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배임죄가 성립하는 부동산이중매매에 있어서 이익과 손해에 관한 검토 - 대법원 2018. 5. 17. 선고 2017도4027 전원합의체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견해 -

        윤태석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3

        With regar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breach of trust by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our Supreme Court maintained the previous view by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7Do4027, decided May 17, 2018. As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in the said Supreme Court’s decision confronted on whether the seller’s obligation to cooperate in the registration after receiving intermediate payment can be deemed ‘another's business’, and as there have been many prior researches on the issue, there is a possibility for the Supreme Court to change it’s stance by the dissenting opinion in the future. However, regarding the acquisition of pecuniary advantage and the resultant loss which are also important constituent elements of a criminal breach of duty, the said Supreme Court did not provide any specific process to calculate the amounts other than mentioning the elements in relation to the nature of endangerment offences. Also, there are no existing studies directly referring to the calculation. According to previous Supreme Court Decisions, when double dealing of real estate constitutes a criminal breach of duty, the acquisition of pecuniary advantage and the resultant los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market value of the real estate. Nevertheless, starting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revious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decisions is appropriate for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considering in various angles such as the concept of profit and damage, the relationship with the protection law interest, the derivation from the existing Supreme Court decisions, and the comparative legal review, in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establishing the breach of trust, the acquisition of pecuniary advantage and the resultant loss should be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paid by the victim, and not the market value of the real estate. 부동산이중매매의 배임죄 성립에 관하여 우리 대법원은 2018. 5. 17.ᅠ선고ᅠ2017도4027ᅠ전원합의체 판결로 종전의 견해를 유지하였다. 그 판결에서 다수의견과 반대의견은 중도금까지 수령한 후의 매도인의 등기협력의무가 ‘타인의 사무’에 해당한다고 하는 부분에 관하여 첨예하게 대립하였고 지금까지 이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도 이루어졌기에 향후 반대의견에 의한 판례변경의 여지도 엿보인다. 그런데 배임죄 성립의 또 하나의 중요한 구성요건 요소인 재산상 이익취득 및 손해발생에 관하여는 위태범의 성격과 관련한 경우 외에는 위 대법원 판결에서 구체적으로 그 산정과정을 언급한 바는 없고 그 산정에 관하여 직접 언급한 기존 연구도 보이지 않는다. 기존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부동산이중매매가 배임죄에 해당하는 경우 재산상 이익 및 손해는 대상 부동산의 시가 상당의 가액으로 산정한다. 그렇지만 기존 대법원 판례의 해석이 과연 형법체계에 합당한가 하는 의문에서 시작하여 이익 및 손해의 개념, 보호법익과의 관계, 기존 대법원 판례에서의 도출, 비교법적인 검토 등 다각도로 고찰하면, 부동산이중매매의 배임죄 성립에 있어서 재산상 이익 및 손해는 부동산 자체의 가액이 아니라 피해자가 지출한 금전을 기준으로 계산되어야 한다.

      • KCI등재

        판례 평석: 부동산 이중매매시 형사상 배임죄 성립의 인정 - 대법원 2018. 5. 17. 선고 2017도4027 전원합의체 판결 -

        류승훈,서상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아주법학 Vol.12 No.4

        The Supreme Court has recognized the establishment of double criminality in the sale of real estate in the past, and recently reaffirmed this position through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Supreme Court's Decision 2017do4027). It is a very difficult matter how to interpret the meaning of 'a person administering another's affairs' in Article 355 Paragraph 2 in criminal law. This matter is caused by the reason that Korea takes the formality principle in transfer of ownership both in the real and movable property. A person who resisters first get the ownership, not the one who contracts first, in the real property. Many scholars and courts argued that the 1st buyer who paid at least 2nd installment should be protected against other later buyers. They think the 1st buyer should be protected because a seller had the duty to execute a contract after he gets 2nd installment. Therefore, the 1st buyer should get the title the real property that is the subject of the contract. They also argue that criminal method, such as breach of trust should be added to protect the 1st buyer when the seller fails to fulfill his duty. If civil disputes arise in the area of trading activities to which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is applied,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in principle, civil means of settlement should be established rather than criminal means. In conclusion I think applying the criminal method of breach of trust into the civil law area should be stopped, and let the civil lawsystem work by itself. 대법원은 종래 부동산 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립을 인정하여 왔고, 최근에는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하여 이러한 입장을 재확인하였다. 이는 중도금까지 지급받은 매도인이 매수인이 등기라는 공시방법을 갖추기 전에 목적물을 타에 처분한 이중매매에 있어, 즉 계약금만 지급된 경우와 완전히 물권 이전이 있는 경우와의 중간에 위치한 경우에 있어 매도인의 등기이전협력의무를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의 지위로 의율한 것이다. 이러한 판례의 입장은 오랜 기간 동안 다수의 사건을 통하여 정립된 것으 로서 이미 우리 사회의 경제생활을 규율하는 확립된 법원칙으로 기능하고 있다. 문제는 계약이 이행되지 않는 경우 민사상 손해배상이라는 구제방법이 인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굳이 배임죄라는 형사적 칼날을 들이대는 것이 타당한가 하는 것이다. 부동산 이중매매행위를 배임죄로 처벌하는 판례의 입장은 부동산 거래가 동산 거래와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등기협력의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그에 근거하여 중도금 이상의 금원을 수령한 경우에는 계약을 임의로 해제할 수 없다는 점을 논거로 하고 있다. 생각건대 부동산 이중매매의 경우에 제1매수인이 중도금을 지급한 이후에는 매도인이 임의로 계약을 해제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고 매도인의 제1매수인에 대한 등기이전협력의무는 자기의 사무임과 동시에 타인의 사무가 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위 등기이전협력의무는 매매계약의 효력으로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이행해야 할 의무로서 제1매수인의 법적 지위를 보호하기 위한 매도인 자신의 사무일 뿐 이를 해태하 였다하여 형사상 처벌의 근거로 삼는 것은 부당하다 하겠다. 사법상 계약의무 불이행의 종국점은 손해배상의 문제로 끝나야 하는 것이지 형사법이 개입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 KCI우수등재

        서면에 의한 부동산증여계약ㆍ부동산교환계약 불이행과 배임죄 성부에 관한 검토 - 대법원 2018. 12. 13. 선고 2016도19308 판결, 대법원 2018. 10. 4. 선고2016도11337 판결에 대한 비판적 견해 -

        윤태석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5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establishes a criminal breach of trust. That is, in a real estate sale contract where the performance of contract has reached a full-fledged stage with the delivery of an intermediate payment, the seller owes a fiduciary duty to the buyer, in which the seller is obliged to cooperate with the buyer in the buyer’s preservation of property by protecting and managing the buyer’s pecuniary advantage, and from that moment the seller becomes “a person who administers another’s business,” as stated in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Where the seller in such a position disposes of the said real estate to a third party,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Court applies the legal principle of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to the cases of written real estate gift contract and real estate exchange contract, so that in such cases the obligation to transfer the ownership of real estate to the buyer is deemed “another’s business”, and where the seller in such a position disposes of the said real estate to a third party,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is established. However, even if the purpose of the precedent that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establishes a criminal breach of trust is affirmed,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logical structure that nonfulfillment of real estate gift contract or real estate exchange contract also establishes a criminal breach of trust according to the same legal principle. As the real estate sales, real estate gift, and real estate exchange are not only different in terms of the contract law of the civil act, but also different in terms of the protected legal interests under the criminal law, and only the purpose of the contracts which is the transfer of ownership of real estate is the same, applying the same legal principle of criminal breach of trust in double-dealing of real estate to all of the above contracts is a leap of logic that overlooked different aspects of the above contracts. Thereafter, nonfulfillment of real estate gift contract or real estate exchange contract should not establish the criminal breach of trust, and relevant Supreme Court precedents must be changed. 대법원 판례에 따르면 부동산이중매매는 배임죄가 된다. 즉, 부동산매매계약에서 중도금이 지급되는 등 계약이 본격적으로 이행되는 단계에 이른 때에 매도인은 매수인의 재산보전에 협력하여 재산적 이익을 보호·관리할 신임관계에 있게 되며 그때부터 배임죄에서 말하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에 해당하고, 그러한 지위에 있는 매도인이 부동산을 제3자에게 처분하면 배임죄가 성립한다. 서면에 의한 부동산 증여계약이나 부동산교환계약의 경우에도 부동산이중매매의 법리를 적용하여 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할 의무는 ‘타인의 사무’에 해당하고 그 부동산을 제3자에게 처분하면 배임죄가 성립한다는 것이 판례이다. 그러나 부동산이중매매가 배임죄에 해당한다는 판례의 취지를 긍정한다고 하더라도 서면에 의한 부동산증여계약ㆍ부동산교환계약 불이행이 동일한 법리에 따라 배임죄에 해당한다는 논리적 구조에는 동의할 수 없다. 왜냐하면 부동산매매와 부동산증여 및 부동산교환은 민법의 계약법적 측면에서도 상이하고, 형법상의 보호법익 측면에서도 상이하며, 오로지 부동산의 소유권이전이라는 계약 목적만이 동일할 뿐이어서 위와 같은 계약 전부에 대하여 부동산이중매매의 배임죄법리를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상이한 측면을 간과한 논리의 비약이다. 따라서 서면에 의한 부동산증여계약ㆍ부동산교환계약 불이행에 대해서는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여야 하고 그에 대한 기존의 대법원 판례는 변경되어야 한다.

      • KCI등재

        부동산의 이중매매에 관한 형사책임

        정다희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성균관법학 Vol.29 No.4

        Majority opinion of the Supreme Court denies the existence of a breach of trust regarding the issue of double dealing in real estate and further questions the identity of such breach, claiming that the duty to register the transfer of ownership derived from the appointment of payment in substitutes represents an individual's own responsibility. if this were the case, however, would it not conflict with the decisions in preceding cases which had concluded that down payment and middle payment (in regards to real estate transactions) remain the responsibility of both the seller and the buyer? According to precedents and the majority opinion, contracts may not be canceled once the middle payment has been transferred, and if nevertheless double dealing does occur, it would represent an act of foregoing the responsibility to cooperat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registration of ownership, which would then be considered a breach of trust. However, questions and ambiguities remain regarding the following: 1) whether the seller can assume the legal role of maintaining or managing the other party's property solely on the grounds that the middle payment had been transferred, 2) whether applying criminal measures in a civil transaction oversteps the limits of criminal law, and 3) whether subjecting only double dealing to criminal prosecution--while recognizing the need to address this particular issue in order to ensure the integrity of the real estate market--violates the concept of fairness. Given that real estate transactions can be seen as transactions of other types of goods and that the transfer of registration of ownership unique to real estate merely represents an intermediary steps towards the complete realization and transfer of ownership, the scope of sellers' responsibility does not provide necessary grounds for a breach of trust. one party performs an act or task on behalf of another. Regardless of whether the purpose of transaction involves real estate or movable goods, the duties outlined in the contract represent the duties of the self; simply put, tasks performed for another entity cannot be considered the same as another entity's tasks. As such, double dealing cannot be addressed under criminal law (under breach of trust) but rather represents the seller's violation of contracts under civil transaction law. 최근 대법원은 동산의 이중양도에 관해 다수의견은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고, 연이어 대물변제예약에 의한 부동산 등기이전의무는 자신의 채무에 불과하다는 이유로 배임죄의 주체성을 부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부동산 매매에 있어 계약금과 중도금을 수령한 매도인의 법적지위를 자신의 사무임과 동시에 타인의 사무라고 하는 종전 판례는 유지될 수 있을까? 다수설과 판례는, 중도금을 수령한 상태는 더 이상 계약을 해제할 수 없고, 그럼에도 이중매매한 것은 잔금의 수령과 동시에 등기이전에 협력할 의무를 저버린 배신적 행위로서 비난가능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배임죄를 긍정하고 있다. 그러나 1)중도금을 수령하였다는 이유만으로 매도인이 타인의 재산의 관리 또는 보호자에 준하는 지위를 인정할 수 있을만한지, 2)그러한 민사거래에 형벌이 관여하는 것이 형벌의 보충성에 반하는 것은 아닌지, 3)부동산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의 필요성은 동감하지만 동산의 경우와 달리 부동산의 이중매매만을 유독 배임죄로 형사 처벌하는 것이 형평성에 반하는 것은 아닌지 라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결론적으로 부동산의 거래 또한 동산과 같이 물품거래계약에 불과하고 부동산 특유의 등기이전은 단순히 소유권의 완전한 이전을 위한 공시방법의 충족이라는 점에서 등기이전에 협력할 의무 또한 민사상 채무에 불과하지, 매도인의 지위를 배임죄에서 요구하는 ‘타인의 사무자’라고 까지 할 수는 없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형법 상 배임죄에서 요구하는 ‘타인의 사무’라 함은 그 타인이 할 수 있는 사무를 타인을 대신하여 행하는 관계가 인정되어야 한다. 매매의 목적물이 동산의 경우이든 부동산의 경우이든 매매 계약상 의무를 이행하는 것은 ‘자기의 사무’이고, 일부 타인을 ‘위한’ 사무라고 할지라도 ‘타인의 사무’ 그 자체는 아니다. 따라서 부동산의 이중매매는 제1매수인에 대한 채무불이행에 불과하고, 등기이전의무가 형법상 배임죄의 구성요소인 ‘타인의 사무’가 된다고 할 수 없으므로 판례의 입장은 재검토할 때가 되었다.

      • KCI등재

        민 · 형사법 측면에서 살펴 본 부동산 · 동산 이중매매시의 배임죄 성립 여부

        류승훈,서상문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아주법학 Vol.10 No.3

        우리 형법 제355조 제2항에서는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되는 행위로써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 배임죄가 성립함을 규정하고 있다. 대법원은 종래 부동산 이중매매에 있어서 배임죄의 성립을 인정하여 왔다. 즉 매도인이 제1 매수인으로부터 중도금을 수령한 이후 제2매수인에게 처분하는 행위에 대해 배임죄로 의율하는 것이다. 이는 매수인에게 등기라는 공시방법을 갖추기 전에 이루어지는 중도금을 지급받은 매도인의 이중매매에 있어 단순한 채권·채무와 완전히 물권 이전이 있는 경우의 중간에 위치한 이중매매에 대해 배임죄의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것으로 이를 긍정한 것이다. 그러나 동산 이중양도의 경우에는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 배임죄의 성립을 부정하였다. 이러한 판결이 궁극적으로 부동산과 동산의 특성을 반영하여 그 차이에 따른 결론인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에 의한 것인지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의 주요 쟁점은, i) 배임죄의 본질론('타인의 사무‘의 의미), ii) 부동산등기절차의 고유한 특성을 매개로 타인의 재산 보호 내지 관리를 위한 협력의무의 존재를 긍정한 기존 판례의 취지를 감안하면 그와 같은 내용의 협력의무를 상정하기 어려운 동산매매의 경우에 매도인은 매수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단순한 채무불이행은 배임죄를 구성하지 않는다는 기본 법리에 보다 충실한 것은 아닌지의 문제에 대한 고려에 두어진다. 사적 자치의 원칙이 적용되는 거래활동의 영역에서 민사적인 분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형사적 수단이 아닌 민사적 해결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기본명제에 입각해 본다면, 부동산 또는 동산의 매수인(의 매매대금)에 대한 보호는 민사적 제도 내지 거래 관행의 개선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합당한 해결책일 것이다. On 20. January 2011, Korean Supreme Court has given a decision that double dealing of movable property is not guilty of breach of trust in Article 355 Paragraph 2 of the Criminal Code(2008do10479). This decision in the case of movable property is differerent from the precedents of double dealing cases of real estate. It is a very difficult matter how to interpret the meaning of 'a person administering another's affairs' in Article 355 Paragraph 2. This matter is caused by the reason that Korea takes the formality principle in transfer of ownership both in the real and movable property. A person who resisters first get the ownership, not the one who contracts first, in the real property. There are lots of disputes about the decision of Supreme Court that made a difference between movable and real property. Many scholars and courts argued that the 1st buyer who paid at least 2nd installment should be protected against other later buyers. They think the 1st buyer should be protected because a seller had the duty to execute a contract after he gets 2nd installment. Therefore, the 1st buyer should get the title the real property that is the subject of the contract. They also argue that criminal method, such as breach of trust should be added to protect the 1st buyer when the seller fails to fulfill his duty. Double dealing of movable property should be ruled with breach of trust in the same way as in the real property. The seller of movable property for double establishment of security by means of transfer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breach of trust to the second right holder in the same way as to the first right holder. In conclusion I think applying the criminal method of breach of trust into the civil law area should be stopped, and let the civil lawsystem work by itself.

      • 은행의 파생상품업에 대한「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적용의 법적 문제

        고동원 은행법학회 2008 은행법연구 Vol.1 No.2

        On February 4, 2009, the Act on the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hereinafter the "Capital Market Act") will become effective. One of the conspicuous features of the Capital Market Act is to pursue the so-called "functional regulation" system. Thus, as long as a bank is engaged in a financial investment business, which include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such a bank will be subject to the Capital Market Act. It is noted that further, on such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a bank is regulated by the Bank Act. Hence, unlike a financial investment company, which will be only subject to the Capital Market Act, since a bank is regulated by such two laws, it would be big burdensome to the bank. This article is to review such legal issues aris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Capital Market Act on a bank'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First, the Capital Market Act allows a bank to continue it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within the scope of the currently permitted business by filing a report to the regulator, even though, in fact, it is regarded as being almost equivalent to the approval system. Currently, a bank is allowed to engage in OTC financial derivative dealing and brokerage businesses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guideline of a bank's ancillary business. In addition, although more or less controversial, a bank is permitted to engaged in overseas on-exchange financial derivative dealing and brokerage to a limited extent. Therefore, a bank will be permitted to keep on engaging in such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es under the Capital Market Act. This article, however, argues for permitting a bank to conduct domestic on-exchange financial derivative dealing and brokerage businesses. In addition, still the problem of a double regulation exists: in other words, the Capital Market Act as well as the Bank Act will apply to a bank's financial derivative business. In order to rectify such problem, it is suggested that first, the regulator define its function clearly on regulating such a bank's activities, and in the long term, the project of consolidating the Capital Market Act, the Bank Act and the Insurance Business Act be pursued, which will allow an universal banking system in Korea an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financial industry overall.

      • KCI등재

        회사지배구조 관련 판례와 학설의 불일치와 극복

        육태우 ( Tae Woo Yook ) 한국상사판례학회 2012 상사판례연구 Vol.25 No.2

        Korean corporate law made on the basis of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has been revised being influenced by the American legal system in recent 10~15 years. It is the same with the Korean corporate governance system. This article deals with various issues in Korean corporate governance law related to the method of proxy solicitation, procedures of appointment of directors, the ground that a CEO can be paid for damage when he or she is dismissed, the subjective test of abuse of representative power, chances of expanding the concept of fiduciary duty, especially duty of loyalty, developed in Anglo-American trust law in Korean corporate law. methods of approval of directors` self-dealing, remedies of shareholders` consequential damage, possibilities of acknowledging double or multiple derivative su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