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에 대한 Y세대 이용자의 요구분석 연구

        노영희 한국정보관리학회 2014 정보관리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Y세대의 특징을 밝히고 Y세대가 요구하는 차세대디지털도서관서비스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이들의 요구가 베이비붐세대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Y세대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디지털기기는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디지털 카메라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용비율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그 순위는 베이비붐세대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하는 디지털서비스에 있어서 Y세대와 베이비붐세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Y세대는 인터넷 포털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베이비붐세대는 이메일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Y세대와 베이비붐세대가 차세대디지털도서관에 요구하는 서비스를 클라우드서비스, 무한창조공간, 빅데이터, 증강현실, 구글글래스, 상황인식기술, 시맨틱서비스, SNS서비스, 디지털교과서서비스, RFID 및 QRCode 서비스, 도서관공간구성, 최첨단디스플레이기술, 기타 획기적인 서비스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Y세대가 가장 높은 요구도를 보인 서비스는 빅데이터서비스였고, 베이비붐세대는 디지털교과서서비스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Y generation, to derive the services of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y, an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demand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Y generation to some extent. As a result, first, it is shown that the digital device the Y generation uses the most, was a cell phone or smartphone, followed by desktop PC, notebook PC, and digital camera.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the Y generation’s use ratio of digital devices wa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baby boom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in terms of using digital services. While the Y generation used internet portals the most, the baby boom generation used e-mail service the most. Third, we surveyed the services which the Y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require for the next generation digital libraries, by grouping as follows: the cloud service, infinite creative space (maker space), big data, augmented reality, Google Glass, context-aware technologies, semantic services, SNS service, digital textbook service, RFID and QRCode service, library space configuration, a state-of-the-art display technology, and other innovative services. While the most demanded service by the Y generation was big data service, the baby boom generation most demanded digital textbook service.

      • KCI등재

        디지털세대의 특성과 가치관에 관한 연구

        김기환,윤상오,조주은 한국정보사회진흥원 2009 정보화정책 Vol.16 No.2

        최근 인터넷을 비롯한 디지털 활동의 확산과 더불어 새로운 세대의 등장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들은 자신들이 갖는 특유의 성향이나 가치관 등을 통해 사회적 파장을 형성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를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디지털 활동이 새로운 세대를 형성하였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세대로 확인되면 이를 디지털세대라고 명명하고, 이들이 어떤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으며 다른 세대들과 비교해서 어떤 특성을 갖는지를 분석한다. 조사 결과 디지털 활동을 기준으로 세대를 구분하는 방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디지털 지수를 근거로 해서 포스트 디지털세대, 디지털세대, 준 디지털세대 및 아날로그세대가 도출되었다. 디지털세대의 가치관의 특성은, 디지털기기에 대한 접근도 및 활용정도가 높을수록, 생산 및 유통활동이 적극적일수록 보다 개방적이고 적극적이며, 참여지향적인 조직관을 갖는 성향을 띠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접근도, 활용도, 생산 및 유통도로 갈수록 더욱 폭넓게 가치관에 영향을 주고 있다. Recently, with the expansion of digital activities in daily lives, lots of discussions have been made about a newly-risen IT generation. Through its personalities and behaviors, the new generation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setting a direction and bringing about social changes in a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Naming the new group as a digital generation,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who they are, what value sthey have and what personalities they have, especially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elicit a 'digital index' by considering the levels of access, usag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the digital machinery and services. According to the digital index, we come up with post-digital, digital, semi-digital and analogue generations, and then comparably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ose generations.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ost-digital and digital generations showed high levels of willingness of access, usage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digital tools and content. And the higher the levels of their access, usage, production and circulation are, the more likely they are open-minded, active and participation-oriented.

      • KCI등재

        디지털 네이티브 집단 내의 디지털 격차 : 영향요인의 탐색과 제언

        안정임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2

        디지털 격차 연구에서 1020 세대들은 고령층의 상대적 격차 현황을 비교하기 위한 준거집단으로만 활용되어왔을 뿐, 이들 내부의 격차 현실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 다. 본 연구는 디지털 네이티브로 일컬어지는 1020 세대 내에서의 디지털 격차의 존재 여부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 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디지털 기기 유형별 소유 여부의 도구적 격 차 변인, 컴퓨터와 모바일의 이용 기술적 변인, 조력자와 사회관계 자본 등의 관계적 변 인, 디지털에 대한 이용 동기와 태도 등 심리적 변인들이 정보활용격차와 정보생산격 차, 참여격차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20 세 대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고 있으며, 특히 노트북 소유 여부와 같은 도구적 요인의 영향력이 재부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령층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조력자 변인이 젊은 층에서도 영향을 미쳤고, 이용기술, 이용동기 등이 모 든 격차 유형에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 및 정책 과제로 새로운 디지 털 환경에서 기기 접근과 소유에 의한 1단계 격차의 재검토, 1020 세대에게도 필요한 조력자의 역할, 이용동기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한 탐색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디지털 네이티브라는 이름 하에 동일 집단으로 인식되어온 1020 세대 내부의 다양한 격차 현상 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질적 연구의 필요성도 논의하였다. In the digital divide research, the 1020 generation has been used only as a reference group to compare the relatively poor status of the divide among the elderly, and research on the divide within young generation is lacking. This study explored the existence of the digital divide within the 1020 generation, referred to as digital natives, and the factors affecting it. Using <2020 Digital Divide Survey> data, instrumental variables such as ownership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device, technical variables such as use of computers and mobile, relational variables such as supporters and social capitals,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digital us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s on the information utilization divide, content production divide, and participation divide.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various forms of digital divide exist within the young generation. In particular, whether or not to own a laptop, variables of supporters, technology skills, and motivation for use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all types of divide. Based on the results, reexamination of the first-level divide due to device access and ownership in the new digital environment, the role of supporters necessary for the 1020 generation, and the search for factors activating the motivation were suggested as future research and policy tasks. In addition, the need for mor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on various inequalities within the 1020 generation,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nolithic group under the name of digital native, was discussed.

      • KCI등재

        디지털 세대 격차와 부모의 자녀 게임 이용 중재 : 부모가 된 게임 세대

        김민철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2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gap between generations emerges at the family level in the full-scale digital era, and the generational gap manifests itself more concretely in the conflict through games. To unravel this phenomenon, the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generation mainly on the basis of Karl Mannheim's theory of generation and examines the digital generation and the generational gap.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issue of digital divide appears through games. According to the data from a game user survey by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the digital generation who plays games now includes people in their 40s, who have become parents. This digital generation is a parental group who enjoys playing games, while managing their children’s game-playing through an intervention that limits and controls the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igital generation and their mediation in their children’s game activities as parents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igital generation. 본 연구는 전면적인 디지털 시대의 등장으로 인해 겪게 된 세대 간의 격차가 가족 단위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이것이 게임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 글에서는 만하임의 세대이론을 중심으로 세대의 개념을 정의하고, 디지털 세대와 그 격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디지털 격차의 문제가 게임을 통해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검토했다. 이후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게임이용자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해 게임을 활용하는 디지털 세대가 40대까지 확장이 되었고 부모 세대로 진입했음을 확인하였다. 이 디지털 세대는 게임을 향유하는 부모로서, 자녀의 게임 활동을 제한하여 통제하는 제한적 중재를 통해 콘텐츠 활동을 관리하고 있었다. 본 글은 디지털 세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디지털 세대가 현재 어떤 위치에 있는지, 부모로서 어떻게 자녀 세대의 게임 활동을 중재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시대 학습자 이해를 근거한 디지털목회를 위한 목회리더십에 대한 고찰

        이종민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71

        본 연구는 종교 온라인과 온라인 종교가 새로운 목회형태도 등장하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새로운 목회리더십의 핵심역량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오늘날 목회의 대상 중에서 N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디지털 학습자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고, 동시에 종교다원주의 시대에 나타나고 있는 다양한 신앙형태를 중심으로 하여 그들이 보여주고 있는 신앙형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성장하게 될 디지털 교회에서 필요로 하는 목회리더십이 무엇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오늘날 디지털 환경 속에서 학습활동을 하는 학습자들의 특징을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하나는 디지털 원주민이라고 불리우는 N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세대적 관점(generation-oriented perspective)에서 학습자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또 다른 하나는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을 능숙하게 다루는 학습자들과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하여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관점(digital techno-deterministic perspective)에서 학습자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환경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신앙형태에 대한 특징을 네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표층적인 차원에서 바나 리서치의 종교실태 보고서를 요약정리하고, 심층적인 차원에서 로베르토(Roberto)와 메르카단테(Mercadante)가 소개하고 있는 다양한 신앙형태의 유형들을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디지털목회 환경 속에서 신앙을 형성해 나가는데 요구되어지는 거시적 차원의 도전에 대해 헤세(Hess)의 분석을 점검하였고, 반면에 미시적 차원에서 종교인들에 있어서 정서적-관계적 변인에 대한 화이트(White)의 제안을 소개하였다. 네 가지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두 가지 부류의 사람들이 디지털목회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신앙형태임을 정리하였다: ‘종교에 대해서는 매우 소극적이지만 영적인 무엇인가를 추구하는 신앙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과 ‘종교집단에 참여는 하지만 물리적인 차원에서 헌신을 머뭇거리면서 자신의 신앙을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 이상의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디지털목회를 위한 목회리더십의 세 가지 기본역량을 제시하였다. 첫째, 디지털목회 시대에 다양한 형태로 목회를 감당해야 하는 목회자들은 기본적으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성장하고 신앙을 추구하고 있는 새로운 세대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인간 이해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둘째, 새로운 세대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신앙인으로서 마땅히 행해야 할 바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개인적이면서도 높은 친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회 운영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셋째, 이러한 인간 이해와 관계 형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사역 환경 가운데서 디지털 정보통신기술을 원활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기술 운영 역량을 구비해야 한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re competencies of new pastoral leadership in the era of post-humanism in which religion online and online religion are emerging as a new form of ministry,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earners who are the N generation among the targets of today's ministry. as well a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faith formation which is the various forms of faith in the era of religious pluralism. To this end, this study is to suggest what kind of pastoral leadership will be needed in the digital church that will grow in the futur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ho are learning activities in today's digital environment we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rom a generation-oriented perspective, centering on Generation N, called digital natives. The other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from a digital techno-deterministic perspective, focusing on learners who are proficient in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argeting them.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faith appearing in the digital environment were analyzed from four perspectives. At the superficial level, Barna Research's report on the reality of religion was summarized, and at an in-depth level, the various types of faith introduced by Roberto and Mercadante were examined. Furthermore, Hess' analysis was reviewed on the macroscopic challenge required to form faith in the digital pastoral environment, while White's suggestion on the emotional-relational variable for religious people at the micro level was introduced. Based on four theories, the study emphasized that two types of people are typical forms of faith in digital ministry: ‘people who are very passive about religion, but who form a faith that pursues something spiritual’ and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religious group, but hesitate to dedicate themselves on a physical level and form their own faith’.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survey, three core competencies of pastoral leadership for digital ministry were presented. First, in the digital pastoral era, pastors who have to take on various forms of pastoral ministry need to have the ‘human comprehension capability’ to correctly understand and communicate with the new generation who are growing and pursuing faith in a digital environment. Second,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and desires of a new generation and to teach what the new generation should do as a believer, it is necessary for pastors to have the ‘pastoral management competency’ that can improve personal relationship and high intimacy. Third,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is human understanding and relationship formation in the digital ministry environment, pastors have to be equipped with the ‘technical operation capability’ that can smoothly manipulate and use digit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KCI등재

        디지털 전환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실태에 따른 또래 문화에 관한 연구—메타버스 콘텐츠를 중심으로—

        전준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4 民族文化硏究 Vol.102 No.-

        현재 대한민국을 비롯한 세계는 여러 세대가 함께 살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세대 간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MZ세대(밀레니얼 + Z세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MZ세대가 소비 트렌드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알파세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알파세대는 ‘Eight Pockets’ 현상으로 경제적 영향력이 크며, ‘Digital Connected’ 단계로 묘사되며 디지털 기술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들은 ‘디지털 온리’ 세대로, SNS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살며, 세상 사건에 대한 인식이 뛰어나고 미래의 영향력 있는 소비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의 18개월 된 아기가 처음으로 ‘알렉사’라고 말하는 등, 알파세대는 Z세대보다 더 어린 나이에 디지털 기기에 노출되어 그들의 소통 방식이 다르다. 이런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 사회학자들은 알파세대의 사고방식과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그들은 Z세대가 문제를 혼자 해결하려는 반면, 알파세대는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확률이 높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알파세대의 잘못된 이해는 세대 간 오해와 갈등을 야기할 수 있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활동의 증가는 세대 간의 온라인 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세대 간 차이를 이해하고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MZ세대와 알파세대의 또래 문화를 조사하고 정의하려 한다. Currently, South Korea, along with the rest of the world, is home to multipl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which has led 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efforts are being made to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MZ generation (Millennials + Generation Z) because they have become central to consumption trends. While research on this is actively ongoing, studies on the Alpha generation are relatively lacking. The Alpha generation has significant economic influence, known as the ‘Eight Pockets’ phenomenon, and is closely connected to digital technology, described at the ‘Digital Connected’ stage. They are the ‘digital-only’ generation, constantly connected through social media and other platforms, with a keen awareness of world events and are expected to be influential consumers in the future. In the UK, an 18-month-old baby’s first word being ‘Alexa’ exemplifies how the Alpha generation is exposed to digital devices at a younger age than Generation Z, altering their mode of communication. Sociologists are researching the Alpha generation’s mindset and characteristics, noting that unlike Generation Z, which tends to solve problems alone, the Alpha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seek cooperation in problem-solving. However, misunderstandings about the Alpha generation can lead to misconceptions and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The increase in online activiti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online interactions across generations.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and define the peer culture of the MZ and Alpha generation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and minimize conflicts.

      • KCI등재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방향 모색

        곽면선 한국현대언어학회 2023 언어연구 Vol.39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optimal direction for college English courses catering to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208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ir use of digital technologies for learning English and their preferences for future university general English co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requently utilize digital technology for English language learning and perceive it as an effective approach.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used digital devices more actively when learning English. When considering whether it is better to read English texts on digital devices or in books, the 'moderate' option received the highest ranking. Regarding future general English classes, many students expressed a desire for increased utilization of video materials in the classroom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ase in language learning. This study proposes five key directions, emphasizing the incorpor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digital contents in English education for the digital age. These findings serve as valuable reference materials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llege English courses tailored to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of students.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고전문학 교육 방안: 향가를 중심으로

        함복희(Ham Bok-hee)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2

        본 논문에서는 향가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시대에 향가를 효율적으로 학습하고 향유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디지털 세대들은 대부분 디지털 미디어 콘텐츠를 만들거나 소비하는데 익숙해 있다. 따라서 디지털 미디어나 멀티미디어를 잘 활용하면 향가 교육 과정에 학습자를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그 결과 향가의 일방적인 학습이 아닌 향유와 내면화가 가능해질 수 있다.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문화적 여건은 급속도로 변해 가는데 고전문학은 그 자리에 머물러 있다면 고전문학과 독자의 거리는 점점 낯설고 멀어질 것이다. 고전문학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자는 당연히 디지털 세대 학습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고전문학의 교육 환경과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세대에 맞게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을 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의 본질적인 속성인 멀티미디어 도구를 적극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참여와 재미를 통해 문학작품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장 효과적인 학습은 직접 체험해 보는 것이다. 직접활동을 해보고 주도적인 사유 과정을 거쳤을 때 그 내용이 장기기억으로 처리되어 삶의 철학이 되기도 하고, 가치관이 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향가를 두 축으로 수용하기 위한 웹사이트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가 스토리뱅크 웹사이트는 학습자에게 작품 이해와 향유에 쉬운 접근 통로를 열어 줄 것이라는 기대로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인문학과 디지털의 결합을 전제한 것이므로 학제 간 통합을 통한 통합적 인문학발전 및 디지털 분야의 질적 발달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다. 고전을 능동적으로 향유함으로써 각박한 현대사회에서 인문학이 가야할 길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와 미래에 인간이 가져야 할 모습이 방향을 잃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도 이 논문이 지니는 의미다.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for enjoying Hyangga in the digital era by examining it. Digital generations are mostly familiar with creating or consuming digital media contents. Thus, if digital media or multi-media are well-utilized, it is possible to make learners to participate in Hyangga education, and as a result, enjoying Hyangga rather than one-sided study can be possible. If classical literature stays where it is when academic environment and cultural conditions of students are rapidl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classical literature and readers will become more unfamiliar and drifted apart. The educator fo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must be concerned and actively seek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environment and system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in the digital era. This study will suggest a plan for learners to enjoy literature by participation and fun using education with digital media and multi-media equipments, essential properties of digital media, for the digital generation. The most effective studying method is direct experience. Direct activity and leading ownership process will process the contents in the long-term memory to be philosophy or value in life. With instructors who keenly agreed with the reasons why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communicated and enjoyed in modern ways, there have bee various tries with digital media. For learners to easily access to information about classical literature, they have loaded knowledge or information about classical literature on individual blog or homepage. There are such efforts for easy enjoyment of classical literature, but it is time to establish more systematic design for active enjoyment and internalization of learners. As in the digital era, it is necessary to fine measures for learners to enjoy literature with participation and fun using multi-media equipments, essential properties of digital media. This study has an objective to study and enjoy classical literature with digital media. The learner generation is familiar with consuming and enjoying digital contents and if the method for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stays still, classical literature will become stuffed. This study suggests website construction to embrace Hyangga in two axes. Hyangga Storybank Website is tried to open easy access for understanding and enjoying works. This such research 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humanities and digital that it will also contribute to integrated humanities development as well as qualitative development of digital area by the integration of school system. This study therefore has a significance in which it will provide expectation for the way humanities proceed in the heartless modern society by actively enjoying classical literature, so that current and future people will not lose their ways to be what they should become.

      • KCI등재

        디지털 소통과 국어교육

        임칠성(Im Chil-seong)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7

        국어교육은 기본적으로 소통 교육이다. 필연적으로 디지털 소통을 할 수밖에 없는 디지털 세대에게는 디지털 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교육을 국어교육에 중심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디지털 소통은 디지털의 속성 상 듣기 · 말하기, 읽기, 쓰기의 소통 양상이 문자 세대의 소통과 매우 다르다. 디지털 소통에 걸맞도록 변화를 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소통을 하는 디지털 세대들에게 국어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디지털 속성을 미디어 다중성, 하이퍼텍스트성, 쌍방향성, 사회적 연결성으로 정리하였다. 이런 디지털 속성에서 비롯된 디지털 듣기 ·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양상을 문학 교육을 포함하여 살펴보았다. 디지털 소통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문자 세대의 소통 양상과 비교하여 국어교육의 변화 방향과 그 근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런 논의들을 통해 디지털 세대들을 위한 국어교육의 변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국어교육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금껏 국어교육의 근본 틀이었던 언어 중심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구체적으로 국어교육이 언어 중심주의에 기반을 둔 표현 · 이해 교육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어교육이 디지털 세대에 걸맞게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사회연결망을 고려한 디지털 소통교육을 국어교육의 한 틀로 포함시켜야 한다고 결론을 맺었다.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asically communication education. There are great difference between analog communica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So,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o include the education of increasing digital communication ability for digital generation. In this paper, I looked up the properties of digital and the aspects of digital communication, and I suggested some ways to chan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digital communication ability to digital generation students. At first, I arranged the properties of digital as multimedia, hypertext, interactive, and social network. Based on the properties, I compared the aspects of the digital communication, which are digital listening and speaking, digital reading, and digital expression, with those of analog communication. At last, I pointed out the obstacle for teaching digital communi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logocentrism and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fram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including digital ability education, I sugges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to get out from logocentrism and have to change the frame as below; oral communication for human relationship and problem solving, written communication for thoughts, and digital communication for cyber network.

      • KCI등재

        디지털세대의 사회문화적 성격이해와 선교적 접근에 대한 제안

        이대헌 ( Dae Hyoun Lee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1 복음과 선교 Vol.16 No.-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generation in South Korea with those of the Korean Church. By doing so, it discloses that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global digital generation and the indirect cultural influence of Musok which has impacted on forming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generation in South Korea while the Sung Confucia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have impacted on forming those of the Korea Church. This paper alarms that there is a great socio-cultural gulf between the digital generation and the Korean Church and that the socio-cultural rupture, not the hostility to the Christian faith, is the primary reason of the massive leaving of the digital generation. This paper also reminds that the church should be missional in nature. The church that is missional in nature should not stick to a socio-cultural structure but be ready to cross any socio-cultural border to witness the good news of Jesus.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the Korean Church to go over the socio-cultural gulf in order for the gospel to be the good news among the digital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