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thodology Proposal to Estimate Korean ICT Start-ups’ Survival: A Discrete-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 Kyunghoon Kim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9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6 No.3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factors affecting start-ups’ survival, and with predicting their survival probability. A new proportional hazard model is proposed for analyzing the surviv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start-ups. This model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rvival models in their utilization of information about firms’ activities, stemming from the fact that those models manipulate observations only in a continuous-time horizon. A discrete-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is proposed to account exhaustively for firms’ activities within the study period.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discrete-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over a benchmark continuous-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both models are applied to a clinical dataset and their log-likelihood values are compared. The proposed model is found to be better in terms of goodness-of-fit and predictive performance.

      • KCI등재

        Methodology Proposal to Estimate Korean ICT Start-ups’ Survival: A Discrete-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김경훈 정보통신정책학회 2019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6 No.3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factors affecting start-ups’ survival, and with predicting their survival probability. A new proportional hazard model is proposed for analyzing the surviv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start-ups. This model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rvival models in their utilization of information about firms’ activities, stemming from the fact that those models manipulate observations only in a continuous-time horizon. A discrete-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is proposed to account exhaustively for firms’ activities within the study period. To show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discrete-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over a benchmark continuous-time proportional hazard model, both models are applied to a clinical dataset and their log-likelihood values are compared. The proposed model is found to be better in terms of goodness-of-fit and predictive performance.

      • KCI등재

        정부재정지원 노인일자리의 지속성 결정요인

        박경하(Park, Kyung Ha),이현미(Lee, Hyun Mi) 한국사회정책학회 2015 한국사회정책 Vol.22 No.1

        본 연구는 2008~2012년 사이 5년간 운영된 사업단 정보가 담긴 노인일자리사업 DB를 이용하여 생명표 분석(life table analysis)과 사업단 중단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이산시간 위험률 (discrete-time hazard model)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5년차에 이르면 60%의 노인일자리가 소멸되어 일자리의 생존율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일자리의 중단에 미치는 원인을 분석한 결과, 인적요인으로 여성인원이 많은 일자리일수록, 조직요인으로서 복지관이 운영할수록 사업중단 가능성이 낮았다. 사업요인으로는 총사업운영개월수가 길수록, 참여인원이 많을수록 중단 가능성이 낮고, 민간분야 일자리일수록 중단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This study tried life table analysis and estimated discrete-time hazard model in order to find out determinants of the length of work spells using the 5 waves of the Elderly Job Supporting Program database from 2008 to 2012. The survival analysis shows that the survival rate is very low because 60 percent of the work is extinct in the 5th year. In human factors number of females is significant to explain work extinction. In organization factors welfare center has also effect on lowering possibility of work extinction. In business factors, the total length of business performance, number of participants has influences on lowering possibility of work extinction, while work of private area makes possibility higher significantly. Therefore job creating policy for the elderly should be long-term perspective, and consider main factors of work sustainability which is focused on making descent job.

      • KCI등재

        원주민과 이민자의 첫 출산 패턴과 영향 요인 분석

        임지영,우해봉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3

        이민이 인구 문제의 해결 방안 중 하나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이민자의 출산이 어떤 요인들과의 관계 속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결정되고 이루어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규명해야 할 지점이 남아 있다. 이 연구는 원주민과 이민자의 첫 출산 패턴을 분석하여 그 미시적 과정을 알아보고 이민자의 출산에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20% 표본 자료로 이산형 생존분석을 시도하였다. 원주민과 이민자를 통합하여 분석한 모형과 이민자만을 분석한 모형에서 모두 이민자 지위, 혼인 형태, 교육 수준, 출생 코호트 등의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영향을 미쳐 첫 출산의 속도와 최종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통합 모형에서는 혼인 형태, 교육 수준과 출생 코호트 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이민자의 출산 행동이 조정되고 있었고, 이민자 모형에서는 입국 시기를 전후하여 이민자의 첫 출산 위험이 증가하며 출생 국가별로 그 증가의 폭이 달라 거주 기간 역시 첫 출산 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이민자 내부의 이질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 이질성은 그들의 출산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점이 될 것이다.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fertility behavior of native an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We conducted a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with the 2020 census 20% sample microdata to analyze immigrants' first birth patterns and influencing factors. In both the integrated (native and immigrant) model and immigrant models,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immigrant status, marital status, educational attainment, and birth cohort differed in the speed and eventual level of first birth patterns. In the integrated model, the fertility behavior of immigrants was adjusted across education levels and birth cohorts. In the case of the immigrant model, the risk of first birth increased before and after the arrival of the immigrant, and the magnitude of the increase varied by the country of origin, confirming that the length of residence is also a factor influencing the first birth patterns. The analysis reveals heterogeneity within immigrants, which is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ir fertility behavior.

      • KCI등재

        근로빈곤노인의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에 대한 연구: 노인일자리사업에 주는 함의

        지은정(Eun Jeong Ji) 한국사회정책학회 2020 한국사회정책 Vol.27 No.2

        본 논문은 정부가 일하는 복지이자 저소득층의 빈곤감소대책으로 활용하는 노인일자리사업의 적절성과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 노인의 근로빈곤동학을 연구하였다. 자료는 한국복지패널 4~13차(10년)이고 분석은 생명표분석과 이산시간위험분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하는 노인의 빈곤경험률이 76.1%로 매우 높고 지속빈곤율(10년 중 7년 이상)이 51.0%, 분석기간(10년) 중 평균소득이 빈곤선 이하에 놓여 있는 만성빈곤율도 58.4%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노인근로빈곤이 장기화・고착화된 실태를 보여준다. 노인은 일하기 때문에 빈곤을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해도 빈곤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일하지 않는 가난한 노인보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빈곤노인의 빈곤지속기간이 더 길고 고착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금으로 운영되는 사업은 노인 고용률을 높일 수 있어도 노인의 경제상황을 개선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말해준다. 셋째, 근로빈곤의 상태의존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노인 근로빈곤층의 일자리는 시간이 지나도 빈곤을 벗어나기 어려운 질 낮은 일자리인 것을 의미한다. 넷째, 정부의 기대와는 달리 노인일자리사업은 빈곤탈출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일자리사업이 탈빈곤정책도 아니지만, 빈곤탈출의 해법이 되지 못함을 말해준다. 정부는 노인일자리사업의 빈곤감소효과를 강조하기보다 노인일자리사업 본연의 목표인 노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창출하고, 열악한 노인의 근로실태를 개선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 This study examines poverty duration and poverty exit of the working elderly poor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enior job program utilized by the government as a method of workfare and poverty reduction policy. The analysis uses ten waves (2009– 2018)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using by life-time table and discrete time hazard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76.1% of the elderly population experience poverty at least for one year during 10 years. It shows that employment is not a solution to lift old people out of poverty. In addition, the persistent poverty rate is 51.0% and among them, the chronically poor, whose average income per capita over time is below the poverty line, account for 59.4%. This index provides evidence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exit poverty in the short term. Old people are not able to escape poverty even if they are working. It does not mean that old people cannot exit poverty due to a lack of work. Second, poverty duration of old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senior job program is longer than that of the other elderly poor expecially unemployed old people. It indicates that contrary to government expectation, the program is limited in terms of alleviating the poverty rate. Third, even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ere is a state dependency that the likelihood of exiting poverty decreases the longer a person has been poor. This poverty duration dependence may be rooted in the extremely low quality of jobs. Furthermore, unlike the government’s expectation, the senior job program cannot contribute to the exit the poverty due to low job quality, rather, it should endeavor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the program and ensure decent working conditions for older workers in the regular labor market.

      • KCI등재

        근로장애인의 빈곤이력과 빈곤재진입 분석

        심진예,이성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6 장애와 고용 Vol.26 No.2

        Purpose :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poverty profile and thedeterminants of poverty re-entry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Method : Analyses use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Year 1-7). Analysis of poverty profile used the cycle and persistence of wealth and poverty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history poverty. And discrete-time hazard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poverty re-entry of the workers with disabilities. Results : 54.1% of disabled worker housholds have experienced poverty within preceding six years at least once, and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irs poverty history showed poverty types in the following order: persistent poverty, temporary poverty and poverty in cycle. And household charateristics and economic activity factor are the key determinant of poverty re-entr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Implications :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decent job for the disabled need to be increased to reduce poverty. Second, the social safety net needs to be expanded. Third,poverty reduction measures need to be established for the disabled have risk of poverty re-entry. 연구목적: 장애인의 빈곤이력과 빈곤재진입을 동태적으로 분석해 근로장애인의 빈곤문제를 해소하는데 있어 이론적·정책적으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근로장애인의 빈곤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곤이력(poverty profile)을 유형화하였고, 이산시간분석을 통해 빈곤재 진입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장애인은 빈곤에 쉽게 노출되며, 빈곤패턴은지속빈곤, 일시빈곤, 반복빈곤 순으로 빈곤의 만성화와 장기화 위험이 높다. 근로장애인은 종사상지위의 불안정성, 단시간근로, 저소득 등 경제활동요인으로 인해 다시 빈곤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내의 총취업자수도 중요한 요인이다. 결론: 근로장애인의 빈곤재진입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회안전망 내실화, 괜찮은 일자리 창출, 비정규직 및 단시간 근로자의 고용안정화, 비임금근로자의 근로안정 및 소득안정을 위한 지원의 강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을 중심으로

        김성숙,이준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2

        장애인 복지환경의 변화로 장애인의 근로권이 보장되고 장애인의 고용확대 및 취업유지를 위한 사회적 지원이 확대되었지만, 장애인은 여전히 고용시장에서 차별을 경험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 중 3-8차연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사건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 유무는 직업유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일자리에서의 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직업유지 기간이 짧아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의 직업유지를 높이기 위하여 일자리에서의 장애차별 해소를 위한 실제적인 개선방안이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the disabled in the workplace on job retention. The analysed data were for wage workers in the 3-8 year (2010-2015) longitudinal data among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and the analysis method was the event histor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esence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retention of jobs. In other words, the more discriminated in the workplace, the shorter the number of job retention peri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of the disabled.

      • KCI등재

        근로빈곤층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연구

        지은정(Ji Eun-Je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한국사회복지학 Vol.59 No.3

        본 연구는 내부노동시장 및 외부노동시장과 분절된 근로빈곤노동시장의 경로제약성이 취업과 취업의 질에 누적적인 영향을 미쳐, 장기간 근로빈곤노동시장에 머물게 함으로써 근로빈곤탈출을 저해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는지 분석하였다. 자료는 한국노동패널 3~7차이고, 분석방법은 Markov 이행확률과 이산시간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내부노동시장과 외부노동시장 그리고 근로빈곤노동시장의 삼중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근로빈곤유형은 최근으로 올수록 취업빈곤층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 비경활 빈곤층은 점점 증가하여 근로빈곤층의 주된 유형이 되었다. 근본적으로 빈곤층에 대한 노동수요가 부족하며, 빈곤층의 취업자체를 저해하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장벽이 존재함을 볼 수 있다. 회귀분석에서는 근로빈곤노동시장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근로빈곤 이탈률이 감소하였다. 이는 한번 근로빈곤노동시장에 편입되면 그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근로빈곤노동시장 내에서 폐쇄적으로 이동하여, 다시 빈곤으로 연결되는 악순환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근로조건을 보장하는 노동수요 활성화정책과, 근본적인 노동시장구조 개혁 및 빈곤층 노동에 대한 부정적 사회인식과 차별완화 정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of working poor labor market segmented from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labor market affects employment and quality of employment of working poor. It Further examines how path dependency makes working poor to remain in the labor market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escape from a vicious poverty cycle. Data is based on the 3~7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Markov's transition probability and discrete-time hazard analysis a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finds that Korea labor market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primary labor market, the secondary labor market and the working poor labor market. The proportion of employed poor has been reduced, but the proportion of non economically-active working poor has been increased and has become the main group among the working poor. This shows that labor demand of working poor is fundamentally lacking and there are structural barriers that block working poor's employment itsel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longer working poor labor market participation is, the lower poverty-exit rate. This is an evidence of vicious poverty cycle that the poor have little chance to exit from working poor labor market, once they step into it. Therefore, the longer their participation in poor labor market, the more likely they would move only within the closed working poor labor marke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fundamentally reform labor market structure and to alleviate negative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about the poor labor while activating labor demand.

      • KCI우수등재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심진예(Sim, Jiny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의 양상과 빈곤탈출 요인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장애인고용패널조사(1∼6차년도)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율은 전 체 근로빈곤율의 약 3배 정도 높은 수준이며, 장애인 근로빈곤층의 규모는 전체 장애인 빈곤층의 평균 21.4%를 차지해 근로빈곤은 장애인 빈곤의 주요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인구의 단기간의 빈 곤탈출확률은 60%를 넘어서는데 비해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는 54.6%에 그쳐 빈곤탈피가 어려운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요인은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의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나, 취업은 반드시 빈곤의 탈출로 귀결되지 않으며, 근로시간, 종사상 지위 등의 취업의 질이 빈곤탈출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인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장애인의 고용지속성 확보 와 더 나은 일자리로의 상향이동 촉진, 장애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 그리고 사회안전망 내실화가 필요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overty transition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from a dynamic per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Year 1-6), included the households with a disabled head of household. The working poor were defined as the household of which income fell below 120% of the absolute poverty line among the households just described. As results, The 6-year mean poverty rate for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31.4%, approximately three times of the poverty rate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have greater difficulty with poverty exit once having fell into poverty than all households living in poverty. And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activity factor was the key determinant of in-work poverty. In addition, employmen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did not lead straight to poverty exit, and the quality, rather than the status of, employment was the key determinant of poverty exit.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essential to increase decent jobs, expand the social safety ne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and establish poverty reduction measures for each class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to exit from poverty.

      • KCI등재후보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이동에 관한 연구

        최옥금(Choi Ok Geum) 한국노동연구원 2005 노동정책연구 Vol.5 No.1

        경제위기 이후 한국의 빈곤은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특히 노동능력이 없거나 실업상태에 있던 사람이 대부분이었던 이전의 빈곤과는 경제위기 이후에는 고용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곤한 집단인 근로빈곤층이 새롭게 등장했다.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이 빈곤을 탈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이들이 노동시장에서 일한 대가로 받는 임금이며, 이들의 임금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임금률과 노동시간의 상승을 전제로 하는 취업의 질적 향상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6개년도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근로빈곤층과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를 정의하였으며,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 이행률(Hazard rate)을 Kaplan-Meier Method를 통해 분석하고 근로빈곤층의 괜찮은 일자리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영향력을 다변량 생존분석(mutivariate hazard model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분석대상인 652명 중 50명만이 괜찮은 일자리로 이행하였으며, 누적 이행률이채 10%가 되지 않아 근로빈곤층이 괜찮은 일자리로 이행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 빈곤정책의 목표가 ‘고용중점 목표(Work Goal)’에서 ‘소득중점 목표(Income Goal)’로 전환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시사함과 동시에, 일자리 질을 유지ㆍ향상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성을 시사한다.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Korea, the character of Korean poverty has been changed. Notably, many people are working but poor. This study has addressed about that issue and placed the transition of the working poor to decent job. Because the quality of job is a main factor that the working poor is able to escape from poverty and achieve self-support. With regard to the quality of job, a decent job is a means that working poor is able to escape from poverty and achieve self-support. Based on these proportion,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fine the working poor, establish the notion of a decent job, and analyze the working poor's personal characters, labor market's character, and working poor's hazard rate, which shows transition rates to decent job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azard rate of the working poor to decent job has been very low during 5 years. Only 50 of 652 analysing subjects have moved to decent jobs.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that policy of poverty has to changes from 'Work Goal' to 'Income Goal', and An effort is needed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jo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