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가상현실

        장영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7 한국문학연구 Vol.0 No.54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Humanities and the ways of improving our participation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I am a digital humanities scholar as well as a literary researcher: I work on the computer most of time while I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Even if most humanities scholars rely on the computer devices and their system when they conduct a research project or write academic papers, they do not realize that their research activities fall into the category of Digit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is not about using digital tools as a means to reconstruct our knowledge, but it is an effort to build new academic communities that transcend boundaries between different academic fields through the trans-disciplinary perspective. Therefore, Digital Humanities can be defined as a concept that refers to a series of academic activities, such as research activities in Humanities and its education, in the new way by applying the computer (information) technology to the problems of the humanities field,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is process is the consilience and collaboration of digital and humanities. The digital environment has the advantage of enhancing the sense of immersion and the vicarious experience of the user, but it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small room for the reader's imagination. The sense of immersion and joy the users experience in the digital environment are not a direct experience of the reality but a vicarious experience (agency) in the virtual reality. It is different from the term substitute behavior because the user is participating in the internet game, and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direct experience because the game is built in the virtual space. The problem that digital game users who are deeply involved in the game that offers the sense of full immersion and vicarious experience (agency) show the anti-social behaviors in the real world should be addressed. Humanities scholars who are doing the creative and productive works must be the main body of consilience and collaboration of Digital Humanities. Human imagination is more valuable than the sensation we experience when we look at the shocking images produced by ever-evolving computer technology. It is hard to disagree that humanities are the crucial academic field that can enhance human imagination. 이 글은 디지털 인문학의 특질과 앞으로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쓴다. 나는 국문학 연구가로서 컴퓨터로 많은 작업을 하는 디지털 인문학자다. 대부분의 인문학자들이 컴퓨터 기기 및 시스템에 의존해 연구하고 글을 쓰면서도 자신의 연구 활동이 디지털 인문학의 범주에 속한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디지털인문학은 단순히 디지털 도구를 학문과 지식의 재구성을 위해 동원하는 수단이 아니라 초학제적(transdisciplinary)으로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학문 공동체를 구성하려는 노력이다. 그러므로 디지털인문학은 컴퓨터(정보) 기술을 인문학 분야의 문제에 적용시켜 새로운 방식으로 인문학 연구와 교육 등 일련의 학문적 활동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디지털과 인문학의 융합과 협업이다. 디지털 환경은 체험자의 몰입(immersion)과 대리체험(agency)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독서할 때의 자유로운 상상(imagination)이 방해받는 단점이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몰입과 즐거움은 현실의 직접 체험이 아니라 가상현실에서의 대리체험이며, 그것은 이용자가 인터넷 게임에 참여하는 형식이어서 대리만족(대상행동, substitute behavior)과 구별되는 것 같지만, 게임 공간이 실제 현실이 아니라 가상현실이라는 점에서 직접체험과 다르다. 디지털 게임 이용자가 게임에 깊이 빠져들수록 현실부적응 행태를 보이는 것은 가상체험의 몰입, 대리체험이 해결해야 할 숙제다. 인문학자가 디지털 인문학의 융합․협업의 주체가 되어야 생산적이고 창의적인 새로운 작업이 가능하다. 갈수록 진화하는 컴퓨터 기술이 재현할 시각적 이미지의 화려한 충격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상상력’을 저하시키기 않는 일이다. 인문학이 인간의 상상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유력한 학문분야라는 점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류인태 ( Ryu In-tae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쉬운 점은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별개로, 실제 국내에서 이루어졌거나 또는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가 매우 적다는 사실이다. 최근 국내에서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개념에 대한 담론은 많이 형성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구체적 방법론이 무엇인지 그 실제(實際)에 대한 논의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현실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 특히 고전 자료 또는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한 인문학 연구의 경우, 텍스트로부터 데이터를 풍부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서 진행되었거나 또는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또한 찾아보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본격적으로 활용한 국내의 연구 사례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의 연구가 안고 있는 학술적 맥락이 무엇인지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당장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가장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은, 기존 연구 사례가 무엇인지에 대한 소개와 개별사례에 대한 귀납적 검토이다. 각각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기초적 문제의식과 연구 과정에 적용된 디지털 기술 그리고 구현된 결과물이 갖추고 있는 디지털 형식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파악된다면,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것이다. 실제로 본고에서 정리한 9가지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는 각각이 다른 형식의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면서도 유사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였거나 또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등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의 차원에서 비교 대조하여 참고할만한 지점이 매우 많다. As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has continued to grow largely across the world since the mid 2000s, there also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spite of the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t is disappointing that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discourse about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but the fact that discussions on what is the specific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have not been active is deeply related to this realistic situation. In fact,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refore, in order t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and to avoid embracing imprudent opinions, we have to approach cautiously so as to remove abstractness from discussions on digital humanities. With this as consideration, it is necessary to epitomize humanities researches in Korea that uses digital platforms in earnest. There are nine cases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in this paper. Though each case has its own object that distinguishes one case from another cases, digital platforms that they are based on are very similar to one another's. Web Ontology Language, Network Graph Visualization and Media WikiTM are the examples. It's likely that scholars and researchers who want to study digital humanities can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by reading the cases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국내 디지털인문학 정책 수립을 위한 제언

        김민규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1

        Digital humanities are forming a big trend. In the United States and France and overseas, the Digital Humanities Support Policy is being implemented to activate digital humanities such as building infrastructures. In Korea, the policies are somewhat inferior to the various activities of digital humanities. Although there is a project to support digital humanities, the digital humanities policy in Korea is set as a part of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In the sense that the humanities promotion policy is a policy response to the social atmosphere that is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he digital humanities support project is also in that context. In other words, digital humanities are recognized as an effective way of proving the social utility of humanities rather than approaching new research trends. In order for th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to evolve furth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iscourse on digital humanities and establish more active polic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digital humanities polic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policy status of digital humanities, to map digital humanities, to diversify support projects, to reconceptualize the digital humanities infrastructure, and to secure separate organizations and resources. 국내외에서 디지털인문학은 하나의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미국과 프랑스 등해외에서는 인프라 구축 등 디지털인문학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인문학 지원 정책을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디지털인문학의 다양한 활동에 비해 정책은 다소 미흡하다.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지원 사업은 있지만, 해외에서는 디지털인문학을 별도의정책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과 달리 국내 디지털인문학 정책은 인문학 진흥정책의 일환으로 설정되어 있다. 인문학 진흥 정책이 인문학의 위기라는 사회적분위기에 대한 정책적 대응이라는 점에서 디지털인문학 지원 사업도 그 맥락 하에있다고 하겠다. 즉 디지털인문학을 새로운 연구 경향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인문학의사회적 효용성을 증명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국내 디지털인문학이 한층 더 진화하기 위해서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담론 확대와 함께 보다 적극적인정책 수립이 요구된다. 디지털인문학 정책의 수립을 위해서 디지털인문학의 정책적위상 제고, 디지털인문학의 매핑, 지원 사업의 다양화, 디지털인문학 인프라의 재개념화, 별도의 조직과 재원의 확보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

        김현(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인문콘텐츠학계와 전통적인 인문학계가 공동으로 관심으로 가져야 할 과제로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의 가능성에 주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디지털 인문학이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수행하는 인문학 연구와 교육, 그리고 이와 관계된 창조적인 저작활동을 지칭하는 말이다. 이것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주제를 계승하면서 연구 방법면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연구, 그리고 예전에는 가능하지 않았지만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시도할 수 있게 된 새로운 성격의 인문학 연구를 포함한다. 순수 인문학의 입장에서 보면 디지털 인문학은 인문지식의 사회적 확산을 돕는 길이고, 인문콘텐츠학의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문화산업에 응용할 방대한 인문학 지식을 가장 효과적으로 획득하는 방법을 마련하는 일이다. 미국과 유럽, 심지어는 가까운 일본과 대만의 상황을 보더라도 디지털 인문학의 육성은 범인문학계(인문학+인문콘텐츠학)의 자연스러운 발전 궤도상에 있는 과제이다. 인문콘텐츠학이 디지털 인문학을 수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문화콘텐츠학과에서 배출하는 인력의 일부를 인문정보기술의 운용 능력을 갖춘 지식코디네이터로 육성하는 일이다. 이들은 인문지식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뿐 아니라 그곳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디지털 콘텐츠로 조직화하는 정보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는 사람들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전문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 현실에서 대학마다 독립적으로 이 분야의 정규 교과 과정을 운영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학회 차원에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교육 기회를 마련한다면, 소수의 교수 인력만 가지고도 다수에게 그 지식을 전달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argue that a cooperation is necessary between the fields of humanities contents and traditional humanities in exploring the potential of digit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refers to all new types of humanities research, education, and creative projects enabl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he definition is not limited to stud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topic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search method; but it also includes completely new forms of humanities research realized by the use of computers. Digital humanities can be beneficial to both humanities and cultural contents.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studies, digital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a wide dissemin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in society; for cultural contents, digital humanities will provide the most efficient medium to acquire humanities knowledge for application in the cultural industry. In order for the cultural contents to contain digital humanities, I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s of the cultural contents departments should train some of their stud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to raise them as humanities knowledge coordinators. These coordinators should be equipped with not only the basic humanities knowledge, but also the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to systemize the knowledge into digital contents. In case of Korea, where there is a shortage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digital humanities, it is difficult for colleges to independently run digital humanities programs. But with open educational opportunities such as Digital Humanities Conference, it will be possible with just a few human resources to distribute knowledge and ideas to a large audience.

      • KCI등재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홍정욱(Hong, Jung-Wook),김기덕(Kim, Ki-Duk)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본 글은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된 2014년 세계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Digital Humanities 2014)를 소개하고,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이 학술대회의 주제는 ‘디지털 문화의 역량강화’(Digital Cultural Empowerment) 였는데, 이는 인문학 입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다양한 접목을 통해 디지털문화의 역량 강화를 모색한 것이다. 결국 이것은 ‘디지털기술’에 방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 에 방점이 있는 것이다. 본 대회는 총 223편의 논문발표와 115편의 포스터가 있었고, 학술대회 참여자 명단에는 총 873명의 저자들이 이름을 올렸다. 기조연설이 4편 있었는데, 특히 부르노 라투르(Bruno Latour)의 연설 (Remateri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디지털 발전으로 인한 인문학의 재탄생)이 주목되었다. 그는 디지털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일반적 오류를 지적하면서, 디지털인문학에서 디지털은 한 영역이라기보다는 인문학 연구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도구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디지털기술은 이전에 추상적 영역에 있던 것들을 경험적 영역속으로 전환하여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워크삽은 인문학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기술 관련 실용적인 내용들이 다루어졌다. 즉 디지털 툴 또는 프로젝트 소개 및 활용에 관한 주제와 디지털인문학 연구방법론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 패널 세션은 현재 디지털인문학에서 추진 중인 프로젝트 및 방법론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패널 참가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인문학의 융합적 특성에 맞추어, 좀 더 실용적이고 체계적이며 세분화된 방법론 정립 및 모색에 대한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일반 발표 논문은 제목으로 분석할 경우, ‘TEI’,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rchives’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키워드들이 ‘collaboration’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계만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 ‘collaboration’을 중심으로 ‘visualisation’, ‘Project Management’, ‘OCR’, ‘Software’, ‘Tool’, ‘Text analysis’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석해보면. 인문학적 연구방법 (text analysis, visualisation)을 토대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및 툴(tool, software, OCR 등)이 결합하는 디지털인문학의 연구방법론적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표 논문들 대부분이 2인 이상이 참여한 공동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어 단독저자 논문을 찾아보기 어려운 이유도, 이러한 방법론적 특성으로 인해 인문지식과 디지털 기술의 공유가 불가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visualization’ 을 중심으로 ‘text analysis’, ‘text mining’, ‘ontology’, ‘poetry’, ‘xml’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인문학에서의 인문학 연구 및 분석을 맵핑(mapping)하고 시각화하려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디지털인문학의 세계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이번 학술대회를 주관한 로잔공과대학(EPFL)의 프레드릭 카플란 교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동향을 한국과 비교하자면 여러 교차점이 발생하면서 유사성과 차이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국도 일찍부터 인문학과 디지털기술의 결합을 시도해 왔다. 더 나아가 그러한 성과가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문화콘텐츠’라 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가장 아쉬운 점은 인문학자들과 디지털 기술을 구사하는 전문가가 유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인문학 자료의 올바른 맥락화를 저해했으며, 여전히 인문학자들은 디지털기술과의 직접적인 결합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져왔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상황에서 시급한 정책 과제는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자가 중심이 되어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성과를 산출할 때에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으로 한국도 세계디지털인문학을 주관하는 ADHO의 산하단체로 가입하여 활동할 필요가 있다는 점 을 강조하였다. The paper examines Digital Humanities 2014 conference held in Lausanne in Switzerland and also discusses the current trends in the discipline of Humanities in Korea in keeping up with so-called a new trend of digitalization. Under the conference theme of ‘Digital Cultural Empowerment’, 223 papers and 115 posters were presented and 873 authors were on the list of participants, discussing a variety of research question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humanities research. In particular, Bruno Latour, in his plenary speech with the title of ‘Remated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called attention with his notion of the digital, showing the digital is not a single domain but a single entry to bring the expansion of humanities research domain. His point of view on the digital is still in discussion among digital humanists, even after the conference. The workshop sessions comprised a variety of practical topics which mainly focus on the needs from humanities research and researcher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practical training of digital technology or opportunities to share the experiences or information from the leading scholars of the field who are mostly involved in managing or directing some major projects or developing digital tools or technology. The panel sessions proved very active efforts of the scholars to expand and systematize the methodologies in approaching with increasingly extending research ideas and questions in the field. Through the paper sessions, some key words, such as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nd ‘archives’, were most discussed, proving that text-based research topics or methodologies are quite dominant in digital humanities. Also,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all the key words, the key word ‘collaboration’ was most frequently connected with other key words. In more detail, the key words related to text (ex. ‘text analysis’) were in network with other key words like ‘visualization’, ‘project management’, ‘OCR’, and ‘software’, through ‘col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digital humanities. This also implies that the research projects in digital humanities are not possible to be done with only one single method and by only one or two researchers, but rather requir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ith skills and knowledge from the researchers and organizations or institutes in different fields or disciplines. Discussing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digital and humanities in Korea and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tces from the U.S and Europe, the paper argues that in Korea, also, the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digital application has been attempted since the 1990s. In Korea, the term ‘Culture Contents’ has been used, replacing Digital Humanities. It has been developed as a field of study, seeking its convergence with commercial activities. However, most the humanists involved in this field have been isolated from the digital technology. Their lack of the knowledge and skills has resulted in failing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digital and also failing in positioning the humanists themselves as the leading agent in the field. In this regard,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prepared and given to the humanists,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ideas of digital application. Also, as a way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in Korea, it suggests that the humanists in Korea create an association of digital humanities and also join in umbrella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such as ADHO. Through the network, they can share the ideas with the digital humanists in the globe.

      • KCI등재

        미국 인문학재단 (NEH)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사업

        김현(Kim, Hyeon),김바로(Kim Ba-Ro)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이 글은 미국 디지털인문학의 실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우리나라의 디지털인문학 육성 시책 개발에 참고가 되게 하려는 목적에서, 미국 인문학재단이 디지털인문학 진흥을 위하여 수행하고 있는 지원 프로그램 및 이를 통해 수행되고 있는 디지털인문학 연구 프로젝트의 실제 내용을 조사, 분석, 정리한 것이다. 미국 인문학재단(NEH)의 디지털인문학단(ODH, Office of Digital Humanities)에서 지원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유형은 5가지이다. 그 첫 번째인 ‘디지털인문학 초기 조성 지원금’(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은 디지털인문학의 경험이 없는 순수 인문학자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연구를 시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금이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인문학 연구의 수행이 가능해지면, ‘디지털인문학 실행 지원금’(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을 통해서 실제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인문학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지원금’(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을 통해서 전통 인문학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교육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인문학 빅데이터 분석 과제’(Digging Into Data Challenge)는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인문학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 하고 있으며, 독일의 연구진흥협회(DFG)와 공동으로 미 · 독 양국의 협력 연구팀을 선발 · 지원하는 ‘NEH/DFG 디지털인 문학 협력 프로그램’(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은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의 국제 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까지 NEH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는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인문학에서 다루어 오던 연구 주제를 디지털 시대에 디지털 기술의 도움을 받아 수행함으로써 새로운 성과를 도출하려는 시도가 주류를 이룬다. 중요한 시사점은 이러한 프로젝트 기획 및 수행의 전 과정이 인문학 연구자들의 주도로 이루어지며. 디지털 기술의 이해와 운용 또한 인문학자들 스스로 담당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개인 연구보다는 공동 연구를 지향하며,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소통을 강조하여 연구 과정에서의 학제 간 공동연구 방법이나 연구 결과의 완전 공개를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도 NEH 디지털인문학 육성 프로그램에서 의미 있게 짚어보아야 할 사항들이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urvey is mainly focused on the various projects supported by the Office of Digital Humanities (ODH) of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NEH). The grant programs offered by the NEH include the Digital Humanities Start-Up Grants, which support the initial stages of planning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as well as the Digital Humanities Implementation Grants, which are involved with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research projects. Also, the Institute for Advanced Topics in the Digital Humanities is designed to support training programs for humanities scholar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n digital humanities methodologies. The Digging Into Data Challenge seeks for a new research method to use big data tha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diverse digitalization projects, and the NEH/DFG Bilateral Digital Humanities Program displays exemplary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s for humanities research. The most fundamental implications of the NEH’s Digital Humanities Proj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actors of the researches should be humanities scholars whose academic bases are on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Second, a certain kind of training programs are required to transform these scholars into “digital humanities scholars,” since they are not 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related to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uch training program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projects and properly supported during the initial phases for promoting digital humanities. In Korea, along with digital humanities, “cultural content” studies have been emerged as a result of methodological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ies. Cultural content studies in Korea succeeded in achieving positive outcomes in terms of industrial application of humanities studies. However, unlike the United States, this approaches turned out to be insufficient for providing solid foundation for humanities studies and innovating relevant research methodologies. It is expected that Korean humanities researchers will discover a mutual, complementary progress both for the traditional humanities disciplines and the applied humanities contributing to creative industries throug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digital humanities of the world.

      • KCI등재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의 변화 가능성 모색

        민춘기 ( Chun Gi Mi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용봉인문논총 Vol.- No.48

        이 논문에서는 디지털 시대에 인문학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문학의 위기를 기회로 삼기 위해서는 시대와 사회의 요청에 부응하는 변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에 익숙한 후속 세대들이 인문학을 계속 연구하고 공부하기 위한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전통적인 인문학과 더불어 디지털인문학도 병행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여, 디지털인문학의 필요성과 외국의 현황 및 한국에서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외국에서는 디지털인문학에 대한 연구와 교육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대학에서도 인문학이 전통적인 방법만을 고수하기보다는 디지털인문학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인문학의 지속적인 발전과 디지털 시대의 학생들이 다양한 진로를 개발하는 데 디지털인문학이 유용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인문학에 새로운 가능성을 통합하기 위해, 여기에서 제시된 이론과 사례들을 각 대학의 실정에 맞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시대에 세계가 상호 소통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인문학이 세계적인 흐름을 수용하여 인문학의 세대 간 연결을 준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논문의 한계는 연구자의 주장과 논증에 의한 학술적 창의성이 부족하고 외국의 사례 중심 소개의 수준이라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학에서 시작 단계에 있는 디지털인문학을 통한 새로운 방식의 인문학 연구와 교육에 대한 담론 형성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new directions of Korean humanities in digital era because it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humanities should respond to demands of the society and needs of the student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the younger generations who are already accustomed to the digital media. The view of the writer is that humanities can provide the students with a variety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from digital humanities as well as traditional humanities. This article examined the necessity of digital humanities and cases in the foreign countries followed by definition of the term humanities and digital humanities. According to the previous cases, digital humanities can give various advantages to the current and future students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entire humanities and students` career development. Futhermore, it can facilitate research and education of humanities through using digital skills and bridging between the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It is desirable to develop useful programs which are able to be feasible in the Korean universities. To that end, it is recommendable to further research into concrete curricula, courses, and syllabi and so on for digital humanities.

      •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김현(Kim Hyeon),안승준(Ahn Seung Jun),류인태(Ryu In Tae)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1 No.1

        단순히 인문학 자료를 디지털화 하거나, 연구 결과물을 디지털 형태로 간행하기보다는, 정보 기술의 환경에서 보다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것을 ‘디지털 인문학’이라고한다.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인가 라는 물음에 답을 줄 만한 연구 모델은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최근 수년 사이 ‘디지털 인문학 연구’로 보고된 여러형태의 인문 분야 연구에서 가장 두드러진 공통점을 찾는다면, 그것은 종래에 인간의 언어로만 기술되었던 인문 지식의 요소들을 기계가독적(machine readable) 데이터로 전환하여, 컴퓨터가 그 정보의 해석을 도울 수 있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무엇이 디지털 인문학인가’하는 원론적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 지식을 데이터로 전환하는 것은 어떠한 작업이며, 그것을 통해 학술적 성과를 기대 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과 인문정보학 교실에서 수행하고 있는 데이터 기반 문중고문서 연구를 사례로 제시하였다. 디지털 인문학의 프레임워크 위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형식의 고문서 디지털 아카이브는 연구자들이 직접 그 디지털화된 문서의 내용을 데이터로 취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의 분석, 정리, 해석을 통해 찾아낸 ‘사실’과 ‘이야기’를 확장된 데이터로 축적해 나아갈 수 있게 함으로써, ‘자료’의 아카이브에서 ‘지식’의 아카이브로의 진화를 지향한다. 고문서 내용을 데이터로 전환하여 기계적 가독성을 부여하는 것은 일차적으로 과거의 생활사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에 기여하겠지만, 향후 이러한 데이터의 광범위한 축적으로 만들어질 인문학 빅데이터는 현대에 발생하는 사회과학적, 산업적 빅데이터와 엮여져서 현대사회에 대한 이해와 과거 역사의 탐구 사이의 연결고리를 만들어내는 것도 가능하게할 것이다. 인문지식이 데이터로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통해 우리의 인문지식은 전통적인 인문학의 경계를 넘어서는 세계와도 교섭할 것이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로서의 인문학의 외연을 더욱 의미 있게 확장해 갈 수 있을 것이다. Rather than simply digitizing humanities materials or providing humanities research results in a digital format, “digital humanities” encompasses ever more creative humanities endeavors in an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 There is still no research model which can clearly answer the quest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research” looks like. However, if we look at the similarities among humanities research which has been deemed to fall under the umbrella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we can see the transformation of humanities knowledge elements from human-composed language to machine-readable data, which allows computers to aid in the interpretation of said information. The author will go a step beyond the fundamental discussion of “what digital humanities is,”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work of transforming humanities knowledge into data, and what kind of scholarly outputs we can expect from such work. To this end, the author presents research l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Jangseogak Archives and Cultural Informatics Lab which is based on old documents from paternalistic lineage organizations (munjung). A new form of digital archive of old documents made for a digital humanities framework allows researchers to turn the content of digitized old documents into data. In addition, through the accumulation of data which encompasses “truths” and “stories” discovered via data analysis, organization, and interpretation, an archive of “source materials” can evolve into an archive of “knowledge.” On preliminary level, transforming the content of old documents into data and making it machine readable contributes to humanities research on the lives of people of the past. However, looking forward, the widespread accumulation of such data can create big data on the humanities. And if this humanities big data is connected to big data dealing with contemporary social, academic, and business phenomena, it can serve as a link between the understanding of modern society and the history of the past. Through efforts to allow humanities knowledge to communicate as data, our humanities knowledge can go beyond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humanities and negotiate with the larger world, and it can more meaningfully expand the full realm of the humanities as 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society.

      • KCI등재

        지식의 공유와 표현 그리고 디지털 인문학 : 해외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검토

        김지선,유인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2

        In recent years, interest in digital humanities has grown steadily in Korea, but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constructing・using humanities data that is universally dealt with in the digital humanities field, as well as its academic significance, remains limited. The reasons for this are that it is difficult to organize at a glance the field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igital humanities’ due to the variety of research formats in exist within.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ases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in Korea and there are very few professional researchers in the field, as a result of which the channels that can convey the realit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are limited.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article attempts to organize the data processing process and result format of digital humanities projects by reviewing 24 representative cases focusing on sharing and representation of knowledge among overseas digital humanities research examples, as well as to clarify the academic significance contained therein. It is a common feature to create and open various data formats used in web environments, such as CSV and JSON, as well as machine-readable data represented by XML and RDF, while utilizing various formats of JavaScript libraries and Web Framework such as D3.js, Leaflet.js, JQuery and Angular.js. If each digital humanities research case discussed in this article is reviewed individually later, it can be used as a useful clue not only to examine the realit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but also to specifically plan and carry out digital humanities research projects. At a time when we need to think seriously about where humanities research combined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should go in detail, as well as how to accommodate the humanistic awareness and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technology that arises in the process, I hope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in some small way.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에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다루어지는 인문학 데이터 구축·활용 맥락과 그 학술적 의의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소위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으로 총칭되는 영역의 연구 형식이 다양해서 일목요연한 정리가 쉽지 않다는 점, 국내에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가 많지 않고 해당 영역의 전문 연구자가 극소수라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를 전달할 수 있는 채널이 제한적이라는점 등이 그 원인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 이 글은 해외의 디지털 인문학 연구 가운데 지식의 공유와 표현에 초점을 둔 대표적 사례 24건을 검토함으로써,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데이터 처리 과정과 결과물 형식 그리고 그에 내포된 학술적 의의를개략적으로나마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XML, RDF로 대표되는 기계가독형 데이터를 포함해 CSV, JSON 등 웹 환경에서 통용되는 여러 포맷의 데이터를 구축·개방하는 한편, D3.js, Leaflet.js, JQuery, Angular.js와 같은 다양한 맥락의 JavaScript Library와 Web Framework를 활용하는 것이 그 공통적인 특징이라 하겠다. 이 글에서 다룬 각각의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에 관한 검토가 추후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를 살피는 데서 더 나아가 디지털 인문학 연구 프로젝트를 구체적으로 기획· 진행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한 단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과 결합한 인문학 연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를 본격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서, 이 글이 작게나마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프랑스 `디지털 인문학`의 인문학적 맥락과 동향

        김동윤(Kim, Dong-Yoon) 인문콘텐츠학회 2014 인문콘텐츠 Vol.0 No.34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전지구적 사건으로서 문명사에 새롭게 떠오르는 인문적 지평이다. 오늘날 정치, 경제, 지식, 국가 등 모든 방면에서 ‘디지털’로의 전회 (digital turn)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른바 디지털 문명은 통계 전산 데이터를 다루는 ‘컴퓨팅’ 기술의 수준을 넘어 새로운 인문 사회과학의 에피스테메와 담론 창출을 요구하고 있다. ‘디지털 전회’는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로서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지식의 체계를 무너뜨리면서 횡적으로 끊임없이 연결되는 지식 생태계, 즉 디지털 휴머니티를 구성하려는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볼 수 있다. 디지털 인문학은 살아있는 인류의 거대한 지식과 기억의 보고이자 모든 창조적 가능성과 발현의 총화, 그리고 테크놀로지가 새롭게 확보한 공간(territory)을 거주가 가능한 공간으로 구체화하는 기획과 실천방식인 것이다. 디지털 인문학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는 창조적 협업과 초학제적 (transdisciplinary) 집단 지성이다. 초학제적 성격의 디지털 인문학은 자유로운 비판정신과 상상력을 통한 집단지성, 지식 융합 등으로 구체화하며 인간 · 기술 · 지식을 하나로 ‘융합’(convergence)하려는 시도와 다름 아니다. 창조적 협업을 통해 인류가 온축한 모든 지식과 지혜를 통합하려는 노력은 탈경계, 탈위계의 성격을 지니며. 다양성, 관용, 사회적 신뢰와 같은 인문적 가치들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오랫동안 프랑스는 - 특히 인문과학 분야에서 - 디지털 기술에 대해 비판적이고 유보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자들은 ‘디지털에 대해 진지하게, 그리고 디지털과 함께’ 생각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는 보수적인 인문학 전통이 뿌리 깊은 이곳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디지털 인문학과 프랑스 인문학과의 관계, 그리고 ‘프랑스 디지털 인문학’의 역사적, 문명사적 맥락을 짚어보고, 파리 ‘디지털 인문학 마니페스토’와 다양한 연구 성과를 통해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Our study is to show how Digital Humanities(Humanites numeriques) is now being developed in a country with a long and deep tradition of Human sciences like France. Indeed, as a newly coined term, Digital Humanities is an rapidly emerging and vast ‘discipline’ intergrating all kinds of knowledges created by human beings into the ‘space-territory’ based upon digital technology. Il covers a wide range of academic areas essentially including human and social sciences. Moving beyond basic functional literacy, we are able to ask how the digital configures a meta-discourse and what kind of practices, ethical and aesthetic values in an increasingly complex digital environment. First of all, we are witnessing the rapid shift from the Humanites Computing to Digital Humanities through which our every day life could undergo a deeper and more structural transformation. ‘French digital champion’, Gilles Babinet accurately described this fundamental change not as a simple paradigm shift, rather as a kind of rupture with a conventional way of producing and circulating knowledge. Historically speaking, this new phenomenon of Digital Humanities seems to largely reflect the spirit of the Encyclopedie movement conducted by the leading scholars like d’Alembert and Denis Diderot. This French collective intelligence project was famously well known for the great achievement of a creative cooperation as well as of a society of Hommes de Lettres. In line with the Encyclopedic spirit, Digital humanities essentially should be a collaborative effort of volunteer knowledge-creators who willingly share an interest in the Aufklarung and a belief in making freely available to everyone the Humanities. Being a digital version of the Encyclopedie movement, Digital humanities project can only reach it’s goal to make everyone access to a huge ocean of knowledges, if every one is volunteering to contribute to the creating of this vast pool of humanities. In this regard, Wikipedia provides a great example for this gigantesque on-going ‘cyber culture’ or digital humanities project. According to Pierre Levy, one of the most important theorists of digital humanism, ‘Cyber culture’ has been largely inspired from European spiritualities like Pierre Teilhard de Chardin who was a great archeologist having explored into the sphere of mind, called ‘Noosphere’. Teilard de Chardin’s theological philosophy(Noosphere) shows us an optimistic vision for the cyber culture being constituted by digital technology. If we may transpose this philosophical idea on the digital humanism perspective, Digital Humanities movement ultimately would contribute to elevate humanity to the highest spiritual level: ‘Omega Point’ smartly defined by the French theologist. In short, as we could have seen it on the occasion of DH 14 conference at Lausanne, Digital Humanities, a newly rising ‘transdisciplinarity’ over the horizon of Human sciences, is not a clearly defined project, but rather an ever-lasting experimental enterprise for which all human creative potential will be intergrated into the emergence of an unprecedented digital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