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혐오와 지배

        신은화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Disgust is caused by human being incompleteness and also its denial.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disgust is concerned with the understanding of humans. Thinking critically about disgust, we can solve the problems of disgust and reflect on our limitations. I will refer to Nussbaum’s view which finds out in “projective disgust” an antipathy to human fault and a wish for completeness. This article is interested in the fact that disgust is not only a rejective feeling of a person but also a collective emotion which is connected with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and power exercise. Specificall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oint that disgust is mobilized to maintain a dominativ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This is associated with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disgust because disgust in itself contains a one-sided perspective, exclusiveness, hierarchy, and domination. This article aims to reveal a collusion between disgust and domination. For the purpose we will pay attention to two basic inclinations which are immanent in disgust; purity and exclusion, while relying on Nussbaum’s view of disgust. In accordance with this analysis, this article will specificity treat disgust which can be summarized as an ideological function of emotion and its violent tendency. Then, we can ensure that disgust threats the equal and dignitary worth of human beings and hinders the diversity and rationality of a liberal society. In addition, it will be emphasized that disgust should not be used as an ideology which discriminates and suppresses a specific group in a society. 혐오는 인간의 불완전함으로 인해 발생하며 동시에 그런 불완전함을 부정하려는 마음이다. 그래서 혐오에 대한 이해는 인간 존재에 대한 이해와 맞닿아 있다. 우리는 혐오 감정을 비판적으로 바라봄으로써 그 감정으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고 더 나아가 우리 자신의 한계성을 성찰해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투사적 혐오”에서 인간적 결함의 거부 및 완벽성에 대한 욕구를 읽어낸 누스바움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참고하고 있다. 이 글의 주된 관심은 혐오가 개인적 차원의 거부감에 그치지 않고 인간들 간의 대립 관계 및 권력 행사에 긴밀히 연관되는 집단적 감정이라는 점에 맞춰져 있다. 특히 이 글은 혐오가 인간들 간의 지배-피지배 관계를 확립・유지시키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점을 주목한다. 이러한 현상은 혐오의 내적 속성과 무관하지 않다. 즉 혐오 감정은 이미 그 자체 내에 일방성, 배타성, 위계화, 지배 논리 등을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핵심적으로 혐오와 지배의 유착관계를 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누스바움의 혐오 분석에 근거하여 혐오의 일반적 속성 및 순수와 배제의 논리에 주목할 것이다. 그 다음으로 혐오의 이데올로기적 기능 및 폭력성을 중심으로 그것의 지배적 속성을 논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이 글은 혐오가 인간의 평등하고 존엄한 가치, 자유주의 사회의 다양성과 합리성에 유해한 감정임을 확인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 글의 혐오 비판이 인간적 불완전함에 대한 겸허한 인정과 성찰로 이어질 때 진정한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물론 이것은 인간적 한계를 이유로 혐오의 문제점을 무력하게 수용한다는 의미의 인정이 아니며, 더 나은 가치와 인간다움을 향한 부단한 노력을 전제하는 성찰을 가리킨다.

      • KCI등재

        A. 먼로, A. 프루의 단편에 나타난 혐오: 본능적 감정인가 학습된 감정인가

        강병희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24 영미연구 Vol.61 No.-

        본 논문은 가정 및 사회에서 폭력으로 표출되는 혐오의 감정이 본능적인 반응이 아닌 공동체에서 습득되는 것임을 현대 두 단편에서 밝히고자 한다. 이때 누스바움이 천착하고 있는 혐오감을 살펴보고자 한다. 누스바움은 감정이 본능적인 것이 아니라 믿음과 이해에 따른 사고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혐오를 원초적 혐오와 투사적 혐오로 분류하고 투사적 혐오는 학습된 감정이라고 주장한다. 1장 앨리스 먼로의「차일드 플레이」에서는 장애인을 향한 주인공의 혐오가 원초적(본능적) 혐오가 아닌 투사적(학습된) 혐오임을 증명하기 위해, 주인공이 혐오감을 어린 시절 주위 환경으로부터 부지불식간에 체화하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투사적 혐오가 아이들 사이에서 연대와 배제의 기제로 작동하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2장 애니 프루의「브로크백 마운틴」에서는 인물들이 동성애자에 대한 혐오를 드러내고 있음을 살펴보고, 혐오가 폭력을 통해 전수 및 유지되고 있음을 증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동성애자에 대한 혐오와 폭력이 기존 이데올로기를 유지하는 역할을, 특히 주인공의 삶을 통제하는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By analyzing the two modern short stories—Alice Munro’s “Child’s Play” and Annie Proulx’s “Brokeback Mountain”—this paper aims to show that violent expression of disgust at home and in society is not an instinctive reaction, but something that is learned from the community. To make the case, this paper examines and cites Martha Nussbaum’s theory of disgust. Nussbaum delves into the feeling of ‘disgust’, arguing that emotion is not instinctive, but is the result of the action of thinking based on belief and understanding, and she categorizes the feeling of disgust into “primary disgust” and “projective disgust”.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in “Child’s Play” whereby the protagonist unknowingly embodies disgust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childhood. Projective disgust is not only distinguishable from instinctive disgust, which is inherited genetically, but also works as a mechanism for solidarity and exclusion in groups.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ways in which disgust in “Brokeback Mountain” is transmitted and maintained through violence, preserves existing ideologies, and controls the life of the protagonist especially his fear of being an object of disgust.

      • KCI등재

        혐오의 이중성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박승억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6

        Today, we understand how dangerous the disgust is. Because the disgust is an emotion that can cause or promote the various social discrimination and even lead to the hate crime. Nevertheles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disgust is not an easy task. We have heard of a lot of social campaigns about the dangers of disgust, but the disgusting acts do not cease. This is because, above all, the disgust is both a social act and a natural psychological phenomenon of an individual. Moreover, there seems to be a kind of positive function in the disgust. We could call it the duplicity of the disgus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omplexity of the disgust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uplicity of disgust, and analyzes the phenomenon of the disgust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and seeks the direction of problem solving by elucidating the correlations with the emotions, such as anxiety, especially related to the disgust. To this end, we will use not a linear causal analysis, but a motive relationship analysis and E. Husserl’s an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Fundierung relationship. 오늘날 우리는 혐오가 얼마나 위험한 행위인지를 이해한다. 혐오는 다양한 사회적 차별을 유발하거나 조장하고 심지어 증오 범죄(hate crime)를 유발할 수 있는 감정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혐오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쉬운 과제가 아니다. 혐오의 위험성에 대한 캠페인이 넘쳐 나지만 혐오는 쉬지 않는다. 이는 무엇보다 혐오가 사회적 행위인 동시에 개인의 자연스러운 심리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혐오에는 모종의 순기능도 있어 보인다. 이를 혐오의 이중성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혐오 문제의 복잡성을 혐오의 이중성의 관점에서 주목하고 혐오 현상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특히 혐오와 연관된 감정들, 예를 들어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드러냄으로써 문제 해결의 방향성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형적 인과 관계 분석이 아니라 동기(motive) 관계 분석과 후설의 의식 작용들 간의 기초지음(Fundierung) 관계에 대한 분석을 활용할 것이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와 미학적 은유의 응수(應酬)

        나병철 ( Byung Chul Na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6 청람어문교육 Vol.57 No.-

        이 논문에서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미학적 은유를 통해 고찰했다. 혐오발화는 오늘날 처음 나타난 것이 아니며 과거의 인종주의와 이데올로기 담론에서도 특징적으로 출현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먼저 과거 냉전시대의 이데올로기적 혐오담론과 오늘날의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발화의 차이를 살펴보면서 지금의 혐오발화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이데올로기적 혐오담론은 국가 권력에 의해 실행된 반면 오늘날의 혐오담론은 사회구성원 각자에 의해 수행된다. 그 때문에 과거의 혐오담론이 공고했던 것과는 달리 오늘날의 혐오발화는 모든 사람에게 침윤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오늘날의 혐오발화는 사회구성원 자신이 비슷한 계층을 공격하는 형식이므로 보다 더 문제적이고 절망적이다. 그러나 그 절망과 우울은 감성적인 틈새를 말해주는 것으로 그 틈새에 미학적 은유가 침투할 때 혐오발화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혐오발화는 오염의 심리와 연관이 있으며 혐오대상과 공유하는 자신의 취약점을 지우기 위해 상상적 동일성에 의탁하는 환상적 형식이다. 그처럼 혐오발화는 상상적 동일성에 의존해 동일성의 체계에 동화될 수 없는 사람들을 비천한 존재로 공격한다. 반면에 미학적 은유는 혐오의 대상인 비천한 신체가 생명적 존재임을 드러내면서 그를 비천한 것으로 배제하는 상상적 동일성에 상처를 낸다. 그 때문에 혐오발화가 지배 권력의 상상적 동일성을 지키는 형식인 반면 미학적 은유는 다양한 권력장치의 상상적 동일성을 해체한다. 우리는 김이설의 『환영』과 『선화』를 통해 어떻게 혐오발화가 미학적 은유에 의해 해체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환영』에서 윤영은 섹슈얼리티의 상품세계에서 혐오의 대상이 되는 생리하는 신체가 오히려 자신의 생명성의 회복임을 발견하고 혐오에서 벗어난다. 또한 『선화』에서 선화는 혐오가 사랑과 분노의 양가성에 의해 극복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 소설은 혐오발화가 상품세계 같은 상상적 동일성을 지키는 형식이라면 미학적 은유는 비천한 것의 존재론을 통해 상상적 동일성을 해체하는 방식임을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nature of utterance of disgust in neo-liberalisml society and contemplates a way to overcome the violence of such utterance through aesthetic metaphors used in Iseol Kim`s literary works. Disgust assault is nothing new and, in fact, was central to racism and ideological discourses in the past.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ideological utterance of disgust from the Cold War era to the contemporary disgust assault in this neoliberal era, while looking for a resolution of the violence. The ideological utterances of disgust were carried out by the government authority but the current ones are don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disgust violence now, therefore, is not as pervasive as the utterance of disgust in the past. However, the current utterance of disgust may be more problematic and desperate as it promotes voluntary attacks on social members by other members of the society. Despair caused by utterance of disgust is emotional and such emotional state may be resolved by the application of aesthetic metaphors. Disgust may be explained by the psychology of contamination as one creates an imaginary identity in order to become clear of what is shared with the disgusted who is then attacked because s/he cannot relate to that identity. Aesthetic metaphors may play a critical role here as they break up the imaginary identity by treating the disgust targets with respect and love. This claim is well illustrated in two novels "Seonhwa" and "Hwanyeong" by Iseol Kim. First, Yoonyeong in "Hwanyeong" finds her menstruating body disgustful in the world of sexual objectification but she soon finds a way to free herself from disgusting after she realizes that her body is the restoration of her existence. Meanwhile, in "Seonhwa", Seonhwa shows a way in which disgust can be overcome through the ambivalence of love and anger. These two novels tell us that disgust depends upon the imaginary identity while the aesthetic metaphors shatter that identity through existentialism of the disgusted.

      • KCI등재

        역겨움의 패러독스: ‘미적 역겨움’과 불편한 예술의 문제

        조선우 한국미학회 2019 美學 Vol.85 No.1

        Focusing on disgust as an emotional response to art, this paper considers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to art, uncomfortable artistic experiences and the value of artistic works creating such experiences. Disgust, unlike other “more cognitive” emotions, has been regarded as peripheral and physiological. And the typical responses of avoidance and withdrawal, which always follow disgust, have been deemed as an immediate obstacle to absorption into or aesthetic appreciation of an object. In this regard, disgust has not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issue of aesthetics and philosophy. However, as works of the so-called “abject art” deal with disgust and thus receive critics’ attention in the scene of the contemporary art, the problem of disgust is awarded a new status in aesthetic and philosophical studies.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Carolyn Korsmeyer’s discussion of disgust, who cast light upon this issue within the tradition of Anglo-American analytic aesthetics. It considers the positive function of disgust in artworks and artistic appreciation as well as the basic framework of ‘Aesthetics of disgust’, if possible. Above all, this paper tries to seek solutions to ‘the paradox of disgust’, asking how disgust, a representative unpleasant emotion, can contribute to positive aesthetic experiences. 이 글은 예술에 대한 감정 반응 중 하나인 역겨움을 중심으로 예술에 대한 부정적 감정 반응 및 불편한 예술 경험, 그리고 그러한 경험을 유발하는 작품의 가치를 살펴본다. 역겨움은 인지적이라기보다는 말초적이고 생리적인 감정으로 여겨져 왔으며, 역겨움이 전형적으로 동반하는 회피 혹은 움츠림 반응은 대상에 대한 몰입 및 미적 감상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역겨움은 오랜 동안 미학적·철학적 연구의 대상으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지 못했다. 그러나 소위 아브젝트 미술이라 불리는 작품들을 포함하여 역겨움을 주로 야기하며 바로 그러한 이유에서 비평적 주목을 받는 예술작품들이 현대 예술의 무대에 대거 등장하게 되면서 이러한 논의 지평에 변화가 생겼다. 이 글은 영미분석미학의 전통에서 역겨움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한 캐롤린 코스마이어의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역겨움이 예술작품에서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예술 감상에서는 어떻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역겨움의 미학’이라는 것이 있을 수 있다면 그것은 어떤 모습으로 가능할지 살펴본다. 이 작업은 대표적인 불편한 감정으로 간주되는 역겨움이 어떻게 긍정적인 미적 경험의 일부가 될 수 있는지를 묻는 ‘역겨움의 역설’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한 모색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 KCI등재

        ‘혐오 시대’ 넘어서기

        이승훈 ( Lee¸ Seung Hun )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1

        이 글은 우리 사회의 혐오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혐오를 낳는 사회의 구조적, 문화적 배경을 구체화하고, 혐오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혐오 현상 그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 분석을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다. 혐오 현상이 나타나게 된 우리 사회의 구조와 변화의 모습을 이론적으로 접근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가 있다. 현대 사회의 혐오 현상의 첫 번째 배경으로 ‘다원화’를 들 수 있다. 다원화는 과거 개인의 삶과 정체성에 안정감을 제공해줬던 ‘당연함’의 문화를 흔들리게 한다. 항상 다른 방식의 삶을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다원화는 개인의 선택과 자율성을 증대시키지만, 동시에 당연함이 사라짐으로 인한 불안과 불안정도 낳는다. 현대 사회의 혐오는 이런 다원화에 대한 부정적 반응이다. 둘째로 신자유주의 체제가 낳는 경쟁과 불의 경험, 그리고 이로부터 야기된 일상화된 사회적 무시도 혐오를 발생시키는 문화적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사회적 무시로 인한 개인의수치심과 모욕감은 타자를 인정의 대상이 아닌 혐오의 대상으로 보게 한다. 아직도 남아 있는 유사 가족주의의 전통 문화는 집단 외부의 타자에 대한 사회적 무시를 더욱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혐오 현상이 등장하게 된 이러한 배경을 고려할 때, 이에 맞서기 위한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심미적 경험’을 통하여, 혐오를 가능케하는 전통적 맥락과 단절하는 일이다. ‘심미적 경험’은 고착된 인식의 틀을 깨고, 타자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과 동감을 가능하게 한다. 혐오가 감정의 문제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심미적 접근은 혐오 극복을 위한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 다름과 차이에 근거한 사회적 연대를 형성하는 일이다. 차이를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동등한 인정이 대상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는 ‘포괄적 우리’라는 담론 공동체 형성하는 일이자, 새로운 헤게모니를 구축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심미적 경험은 인정 관계의 확산과 ‘차이의 연대’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phenomena of disgust in our society. It specifies the structur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at have given rise to them and suggests alternatives to them. It is not aimed at the concrete analysis of a certain disgust. It takes as the primary goal to theoretically approach to the structure of our society and its change through which the disgust phenomena have emerged. The first background forming disgust in modern society is ‘pluralization.’ The pluralization of our society dismantles the culture of ‘taken-for-grantedness’ which has offered the sense of stability to the lives and identities of individuals in the past. Pluralization increases individual choice and autonomy,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creates anxieties caused by the disappearance of naturalness. The disgust of modern society is a negative reaction to this process of pluralization. The competitions, injustices, and the routinized social contempts caused by the neo-liberalism are also said to be crucial cultural factors that have created disgust. The sense of shamefulness and the sense of insultedness brought about by social contempts make others into objects of disgust, not objects of recognition. The traditional culture of quasi-familism that still remains tends to further strengthen social contempts toward people outside the group. Given the backgrounds in which the disgust has emerged, two main ways will be suggested to confront the prevalent phenomena of disgust. The first one is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s, which are expected to disconnect from the traditional context that has enabled the disgust. ‘Aesthetic experience’ breaks off the fixed framework of perception and enables the concrete recognition and sympathy for others. An aesthetic approach could be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disgust, given the fact that the disgust is also a matter of emotion. The second one is to form social solidarity based on differences. Differences should not be subject to disgust, but to equal recognition. This is the task of forming a discourse community called as ‘inclusive we’ and building a new hegemony. An aesthetic experience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spreading the recognition and forming the ‘solidarity of differences’.

      • KCI등재

        혐오 정서가 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 범죄현장으로부터 유발된 혐오와 성 소수자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혐오

        이윤정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4

        본 연구는 잔인한 범죄현장으로부터 비롯된 혐오 정서와 성 소수자인 피고인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나온 혐오 정서의 속성 및 각 혐오 정서가 증거평가와 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총 600명의 참가자(남 300명, 평균 44.40)가 혐오 정서의 출처(범죄현장, 성 소수자 피고인, 통제조건), 추가 무죄 증거의 존부(있음, 없음), 그리고 사법적 지시문 존부 조건(있음, 없음)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연구결과 핵심적 혐오(physical disgust) 요소가 강한, 잔인한 범죄현장 조건에서 나온 혐오 정서가 피고인이 성 소수자인 경우의 혐오 정서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제시된 증거를 더 유죄방향으로 해석하였고, 피고인이 유죄일 확률을 더 높게 보았다. 눈에 띄는 것은 혐오 출처가 성 소수자인 조건에서는 혐오 정서와 유죄확률 판단 간에 증거평가가 유의미한 조절 변인이었으나 통제조건과 범죄현장 조건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점으로, 이는 피고인이 성 소수자일 경우 유발된 혐오 정서가 법적 판단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이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지시문의 제시는 형량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고, 사후 단순 효과(simple effect) 분석 결과 오직 통제조건에서만 지시문 제시가 유죄확률을 낮추었다. 이는 범죄현장이나 피고인의 특성에서 비롯된 혐오 정서는 지시문으로는 교정되기 어려운 사건 관련 정서(integral emotion)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을 추론케 한다. 분석 결과 성 소수자 조건에서 범죄현장 조건과 통제조건에서보다 피고인에 대한 동정심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성 소수자에 대해서는 혐오 외에 동정심이라는 정서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혐오 정서의 본질(physical disgust/moral disgust), 혐오의 출처 및 정도에 따른 법적 판단, 그리고 성 소수자인 피고인에 대한 혐오와 동정심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nature of disgust caused by the crime scene with that by the stereotype of the sexual-minority defendant, and compared the effect of each type of disgust on evidence evaluation and legal judgment. A total of 600 participants (300 men, average age of 44.40) were randomly assigned to sources of disgust (crime scene, sexual minorities defendant, control condition), the existence of additional evidence of innocence (o/x), and the existence of judicial directives (o/x). As a result of the study, disgust under the condition of a cruel crime scene with strong physical disgu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exual minority defendant, interpreted the evidence in a more guilty direction, and was more prone to evaluate that the defendant was guilty. It is noteworthy that evidence evaluation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 between disgust and probability of guilt under conditions where the source of disgust was a sexual minority, but not under control conditions and crime scene condition. It means that the effect of disgust on legal judgment may not be direct when the defendant is a sexual minority.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the judicial instruction had a significant inverse effect on the sentence. And simple effect analysis found that presenting judicial instruction lowered probability of guilt only under the control condition. This makes it reasonable to infer that disgust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ime scene and the defendant can be recognized as integral emotions that are difficult to correct with instructions. Finally, pity for the defendant was significantly higher under the conditions of sexual minority which shows that an emotional response of sympathy may occur in addition to disgust for sexual minorities. After examining the nature of disgust (physical & moral), legal judgment according to the source and degree of disgust was reviewed. In addition, the meaning of disgust and sympathy for the sexual minority defendant was discussed.

      • KCI등재

        "혐오의 매혹"-코맥 메카시의『피의 자오선』

        김미현 ( Mie Hyeon Kim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11 미국소설 Vol.18 No.2

        Cormac McCarthy`s Blood Meridian: Or the Evening Redness in the West (1985), opens the American Southwestern frontier after the Mexican-American War (1846-1848) as a space of racial exclusion and ruthless violence. While the work is understood as McCarthy`s most historic novel, McCarthy also presents the border area as a trope for the border of Western civilization and its tension and chaos. Revisiting the first war of American imperialism, McCarthy presents the violence as activated by disgust towards racial others. Disgust like other emotions is connected to perceptions and ideas and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which it makes sense to have the ideas and the emotions. Disgust can be a way of understanding the tension and confusion in the racist movement in American history. However, McCarthy goes further to explore the demented and compulsory violence of the band of killers led by John Glanton and Judge Holden, and shows disgust`s double movement of pulling away and toward. Disgust is a feeling of repugnance and expressed through violent acts of rejection. Disgust proclaims the meanness and inferiority of the object. In this sense, disgust includes the perception of hierarchy and does the work of maintaining it. Concurrently, as William Ian Miller observes, disgusting objects have power to allure. Freud and Kristeva also see the power of allurement inherent in the feeling of disgust, and point out that disgust involves the sense of danger of the unconscious desire or contact with the other within oneself. In this sense, disgust involves the movement of maintaining boundaries of the subject, the conscious, or the culture. Though the Glanton band in McCarthy`s novel begin their journey as Indian hunters for bounty, their act of slaughtering every being they encounter on their way and even those within the band shows the confusion in the border area. The Glanton band`s and Judge Holden`s violence becomes pursuit of continuance rather than verification of a political ideology. The movement of confusion in this work comes down to Judge Holden`s grotesque sexual impulse toward the object who he intends to kill. As the pursuit of continuance through violence erases the boundary between the band and the victims or the self and the other, Judge Holden`s will to domination erases the distinction between desire and rejection. Judge Holden`s example can be understood as the hidden impulse of American racism and further of Western civilization`s movement of settling and resettling boundaries through exclusions. Disgust in this sense can be understood as a mechanism of exclusion and an indication of the confusion inherent in the movement of repressing and censoring.

      • KCI등재

        초등 영재교사들의 해부에 대한 혐오감 수준과 경험, 생물교수효능감,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분석

        김동렬(Dong-Ryeul KIM)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2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4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disgust against anatomy and past experience of anatomy, and find out the effect of the level of disgust on biology teaching self-efficacy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natomy.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72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gifted who participated in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gifte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disgust was higher in those with disgust against anatomy than those without disgust. Secondly, those without disgust had more experience of anatomy in the past than those with disgust. As a negative correlation was clearly found between the level of disgust and past experience of anatomy,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more past experience of anatomy they had, the less disgust they felt against anatomy. Thirdly, those without disgust had more biology teaching self-efficacy after anatomy experiments, so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level of disgust affected the improvement of biology teaching self-efficacy. Lastly, those without disgust were found to aware the importance of anatomy in biology class much more than those with disgust.

      • KCI등재

        혐오의 매혹-코맥 메카시의『피의 자오선』

        김미현 ( Mie Hyeon Kim ) 미국소설학회 2011 미국소설 Vol.18 No.2

        Cormac McCarthy`s Blood Meridian: Or the Evening Redness in the West (1985), opens the American Southwestern frontier after the Mexican-American War (1846-1848) as a space of racial exclusion and ruthless violence. While the work is understood as McCarthy`s most historic novel, McCarthy also presents the border area as a trope for the border of Western civilization and its tension and chaos. Revisiting the first war of American imperialism, McCarthy presents the violence as activated by disgust towards racial others. Disgust like other emotions is connected to perceptions and ideas and to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which it makes sense to have the ideas and the emotions. Disgust can be a way of understanding the tension and confusion in the racist movement in American history. However, McCarthy goes further to explore the demented and compulsory violence of the band of killers led by John Glanton and Judge Holden, and shows disgust`s double movement of pulling away and toward. Disgust is a feeling of repugnance and expressed through violent acts of rejection. Disgust proclaims the meanness and inferiority of the object. In this sense, disgust includes the perception of hierarchy and does the work of maintaining it. Concurrently, as William Ian Miller observes, disgusting objects have power to allure. Freud and Kristeva also see the power of allurement inherent in the feeling of disgust, and point out that disgust involves the sense of danger of the unconscious desire or contact with the other within oneself. In this sense, disgust involves the movement of maintaining boundaries of the subject, the conscious, or the culture. Though the Glanton band in McCarthy`s novel begin their journey as Indian hunters for bounty, their act of slaughtering every being they encounter on their way and even those within the band shows the confusion in the border area. The Glanton band`s and Judge Holden`s violence becomes pursuit of continuance rather than verification of a political ideology. The movement of confusion in this work comes down to Judge Holden`s grotesque sexual impulse toward the object who he intends to kill. As the pursuit of continuance through violence erases the boundary between the band and the victims or the self and the other, Judge Holden`s will to domination erases the distinction between desire and rejection. Judge Holden`s example can be understood as the hidden impulse of American racism and further of Western civilization`s movement of settling and resettling boundaries through exclusions. Disgust in this sense can be understood as a mechanism of exclusion and an indication of the confusion inherent in the movement of repressing and censo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