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약관 설명의무의 재조명

        권영준 사법발전재단 2020 사법 Vol.1 No.53

        Most of the current contracts are concluded in the form of the terms and conditions. By virtue of the「Act on Regulating Standard Form Contract」(hereinafter “the Act”) in which a duty to explain the terms and conditions is imposed on the business entity that unilaterally provides such terms and conditions, all transactions based on the terms and conditions, in principle, require the fulfillment of such duty. This duty assists consumers in making informed decisions by duly providing relevant information, thereby overcoming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and drawing up a standard form contract closer to an ideal contract situation. Therefore, a duty of explanation is significantly meaningful both in practice and theory.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many jurisdictions including Germany, USA, UK, and Japan do not impose such duty to explain. China recently promulgated a new Civil Code with a provision concerning the duty to explain the terms and conditions. However, this duty occurs only when a consumer requests explanation, unlike under the Act in Korea, which makes the duty of explanation under Korean law a peculiar case. One may argue, based on the above comparative law observation, that the duty to explain should be abolished and be delegated to individual laws as necessary, and other duties such as duty of reasonable notice or duty of transparency under the Act should be utilized more actively. However, given its function providing information on important content of the terms and conditions as well as its widespread acceptance in the trade, it may be farfetched to say that the provision on the duty to explain needs to be abolished. Rather, proper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 should be a priority. Meanwhile, the imminent and grave task on the legal discourse regarding duty to explain is to clarify the subject of the duty and the way of fulfilling the duty. An “important content” of the terms and conditions subject to the duty of explanation, in this regard, needs to be evaluated in terms of predictability and fairness, and predictability needs to be measured on the basis of an average consumer, not a specific consumer. The meaning of “explanation,” a method of performing the duty to explain, needs to be reinterpreted more flexibly and practically with the surge of untact economy where non facetoface transactions become even more prevalent. In such transactional setting, duty to explain may converge with other informational duties such as duty of reasonable notice or duty of transparency as observed in other jurisdictions. Given the need to transform the meaning of “explanation” in untact transactional setting, such convergence should be understood and accepted as a natural consequence. 오늘날 계약의 대부분은 약관의 형태로 체결된다. 그리고 원칙적으로 모든 약관거래 현장에서 설명의무가 이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명의무는 고객이 자율적이고 주도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약관을 더욱 계약답게 만드는 도구로 활용된다. 그러므로 설명의무는 실무적으로나 이론적으로 매우 중요한 논제이다. 그런데 독일,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국가들에서는 우리나라와 같이 약관거래 전반에 적용되는 설명의무 조항을 두고 있지 않다. 2021. 1. 1.부터 시행될 중국 민법에 설명의무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나, 우리나라와 달리 고객의 요청이 있을 때에만 설명의무를 이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우리나라의 설명의무 조항은 비교법적으로 이례적인 조항이다. 이와 관련하여 투명성의무나 명시의무와 같은 다른 유형의 정보제공의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내용통제를 강화하면서 설명의무 조항은 폐지하고, 설명의무의 부과가 필요한 개별 영역에 있어서는 개별법의 설명의무 조항을 적용하는 입법론적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무는 약관의 중요한 내용에 대한 선별적 정보제공기능을 수행하여 왔고, 현재 우리의 법제에 확고하게 자리잡고 거래현실에도 반영되고 있으므로 이제 와서 굳이 약관규제법의 설명의무 조항을 폐지할 필요는 없다. 더 중요한 것은 설명의무 조항의 온당한 해석론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다. 설명의무의 해석론과 관련해서는 무엇을 설명할 것인가의 문제(설명의무의 대상)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의 문제(설명의무의 이행방식)에 대한 불명확성을 제거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중대한 해결과제이다. 설명의무의 대상인 ‘중요한 내용’은 그 본래의 어의(語義)와는 달리 예측가능성과 공정성이라는 두 가지 기준에 의해 이해하고 판단해야 한다. 그중 예측가능성은 특정 고객이 아닌 평균적 고객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설명의무의 이행방식인 ‘설명’의 의미는 비대면거래 영역 확장을 고려하여 유연하고 합목적적으로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설명의무와 투명성의무, 명시의무의 중첩 내지 결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설명의무를 별도로 부과하지 않는 비교법적 동향이나 비대면거래의 특수성에 따른 기능적·실질적 해석론의 필요성에 비추어 보면 이는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현상이다.

      • KCI등재

        한중일 및 독일 보험법 상 고지의무

        최병규 한국기업법학회 2017 企業法硏究 Vol.31 No.4

        A Study on duty of disclosure in insurance law of Korea, China, Japan and Germany Byeong-Gyu Choi Insurance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modern welfare society. In insurance contract, the duty of disclosure is located in heavy position. The most disputes arising from insurance belong to dispute about duty of disclosur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making efforts to get better insurance contract law. In regard of duty of disclosure, the main countries have adopted so called passive answer system or pressing duty for a notice. In asian countries, Japan and China have regulated the passive answer system. The insurer is stronger than the insured in the aspect of knowledge and financial power. Therefore the insured should be protected even in the process of making insurance contracts. The insured does not know correctly what is important thing to notice. Therefore the insurer should ask what he want to know in regard of the concerned contract. The insured has done what he has to do in regard of duty of disclosure, when he answer correctly what the insurer asked. This is passive answer system. In Japan, the insurance contract law is separated from commercial law(2008). By this reform, Japan has adopted the passive answer system. China has also separated insurance law. But in chinese insurance law, the supervisory regulations are also regulated in insurance law simultaneously. This is not correct in the aspect of legal system concern. Any way, the chinese insurance law has also the passive answer contents. Germany has reformed the insurance contract law(VVG) in the year of 2007 severely. By this reform, Germany has also adopted the passive answer system. The insurer should furthermore let the insured know the violation effects of duty of disclosure according to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We should also adopt the passive answer system in commercial law. And in the long term, we should also have separated insurance contract law. That is the global trend of world insurance contract law. Through the modern insurance contract law contents, the insurance institution should play its own role in the modern welfare and safety society. 보험제도는 국민들에게 안심을 제공하고 복지기능 등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세계 각국은 합리적이고 현대적인 보험법을 갖기 위하여 다각도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유럽연합에서는 보험법의 통일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하고 있다. 그런데 아시아의 경우 법제가 유럽연합처럼 법률들이 통일화되어 있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중일 3국은 서로 법률교류를 많이 하면서 각종 학술대회를 공동으로 개최하거나 한중일 법률 학회를 증가해가는 추세이다. 그리고 보험계약법은 어느 정도 세계적인 공통된 틀이 존재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점에 한중일 3국의 보험계약법제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리고 독일에서는 보험계약법을 2007년 선진적 내용으로 개정을 하여 같이 참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험계약법을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이론을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고지의무를 들 수 있다. 이에 이글에서는 아시아 주요 3국에 해당하는 한중일 보험계약법의 내용 가운데 고지의무 부분에 대하여 비교, 검토를 시도한다. 다만 최근 보험계약법 가운데 각 국가에서 벤치마킹을 하는 독일 보험계약법도 같이 비교대상으로 삼아 고찰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다. 보험계약법제는 국제거래의 위험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글로벌 정합성이 중요하다. 또한 재보험에 가입할 경우에 있어서도 국제적인 틀을 충족하는 경우가 중요한 의미가 있다. 고지의무와 관련하여 일본과 중국은 수동적 답변의무화 내지는 고지촉구의무로서 파악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은 아직 이를 법에서 명시적으로 입법화하지 않고 있다. 다만 대법원이 판결에서 일종의 고지촉구의무를 인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법률에서 명시적으로 이를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2014년 상법 보험편이 중폭으로 개정이 되어 법무부의 법개정 추진이 언제 다시 이루어질지 현재로서는 예측하기가 어렵다. 2014년 개정 시에는 당사자 간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부분은 제외하였었다. 그런데 고지의무의 수동적 답변의무화는 국제적인 추세이기도 하고 글로벌 정합성에도 관련되는 문제이다. 그리하여 앞으로 추가적인 법 개정 논의를 할 때 반드시 이 안건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법개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외국의 운용사례를 참조하여 우리의 고지의무 법리를 정치하게 운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 KCI등재

        고지의무위반과 설명의무위반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 서울고등법원 2018. 5. 29. 선고 2017나2035357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최병규 (사)한국보험법학회 2019 보험법연구 Vol.13 No.1

        Today, the private insurance system is taking an even more important role in the welfare of the people than in the state-run social security. This is because, even in case of unexpected accidents, it can be recovered through insurance guarantee and it is possible to escape economic difficulties. However, the core of the insurance system is the highland duty. It is very important for policy holders and insured to properly fulfill their obligation obligations. This is because you may or may not be able to get insurance benefits depending on whether you are there.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violation of obligation and explanatory duty.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said that the terms repeating the provisions of the law are not subject to the obligation to explain the terms. However, the contents of the obligation are stipulated in Articles 651 and 655 of the Commercial Act. It is a question whether the repeating terms are subject to the obligation to explain the terms. It is the study to distinguish whether the content of the obligation is repeated as it is, and whether there is any special content to specify its contents. In the case of the Supreme Court, the relevant provisions stipulated that "when the insured uses the motorcycle on a regular basis, the special conditions are added and the insurance is taken." The problem was that the insured person was on a motorcycle and the insurance planner knew about it. At the time of insurance, the policyholder did not check that the motorcycle is not covered by insurance. The Seoul High Court considere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policyholder to know that what they are subject to notice is individually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each insurance contract. And accordingly the insurance payment should be paid. The disclosure obligation and the effect of the breach are laid down in Articles 651 and 655 of the Commercial Act. The Supreme Court sees that simply repeating the statute is not subject to explan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subject matter of the obligation to see whether it is the object of explanation in detail. As a comparative law, it is stipulated that the effect of the breach of obligation in the revision of the insurance contract law in 2007 is to be annulled or canceled due to violation of obligation. Therefore, the Seoul High Court's judgment is reasonable. In the future, the details of the obligation should be endowed with predictability by typing the contents to be explained. This can be done directly through the case. In the process, it should proceed with the study of foreign precedents. 오늘날 민영보험제도는 국가가 운용하는 사회보장에서 더 나아가 국민들의 복지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불의의 사고를 당한 경우에도 보험보장을 통하여 재기할 수 있고 경제적인 어려움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보험제도에서 핵심을 이루는 이론이 바로 고지의무이다. 고지의무를 제대로 이행하는 것이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를 위하여 대단히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 여부에 따라서 보험급부를 받을 수도 있고 못 받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고지의무위반과 설명의무와의 관계가 문제된다. 우리 대법원은 법률의 규정을 반복하고 있는 약관은 약관설명의무의 대상이 아니라고 하고 있다. 그런데 고지의무에 대한 내용은 상법 제651조와 제655조에 규정이 되어 있다. 이를 반복하는 약관이 과연 약관설명의무의 대상이 되는지가 문제된다. 고지의무의 내용을 그대로 반복하고 있는지, 그 내용을 구체화하는 특별내용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차별화하는 것이 연구의 대상이 된다. 고등법원의 사건에서 해당 약관에는 '피보험자가 오토바이를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특별약관을 부가하고 보험인수가 이뤄진다'는 내용이 규정되어 있었다. 그리고 피보험자가 오토바이를 타고 있었고 보험설계사도 그 사실을 알고 있었을 경우 고지의무와 관련하여 어느 정도로 설명을 해주어야 하는 점이 문제로 되었다. 보험가입시 보험계약자는 오토바이의 경우 보험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항목을 체크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서울고등법원은 구체적으로 어떤 사항이 고지의무 대상이 되는지는 각 보험계약의 내용과 관계에서 개별적으로 정해지는 것이어서 보험계약자가 이를 당연히 알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그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고지의무와 그 위반의 효과는 상법 제651조와 제655조에 규정되어 있다. 대법원은 단순히 법규를 반복하는 약관은 설명의무의 대상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그런데 고지의무의 내용을 이루는 사항을 구체적으로 살펴 설명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차등화 하여 보아야 한다. 비교법적으로도 독일이 2007년 보험계약법 개정시 고지의무위반의 효과를 별도로 알려주어야 고지의무위반으로 인한 해지나 해제가 가능함을 규정을 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고등법원의 판단은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고지의무의 세부 내용별로 설명의 대상이 되는 내용을 유형화하여 예측가능성을 부여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는 판례의 직접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외국의 판례에 대하여도 연구를 같이 진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사람의 주의의무에 대한 고찰 : - 미국 법원의 운동경기에 참여한 사람의 주의의무 판단을 중심으로 -

        고세일 忠南大學校 法學硏究所 2021 法學硏究 Vol.32 No.2

        When participating in athletic games, there have been risks in which participants may be injured by activities of other participants. If normal injuries have occurred, the player may consider that he or she should bear his or her injuries. However, if severe injures have come in the course of sports activities, the circumstances would be different. The sports player would not willingly take his or her injures, if the harms have been beyond its ordinary expectation. Several media have reporte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sentenced on January 31, 2019, 2017 Da203596, and the Korean public have paid attention to the Court’s ruling. The first trial and the Supreme Court concluded that the defendant was not responsible for the goalkeeper’s injurie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ial court ruled in favor of some of the injured soccer player. In this article,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duty of care of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sports games. This article was made up of all five. In II., this author has summarized the facts and court’s judgments and their legal grounds. In III., this author has sought to find “safety care duty,” in structure of obligations and to categorize the Korean Supreme Courts’ cases concerning the safety care duty. In IV., this author has studied US courts cases which have occurred in sports and recreation games for a comparative legal viewpoint of duty of care. In V., this author has summarized and attempt to provide directions for which we may need to look for. 운동경기에 참여할 때 크고 작은 부상의 위험이 있다. 작은 부상인 경우에는 놀다가 다친 것으로 여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참가자가 스스로 그 부담을 져야 한다는 인식이 있다. 그런데 운동경기에 참여하여, 예상하지 못한 큰 부상을 입을 때 상황이 달라진다. 참가자가 그런 큰 부상을 일으킨 상대방 참가자에게 손해배상책임을 묻고자 한다. 여러 언론이 대상 판결인 대법원 2019. 1. 31. 선고 2017다203596 판결을 보도했고, 일반인도 이 사안에 큰 관심을 가졌다. 1심과 대법원은 피고에게 책임이 없다는 점에서 결론을 같이 했다. 반면에 2심인 고등법원은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이 글에서는 대상 판결을 중심으로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사람의 주의의무를 살펴본다. 이 글은 모두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II.에서는 대상판결의 사실관계와 법원의 판단 내용을 살핀다. III.에서는 대상 판결이 운동경기에 참가하는 사람의 주의의무의 주된 논거로 삼는 ‘안전배려의무’의 뜻과 안전배려의무에 대한 여러 유형의 대법원 판례를 검토한다. IV.에서는 운동경기에 참여한 사람의 주의의무를 검토하기 위해서 운동경기에서 발생한 사안이 많은 미국 판례 내용을 고찰한다. V.에는 지금까지 내용을 정리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전동킥보드의 자동차해당여부에 대한 고찰

        최병규(Choi, Byeong-Gyu)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6 No.1

        보험제도 가운데 상해보험제도는 국민들의 각종 사고나 재해로부터 경제적 수요를 충족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다른 한편 사회가 발전됨에 따라 이동수단이 다양화하고 있다. 특히 퍼스널 모빌리티 기술 등의 급격한 발전과 정부의 규제완환 정책으로 킥보드의 공원이용허용으로 인하여 퍼스널 모빌리티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의 이용증가로 인하여 그만큼 사고위험도 커지고 있다. 특히 전동킥보드의 경우 자동차 관리법이나 도로교통법상 자동차 또는 원동기장치자전거로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국제적으로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은 급성장을 하고 있다. 그런데 퍼스널 모빌리티는 상당히 위험한 교통도구이다. 따라서 실제로 사고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그 손해를 보험으로 처리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퍼스널 모빌리티 운행자가 가해가자 될 수도 있지만 피해자도 될 수 있다. 상해보험의 경우 자동차 운전 중의 사고를 보상하는데 과연 전동킥보드를 자동차로 볼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이 글의 검토대상인 사안의 경우에는 해당 전통킥보드가 자동차에 해당하고 따라서 동 사고는 자동차운행중의 사고에는 해당한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이륜자동차운전은 계약전 알릴의무, 계약후 통지의무의 대상이 된다. 다만 그 전제로서 고지의무의 이행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륜차운전여부에 대하여 명시적으로 질문하면서 전동킥보드도 포함된다는 점을 명시하면서 질문하는 것이 실무상 바람직하다. 또한 계약전 알릴의무, 계약후 통지 의무에 대하여 설명을 하여 주어야 한다는 점이 전제로 된다. 보험계약자가 이미 이륜차 운전의 의미 및 그 중요성에 대하여 잘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설명을 따로 하지 않아도 고지의무 위반, 통지의무 위반의 제재를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논문의 사안에서는 이 점에 관하여는 자세히 언급이 되어 있지 않아 사실관계를 판단하여 고지의무 위반, 통지 의무 위반 및 중요사항 설명의무를 평가하여야 한다. 다만 하급심인 서울고등법원 판결에서 피보험자가 이륜자동차 또는 원동기장치자전거를 계속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즉시 회사에 알려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보험금지급이 제한될 수 있다는 기재가 있었고, 피보험자는 고지의무 및 위반 효과 등 보험가입자의 권리와 의무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설명을 받고 이해하였다는 취지로 확인 항목에 표기를 한 경우에는 보험자가 설명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한 것은 보험업계의 실무 운용상 타당하다고 본다. 앞으로 고지의무, 통지의무, 설명의무 이행과 관련하여 보험업계에서 전동킥보드의 존재 및 그 특성을 반영하여 분쟁발생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필요하다. Among the insurance systems, the accident insuranc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eting the economic demand from various accidents and disasters of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as the society develops,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re diversified. In particular, the rapid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ity technologies and the government s regulatory reimbursement policies have enabled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due to the Kickboard s use of parks. However, due to the increased use of these, the risk of accidents is increas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n electric kickboard, whether it can be seen as a car or a motor bike in the automobile management law or the Road Traffic Act is a problem. The personal mobility market is growing rapidly not only internationally but also domestic. However, personal mobility is a very dangerous transportation tool. Therefore, there are many accidents. In this case, it is a question whether the damage can be covered by insurance. The personal mobility operator may be the victim, but it may be the victim. In case of accident insurance, it is a matter of whether the electric kickboard can be seen as an automobile in order to compensate the accident while driving.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corresponds to an accident while driving a car. However, motorcycle driving is subject to obligation to inform before contract and after notice of contract. However, as the premise, it should give the opportunity of the duty of disclosure obligation. Therefore, it is practically desirable to ask questions explicitly asking whether or not to operate a two-wheeler while specifying that it also includes an electric kickboard. It is also presupposed that the obligation to inform before the contract and the obligation to notify after the contract must be given. If the policyholder is already aware of the significance and significance of driving a motorcycle, it is possible to impose a breach of the obligation of noticing obligation or breaching the obligation of notification without explanation. In the case of this paper, it is not mentioned in detail about this point, so it should judge factual relationship and evaluate the duty of breach of disclosure obligation, breach of notification duty and duty of explanation of important matters. However, the Seoul High Court ruled that if the insured should continue to use bicycles or motorcycle bicycles, the company should inform the company promptly. Otherwise, the insurance payment may be restricted even if an accident occurs. It is the insurer s view that the insurer should be deemed to have fulfilled the obligation of disclosure if the insured states that the insured has explained and understood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insured, I think it is appropriate for practical oper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disputes in the insurance industry by reflecting the electric kickboard in relation to the disclosure obligation, notification obligation, and explanation obligation.

      • KCI등재

        이륜차운전과 통지의무위반여부

        최병규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29 No.3

        오늘날 민영보험은 국가가 운용하는 사회보험을 보완하여 국민들의 복지와 안심보장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 가운데 중요한 보험종목이 상해보험이다. 그리고 상해사고와 관련하여서도 특히 오토바이운전과 관련한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일반 자동차보다도 더 위험한 것이 이륜자동차운전이다. 위험이 높기에 보통 보험가입시 이륜차운전여부를 묻고 있다. 그리고 보험가입후 이륜자동차를 운전하게 되면 보험자에게 통지하여야 하는 내용도 약관에 규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통지의무를 규정하고 있는 약관을 설명하여 주어야 하는지, 통지의무를 게을리 하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와 관련하여 분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륜차운전을 하게 되면 통지하여야 한다는 내용은 중요한 사항으로서 보험자가 설명을 해 주어야 한다. 상법 제652조에서 위험증가 통지의무를 규정하고 있어도 대법원은 이륜자운전 통지의무에 대하여 별도로 설명을 해 주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런데 보험계약자인 어머니가 피보험자인 아들이 아르바이트 하는 가게 사장에게 취업 동의를 하면서 오토바이 운전에 반대하면서 주방보조 업무만 시키라고 당부한 경우에는 보험계약자인 어머니가 오토바이운전의 중요성을 알 고 있었다고 보아 그를 통지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사고가 나면 보험자는 통지의무위반을 들어 계약해기, 보험금지급거절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보험계약자인 부모가 이륜차운전시 통지하여야 한다는 점을 알았고 자녀가 이륜차운전을 함에도 통지하지 않으면 통지의무위반으로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나 비록 보험계약자인 부모가 피보험자인 자녀의 이륜차운전시 통지를 하여야 한다는 점은 알았지만 자녀와 떨어져 살아서 이륜차운전 사실 자체를 모른 경우에는 피보험자인 자녀의 나이, 보험가입 인지여부, 이륜차통지의무 인지여부 등을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통지의무 위반을 문제 삼을 수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일단 보험계약자의 중과실로 알지 못하였다면 통지의무위반이 되고 그렇지 않다면 통지의무위반이 되지 아니할 것이다. 그러나 피보험자가 성년이 되면 피보험자도 통지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고 본다. 그런데 이 사건에서는 피보험자는 사망당시 만 17세이었다. 결국 이 사건의 해결은 보험계약자인 아버지가 아들의 오토바이 운전사실을 알았느냐에 달려 있다. 알았으면 통지의무위반으로 계약해지하고 보험금지급을 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으로도 위험증가통지의무의 세부적인 내용을 판례를 통하여 구체화하여야 한다. 그 과정에서 외국의 사례도 참조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위험증가 통지의무 관련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Today, private insurance plays a role of assisting the welfare and security of the people by supplementing social insurance operated by the state.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insurance is accident insurance. In addition, there are many accidents related to motorcycle driving,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accident. Driving a two-wheeler is even more dangerous than a regular car. Because of the high risk, you usually ask whether you are driving a motorcycle when you insure. If you drive a two-wheeled vehicle after insuring it, then it is also the case that the insurer must notify the insurer of the fact that the conditions are stipulated. In such cases, there is a lot of dispute about whether the terms that stipulate the notification obligation should be explained, and what effect it should have if the obligation to notify is neglected. When you drive a motorcycle, it is important to inform you that the insurer should explain the matter. Although Article 652 of the Commercial Code stipulates the obligation to notify the increase in risk, the Supreme Court has to explain separately the obligation to notify the two - wheeler 's driving. However, if the mother, who is an insurance contractor, asks the president of the shop where the son who is insured to work, agrees to work, and asks him to do the kitchen assistant work while opposed to the motorcycle driving, the mother who is the insurance contractor knows the importance of motorcycle driving. If an accident occurs, the insurer will be able to sign a contract for breach of notification duty and refuse the payment of the insurance money. You should be aware that your parents, who are policy holders, must notify you when you drive a motorcycle, and if your child does not notice driving the motorcycle, you may be able to impose sanctions on the violation of the notice. However, if you are aware of the fact that the parent who is the policyholder is required to give notice during driving of the child's motorcycle, if you are living apart from your child and do not know the fact of driving the motorcycle, Etc., and depending on the result,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violation of the notification obligation can be a problem, or there is a case that there is no case. If you do not know the insurer's gross negligence, you will be in breach of the obligation to notify, otherwise you will not violate the obligation to notify. However, if the insured person reaches the age of majority, the insured person must also fulfill the obligation to notify. In this case, the insured person was 17 years old at the time of death. In the end, the resolution of this case depends on whether the father, who is the policyholder, knew the motorcycle driving of his son. If so, it is possible to terminate the contract for breach of notification duty and refuse to pay the insurance money. In the future, details of the obligation to notify the increase of risk should be specified through the precedent. In the process, foreign cases should be referred to. These efforts should ensure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of the risk notifying obligation.

      • 확률형 상품 소비자 보호에 관한 소고- 사행성 프레임의 문제점과 그 대안

        이다은(Lee Da Eun) 경희대학교 경희법학연구소 2018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11 No.1

        최근 인형뽑기,, 확률형 게임 아이템,, 랜덤 박스 등 ‘확률형 상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이러한 ‘확률형 상품’은 소비자의 기대심리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과도한 소비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사행성’ 문제와 판매자와 소비자 간의 정보비대칭에 따른 ‘합리적 소비생활 침해’의 문제를 동시에 낳는다. 본 소논문에서는 ‘확률형 상품’에 관한 규제의 접근 방식 중 ‘사행성 규제 프레임’과 ‘합리적 소비생활 보호 프레임’을 비교 분석하여, ‘확률형 상품’을 이용한 새로운 산업의 발전과 소비자 보호라는 목적을 조화시킬 수 있는 법적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인형뽑기를 사행성프레임 관점에서 판시한 최근 판례를 ‘사행성’의 개념요소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확률형상품’에 대한 소비자 보호 방안을 비교법적으로 고찰한 후, ‘합리적 소비생활 보호’의 관점에서 전자상거래법을 적용하여 해당 문제에 접근한 공정거래위원회의 결정을 긍정적으로 살펴본다. With the rising popularity of claw machine game, stochastic game items, and random reward items, the problem of speculativeness and the possibility of information asymmetry and rational consuption occured Therefore, there have been two different legal apporach to this problem in order to protect consumers: speculative frame and protection of consumer s rational consumption life frame. On this paper, I first look up recent precedent and review this in a critical point based on the concept element consisting speculativeness . Then, I consider this problem in comparative perspective. Last, I propose protection of consumer s rational consumption life frame to portect stochastic game item consumers based on the Fair Trade Commision s Decisions applying electronic commercial law to this problem.

      • KCI등재

        보험상품의 불완전판매에 대한 법적 규제방안

        김종호(Jongho Ki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3 No.1

        불완전판매(mis??selling 또는 incomplete contract)라고 함은 보험이나 펀드와 같은 금융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권유하는 판매자가 구매자인 고객에게 구매에 있어서 필요하고도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무리한 구매나 투자권유를 하여 보험 혹은 펀드를 판매하는 등 정당한 사유없이 고객의 이익을 해하면서 자기의 수수료나 이익 등을 추구하는 행위를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민법 제2조의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보험상품은 보험계약자가 납입한 보험료에 대한 급부로 보험자가 보험금 지급책임이라는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상품이며 대체적으로 그 계약기간이 장기인 경우가 많다. 또한 보험가입자로부터 받아들이는 보험료 총액과 장래 보험회사가 가입자에게 지급할 보험금총액이 서로 같도록 만든 위험단체의 수지상등의 원칙이 적용되며, 위험의 대량집적(pooling)과 대수법칙을 전제로 하여야만 보험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보험계약자 보호가 가능하다. 하지만 보험상품의 불완전판매가 끊이지 않고 있으니 보험상품 불완전판매의 원인을 열거하여 보면 우선 보험시장의 불완전 경쟁, 보험상품의 특성, 정보의 비대칭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보험상품 불완전판매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온라인 판매경로의 확산 및 방카슈랑스제도의 도입과 확산도 주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다. 보험상품 불완전판매 관련 규제로는 우선 판매관련 규제를 들 수 있다. 상법과 보험업법 및 보험업감독규정, 공정거래법의 관련 조항들이 규제를 담당한다. 또 다른 규제로는 공시제도이다. 공시제도는 보험상품의 가격이 자유화됨에 따라 보험계약자가 합리적인 소비활동을 하는데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피해구제 제도인데 보험회사의 손해배상제도, 영업보증금에 대한 우선변제제도, 금융분쟁조정위원회의 운영, 청약철회제도(cooling??off) 등을 들 수 있다. 보험상품 불완전판매의 개선방안으로는 설명의무의 개선, 모집종사자의 책임 강화, 적합성원칙의 적용, 예시계리사제도 정착, 허위?과장광고 규제 근거의 마련, 제휴판매 및 단체판매에 대한 대책, 보험계약자의 구분에 따른 판매와 보험옴부즈만제도의 도입, 보험상품의 개념 신설 등과 모집종사자의 교육 및 전문성 강화, 보험계약자의 이해도 증진, 고객지향의 적합 상품 판매, 고령화 시대의 보험계약자보호 대책 마련 등이 있다. Insurance mis??selling is a term used to describe an attempt by an insurer to convince an consumer(insured) to purchase a good or service that is not appropriate for that client. Typically, this type of activity occurs when the insurer is more interested in making a sale than in developing a long??term relationship with that customer. Ethical businesses tend to discourage this type of activity, and may even terminate an insurer who continually misrepresents products in an attempt to generate sale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mis??selling is the deliberate attempt to mislead a client into thinking he or she would benefit from the purchase of a product when in fact that would not be the case. As part of the process, the insurer may tend to downplay or omit information that would alert the customer to the fact that the product is not a good choice. Instead, the insurer focuses on creating a sense of urgency for the product in an attempt to coerce the customer into making a decision before there is time to reconsider. Whilemis??selling does constitute a moral hazard, the method typically stops short of making false claims for the product; instead, the emphasis is on presenting what the product does do as being absolutely essential for the well being of the customer. A common example of mis??selling involves selling insurance to a client that he or she clearly does not require. For example, an agent may attempt to convince an individual with no children or spouse that an expensive whole life insurance policy is important as part of that individual’s personal finance plans. Rather than going over other insurance options with the customer, the agent focuses only on the more expensive coverage and fails to note that the benefits identified would also be provided in the less expensive policies. Mis??selling can occur in just about any type of situation involving a vendor or supplier and a customer. Along with insurance, mis??selling can take place at a car dealership, a beauty shop, an apparel store, or any other setting in which a customer is seeking to meet some type of need or want. While mis??selling may produce sales on the front end, the practice usually precludes any repeat business from that customer, especially when he or she realizes the deception and chooses to do business with a different retailer or supplier. A business that gains a reputation for mis??selling will find it increasingly hard to secure new clients and remain in business, whereas a company that is known to match clients with goods and services they truly benefit from will usually remain stable and viable over the long term.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definition of insurance mis??selling and researched the cases involved with mis??selling over the different jurisdictions. Furthermore, I discussed the cause of mis??selling and clearly identified mis??selling related problems. I also proposed some regulations and remedial measures for insurance vehicle mis??s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