Rai (2007). Our logistic regression results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firms with the smallest cumulative profits (small profits level at the end of the third-quarter, unmanaged earnings are small profits more than prior year earnings at the end of the third-quarter, and unmanaged earnings are small beating profits more than analyst’s forecasts at the september) also report the smallest annual profits at an abnormally high rate in order to income smoothing. That is, for the benefit of the firms contains more private information about their future earnings. Overall, our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a control group (large cumulative profits or small cumulative losses at the first three quarter), a high proportion of firms with small cumulative profits at the beginning of the fourthquarter report small annual profits rather than large annual profits or small annual losses. Therefore,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 본 연구는 분기별 이익과 연차이익 자료를 이용하여 분기별 이익에서 소폭이익(small profit)을 실현한 기업들이 최종 연차보고이익에서 이익을 유연화 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과거의 관점과 달리 최근 연구들에서는 기업이 이익유연화(income smoothing)를 할수록 투자자들에게 미래 이익정보력을 향상시키며(Tucker and Zarowin 2006), 자본비용은 감소된다는 실증적 증거를 보고하였다(Li and Richie 2009). 또한 분기별 이익 자료를 이용한 선행연구들에서는 3분기말까지 소폭손실(small loss)을 기록할 경우 자본시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인 어닝 서프라이즈(negative earnings surprises)를 회피하기 위하여 경영자는 마지막 기회(last chance)인 4분기에서 이익을 상향조정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박종일과 전규안 2010 ; Kerstein and Rai 2007). 이러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3분기말까지 누적된 이익이 소폭이익을 이미 실현시킨 기업을 대상으로 이들 기업이 연차보고이익에서도 계속 소폭이익 상태를 유지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익유연화 현상을 검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 9년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법인 중에서 금융업을 제외한 이용가능한 표본을 대상으로 Kerstein and Rai(2007)의 방법을 원용하되, 이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분기까지의 누적순이익이 소폭이익 구간에 있는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최종 연차보고이익 역시 소폭이익 수준을 계속 유지하는 것이 관찰되어 이들 기업은 이익유연화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분기까지의 관리전 예상 연차이익이 전기순이익에 비해 약간 초과한 소폭이익증가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유의하게 연차보고이익에서도 소폭이익 수준을 계속 유지하는 이익유연화를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분기까지의 관리전 예상 연차이익이 9월말에 예측된 재무분석가의 연차 순이익보다 약간 초과된 소폭이익달성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보다 유의하게 연차보고이익도 소폭이익 수준을 계속 유지함으로써 이익유연화를 실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3분기까지의 누적순이익이 소폭이익에 있거나, 관리전 이익이 전기순이익보다 약간 증가된 소폭이익증가 기업이거나, 그리고 관리전 이익이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치를 약간 초과한 소폭이익달성 기업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비교해서 최종 연차보고이익을 각각 더 증가시키지 않거나(소폭이익 구간 이상의 기업과 비교해서), 더 감소시키지 않고(소폭손실 기업과 비교해서) 4분기 이익을 관리하여 소폭이익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 보고함으로써 자본시장의 투자자들에게 자사의 미래이익에 관한 전망을 전달하기 위해 이익유연화를 실현한다는 발견이다. 본 연구는 이익유연화와 관련한 국내외 실증적 연구가 미미한 상황에서 이와 관련된 문헌들에 대하여 추가적이고 차별화된 증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또한 이 분야의 선행연구인 Kerstein and Rai(2007)의 연구보다 확장된 경험적 증거를 제공한다는 점은 추가적인 공헌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이익분포의 비대칭성이 분석가의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

        강내철 ( Naechul Kang ),김길훈 ( Gilhoon Kim ) 한국회계학회 2015 회계학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분석가의 부주의나 고의가 없는 경우에도 이익분포가 비대칭이면 예측오차가 생길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분석가의 비용함수를 평균절대편차(Mean Absolute Error; MAE)를 최소화하는 것이라고 전제하면 분석가는 이익분포의 중간값을 예측치로 선택한다고 본다. 미래이익에 대한 최선의 기대치는 이익분포의 평균값인데 중간값을 예측치로 선택하면 의도하지 않은 예측오차가 생길 수 있다. 이 오차는 이익분포의 비대칭도에 비례하는 평균값과 중간값의 차이와 같다. 본 연구는 MAE를 최소화하기 위해 분석가가 이익분포의 중간값을 이익 예측치로 선택한다는 추론을 바탕으로 음(양)의 비대칭을 보이는 이익분포는 일정한 음(양)의 예측오차를 나타낼 것이란 예측을 규명한다. 이를 위해 최근 9년(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분기이익 예측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익분포의 비대칭도는 예측오차와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낼 것이란 예측을 실증적 증거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예측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기업규모, 분석가의 수, 적자여부, 이익예측의 불확실성, 최신 정보에 대한 분석가의 미온적 반응)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지되었다. 또한 이익분포의 비대칭도는 잠정실적 공시일의 주가반응과 음의 관계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이익분포의 비대칭도가 클수록 주가반응이 둔화된다는 것으로 이익공시일의 비기대실적(earnings surprise) 중 비대칭성에서 기인한 부분을 상쇄하기 위한 주가조정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시장참여자들이 비대칭 이익분포와 관련된 예측오차의 문제를 어느정도 알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MAE를 최소화하는 선택을 한다는 가정을 토대로 분석가 예측오차는 이익분포의 비대칭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Gu and Wu(2003)의 연구가 계기가 되었다. 다만 그들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문제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추가적인 기여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가의 예측오차와 비대칭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인 상황에서 확인하기 위해 4/4분기의 이익비대칭과 예측오차 간의 관계를 부각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4/4분기에는 이익의 비대칭도가 다른 분기보다 더 커지는 한편 이익의 비대칭도가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이 증폭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suggests that analysts`` optimal earnings forecasts can be biased without misbehavior nor selective behavior. If the analysts`` objective is to provide the forecast minimizing the mean absolute forecast error (MAE), the optimal forecast is the median rather than the mean earnings. The earnings distributions of firms are mostly skewed for a variety of reasons. Thus, if analysts forecast the median earnings to achieve minimum MAE, their forecasts are biased by the mean-median differences of the earnings distributions. In this paper, we are assured that there ar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 between earnings skewness and analyst forecast bias. These findings are robust after controlling for various other factor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size, analyst following, losses or gains, uncertainty in earnings forecasts, selection bias, analysts under-reaction, and analysts`` incentives to generate trading commissions. We also find some evidence that the stock market response to earnings announcement is positively related with analysts`` forecast error and negatively related with earnings skewness. This means that stock market understands part of the skewness-induced bias and is able to adjust accordingly. The findings in this paper complement the existing explanations of analyst forecast bias. In addition, this explanation makes several contributions to the literature. First, while most existing theories are explicitly motivated by explaining only analyst forecast optimism, the explanation in this paper applies to both forecast optimism and pessimism. The selection bias explanation supports only forecast optimism. The selection bias explanation argues that analysts may censor their forecasts when the prospects of the firm are unfavorable, leading to optimism in the observed forecasts. This implies that those unobservable forecasts which analysts choose to drop or not cover may be pessimistic. The explanation in this paper suggests that systematic pessimism could exist in the observed forecasts for firms that analysts do cover. In particular, absent other factors, positively skewed earnings would lead to forecast pessimism. It can also be noted that analysts`` under-reaction to good news could result in forecast pessimism, though most studies focus on under-reaction related optimism in the face of bad news. Second, in addition to explaining the cross-sectional variations in forecast bias, earnings skewness has implications for explaining other observed patterns in analyst forecast bias. For example, Basu et al.(2005) document that analyst forecasts are more optimistically biased for the fourth quarter earnings than for other quarterly earnings. One possible explanation is that earnings are more negatively skewed in the fourth quarter than in other quarters. There does seem to be some support for these explanations. We found that skewness measures are more negative for the fourth quarter earnings than for other quarterly earnings and have become less negative over the more recent years in our sample period. Third, it can be true that the market appears to understand part of the skewness induced forecast bias. The literature so far has generally suggested that the market is rather fixated on analysts`` biased forecasts, with findings of predictable patterns in abnormal returns similar to those in analyst forecast errors.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implications of an efficient market. Since skewness-induced bias is based on analysts`` rational behavior, We expect the investors to understand such behavior and make appropriate adjustments. Further study of market efficiency would benefit from differentiating the sources of analyst forecast biases. This article is replication of Gu and Wu(2003)``s research inasmuch as we als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analysts`` forecast bias and skewness of earnings distribution based on assumption that analysts choose the forecasts of minimum MAE. We tried to differentiate this article from theirs and contribute by appending additional discuss on ferecast bias of 4/4 quarter.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analysts`` forecast bias and skewness in earnings distribution focussing in 4/4 quarter for analyzing the relation in more specific situation. Thus we can find that the skewness of earnings distribution in 4/4 quarter is larger than that of other quarter and that an impact of the skewness of earnings distribution on analysts`` forecast bias is amplified in 4/4 quarter.

      • KCI등재

        비상장기업의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를 위한 이익조정 활동

        박종일,백혜원 韓國公認會計士會 201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urgstahler and Dichev(1997, 이하 B&D)의 연구에서 제시된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 구간의 기업들이 목표이익기준 달성을 위하여 재량적 발생액과 실제 이익조정 중 주로 어떤 수단을 이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인 최종서와 곽영민(2010)에서는 비상장 중소기업이 적자회피와 이익감소회피 구간에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재량적 발생액 또는 실제 이익조정과 각각 양(+)의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이 연구는 모형설정상에 역의 관계를 통해 분석되고 있어 두 변수 간의 관계만을 살펴보았다. 이와 달리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수단인 재량적 발생액과 실제 이익조정 중 어떤 수단을 보다 선호하여 목표이익기준인 적자회피 또는 이익감소회피를 달성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은 B&D와 같이 횡단면적 불연속성 이익분포(이익수준 및 이익변동) 특성을 이용하여 구간을 설정하였고, 재량적 발생액은 Kothari et al.(2005)의 방법을, 실제 이익조정은 Roychowdhury(2006)의 모형식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3년부터 2008년까지이고, 금융업을 제외한 이용가능 했던 최종표본 40,362개 기업/연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구간의 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비교할 때 재량적 발생액 보다는 주로 실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목표이익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자회피 기업들은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 이익조정인 비정상 영업현금흐름, 비정상 생산원가 및 비정상 재량적 지출 모두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이익감소회피 구간의 기업들도 역시 그렇지 않은 기업들과 비교할 때 재량적 발생액 보다는 주로 실제 이익조정을 이용하여 목표이익을 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익감소회피 기업들은 목표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제 이익조정 중 비정상 생산원가나 비정상 재량적 지출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두 분석결과는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구간을 좁게 혹은 넓게 설정한 경우에서도 대체로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이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 보다는 미래 기업의 경영성과에 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실제 이익조정 수단을 주로 이용하여 적자회피나 이익감소회피를 위한 목표이익을 달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기존 선행연구의 주장과 달리 본 연구결과는 비상장기업에서 목표이익기준을 달성하는데 있어 두 이익조정 수단이 모두 이용되고 있기 보다는 실제 이익조정 수단이 더 선호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발견은 이익조정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익조정에 관심 있는 학계 외에도 실무계, 회계기준 제정기관 및 규제기관에게 비상장기업들이 목표이익에 근접된 이익을 보고하기 위하여 어떤 수단의 이익조정을 주로 활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이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한 시사점을 더불어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private firms in Korea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Managers have incentives to manipulate accruals as well as real activities during the year to meet certain earnings targets. Unlike accrual management,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affects cash flows and in some cases, accruals. Specially,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can reduce firm value because actions taken in the current period to increase earnings can have a negative effect on cash flows in future periods (Roychowdhury 2006; Cohen and Zarowin 2010 etc). Burgstahler and Dichev (1997) classify firms that show small positive earnings (small earnings increases) on the basis whether they avoid losses (earnings decreases) by a narrow margin because such small beaters are suspected of managerial intervention by accrual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After Burgstahler and Dichev (1997), most studies observe firms that meet or slightly beat zero earnings threshold to indirectly examine whether managers manage their earnings through accrual-based or real earnings management. However, much of the current research on earnings management focuses on “detecting” abnormal accruals or abnormal real activities. Choi and Kwak (2010) report that suspected non-listed firms that slightly achieve earnings benchmarks tend to manage earnings using discretionary accruals as well as real activities devices, such as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s,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discretionary expenditures. They provide some limited evidence on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of non-listed firms.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non-listed firms with small positive earnings or small positive earnings increases always use both accrual-based and real manage earnings to achieve earnings benchmark. Therefore, our study examines whether managers’ behavior to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or real earnings management affect the probability to include the small positive earnings and small earnings increases interval. Following Burgstahler and Dichev (1997), we find unusually high frequencies of small positive earnings (small earnings increases) in cross-sectional distribution of earnings level (earnings changes) and define as suspected firms whose managers might manage their earning. Burgstahler and Dichev (1997) document that firms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mostly to avoid losses or earnings decreases, thus increasing the incidence of producing the small positive earnings and the small earnings increases. In order to measur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e estimate discretionary accruals by using the performance matched model by Kothari et al. (2005). Similar to Roychowdhury (2006), we estimate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s,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s to measure real earnings management. Our observations are based on 40,362 firm-year data, selected from non-listed firms in Korea, for six years (2003 to 2008).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we find that the suspected firms whose managers might manage their earnings to avoid losses prefer to use real earnings management rather than to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Our results are same even after we control a certain variable that might affect earnings management. We also report the suspected firms that manage earnings to avoid losses use real earnings managements such as abnormal cash flow from operations,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discretionary expenditures. Second, we find that the suspected firms whose managers might manage their earnings to avoid earnings decreases prefer to use real earnings management, usually abnormal production costs, and abnormal discretionary expenditures, rather than to us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e find the consistent results after we redefine the suspected interval by a narrow or wide section. Finally,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non-listed firms in Korea tend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by using usually real earnings management rather than using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even though the real earnings management might cause a negative effect on their business performance in future periods. Thus, our results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such as Choi and Kwak (2010), showing that non-listed firms use both real earnings management and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Our paper contributes to a literature on earnings management for non-listed firms, the majority of which concentrate mainly on real earnings management to meet earnings goals (e.g. to avoid a loss or to avoid an earnings decrease). Our findings that managers for non-listed firms in Korea prefer to use real earnings management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imply that managers focus on their short-term achievement rather than on activities to increase firm value in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our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s to not only investors and creditors but also regulators who are interested in managers’ behavior in non-listed firms.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area can also apply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for the related studies.

      • KCI등재

        주주분배 과세를 위한 세무상 자본분류의 입법화 방안 연구

        심해린,최기호,유지선 한국세무학회 2024 세무학 연구 Vol.41 No.1

        주식을 발행한 회사는 주주들에게 출자의 대가로 유상감자, 배당, 자기주식 취득 등의 형태로 재산을 이전할 수 있다. 이를 주주분배라고 한다. 재산을 분배받은 주주들 입장에서 주주분배는 배당소득 혹은 자본환급으로 구분되는데 어떻게 구분되는지에 따라서 과세효과가 상당히 달라진다. 원칙상 주주들이 과거에 출자한 납입자본을 재원으로 하는 분배는 자본환급으로 과세해야 하고 이익잉여금을 재원으로 하는 분배는 배당소득으로 과세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원칙에 따르기 위해서 발행회사는 총자본을 세무상 납입자본과 이익잉여금으로 분류해야 한다. 그러나 현행 우리나라 법인세법에는 세무상 자본분류에 대한 직접적인 규정이 없고 주주분배에 대한 발행회사의 결산상 처리를 대체로 수용하고 있다. 이는 발행회사가 주주들에게 유리하게 과세되도록 주주분배 유형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법인세법에 세무상 자본분류 규정을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업들의 주주분배 실태를 파악하였고 미국, 일본, 독일 등의 입법례를 살펴보았다. 실제로 우리나라 기업들은 자본준비금 감액배당, 유상감자, 자기주식 취득 등과 같이 배당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주주들에게 재산을 분배하고 있으며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 국가에서는 주주분배의 합리적 과세를 위해 법인세법에서 자본분류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발행회사의 세무상 자본을 납입자본과 이익잉여금을 구분하는 법인세법 규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발행회사의 주주분배에 대한 회계처리를 일단 수용하지만 임의로 납입자본에서 이익잉여금 혹은 이익잉여금에서 납입자본으로 전입하는 처리를 부인하는 규정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납입자본에서의 회계-세무 차이를 관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신고서 양식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A firm that issues stocks can transfer its assets to shareholders in the form of capital reduction, dividends, and acquisition of treasury stocks in return for their contribution. This is called shareholder distrib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hareholders who have received property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is classified as either dividend income or capital refund. The tax effect of the distribution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on such classification. In principle, distributions from capital contributed by shareholders in the past should be taxed as capital refunds, while distributions derived from retained earnings should be taxed as dividend income. In order to follow this principle, the issuing firm must classify its total capital into either contributed capital or retained earnings for tax purposes. However, there is no explicit provision on capital classification for tax purposes in the current Korean corporate tax law. For this reason, the issuing firm’s accounting treatments of shareholder distribution are generally accepted in practice, which allows the issuing firm to discretionally determine the type of shareholder distribution in a way that is more tax-favorable to its sharehol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roduction to the corporate tax codes for capital classification in Korea.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shareholder distribution of Korean firms and relevant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Based on the research, this study finds that In fact, Korean firms distribute assets to shareholders in various ways other than dividends. The present study also finds that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Germany, have already incorporated tax codes for capital classification in their corporate tax laws to ensure reasonable taxation of shareholder distributions. To provide specific recommendations, this study proposes corporate tax law codes that classify the total capital of an issuing firm into paid-in capital and retained earnings for tax purpose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regulation that initially accepts the accounting treatment of the issuing company’s distribution to shareholders but denies the arbitrary transfer of paid-in capital to retained earnings or vice versa. Lastly, introducing a new tax reporting form that manages accounting-tax differences in paid-in capital is also recommended.

      • KCI등재

        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 이익조정과 타인자본비용: 비상장기업의 실증적 증거

        박종일 ( Jong Il Park ),김명인 ( Myung In Kim ) 한국회계학회 2013 회계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urgstahler and Dichev(1997, 이하 B&D)의 연구에서 제시된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적자회피 및 이익감소회피)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의 타인자본비용(부채조달비용)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즉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에 대한 채권투자자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적자회피와 이익감소회피 기업 간의 타인 자본비용에 미치는 효과 면에서 상대적 중요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타인자본비용의 대용변수로 부채차입이자율과 차입이자율 스프레드를 이용하였고(Jiang 2008),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은 B&D(1997)의 이익분포의 횡단면적 불연속성의 특성을 통해 파악되는 적자회피와 이익감소회피의 구간을 설정한 후 분석했다. 분석기간은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이고 최종표본은 분석에 이용가능 했던 40,362개 기업/연 자료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타인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이익 조정이 의심되는 적자회피 또는 이익감소회피기업은 각각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타인 자본비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OLS 외에도 횡단면-시계열적 종속성 문제가 조정된 Newey and West(1987)와 군집성을 통제한 Clustering 검증결과 모두 강건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Fixed effect를 고려한 분석에서는 극단치가 조정된 소수의 순위등급변수로 측정한 경우 적자회피기업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분석결과에서 고정효과까지 통제하면 채권투자자들은 적자회피기업만을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으로 간주하여 이들 비상 장기업은 채권시장에서 부채조달시 패널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추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적자회피기업과 타인자본비용 간의 양(+)의 관계는 이익감소회피기업의 경우와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채권투자자들은 이익조정이 의심되는 기업으로 이익감소회피보다 적자회피기업에 대해 더 가중치를 두고 대출이자율 결정에 반영한다는 결과였다. 이는 채권시장에서 이익감소회피보다 적자회피기업의 정보위험을 더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목표이익을 달성할 유인이 있는 기업들에 대해 타인자본비용 관점에서 어떤 체계적인 관련성이 있는지를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발견은 이익조정 관련연구에 추가적 공헌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익조정에 관심 있는 실무계 및 규제기관에게도 비상장기업들에서 부채차입을 할 때 목표이익에 근접된 이익을 보고하는 경영자의 보고전략이 채권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of nonlisted firms affects the level of firms` cost of debt. More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the creditors price when the borrowers report the small positive earnings or the small earnings increases as identified in Burgstahler and Dichev (B&D, 1997). B&D document that firms manage their reported earnings to avoid the earnings decreases or the losses, thus increasing the incidence of producing the small earnings increases and the small positive ear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earnings management perspective of B&D targeting the non-listed firms in the debt market in Korea. We explore whether the creditors penalize the non-listed firms reporting the small earnings increases and the small earnings, thus increasing the costs of debt. In addition, we compare the two groups: the firms having small positive earnings and the firms having small earnings increases, and test whether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on the levels of cost of debt between the two different earnings management area. Following the prior studies (e.g., Jiang 2008, etc.), we employ the average interest rates and the average spread of interest rates as proxies for the cost of debt. As B&D show the cross-sectional discontinuity of earnings distribution around zero, we identify the regions with small earnings increases and small positive earnings. This study uses the total 40,362 firm-year observations for the period from 2004 to 2009. Our empirical results present the evidence that when the firms reporting small positive earnings and small earnings increases show significantly higher cost of debt respectively, than firms not falling into the region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correlated variables. It suggests that creditors perceive that firms report the small positive earnings in order to avoid losses and the small earnings increases to avoid earnings decreases. In other words, when firms report the B&D`s earnings regions the creditors regard it as a result of managers` opportunistic behavior, and thus penalize by increasing the costs of debt. This OLS results are qualitatively similar to the results under the Newey and West (1984)`s test controlling for the heteroskedasticity and auto-correlation problems as well as the clustering methodology to control for time-series dependency. Despite the robustness, however, when fixed effects are considered, the results of non-listed firms with small earnings increase show not significant but those of firms with small positive earnings are still significant. Furthermore, we find that the firms reporting small positive earnings to avoid losses show significantly higher cost of debt effect than the firms reporting small earnings increases to avoid earnings decreases. It implies that creditor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 firms reporting losses than the firms reporting negative earnings changes, and thus more severely penalize the firms reporting the small positive earnings to avoid losses than the firms reporting small earnings increases to avoid earnings decrease. In other words, creditors value more highly information risk of firms reporting small positive earnings than firms reporting small earnings increase. In sum, we conclude that the earnings management regions identified in the crosssectional discontinuity of earnings distribution around zero presented by B&D have negative impact on the non-listed firms` costs of debt compared to the firms not falling into the regions. Creditors believe that earnings in the two regions are manipulated due to the managers` opportunism rather than earnings are highly realizable in the future. Thus, creditors impose a penalty rather than give a reward in terms of the costs of borrowings. In this regard, our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the firms opportunistically manage earnings in order to report positive earnings and earnings changes and thus anticipate any other substantial benefits from the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y rather suffer from the increases in the cost of debts. On the other hand, the debt market perceives the firms reporting small positive earnings or earnings changes as those which manipulate earnings to avoid losses and earnings decreas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tant literature in several ways. First, it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identified by B&D (1997) of the non-listed firms,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earnings management regions of B&D on the level of cost of debt. There exist not many prior studies regarding the non-listed private firms in Korea despi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non-listed firms in the capital market in Korea. Second, this study tests the efficiency hypothesis in the debt market as a joint hypothesis. It is notable that the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of non-listed firms documented in this study is likely to adversely affect the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in the capital market. Thus, our findings provide a crucial insight to various stakeholders of non-listed firms in Korea, such as managers, banks, financial analysts, auditors, government etc., in the sense that the earnings management behaviors of non-listed firms identified by B&D are priced in the private debt market.

      • KCI등재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한 횡단면적 분포도상의 적자회피 이익조정에 대한 재조명

        이은철 ( Eun Chul Lee ),손성규 ( Sung Kyu Sohn ) 한국회계학회 2007 會計學硏究 Vol.32 No.2

        Burgstahler와 Dichev(1997)의 연구 이후 횡단면적 분포도를 이용한 이익조정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 결과들을 응용하여 특정 임계치를 약간 초과한 구간은 이익조정 가능성이 크고, 약간 미달한 구간은 이익조정 가능성이 작다는 가정을 이용한 연구방법론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비연속적인 분포가 이익조정의 증거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재량적이익(nondiscretionary income)을 이익조정전 이익이라고 가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횡단면적 분포도를 응용한 연구방법론의 타당성을 재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재량적이익(이익조정전 이익)을 기준으로 0을 약간 미달한 적자 표본들이 0을 약간 초과하기 위해 이익조정을 하는 경향이 큰지에 대한 분석이다. 둘째,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0을 약간 초과한 흑자 표본들이 이익조정의 결과라 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 비재량적이익을 기준으로 0에 인접한 적자 표본들의 재량적 발생액이 이와 인접한 다른 구간과 차이가 있다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또한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0에 인접한 흑자 표본들의 재량적 발생액이 이와 인접한 다른 구간과 차이가 있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횡단면적 분포도 상에서 0을 기준으로 한 불연속적인 분포가 이익조정의 결과가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미국기업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적 분포도의 형태와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한 횡단면적 분포도의 형태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적자보고를 회피하기 위한 이익조정 구간이 상이함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않고 0을 약간 초과한 구간과 0에 약간 미달한 구간간의 이익조정 정도를 비교하는 것은 연구결과를 왜곡시킬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횡단면적 분포도를 이용하여 이익조정 가능성을 구분하는 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Subsequent to Burgstahler and Dichev`s (1997) study, research on earnings manipulation using a cross-sectional histogram has drawn attention. This type of methodology has been used extensively since it is based on a simple assumption that without earning manipulation there shouldn`t be any discontinuity in a cross-sectional histogram. Above all, this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discretionary accruals. Recently, there has been a new trend of research using the fact that the area in excess of a specific threshold has a high chance for earnings manipulation, while the area in short of a specific threshold has a low chance. However, the question has been raised whether the discontinuity in a histogram is evidence of earnings management or not. Also, a cross-sectional histogram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security market.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 area close to 0 is an outcome of earnings management. For example, Burgstahler and Dichev`s (1997) study shows that discretionary earnings show an actual frequency which is lower than the expected frequency in an area in short of 0, and that the reverse is true in an area in excess of 0 using U.S. data. However, research by Song et al. (2004) using domestic data reports an earnings manipulation to avoid loss. In this context, an analysis without taking into account cross-section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may be misleading in the interpretation of empirical results in short/ excess of 0.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on whether a discontinuity around 0 is evidence for earnings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two research questions on the validity of research methodology of a cross sectional analysis of a histogram are examined using nondiscretionary income. First, using nondiscretionary accrual, we investigate whether the sample reporting a loss close to the 0 area has a tendency to manipulate earnings. Second, using reported earnings, we investigate whether the sample reporting profit close to the 0 area is the outcome of earnings manipulation. For this analysis, we form portfolios using nondiscretionary accruals and net income, and compare the group suspected of earnings manipulation and the group in the vicinity. The test covers a period between 1996 and 2005 and was conducted for 3,870 December 31 fiscal year-end firms. Non-discretionary income is computed by subtracting discretionary accruals from net income. Discretionary accruals are calculated using adjusted Jones model for 10 years time-series data. Empirical results show the following: First, empirical evidence using nondiscretionary income for a sample reporting loss close to 0 is not found to show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other groups. Also, empirical evidence using the sign of the discretionary accruals for a sample reporting loss close to 0 is not found to show a higher proportion of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Second, empirical evidence using net income for a sample reporting profit close to 0 is not found to show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other groups. The same is true for the sign of discretionary accruals. Additionally, the model using Penman and Zhang (2002) provides a similar outcome. That is, samples close to 0 are not found to have a higher chance for earnings manipulation. Empirical evidence implies that discontinuity in a histogram around 0 is not the outcome of earnings management. 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cross-sectional histogram is different between the U.S. and Korea, the phenomenon of earnings manipulation vari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Also, it implies that discretion should be exercised in testing earnings manipulation using a cross-sectional histogram.

      • KCI등재

        재량적 판매관리비를 이용한 이익조정

        김지령(Jiryung Kim),권선국(Sunkook Kwon) 한국산업경영학회 2008 경영연구 Vol.23 No.4

        Recent studies find that the level of artificial earnings management, such as discretionary accruals, has declined, while earnings management through real activities manipulation has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firms are likely to shift from using artificial to real earnings management methods which are harder to detect. There are discontinuities around thresholds in earnings distributions. The histograms of scaled earnings, earnings changes, and analysts' forecast errors exhibit discontinuities around zero with a disproportionately low frequency in the partition immediately to the left of zero and a disproportionately high frequency in the partition immediately to the right of zero. We assume earnings management contributes substantially to the discontinuity in frequency of firm-years around zero, then compare firm-years in the interval to the immediate right of zero, the suspect firm-years, with the rest of the sample. We find evidence suggesting reduction/delay of discretionary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expenses, such as research and development, advertising and maintenance expenses, to achieve each of three thresholds: avoiding losses, sustaining recent performance, and meeting annual analyst forecasts. This result is likely to be engaged with the firms that expect to fall short of earnings targets in the environment of emphasizing on the improvement of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ightening accounting standards and audits. 최근에는 재량적 발생액과 같은 가공의 수단을 이용한 이익조정보다는 적발하기 어려운 영역의 실물활동을 통한 이익조정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익조정에 의한 이익의 비연속적인 분포를 가정하고, 이익목표를 겨우 달성한 의심스러운 구간의 집단과 나머지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재무제표의 투명성을 강조하고 회계기준 및 감사가 엄격해지는 상황에서 이익목표, 즉 손실회피, 이익감소 회피 및 재무분석가의 예측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기준점에 미달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은 재량적 판매관리비의 지출을 감소 또는 지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MCEM을 이용한 정규혼합분포 추정

        이승찬,이재준,전수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1

        정규혼합분포는 정규분포의 혼합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위험관리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극단값분포에 대한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KOSPI 200 수익률의 정규혼합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MCEM(Monte Carlo EM) 알고리즘을 적용하고자 한다. MCEM은 각 분포의 성분을 결측치로 보고, 결측치를 메트로폴리스-헤스팅스 알고리즘을 통해 생성하고 EM 알고리즘을 통해 각 분포의 모수를 결정한다. MCEM 알고리즘의 효율성은 여러 성분을 이용한 모의실험과 실증 자료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증 자료 표본은 2008년 외환위기 1년 후인 2009년 10월 15일부터 2017년 1월 7일 동안의 일별 수익률 자료이다. MCEM을 통해 분포의 추정을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분포는 2개의 성분을 갖고 있는 정규혼합분포로 나타났다. 실 자료 중 1000개의 표본을 1일씩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1017개 표본기간들의 정규혼합분포를 추정하였고, VaR의 추정을 실시한 결과 하나의 정규분포보다 정규혼합분포를 통해 VaR를 더 잘 추정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료의 특성에 따른 정규혼합분포를 통하여 VaR를 구하는 것이 다중최빈값을 갖는 경우에서 더 활용성이 높으며 충분히 리스크 측정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The normal mixture distribution is a mixture of normal distributions and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extreme value distributions which are widely used in risk management. This study proposes a Monte Carlo EM (MCEM) algorithm to estimate the normal mixed distribution of KOSPI 200 returns. MCEM considers the components of each distribution as missing values, generating through a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and determines the parameters of each distribution through EM. The effectiveness of MCEM was demonstrated by simulation and empirical data. The empirical data of this study are daily return data from October 15, 2009 to January 7, 2017, one year after the 2008 financial crisis. The result through MCEM indicates that the data follow a normal mixed distribution with two components. We estimated a normal mixed distribution of 1017 sample periods using 1000 samples of real data which are continuously moved by one day. In addition, the result of VaR estimation indicates that a normal mixed distribution is better than one normal distribution. Therefore, obtaining VaR through the normal mixed distribution is more usable in the case of multiple modes and can be used sufficiently as a risk measurement tool.

      • KCI등재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의 계산과 공시의 개선

        신현걸 한국상업교육학회 2022 상업교육연구 Vol.36 No.5

        본 연구는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할 때 선행연구에서 지적하지 않았던 자본조정 항목의 공 제 여부를 논의하고,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과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상 배당가능이익의 계산 과정을 비교하여 양자의 차이가 주로 어느 항목으로부터 비롯되는지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장기업의 재무 제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태 분석을 통해서 실무에서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이 다양하게 계산될 수 있으며,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과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상 배당가능이익의 주요 차이가 어느 항목 으로부터 비롯된 것인지 확인하였다. 실태 분석 결과, 배당가능이익 계산과 관련된 상법 규정이 불명확하여 다양한 배당가능이익이 계 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과 이잉여금처분계산서상 배당가능이익 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이용하여 기업의 배당 능력을 평가하려는 외부정보이 용자의 의사결정이 잘못될 수도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할 때 자본조정 항목의 공제를 포함하고, 공제하는 미실현이 익은 세후 금액임을 명확하게 규정하도록 상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공시하는 대신 상법상 배당가능이익(계산 근거 포함)과 배당예정액을 재무제표 주석으로 공시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실무에서 기업들이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할 때 혼란을 줄일 수 있고 기업의 배당 능력을 평가하려는 외부정보이용자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capital adjustment items that have not been pointed out in previous studies are deducted when calculating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compares the calculation process of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that under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is study confirm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he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that under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based on the analysis using the financial statements of listed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find out that various distributable income can be calculated since the provisions of the Commercial act related the calculation of the distributable income are unclear. In addition, decision making of external users who try to evaluate the companies’ dividend ability by using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could be misled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stributable income under the Commercial Act and that under the 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ommercial act to include the deduction of capital adjustment items and to clearly stipulate the after tax amount of unrealized profit to be deducted when calculation distributable income. Also it proposed to disclose the distributable income (including the basis for calculation) and the expected dividend under the Commercial Act in the notes of the financial statements.

      • KCI등재

        K-IFRS도입에 따른 자본시장 효과

        문현주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51

        In this study, the securities listing companies that have obligatorily adopted Korean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K-IFRS) in 2011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effect of K-IFRS on the capital market and the distribution of earnings. The practical effects on the capital market were measured, using ratio of foreign investment, capital expenditure and stock price volatility which is an indicator of capital market stability influencing investment decisions. Furthermore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structure in businesses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K-IFRS is associated with distribution of earnings for the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 Thus this study has examined dividend yield ratio and dividend payout ratio that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and capital expenditures have not improved in the introduction year of K-IFRS compared to previous years. It is likely that investment decision making on the basis of the financial report in accordance with K-IF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tock market.Second, as a result of the separation of businesses in groups – businesses that have “foreign major shareholders” with effective voting right and those without such foreign shareholders, the businesses that had “foreign major shareholders”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in the introduction year of K-IFRS compared to previous years whereas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in the businesses where foreign investors had the share-holding ratio below 5%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in the introduction year of K-IFRS compared to previous years, indicating the introduction of K-IFRS has a practical effect in the businesses with low foreign shareholding ratio. Last, as a result of the separation of businesses in groups – businesses with an increase of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businesses groups with no change in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and businesses with a reduction in the ratio of foreign investment, only the businesses with increased foreign investment showed the improvement in business performance, and also showed an increase in distribution of earnings due to an increase in shareholding ratio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ing foreign investors. 본 연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의무적으로 도입한 2011년도의 유가증권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자본시장의 실제효과와 기업의 실적배분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측정변수로 자본시장의 실제효과는 외국인 투자비율, 자본비용 그리고 투자결정에 영향을 주는 자본시장의 안정도를 보여주는 지표인 주가변동성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K-IFRS채택에 따른 기업의 재무구조의 개선은 자본시장의 투자자들의 실적배분과 연관된다. 이에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배당수익률과 배당성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외국인의 투자비율, 자본비용 등이 K-IFRS의 도입전 보다 도입연도에 개선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즉 변경된 회계기준인 K-IFRS으로 인해 작성된 재무보고를 보고 투자를 결정시 실질직적으로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둘째, 기업의 경영의사결정권에 유의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의결권을 가지는 “외국인 대주주”가 있는 기업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구분한 결과 외국인 대주주집단인 기업의 경우 K-IFRS도입전과 도입연도가 그리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은 반면 외국인 지분율이 5%이내의 기업의 경우를 보면 K-IFRS의 도입전에 비해 도입연도가 외국인 투자비율이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즉, K-IFRS의 도입으로 인해 외국인 지분비율이 낮은 기업집단의 경우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표본을 K-IFRS의 도입전과 도입연도를 기준으로 외국인 투자비율이 증가/불변/감소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외국인 투자가 증가한 집단만 기업의 경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외국 투자자들의 증가에 따른 지분상승으로 인해 이익배분도 증가함을 보여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