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고려전기 대료(對遼) 외교문서의 핵심어 연구

        송병우 ( Byung Woo Song ),유영옥 ( Young Og Yu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4

        고려의 對遼 외교문서에는 두 가지 쟁점이 나타난다. 침략당한 고려 소유의 두 성의 반환과 고려의 변칙적 권력 승계의 인가가 그것이었다. 고려에서 보낸 이교문서는 이 두 문제의 성공적 해결을 위한 설득의 장이었다. 전자는 ``宣定兩城``과 ``六使``를 중심으로 설득이 펼쳐졌고, 후자는 ``病``과 ``權守``를 중심으로 설득이 펼쳐졌다. 본고에서 이들 단어를 각각 對遼 외교문서의 핵심어로 상정했다. 이들 핵심언ㄴ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다른 단어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의미를 풍성하게 만든다. 본고가 겨냥한 것이 바로 상호작용하며 생긴 다양한 의미를 드러내려는 것이었다. 한 단어의 의미는 그 단어와 관련된 단어들과 의미적 연쇄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전자의 핵심어 ``宣定兩城``은 계열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侵地``를 통해 무력적인 침략으로 빼앗긴 땅이라는 의미를, 통합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入築``을 통해 거란이 자국 國母의 약속을 저버리고 힘의 논리에 따라 명분 없이 築城한 땅이라는 의미를, 비대칭반의어의 장을 형성하는 ``朝貢``을 통해 조공의 정지와 사신 파견 의례의 중단을 불사할 땅이라는 의미를 부여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화는 두 성에 대한 사회적 호소력을 가시화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외교문서의 목적인 설득의 달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외교문서에는 핵심어의 의미화와 관련성 정도가 약하지만 설득의 달성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이 구비되어 있다. 다양한 수사가 그것이다. 이는 수사의 장을 형성하며 핵심어와 관계를 맺는다. 예컨대 ``推置之恩``이나 ``恩命``은 두 성에 대한 고려의 협상 조건이 실제로 황제의 결정에 달려 있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는 그 결정에서 고려를 배제하고 그 주체로 상국을 내세운 것이다. 이를 통해 상국에 대한 존중을 한껏 표현하고 있다. 또한 후자의 핵심어 가운데 하나인 ``權守``는 계열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假守``, ``代受``, ``代承``, ``傳付`` 등과 통합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熙``·``骨親``·``叔父``, ``軍國``·``宗팽``·``國權``, ``藩務``·``維藩``·``藩之劇務``·``審宣劇任``·``貢獻常程`` 등과 비대칭 반의어의 장을 형성하는 ``父之遺言``, ``家業``, ``忠動``, ``躬迎``, 親迎``, ``推迎``, ``附屬``, ``前王``, 別第``·``장濱``·``永免`` 등과 수사의 장에서 분절된 ``臣子之誠``, ``候末藩胤``, ``聖域濱臣``, ``化包無外``, ``遊於岱嶽`` 등의 어휘를 통해 그 상세한 의미를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Two issues appeared in the diplomatic document toward the Liao (遼) dynasty. One was the restoration of two castles which Koryo (高麗) dynasty. dynasty had owned. Second was Liao`s approval of irregular power transition in Koryo. The diplomatic documents sent by Koryo dynasty were a field of persuasions for solving these two issues. The former were persuasions focused on ``宣定兩城`` and ``六使``, the latter were persuasions focused on ``病`` and ``權守``. We assumed that these words are keywords in the diplomatic documents sent to the Liao dynasty. These keywords enrich their own meanings while interacting with other words that surround themselves. This study shows diverse meanings of the keywards interplaying with other words, because a meaning of a word is formed through a semantic chain with other words. Therefore the keyword ``宣定兩城`` acquires the meaning of the land deprived by an armed aggression through the word ``侵地`` which belongs to a field of paradigm, the meaning of the land on which the castle built without justification, breaking the promise of the mother of the state, according to the logic of force through the word ``入築``which belongs to a field of symtagm, and the meaning of the land to stop bringing a tribute and to break off a dispatch of envoys through the word ``朝貢``which belongs to a field of asymmetrical antonyms. These significations can show visible signs of social appeal about the two castles; however they cannot guarantee the achievement of persuasion as a purpose of the diplomatic document. There is another method for the achievement of persuasion that doesn`t have much relevance to the signification of keywords. That is many types of rhetoric. That has a relation with a keyword through making a field of rhetoric. For example, ``推置之恩``and ``恩命``show that negotiating conditions of Koryo about two castles actually depend on a decision of the emperor. Koryo dynasty makes Khitan(契丹) a principal and Koryo a subordinate. Koryo dynasty shows a respect to Khitan as much as their like.Of course, the rhetoric superficially produces a meaning to praise the emperor and to pay regard to Khitan; on the other hand, it produces a meaning to block a diplomatic dispute over little country by making an image of modest Koryo. The rhetoric is not inseverable relations with a keyword, but the essence of a semantic chain centered at the keywords.

      • KCI등재

        고려전기 對遼 외교문서의 핵심어 연구

        송병우,유영옥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4

        Two issues appeared in the diplomatic document toward the Liao(遼) dynasty. One was the restoration of two castles which Koryo(高麗) dynasty had owned. Second was Liao’s approval of irregular power transition in Koryo. The diplomatic documents sent by Koryo dynasty were a field of persuasions for solving these two issues. The former were persuasions focused on ‘宣定兩城’ and ‘六使’, the latter were persuasions focused on ‘病’ and ‘權守’. We assumed that these words are keywords in the diplomatic documents sent to the Liao dynasty. These keywords enrich their own meanings while interacting with other words that surround themselves. This study shows diverse meanings of the keywards interplaying with other words, because a meaning of a word is formed through a semantic chain with other words. Therefore the keyword ‘宣定兩城’ acquires the meaning of the land deprived by an armed aggression through the word ‘侵地’ which belongs to a field of paradigm, the meaning of the land on which the castle built without justification, breaking the promise of the mother of the state, according to the logic of force through the word ‘入築’ which belongs to a field of symtagm, and the meaning of the land to stop bringing a tribute and to break off a dispatch of envoys through the word ‘朝貢’ which belongs to a field of asymmetrical antonyms. These significations can show visible signs of social appeal about the two castles; however they cannot guarantee the achievement of persuasion as a purpose of the diplomatic document. There is another method for the achievement of persuasion that doesn’t have much relevance to the signification of keywords. That is many types of rhetoric. That has a relation with a keyword through making a field of rhetoric. For example, ‘推置之恩’ and ‘恩命’ show that negotiating conditions of Koryo about two castles actually depend on a decision of the emperor. Koryo dynasty makes Khitan(契丹) a principal and Koryo a subordinate. Koryo dynasty shows a respect to Khitan as much as their like. Of course, the rhetoric superficially produces a meaning to praise the emperor and to pay regard to Khitan; on the other hand, it produces a meaning to block a diplomatic dispute over little country by making an image of modest Koryo. The rhetoric is not inseverable relations with a keyword, but the essence of a semantic chain centered at the keywords. 고려의 對遼 외교문서에는 두 가지 쟁점이 나타난다. 침략당한 고려 소유의 두 성의 반환과 고려의 변칙적 권력 승계의 인가가 그것이었다. 고려에서 보낸 외교문서는 이 두 문제의 성공적 해결을 위한 설득의 장이었다. 전자는 ‘宣定兩城’과 ‘六使’를 중심으로 설득이 펼쳐졌고, 후자는 ‘病’과 ‘權守’를 중심으로 설득이 펼쳐졌다. 본고에서 이들 단어를 각각 對遼 외교문서의 핵심어로 상정했다. 이들 핵심어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다른 단어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의미를 풍성하게 만든다. 본고가 겨냥한 것이 바로 상호작용하며 생긴 다양한 의미를 드러내려는 것이었다. 한 단어의 의미는 그 단어와 관련된 단어들과 의미적 연쇄를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전자의 핵심어 ‘宣定兩城’은 계열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侵地’를 통해 무력적인 침략으로 빼앗긴 땅이라는 의미를, 통합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入築’을 통해 거란이 자국 國母의 약속을 저버리고 힘의 논리에 따라 명분 없이 築城한 땅이라는 의미를, 비대칭반의어의 장을 형성하는 ‘朝貢’을 통해 조공의 정지와 사신 파견 의례의 중단을 불사할 땅이라는 의미를 부여받는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화는 두 성에 대한 사회적 호소력을 가시화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외교문서의 목적인 설득의 달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외교문서에는 핵심어의 의미화와 관련성 정도가 약하지만 설득의 달성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이 구비되어 있다. 다양한 수사가 그것이다. 이는 수사의 장을 형성하며 핵심어와 관계를 맺는다. 예컨대 ‘推置之恩’이나 ‘恩命’은 두 성에 대한 고려의 협상 조건이 실제로 황제의 결정에 달려 있는 것임을 나타낸다. 이는 그 결정에서 고려를 배제하고 그 주체로 상국을 내세운 것이다. 이를 통해 상국에 대한 존중을 한껏 표현하고 있다. 또한 후자의 핵심어 가운데 하나인 ‘權守’는 계열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假守’, ‘代受’, ‘代承’, ‘傳付’ 등과 통합관계의 장을 형성하는 ‘熙’ㆍ‘骨親‘’ㆍ‘叔父’, ‘軍國’ㆍ‘宗祊’ㆍ‘國權’, ‘藩務’ㆍ‘維藩’ㆍ‘藩之劇務’ㆍ‘蕃宣劇任’ㆍ‘貢獻常程’ 등과 비대칭 반의어의 장을 형성하는 ‘父之遺言’, ‘家業’, ‘忠勤’, ‘躬迎’, ‘親迎’, ‘推延’ㆍ‘附屬’, ‘前王’, 別第’ㆍ‘漳濱’ㆍ‘永免’ 등과 수사의 장에서 분절된 ‘臣子之誠’, ‘候藩末胤’, ‘聖域濱臣’, ‘化包無外’, ‘遊於岱嶽’ 등의 어휘를 통해 그 상세한 의미를 부여받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The Value of Quantitative Analysis of Diplomatic Rhetoric i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Research - An Example of Chinese Diplomatic Rhetoric Toward South Korea

        PAN BINBIN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4

        외교사령(外交辭令)은 국가 간 교류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국제정치경제학적 연구가치를 지닌다. 이 글은 외교사령의 정량적 분석으로 국제정치경제학의 현상과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글은 중국의 대(對)한국 외교사령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발견한 한중 양국의 정치 및 경제교류 과정에서 나타나는 흥미로운 정치경제학적 현상을 찾아내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중국의 대(對)한국 외교 이행 과정을 분석한 결과 중국 정부는 국익의 따른 이성적 판단 원칙에 근거하여 시기별로 다른 대(對)한국 외교정책 취향을 갖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는 국가 경제발전에 대한 이익 추구와 국가안보에 대한 이익추구가 상호간에 상반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는 중국의 국가안보 이익에 대한 선호도와 일부 수출입 품목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볼수 있다. 즉, 한중 경제 무역교류 과정에서 국가 외교정책 선호도는 대체 가능성이 높은 무역 품목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체 가능성이 낮은 품목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외교사령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된 회귀모형을 통해 중국의 대(對)한국 외교사령은 한중관계의 좋고 나쁨의 수 준을 예측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중국이 본국의 국가안보 이익을 추구할 시기에는 한중관계가 좋지 않으며, 그 반대의 경우 한중관계는 호전되었다. 중국 정부의 경제이익 선호는 한중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실례분석을 통해 외교사령의 정량분석이 국제정치경제학의 현상과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있어 활용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재현성이라는 특징도 가지고 있으며, 국제정치경제학을 연구할 때 널리 보급할 수 있는 현실적인 의미가 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Diplomatic rhetoric is an essential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and is important in studying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is paper uses quantitative analysis of diplomatic rhetoric to investigate and interpret the phenomena and issues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aking Chinese diplomatic rhetoric toward South Korea as an example, this paper reveals interesting political economy phenomena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exchang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Firstly, in its diplomacy with Korea, the Chinese government presents different foreign policy orientations toward South Korea at different tim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rational judgment of national interests. The preference for development interests and the preference for survival interests, in particular, are opposed. Secondly, this study discovers a link between Chinas survival interest preference and the growth rate of certain import and export commodity categories. National policy preferences are highly correlated with commodities with high substitutability and low correlated with commodities that are difficult to substitute in economic and trade interactions. Finally, this article indicates that the diplomatic rhetoric of China toward South Korea can predict the relationship scor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using the regression model developed from the diplomatic rhetoric data. In other words, the China-South Korea relationship score is primarily determined by the Chinese governments choices for security-related foreign policy, and it is not directly impacted by its preferences for development-related foreign policy. Through the example analysis, this paper argues that quantitative analysis of diplomatic rhetoric is not only operable but also replicable. Therefore, it has generalizable relevance in the study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 KCI등재후보

        外交修辞、话语框定与南海争端中的强制外交

        曹德军 ( Cao¸ Dejun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1 중국사회과학논총 Vol.3 No.2

        作为和平崛起大国, 中国在南海争端中的维权与维稳, 都会受到其他声索国的外交修辞约束。当中国采取强制外交时, 南海声索国会采取负面形象锚定策略, 对中国强势行为进行污名化叙事; 作为回应, 中国尽量克制使用武力, 并进行 “去安全化”修辞, 淡化冲突色彩。而当中国在争端中保持了克制, 东南亚声索国 则会积极赞赏中国的善意, 通过正向的修辞诱导强化中国和平承诺的约束力。为了平衡维权与维稳关系, 中国则进行“再框定”修辞, 提醒声索国尊重中国的历史性权利与大国地位, 共同营造区域合作的友好氛围。外交修辞的约束机制为理解中国强制外交提供了新的视角。 As a peacefully rising power, China’s enforcement of defending rights in the South China Seais often subject to diplomatic rhetorical pressure from international audiences. When China adopted coercive diplomacy, the South China Sea claimants will adopt a negative image anchoring strategy to stigmatize China’s crisis behavior. In response, China tried to restrain the use of force, and projected “de-securization” rhetoric to downplay conflict. Whereas Southeast Asian claimants will actively appreciate China’s goodwill and use positive rhetoric to induce and strengthen China’s peace commitmentswhen China exercises restraint in disputes. In order to bal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guarding sovereign interests and maintaining overall peace, China has to “reframe” China’s historic rights and jointly create a friendly atmosphere of regional cooperation.Understanding the restraint mechanism of diplomatic rhetoric can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analyzing China’s compulsory diplomacy.

      • KCI등재

        Chinese Leaders’ Diplomatic Rhetoric and its Power

        정다훈,김근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5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39

        Why have Chinese leaders made speeches by quoting numerous poems and classics to express their meanings? What functions and roles does this unique Chinese diplomatic rhetoric called ‘Poetry diplomacy’ play? Starting from this critical awarenes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Xi’s ‘humanistic leadership’ era and Chinese ‘soft power’ by investigating ‘poetry diplomacy’ as diplomatic rhetoric and analyzing quotations from classics in the Xi’s speech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mmarizes who the Chinese are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and looks into the directing point of China’s soft power policies. Then, the study examines cases of Chinese leaders’ poetry diplomacy and states Xi’s humanistic diplomacy through analysis on ‘Xi Jinping’s Quotations from Classics’ in detail.

      • KCI등재

        Name-callings in US-North Korea Diplomatic Rhetoric

        곽중철 한국번역학회 2008 번역학연구 Vol.9 No.2

        On May 31, 2005, President Bush called the north Korean leader as 'Mr. Kim Jong-il', when he reiterated his intention to resolve the North's nuclear development plan through the 6-party talks. His first-ever honorific for Kim was noted by North Korea and the rest of the world. On June 17, Kim proposed to call Bush with the honorific, 'His Excellency' and expressed his favorable feeling about the American leader. On June 28, the whole north Korean spectators stood up to the American national anthem in a Pyonyang gymnasium and on July 26, and the long-delayed 6-party talks was resumed in Beijing during which the American chief delegate called the north's leader 'Chairman Kim'. On September 19, during the second round of the 4th talks, a joint communique was issued, with the north‘s commitment to abandoning all its nuclear arms and existing nuclear development plan. It was about 110 days after Bush uttered 'Mr. Kim Jong-il'. You may well observe that changing diplomatic situation naturally produce changing name-callings between the two countries, but we could also say that the short honorific help produce the dramatic turn-about of the difficult negotiations. Unfortunately, however, that the positive name-calling effect seemed to end in 2005. From the beginning of 2006, the illegal financial problem of North Korea(Banco Delta Asia savings) seemed to scrap all the positive effects of name-calling in 2005. In 2006, North Korea test-fired a missile in July and a nuclear bomb in October. In the meantime, the U.S. and North Korea did not exchange any name-calling until President Bush said that he can meet with 'Chairman Kim' in November, 2006. His last try to call Kim Jong-il Chairman seemed to have little effect since the U.S. had very hard time inducing North Korea to an agreement during the 5th 6-party talks in February, 2007. On March 25, 2008, Bush reportedly said, in his probably last naming of Kim, "When I was inaugurated as President in 2001, he was like a child who throws down the food in order to draw attention."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name-callings and changing situations in international diplomacy. When the situation seems to improve, positive name-callings could well accelerate the trend but there should be a limit in the case of a long and difficult relationship like the US and North Korea. Translations of changing name-callings are all the more difficult because they are uttered by high-ranking officials in their speeches of crisis rhetoric which are broadcast live by TV in a short moment since names are usually very short. In this context, translators' understanding of name-calling as a propaganda device in perception and language issues in the mass media could help them properly and promptly convey its shade of meaning into another language.

      • KCI등재

        고려시대 외교문서의 양상과 수사학

        송병우(Song, Byung-wo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본고는 󰡔고려사󰡕 소재 외교문서를 개괄한 것이다. 아울러 형식적 양상과 수사학적 분석의 틀을 제시하려는 시론이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외교문서는 모두 204건이고, 고려왕조에서 받은 것은 289건이다. 고려왕조에서 대부분 중국의 여러 왕조로 외교문서를 발송했다. 그러나 일본국에 보낸 문서가 3건 나타난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도 대부분은 중국 왕조들의 것이지만, 일본과 태국에서 보낸 것도 있었다. 고려왕조에서 발송한 문서는 ‘표(表)’, ‘서(書)’, ‘주(奏)’, ‘첩(牒)’, ‘자(咨)’, ‘기타’, ‘전(箋)’, ‘신(申)’, ‘장(狀)’의 형식을 띤다. 고려왕조에서 받은 문서는 ‘조(詔)’, ‘첩(牒)’, ‘칙(勅)’, ‘책(冊)’, ‘서(書)’, ‘자(咨)’, ‘문(文)’, ‘록(錄)’, ‘명(命)’, ‘관고(官告)’, ‘제(制)’, ‘책(策)’, ‘관자(關子)’, ‘고신(告身)’, ‘주(奏)’, ‘표(表)’의 형식을 띤다. 외교문서를 분석할 수 있는 수사학적 틀로 제시할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교문서의 유형이다. 그것은 ‘칭찬’, ‘권유’, ‘변호’로 대별할 수 있는데, 외교문서에서 사용되는 논거를 보여준다. 둘째 외교문서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치는 문채적 특징이 있다. 이는 문서에 나타난 표현의 방법과 관련되는데 외교에서 설득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이성적 의사소통과 감성적 의사소통이다. 이성적 의사소통에서는 논거와 논증 형식이 중요하고, 감성적 의사소통에서는 ‘호감’의 획득이 중요하다. 물론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이 두 방식의 조화로움이다. 넷째, 외교문서의 구조, 즉 문장 구성방식이다. 문서의 구성 형식은 문학적인 아름다움과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득의 효율성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This paper is to survey the diplomatic documents in the Koryo History and to suggest a frame for a rhetorical analysis of those documents. The number of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had sent to neighboring countries are 204 items and Koryo had been recieved 289 items from them. The Koryo dynasty sent mostly documents to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to send to Japan. Also the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are mainly those of Chinese dynasties, but there were three items of other countries: two of Japan and one of Thailand. There are the genres of ‘表’, ‘書’, ‘奏’, ‘牒’, ‘咨’, ‘箋’, ‘申’, ‘狀’ and ‘the rest’ in the diplomatic documents that Koryo dynasty send to. There are the genres of ‘詔’, ‘牒’, ‘勅’, ‘冊’, ‘書’, ‘咨’, ‘文’, ‘錄’, ‘命’, ‘官告’, ‘制’, ‘策’, ‘關子’, ‘告身’, ‘奏’, and ‘表’ in what Koryo dynasty was received from. The rhetorical frameworks to be able to analyze documents are as follows. Frist, it is a types of the documents. This types are categorized as three kinds: praise, invitation, and defense. This three types show an argument in documents. Second, it is expressive means contributing to persuasion shown in documents. Third, it is a method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n the former, argument and argumentation are very important and in the latter it is very important to get a favorable impression. Undoubtedly, a harmony of the two factors of rational and sensitive communications is the most important things for good documents. Finally, it is a structure of document contributing to persuasion. A structure of the documents is related not only to beauty of a literature but also to effective persuasion.

      • KCI우수등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외교연설 중 중국 전통사상 인용(引用)의 수사 오류 분석

        박병석(PARK Byoung Seok) 한국정치학회 2015 한국정치학회보 Vol.49 No.4

        이 글은 2013년 3월 14일 시진핑(習近平)이 중국 국가주석에 취임한 이래 2013년 3월 23일 러시아 모스크바 연설부터 2015년 4월 22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연설까지 진행한 20차례의 외교연설 중 중국 전통사상 인용의 수사 오류를 분석한 것이다. 시진핑 주석의 외교연설에서 본인이 주장한 국제관계 기본준칙 중 평화(和平)와 평등(平等)을 사용한 횟수를 비교하면 ‘평화’(和平) 개념은 20차례 외교연설 중 298회, ‘평등’ 개념은 44회 나오는 심각한 불균형을 보였다. 시 주석은 “중화민족은 예로부터 평화를 애호하는 민족이며, 중화문화는 화해(和諧)를 숭상한다.”고 주장하면서, 이를 중국 전통사상 인용을 통해 증명하고자 했다. 시 주석은 20차례 외교연설에서 중국 전통사상을 총 158개, 회당 약 8개의 전통사상을 인용하였다. 시 주석의 중국 전통사상 인용은 수사학의 ‘권위 논증’ 방법을 동원한 것으로서, 전통사상을 지나치게 인용하는 ‘과잉 인용’(excessive quotations)의 오류와 ‘강조의 오류’(强調的謬誤, fallacy of accent)에 빠졌는데, 이는 결국 ‘권위 남용의 오류’에 해당한다고 본다. 자국 고전의 ‘과잉 인용’으로 타국인에게 자신의 의사를 표명하는 것은 일방적인 주장 또는 상대방에 대한 강요라는 ‘의도’ 혐의를 벗어나기 어렵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rhetoric fallacy inspired by traditional Chinese proverbs in the 20 speeches Chinese President Xi Jinping has delivered to foreign audiences since his inauguration - from a speech in Moscow on March 14, 2013, to a speech in Jakarta on April 22, 2015. In these speeches, references to the concept “peace” are not balanced by references to the concept “equality.” In the 20 speeches, President Xi mentioned “peace” 298 times, but “equality” only 44 times. Quoting traditional Chinese thoughts, President Xi constantly claimed that “The Chinese nation is a peace-loving nation, and the Chinese culture values harmony.” He quoted 158 traditional thoughts in the speeches - nearly eight mentions per speech. Xi Jinping’s use of traditional Chinese thoughts amounts to “argument from authority,” which makes him guilty of the “fallacy of abuse of authority” through excessive reliance on quotations and “fallacy of accent.”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suspicion that he expressed his intentions through “excessive quotations” and unilaterally forced his ideas on foreign audience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표전(表箋) 연구(2) -수사적 전략을 중심으로

        이은영 ( Yun Young Lee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2 한국고전연구 Vol.0 No.26

        본고는 조선시대 대명(對明)·대청(對淸) 관계에서 지어졌던 외교문서인 표 전(表 箋)의 작품 분석을 통해 명분의 논리와 중화주의 세계관을 토대로 사대(事大)의 내용을 담으면서도 국익과 실리라고 하는 현실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 어떤 수사적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지 살폈다. 개 국초부터 표 전을 둘러싸고 명과 갈등을 빚었던 조선은 명나라에서 제시한 표전 식(表箋 式)을 최대한 수용하되, 전달과 설득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서술 전략을 구사하였다. 구성에 있어서 통상적 성격이 강한 사은 표(謝恩 表)와 하 표(賀 表)는 주제를 전면에 배치하여 경하(敬賀)와 칭송(稱頌)의 의미를 크게 부각시켰고, 특별한 사정을 담아 명이나 청을 설득해야 했던 청 표(請 表)의 경우는 의론(議論) 형식을 활용하여 논리성과 설득력을 먼저 확보한 후, 주제를 후면에 배치하였다. 많이 말하는 것이 오히려 실례가 될 수 있는 진위 표(鎭 慰 表)의 경우에는 최대한 짧은 문장으로 글을 지었다. 표현 역시 목적과 상황에 따라 전략을 달리하였다. 정례적 사은 표나 하 표의 경우 미사여구와 대우, 전고를 활용한 정제된 변체(騈體) 형식으로 상대를 기쁘게 하고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주력하였다면, 갈등 상황에서 조선의 입장을 호소하거나 소통과 공감을 유도하여 원하던 외교 목표를 얻어내야 했던 청 표(請 表)와 몇몇 사은 표(謝恩 表)에서는 산 체(散 體)를 활용, 진정성과 절실함을 전달하였다. 그러나 구체적 묘사를 배제하고 추상화 이념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하여 특정대상에 대한 아유(阿諛)보다는 태평성세를 지속시키고 세계의 백성들을 보살펴야 하는 천자 국의 자소(字小)의 책무가 사대(事大)와 이념과 함께 드러나게 하였다. 문형(文衡)의 이름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공들여 지어졌던 표 전은 중국 중심의 세계 질서 속에서 정책적으로 사대(事大)를 택한 대신, 글을 통해 국익과 국가적 자존심을 보존하고 명분과 실리 사이의 균형을 모색했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역대 평자들은 “아름다우면서도 절실한 것[婉而切]”을 잘된 표 전의 조건으로 꼽았거니와 어휘 선정에서부터 문구의 배치, 수사에 이르기까지 세심하게 검토하여 ‘아름다운’ 글을 이루고자 했고,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최대한 논리적이면서 설득력 있게 구사하여 ‘절실함’에 이르고자 했던 조선시대 표 전은 문학성 측면에서도 가치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본다. This study examined Pyojeons, the diplomatic documents in the relation with Ming and Ching during the Jose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rhetorical strategy to create a realistic effect of national interest and practical interests based on the logic of justification and the Sino-centric world view. Joseon had a conflict with Ming regarding the Pyojeons from its initial stage of founding a country. Thus, Joseon accepted the format of the Pyojeons suggested by Ming to the possible extent, but attempted to describe it in order to maximize an effect of delivery and persuasion. For Saeunpyo and Hapyo, which had strong commercial characteristics in its structure, it displayed the main theme in the front to emboss the respect and compliment. On the other hand, as for Cheongpyo, which was used to persuade Ching with special reasons, it secured logic and persuasion by using discussion type and displayed the main theme in the latter part. Jinwipyo, in which excessive wordings might be improper, was composed with short sentences. The expression had varied strategies by purposes and conditions. While regular Saeunpyo or Hapyo focused on making the counterpart to be pleased and keeping stable relation in the form of Byeongryeomun, Cheongpyo or Saeunpyo, which was intended to plea the position of Joseon in the conflict situations or to gain diplomatic goals by attracting communication and sympathy, employed a prose style to deliver truthfulness and desperate sense. However, detailed description was excluded but abstract ideological pattern was employed in order to express the duty of the superior country along with the submission and ideology while sustaining peaceful worldrather than to make a reckless respect to a specific object. The Pyojeon, which was devised with meticulous efforts by the country in the name of prose type, was an important resources to demonstrate Joseon`s effort to seek balance between justification and practical interests keeping national interest and pride in writings even though Joseon had to opt submission policy in the Sinocentric world order. The critics of the Pyojeons have argued that “Beauty and desperate [Wanijeol]” are the conditions of good Pyojeons. Thus, vocabularies, display of sentences and rhetorical expression were meticulously reviewed in order to make a ``beautiful`` writing, and the ``desperate`` sense was attempted to be achieved by logical and persuasive expression. Thus, it might be proper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Pyojeons in Joseon in terms of literary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